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8:23:44

남양주 버스 91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91_2855.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
3.1. 노선분할
4. 특징
4.1. 대체 노선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개요

대원운수에서 운행했던 일반형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2.8km다.

2. 노선 정보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9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남양주 91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
종점행 첫차 04:40 기점행 첫차 06:00
막차 19:30 막차 21:20
평일배차 1일 4회 주말배차 미운행
운수사명 대원운수 인가대수 1대
노선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교 - 신도브래뉴아파트 - 진접역4,5번출구.엠타워.단우타워 - 양지아파트 - 휴먼시아16단지 - 풍양중, 진접고등학교 - 남양휴튼아파트.진접우체국 - 오남역 - 오남체육공원, 대우푸르지오아파트 - 신동아아파트입구.한양병원 - 독정리 - 예비군훈련장입구 - 한신.세아.현대아파트 - 사릉역.진건파출소 - 배양1리 마을회관 - 진안사거리 - 도농역.동화중고교.다산플루리움 - 경남아너스빌.더힐포레 - 가운배수펌프장 - 삼성이편한세상아파트 - 구리여중고 - 한성3차.장자호수공원.구리고교 - 구리경찰서 - GS챔피언스파크 - 워커힐아파트.광장동 - 광나루역 - 강변역

3. 역사

  • 다른 90번대처럼 이것도 원래 9-1번이었던 게 91번으로 변경한 것. 단, 이 노선과 9-9번(99번)은 노선이 바뀌면서 번호도 바뀐 케이스.

===# 9-1번 시절 #===
파일:9-1번과거.png 파일:남양주9-1.png
  • 역사가 나름 깊은 노선으로 9번 개통과 비슷한 시기인 1980년대 초중반 명진운수에서 개통했고 오랫동안 초창기 노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잘 다녔고 금곡동 수요가 많았을뿐더러 이웃 평내나 마석에서는 강변역 가는 노선이 부실한 편이어서[3] 이걸로 갈아타는 수요에다가 진건에서의 수요도 많아 호황을 누리고 있었다.
  • 하지만 2004년 말 호평.평내 택지지구 교통대책으로 인해 신설된 9-7번이 등장해서 금곡에서부터 승객 분산으로 하향세를 타기 시작했으며, 2005년 8월 세진버스를 인수하고 이 때 9번과 1-3번이 이 노선과 중복되는 것을 이용해 물량공세로 경쟁력을 잃어버렸고 얼마 못가 진건에서는 완전히 몰락했는데, 금곡을 안 거치는 9번이 이거에 비해 구리까지 더 빨리 가는데다가 2005년 초부터 1-5번이라는 강변역까지 더 빠르게 가는 노선도 버티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날이 갈수록 힘을 잃어갔으며[4] 적자도 날이 갈수록 늘어갔지만 일패동 일대 민원때문에 폐선도 못하고 힘겹게 굴러갔다.
  • 2009년 1월 19일 가운지구[5] 교통대책에서의 내용에 따라 가운주공과 교문지구를 경유하고 번호도 지금과 같이 바뀌었는데, 장사가 시원찮았는지 배차간격이 반짝 나아지고(15~25분 → 10~15분) 다시 고무줄 배차에 이번에는 가운동과 수택동의 공기까지 실어나르게 된다. 동시에 노선번호도 91번으로 바뀌었다.
  • 2010년 10월 사릉 - 도농동 구간이 단축되어 관리면에서 효율성이 늘어나고[6] 차량도 줄일 수 있어서 괜찮게 가나 싶었는데, 배차도 그대로고 별 효과는 없어보였다.
  • 당시 운행구간은 미금중 - 강변역으로 미금중에서 출발해 구리 방향으로 가는 95, 96번 등과는 반대로 출발할 때부터 부영아파트 방향으로 나와 도농역을 지나서 갔다.
  • 그러다가 2011년 5월 16일에 165-3번이 폐선되면서 진접택지(진벌리)로 연장되었다. 동시에 14대로 증차되었다.
  • 특히 연장 이후 오남체육공원 일대 아파트단지에서 이 노선이 중요한데 7-5번은 배차가 30분이 넘어갈 때도 허다하고 더군다나 9-9번이 폐선되고 99번으로 토막나면서 이 노선의 입지는 커지게 됐다.
  • 교문동 아파트단지 굴곡이 장자대로 직선노선으로 바뀌면서[7] 가운동에서 강변역까지 시간이 조금이나마 단축됐다.

