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지침에 따라 성격 유형의 일반적 심리 상태나 보편적 행동 양식을 해설・해석하는 서술에는 반드시 토론 관리 방침에서 정하는 8순위 이상의 근거가 출처로 첨부되어야 합니다.
||<-6><#ccc,#222> 16가지 성격 유형 ||
구분 | T | F | |||
J | P | J | P | ||
I | S | ISTJ | ISTP | ISFJ | ISFP |
N | INTJ | INTP | INFJ | INFP | |
E | S | ESTJ | ESTP | ESFJ | ESFP |
N | ENTJ | ENTP | ENFJ | ENFP | |
I (내향) | E (외향) S (감각) | N (직관) T (사고) | F (감정) J (판단) | P (인식) |
1. 개요
성격 유형 검사(MBTI, 16 Personalities, TRUITY 등)에서 통용되는 16가지 유형 중 INTJ 유형을 설명하는 문서.선호 지표의 비교 | ||||
E | 외향 Extrovert 외부 · 표출 | 내향 Introvert 내면 · 생각 | I | |
S | 감각 Sensing 현실 · 실용 · 실천 | 직관 iNtuition 이상 · 이론 · 예측 | N | |
T | 사고 Thinking 논리 · 사실판단 | 감정 Feeling 인간관계 · 가치판단 | F | |
J | 판단 Judging 목적 · 계획 · 절차 | 인식 Perceiving 자율성 · 유동성 | P | |
<rowcolor=#00000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4가지 선호 지표에 의한 설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내향형 (Introversion)
|
기능의 서열 | |||
<rowcolor=#ffffff> 순서 | 기능 | 설명 | |
주 기능 | Ni | 내향 직관 머릿속 생각을 토대로 이론이나 예측이 필요한 상황에서 가장 두각을 드러냄 | |
부 기능 | Te | 외향 사고 증명되거나 사실로 판명된 것을 근거로 남들에게 내세우는 데에 뛰어난 편임 | |
3차 기능 | Fi | 내향 감정 생각 그대로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에 서투른 편임 | |
열등 기능 | Se | 외향 감각 현실적인 문제를 두고 남들(자신 포함)과 타협하는 데에 큰 어려움을 겪음 | |
<rowcolor=#00000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각 기능의 우위 결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생활 양식(J―P) 유형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인식 기능과 판단 기능 중 해당하는 유형에 e를 붙이고 그렇지 않은 유형에 i를 붙인다.
|
Ne · Ni | Te · Ti | Fe · Fi | Se · Si |
2. 설명
용의주도한 전략가2.1. 요약 키워드
이 문단은 요약용입니다. 주의력을 지속시키기 힘들 수 있는 일부 예상 독자를 위한 문단으로, 예비 편집자분들은 용도를 확실히 하는 데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가까울 수 있는 키워드 30[TR][16P] |
능동적 · 사회적 독립성 · 창의성 · 남다른 것 추구 · 체계적 · 이성과 논리 · 합리성 · 통찰력 · 사실 중심 · 실존적 원리 · 이론 및 개념화 · 추상화 · 파고들기식 지식 확장 · 분석과 예측 · 계획과 전략 · 체계의 개선과 혁신 · 실적주의 · 목표지향적 · 미래지향적 · 기하학적 감수성 · 패턴 · 마니아 · 완벽주의 · 용어와 정의에 대한 엄격함 · 풍자 · 자연과학 · 법조계 · 포커페이스 · 지적 우월의식 · 비판적 |
멀 수 있는 키워드 30[TR][16P] |
상호 의존적 · 여론에 의한 판단 · 인기 욕심 · 얕은 지식 골라 쓰기 · 대충 넘어가기 · 가벼운 대화 · 헐뜯기 · 선악 논리 · 인간관계 · 붙임성 · 칭찬 · 일상적 소통 · 감정적 · 시중꾼 · 봉건적 질서 · 연고주의 · 과거 지향적 · 평균적인 삶 추구 · 사회적 현실성 · 성과 없는 여정 미화 · 완곡어법 · 요행 · 분석 없는 추측 · 속물적 · 사회 불문율 · 예외 항목 · 단순 나열식 정보 · 경로 의존성 |
3. 상세 해설
3.1. 내연적 특성과 기능
- 구상과 파악은 거시적으로 처리하고, 지식과 사고는 수렴적으로 파고들어 나아감.[TR]
- 이성과 논리를 바탕으로 세상 모든 대상을 개념화하는 것을 선호함.[TR][9]
- 무엇이든 체계와 진행 방식부터 이해하려고 함.[TR]
- 논리 체계를 이해하고자 하고 어려운 학문을 즐김.[TR]
- 질서 있는 추론을 사용하여 흥미로운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 함.[TR]
- 문제 해결 욕구가 강하며 그것에 대해 누구보다 열정적임.[16P]
- 정형화된 규칙(patterns)이 보이지 않거나 체계가 부실한 개념을 온전히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음.[16P][15]
- 예측을 즐기며 논리적인 과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해냄.[TR]
- 창의적 사고(참신한 발상)를 탐구하는 것을 지향함[16P]
- 더 효율적으로 무언가를 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을 함.[TR]
- 과제를 있는 그대로 수행하기보다 조금 더 우아한 해결책을 찾고 싶어 함.[16P]
