최근 수정 시각 : 2025-10-07 00:14:47

미국 아프리카사령부



||<-6><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height=70><width=45%>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미합중국군
통합전투사령부'''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합중국 북부사령부 휘장.svg
NORTHCOM
북부사령부

(2002.10.01. ~)
파일:미합중국 유럽사령부 휘장.svg
EUCOM
유럽사령부

(1947.03.15. ~)
파일:미합중국 중부사령부 휘장.svg
CENTCOM
중부사령부

(1983.01.01. ~)
파일:미합중국 남부사령부 휘장.svg
SOUTHCOM
남부사령부

(1963.06.06. ~)
파일:미합중국 아프리카사령부 휘장.svg
AFRICOM
아프리카사령부

(2007.10.01. ~)
파일: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휘장.svg
INDOPACOM
인도태평양사령부

(1947.01.01. ~)
파일:미합중국 우주사령부 휘장.svg
SPACECOM
우주사령부

(1985.09.23. ~ 2002.10.01)
(2019.12.20. ~)
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
SOCOM
특수작전사령부

(1987.02.16. ~)
파일:미합중국 수송사령부 휘장.svg
TRANSCOM
수송사령부

(1987.06.0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미합중국 전략사령부 휘장.svg
STRATCOM
전략사령부

(1992.06.01. ~)
파일:미합중국 사이버사령부 휘장.svg
CYBERCOM
사이버사령부

(2010.05.21. ~)
}}}
※ 둘러보기: 통합전투사령관
}}}}}}}}} ||
미합중국 아프리카사령부
United States Africa Command
파일:미합중국 아프리카사령부 휘장.svg
창설일 2007년 10월 1일[창설]
2008년 10월 1일 ~
약칭 USAFRICOM, AFRICOM
소속 미국 국방부
분류 미국 통합전투사령부
참전 2011 리비아 영공 봉쇄
항구적 자유 작전 - 트란스 사하라
사령관 다그빈 앤더슨(공군 대장)
부사령관 존 브레넌(육군 중장)
본부 켈리 병영(독일 슈투트가르트-뫼링겐)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편제
3.1. 하위구성사령부 / Subordinate Component Commands
3.1.1. 유럽-아프리카육군 / United States Army Europe and Africa3.1.2. 유럽-아프리카해군 / United States Naval Forces Europe-Africa
3.1.2.1. 제6함대 / United States Sixth Fleet
3.1.3. 유럽-아프리카공군 / United States Air Forces in Europe – Air Forces Africa
3.1.3.1. 제3공군 / Third Air Force
3.2. 하위통합사령부 / Subordinate Unified Commands

1. 개요

미합중국 아프리카사령부는 미군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우주군 아프리카사령부를 총괄하는 권역별 미국 통합전투사령부(Unified Combatant Command)이다.

2. 상세

2007년 2월 6일,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통합전투사령부 창설이 본격화되었다. 이 결정은 지난 수년 간 아프리카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국방부의 결정에 기반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아프리카사령부는 유럽사령부 예하의 준통합사령부로 조직되었으며, 제7군단이 주둔했던 독일 슈투트가르트-뫼링겐의 켈리 병영에 사령부가 설치되었다.

아프리카사령부의 설립에는 안보, 개발 및 외교 간의 문제 때문에 새롭게 설립된 국무부, 국제개발처, 재무부와 아프리카와 관련된 여러 미국 정부 기관의 관리들이 참여했다. 그리고 아프리카 지역은 유럽사령부, 중부사령부, 태평양사령부의 관할이었으나, 아프리카사령부가 창설되면서 이집트를 제외한 모든 아프리카 지역이 아프리카사령부의 책임 영역이 되었다.

창설로부터 1년 뒤인, 2008년 10월 1일에 아프리카사령부가 작전 능력을 획득하고 아프리카육군, 유럽-아프리카해군, 유럽-아프리카공군, 아프리카해병대와 아프리카특수작전사령부가 예하에 배속되었으며, 중부사령부에서 연합합동특수임무부대 - 아프리카의 뿔이 아프리카사령부로 재배치되었다.

아프리카사령부가 활성화됨에 따라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안보 협력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아프리카사령부는 아프리카 지역의 국가들이 신의 저항군, 알카에다, 알샤바브 등의 테러 조직과 맞서는 것을 지원해왔으며, 에볼라 바이러스가 유행하자 전염병 대응을 지원하는 작전을 시행했다. 그리고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가 아프리카로 세력을 넓히고 보코 하람이 충성 맹세를 하자, 아프리카사령부는 아프리카 연합을 지원해 대IS 군사 개입에 참여했다.

2015년 8월부로 아프리카해병대가 유럽해병대와 통합되어 유럽-아프리카해병대로 재편되었으며, 2020년 11월부로 아프리카육군이 유럽육군과 통합되어 유럽-아프리카육군 예하 남유럽특수임무부대 - 아프리카로 재편되었다.

현 사령관은 공군 대장 다그빈 앤더슨 장군으로, 합동참모본부 합동전력개발본부장을 맡던 중 대장 진급과 함께 부임했다.