3.1. 노선분할

  • 2012년 3월 99번이 폐선되면서 해당 노선의 단독 구간이었던 남양주 수자원공사 구간의 운행을 지원하게 되었다. GBIS에 91-1으로 등록하게 되면서 수자원공사 방면 노선은 별개의 노선 취급을 받게 되었다. 인가 대수는 5대.
  • 노선분할 이후 배차가 벌어지는 사례가 하도 많아서 그런지 운행을 특이하게 하는데, 공통구간은 91번 BMS를 사용하다 수자원공사로 가는 경로로 가기 직전 BMS를 91-1번으로 바꾼 뒤 다시 공통구간으로 진입하면 91번 BMS로 바꿔 운행했다.
  • 이후 2013년 11월 25일자로 노선변경이 이뤄졌다. 본래 도농삼거리 - 383번 지방도 - 진관사거리 - 사릉역 구간을 운행했으나 86번 국지도가 새로 개통되면서 이 구간에 91번을 투입한 것이다. 배양리 구간이 하루에 10번도 안 다니는 6-1번과 7-4번 밖에 없다보니 그럭저럭 다니는 91번을 변경하여 다니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수자원공사는 9번이 이어받아 다니는 중이다. GBIS에서는 9-1이라고 검색해야 나오며 배차간격은 1시간.
  • 2019년 4월 8일에 다시 감차되어 8대로 운행하다가 2020년부터 코로나 사태로 점점 감차되어 2021년 기준으로 단 3대로만 운행했다.
  • 2022년 3월 19일부터 오남역 환승센터를 경유하여 운행한다.
  • 2022년 6월 23일에 1대가 1번으로 이동되어 2대로 운행한다.
  • 2024년 5월에 1대가 1번으로 이동되어 1대로만 운행하며 주말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 2024년 10월 1일 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가 시행된다. 관련 게시글
  • 2025년 1월 25일 부로 9-1번, 10번과 같이 폐선되었다.

4. 특징

  • 노선이 바뀌면서 수택고[8]라는 새로운 수요처를 지나게 되고 9번보다 더 빠르게 수택동 일대 학교까지 도달할 수 있게 돼서[9] 등하교 시간대에나마 인기가 높아졌었다.
  • 가운지구에서 도농역으로 가는 거의 유일한 시내일반노선이었으나 기존 8, 8-1, 8-2번을 폐선하고 다산신도시 지금지구 운송대책으로 신설된 38번 버스가 평일 기준 10분 간격으로 다니기 시작하면서 가운지구에서의 존재감이 많이 줄어들었다.
  • 165-3번이 폐선되면서 오남우회도로 구간 대체를 위해 진접지구까지 연장되면서 증차도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수요는 늘어났다. 그러나 계속된 불법감차로 늘어난 배차간격 때문에 오남우회로 연선 주민들이 구리, 사릉[10] 방향으로 가는 데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 업체 측에서도 건성건성 굴리는 것을 보면 굴릴 의지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오남우회도로를 완주하는 유일한 노선인데다가, 배양리에서 유일하게 서울 나가는 노선이라는 점, 가운고등학교 통학수요, 장자대로 경유 등의 특이점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운행하는 노선이나 다름이 없다. 비슷한 포지션으로 10번, 21번, 88번 등이 있다.
  • 폐선 직전까지 1대로 운행했으며, BMS로 미리 확인하고 타기를 권장했었다.

4.1. 대체 노선

4.2. 노선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 남양주시 일반버스 91번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강변역(B)
05266
파일:Seoulmetro2_icon.svg
동서울터미널(경유)
미정차
현대아파트앞
05157
현대아파트앞
05156
광장동현대아파트앞
05167
광장동현대아파트앞
05166
광나루역.극동아파트
05168 파일:Seoulmetro5_icon.svg
광나루역.극동아파트
05169 파일:Seoulmetro5_icon.svg
워커힐아파트앞
05173
워커힐아파트.광장동
05172
워커힐입구
05174
우미내검문소.고구려대장간마을
22008
우미내검문소.고구려대장간마을
22007
챔피언스파크.동사골
22018
챔피언스파크.동사골
22014
아치울마을
22024
아치울마을
22022
한다리마을
22028
한다리마을
22027
구리경찰서
22031
금호아파트.구리경찰서
22051
백문초교.교문중학교
22052
장자초중학교.동양아파트
22069 파일:Seoulmetro8_icon.svg
교문.우성아파트
22196 파일:Seoulmetro8_icon.svg
장자호수공원
22085 파일:Seoulmetro8_icon.svg
한성3차.장자호수공원.구리고교
22086 파일:Seoulmetro8_icon.svg
한일아파트
22185
삼성.e편한세상아파트
22122
삼성.e편한세상아파트
22125
벌말삼거리.상록아파트
22143
벌말삼거리.상록아파트
22142
동명빌라
22149
동명빌라
22148
구리여중고.성광교회
22156
구리여중고교
22150
태영데시앙
22154
수택고교.SK신일.우남아파트
22163
수택고교.SK신일.우남아파트
22162
토평교(경유)
미정차
토평교(경유)
미정차
가운배수펌프장
23902
가운배수펌프장
23900
가운고등학교
23879
가운고등학교
23878
경남아너스빌.더힐포레
49034
경남아너스빌.더힐포레
23898
가운휴먼시아1.2단지.더힐포레
23881
가운휴먼시아1.2단지.더힐포레
23880
가운지구입구
23113
가운지구입구
49163
도농역.동화중고교.다산플루리움(중)
23925 파일:GJLine_icon.svg
도농역.동화중고교.다산플루리움(중)
23929 파일:GJLine_icon.svg
다산2동주민센터.양정초.한화아파트(중)
23804
다산2동주민센터.양정초.한화아파트(중)
23145
남양주남부경찰서.남양주제2청사.보건소.교육지원청
23812
남양주남부경찰서.남양주제2청사.보건소.교육지원청
23808
양정동사거리.양정주민센터입구
23213
양정동사거리.양정주민센터입구
49173
동일자동차학원
23242
동일자동차학원
23243
진안사거리
49507
진안사거리
49508
아랫마을
49504
아랫마을
49505
배양1리마을회관
49502
배양1리마을회관
49503
웃고재
23822
웃고재
49506
먹골IC사거리
23820
먹골IC사거리
23819
사릉역.진건파출소
49374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사릉역.진건파출소
49375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역전마을
23210
역전마을
23206
진건읍사무소.진건중학교.진건도서관
23205
진건읍사무소.진건중학교.진건도서관
23204
용정사거리.진건초등학교
23201
용정사거리.진건우체국
23203
진건초등학교
23899
사능한신.현대.세아아파트
23199
한신.세아.현대아파트
23867
지세마을
23220
지세마을
23219
별마을
23251
별마을
23250
예비군훈련장입구
23264
예비군훈련장입구
23262
하독정리입구.교통안전공단남양주검사소
23302
하독정리입구.교통안전공단남양주검사소
23300
남양주시노인복지관
23686
남양주시노인복지관
49013
진건고등학교
23691
진건고등학교
23687
독정리
23693
독정리
49169
금호아파트.남양주장례식장
23692
금호아파트앞
23695
어냄이삼거리
23844
어냄이삼거리
23835
신동아아파트입구.한양병원
49276
신동아아파트입구.한양병원
49274
오남리상가
23885
오남리상가
23855
장자말
23845
장자말
23834
꽃내미골입구
23786
꽃내미골입구
23821
오남체육공원.대우푸르지오아파트
49292
오남체육공원.대우푸르지오아파트
49291
대우푸르지오.현대아이파크아파트.오남도서관
49303
대우푸르지오.현대아이파크아파트.오남도서관
49302
양오초중교.두산대림아파트
23846
양오초중교.두산대림아파트
23833
삭다니입구.쌍용아파트
23847
삭다니입구.쌍용아파트
23832
대대울
23888
대대울
23886
오남역
23801 파일:Seoulmetro4_icon.svg
오남역
23800 파일:Seoulmetro4_icon.svg
양지리
23761
양지리
23760
궁의문아파트입구
49380
궁의문아파트입구
49381
연평리입구.중포마을
23247
연평리입구.중포마을
23240
진접농협연평지점
49495
남양휴튼아파트.진접우체국.풍양보건소입구
23965
남양휴튼아파트.진접우체국.풍양보건소입구
23970
신안인스빌.자연앤어울림아파트
23963
신안인스빌.자연앤어울림아파트
23972
풍양중.진접고등학교
23967
풍양중.진접고등학교
23969
반도유보라아파트
23982
반도유보라아파트
23974
어린이비젼센터.신영지웰아파트
49526
어린이비젼센터.신영지웰아파트
49411
휴먼시아16단지
49444
휴먼시아16단지.금강아파트
23971
휴먼시아16단지.금강아파트
23968
휴먼시아17단지.부영아파트
23980
휴먼시아17단지.부영아파트
23978
양지아파트
23341
양지아파트
23342
양지차고지
49823
양지리차고지
23040
금곡리.삼금아파트
49152
금곡리.삼금아파트
49108
진접역2번출구.엠타워.단우타워
49463 파일:Seoulmetro4_icon.svg
진접역4.5번출구.엠타워.단우타워
49464 파일:Seoulmetro4_icon.svg
신도브래뉴아파트.진접역
23964 파일:Seoulmetro4_icon.svg
신도브래뉴아파트.진접역
23961 파일:Seoulmetro4_icon.svg
주리골입구
49207
주리골입구
23897
삼부르네상스아파트.닥내미
23874
삼부르네상스아파트.닥내미
23873
메주골
49196
메주골
49103
주리골
23864
주리골
23872
경복대학
49201
경복대
49200
진광전원교회
49530
진광전원교회
49529
진벌리차고지
49010
진벌리차고지
49005
진벌리차고지(경유)
미정차
}}}}}}}}} ||