==# 역대 사령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육군

윌리엄 워드
육군

카터 햄
육군

데이비드 로드리게스
해병대

토머스 왈드하우저
<rowcolor=#0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육군

스티븐 타운젠드
해병대

마이클 랭글리
공군

다그빈 앤더슨
}}}}}}}}}
<rowcolor=#FFFFFF> 순서 사진 이름 기간 계급 복무 비고
1 파일:Ward.jpg 윌리엄 와드(William E. Ward) 2007년 10월 ~ 2011년 3월 육군
중장
퇴역 [2]
2 파일:Ham.jpg 카터 햄(Carter F. Ham) 2011년 3월 ~ 2013년 4월 육군
대장
퇴역 [3]
3 파일:데이비드 로드리게스.jpg 데이비드 로드리게스 2013년 4월 ~ 2016년 7월 육군
대장
퇴역 [4]
4 파일:Waldhauser.jpg 토머스 왈드하우저 2016년 7월 ~ 2019년 7월 해병
대장
퇴역 [5]
5 파일:Townsend.jpg 스티븐 타운젠드 2019년 7월 ~ 2022년 8월 육군
대장
퇴역 [6]
6 파일:Gen Michael E. Langley.jpg 마이클 랭글리 2022년 8월 ~ 2025년 8월 해병
대장
퇴역 [7]
7 파일:Gen_Dagvin_R._M._Anderson_(cropped).jpg 다그빈 앤더슨 2025년 8월 ~ 현재 공군
대장
현역 [8]

3. 편제

3.1. 하위구성사령부 / Subordinate Component Commands

====# 파일:setaf-af.jpg 남유럽특수임무부대-아프리카 / Southern European Task Force - Africa #====
  • 제173공수여단 / 173rd Airborne Brigade
    • 제1대대, 제91기병연대 / 1st Battalion, 91th Cavalry Regiment
    • 제1대대, 제503보병연대 / 1st Battalion, 503rd Infantry Regiment
    • 제2대대, 제503보병연대 / 2nd Battalion, 503rd Infantry Regiment
    • 제1대대, 제143보병연대 / 1st Battalion, 143rd Infantry Regiment
    • 제4대대, 제319야전포병연대 / 4th Battalion, 319th Field Artillery Regiment[M119A3][M777A2]
    • 제54여단공병대대 / 54th Brigade Engineer Battalion
    • 제173여단지원대대 / 173rd Brigade Support Battalion
  • 제207군사정보여단(전구) /207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 (Theater)
    • 제307군사정보대대 / 307th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 제337군사정보대대(육군 예비군) / 337th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Army Reserve)
    • 제525군사정보대대 / 522nd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 제414계약지원여단 / 414th Contracting Support Brigade
    • 지역계약사무실-아프리카 / Regional Contracting Office - Africa
    • 지역계약사무실-이탈리아 / Regional Contracting Office - Italy
  • 제509전략통신대대 / 509th Strategic Signal Battalion

3.1.1. 유럽-아프리카육군 / United States Army Europe and Africa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미국 유럽-아프리카육군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3.1.2. 유럽-아프리카해군 / United States Naval Forces Europe-Africa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미국 유럽-아프리카해군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3.1.2.1. 제6함대 / United States Sixth Fleet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제6함대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3.1.3. 유럽-아프리카공군 / United States Air Forces in Europe – Air Forces Africa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미국 유럽-아프리카공군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3.1.3.1. 제3공군 / Third Air Force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제3공군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 유럽-아프리카해병대 / United States Marine Forces Europe and Africa #====
  • 해병순환배치군-유럽 / Marine Rotational Force - Europe

====# 유럽-아프리카우주군 / United States Space Forces Europe and Africa #====

3.2. 하위통합사령부 / Subordinate Unified Commands

====# 연합합동특수임무부대-아프리카의 뿔 / Combined Joint Task Force - Horn of Africa #========# 아프리카특수작전사령부 / Special Operations Command Africa #====
  • 동아프리카 특수작전임무부대 / Special Operations Task Force East Africa
  • 합동특수작전임무부대-소말리아 / Joint Special Operations Task Force - Somalia
  • 북서아프리카 특수작전임무부대 / Special Operations Task Force Northwest Africa
  • 합동특수작전항공구성대-아프리카 / Joint Special Operations Air Component - Africa
  • 제10해군특수전부대 / Naval Special Warfare Unit 10
  • 아프리카특수작전사령부 통신분견대 / SOCAFRICA Signal Detachment
  • 아프리카 특수작전분견대(텍사스 육군 주방위군) / Special Operations Detachment Africa (Texas Army National Guard)

[창설] [2] 1971년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졸업. 유럽사령부 부사령관 출신. 공금 유용 혐의로 퇴역 후 중장 강등.[3] 1973년 존 캐롤 대학교 졸업. 유럽육군사령관 출신.[4] 1976년 미국 육군사관학교 졸업. 육군전력사령관 출신.[5] 1976년 베미지 주립대학교 졸업. 합동참모본부 합동전력개발본부장 출신.[6] 1982년 북조지아 대학교 졸업. 육군훈련교리사령관 출신.[7] 1985년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 캠퍼스 졸업. 해병대전력사령관 출신. 역대 최초의 흑인 해병대장.[8] 1992년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졸업. 합동참모본부 합동전력개발본부장.[M119A3] M119A3 견인곡사포 운용 부대.[M777A2] M777A2 155mm 곡사포 운용 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