5. 연계 철도역



[1] 구 사릉역 경유. 이 시절엔 9-1번이 사릉과 사릉역을 직접 연계하는 유일한 노선이었다.[2] 사릉사거리에서 한신아파트까지는 양방향 중복운행 구간이었다. 55번과는 운행방식이 다른데, 이 때는 차고지에서 한신아파트까지 진건읍내를 우회하는 도로가 개통되기 전이었다.[3] 9-3번은 수택동 교문동 투어 + 긴 배차. 1115-2번도 배차가 길다.[4] 9-2번도 비슷한 상황이었는데 교문아파트단지 - 강변역 경쟁에서 9번에게 밀려났고 대신 9-5번과 9-6번이 9번에 맞서게 된다.[5] 원래 1대짜리 10-1번밖에 없었다가 166-1번이 가운지구 경유로 바뀌고 난 상황이었다.[6] 사릉영업소 주박 노선을 줄이고 있는 상황이어서 165-3번은 진벌리로 연장했다.[7] 동시에 장자대로를 쭉 지나갔던 1115-2번이 91번이 본래 다니던 덕현한가람아파트를 경유하게 된다. 하지만 이 노선마저 폐선되면서 덕현한가람아파트는 92번에 의존해야 한다.[8] 지금도 남양주에서 오는 버스로는 51번과 이 노선밖에 없고 나머지는 수택동 차고지 출발 노선들밖에 없다. 그나마도 51번은 다산신도시 지금지구만 경유하고 온다.[9] 돌다리사거리 - 구리여고 간 교통 체증이 잦다. 특히 오전 RH에는 구리시내 지나가지 않는게 엄청나게 빠르다![10] 단 사릉 방향은 땡큐70이 대체노선의 역할을 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