- 문제 해결 과정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기교를 만들어냄.[16P]
- 복잡한 원칙을 비틀어서, 남들이 실용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전환해 줄 수 있음.[16P]
- 발상이 즉흥적이고 누구도 생각지 못한 것일 때가 많음.[16P]
- 합리성을 적용하는 것을 우선시함.[16P]
- 색다른 관점이나 반대 의견에 더 주목하는 경향이 있음.[16P]
- 내용의 실존성 · 진실 여부를 중시하는 편임.[16P][∑]
- 증거에 기반하여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사명감이 뚜렷함.[16P]
- 진실보다 감정을 중요시하는 상황을 참을 수 없어함.[16P][33]
- 공상조차 확실한 증거에 기반하는 경향이 있음.[16P][35]
- 내용의 깊이(detail and depth)를 중시하는 편임.[16P][∑]
- 사회 통념을 회의적으로 바라볼 줄 알며 때로는 전문 지식에도 의문을 제기할 수 있음.[16P]
- 통찰력, 논리력, 의지력은 이들에게 전적인 힘이자 계획 추진에서도 원동력으로 작용하기도 함.[16P][46]
- 기존의 편의성보다 혁신을 중시함.[16P]
- 계획과 전략 설계를 좋아함.[∑]
- 삶은 거대한 체스와 같다고 생각해 ‘운’보다는 설계된 전략에 의존함.[16P][52]
- 지식과 전략으로 강력히 무장되어 있어, 대다수 사람에게 속절없어 보이는 장애물을 전략을 통해 이겨낼 수 있음.[16P][54]
- 삶의 세부 목표를 정해놓고 완성하는 것을 지향함.[16P]
- 깊이 있는 프로젝트나 아이디어에 전념하는 것을 즐기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집중된 노력을 함. [TR][57]
- 자기 통제력과 몰두가 강한 편에 속함.[16P]
- 지능이나 지식에 대한 고집·욕심이 다소 넘침.[∑]
- 현재에 멈추지 않고 자신의 지식과 기교를 향상할 방법을 매 순간 평생토록 찾아 나섬.[TR][65]
- 자존감을 얻는 계기의 대부분은 날카로운 지적 행위나 지식 축적 활동으로부터 비롯됨.[16P][67]
- 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함.[16P][69]
- 이론과 추상화에 익숙하지만 그것을 실현화하는 것에 가장 큰 만족감을 얻음.[TR]
- 창의성이 아무리 높아도 삶의 성공으로 이끌지 못한다면 쓸데없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음.[16P][72]
- 평소 내면이 사사롭고 복잡함.[16P]
- 내성적이고 진지하며, 잡생각만으로 많은 시간을 보냄.[TR]
- 사회화보다는 개인적 성공을 중시함.[16P]
- 이들이 느끼는 감수성은 보통 ‘인간’에 관한 것이라기보다, 자연이나 인공물 등에 관한 심미성·규칙성일 가능성이 큼.[TR]
- 형식적 유연함과 자유분방한 환경에 적격인 INTP와 달리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조직된 분위기에 알맞음.[TR]
- 자기 확신 또는 자기 능력에 대한 전망이 다소 미래지향적이고 낙관적임.[TR][∑]
- 관심 있는 주제라면 뭐든지 깊게 통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추고 있음.[16P]
- 어떤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승리할 수 있다는 믿음을 잃지 않는 편임.[16P]
- 아무리 어려운 목표라도 의지와 지능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음.[16P][83]
- 목표를 이루기 전에 각각의 수에 대한 장단점을 고려함.[16P][85]
- 자신의 강점이 독창성임을 알고 이를 살려줄 자유로운 분위기를 요구할 수 있음.[16P]
3.2. 외연적 특징과 소통 방식
- 결정에 신중한 편이며 긴 시간이 필요함.[∑]
-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무안할 정도로 단호함. 외부적인 시선에서 보면, 이러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거만해 보이지만 이들은 결단력이 있는 것이라고 주장함.[16P][92]
- 감정 표현을 쉽게 하지 않음.[TR][94]
- 인간적 감수성이 대체로 낮은 편이므로 인간적 공감대에 참여하기를 부담스러워함.[TR]
- 상대방이 감정적인 문제를 토로하거나 상의하러 오는 상황을 몹시 민망해함. 대개 관련 경험이 드문 편으로, 자신의 큰 무기였던 ‘논리’마저 막히거나 말실수를 하는 경우가 있음.[TR][99]
- 다른 사람(특히 외향적인 사람)들을 참고해 자신의 성격적 결함을 찾아낼 수 있도록 노력하는 편이 권장됨.[TR]
- 자아 성찰이나 감정을 정리하는 데 긴 시간을 쏟지 않음.[TR][102]
- 온화하거나 너그러운 인상과는 거리가 멀 수 있음.[16P][104]
- 다소 오만한 편임.[∑]
- 남들에게 ‘왜 자기만큼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지 못하냐’고 다그치는 모습을 종종 보일 수 있음.[TR][107]
- 이들에게서 ‘자기가 남들보다 우월하다는 인식’이 없는 사람을 더 찾아보기 어렵다고 함.[TR][109]
- 합리적 성향이 과할 때 종종 인정머리 없는 면모를 보임. 자기 연좌에서도 합리적 흠결이 보이면 의리를 막론하는 편임.[16P]
- 요구 사항을 돌려 말하는 편은 아님.[16P]
- 보이는 모습은 엄격한 인상이지만, 변화와 혁신에 대해 수용적이고 지지하는 유형임.[114][TR]
- 사실관계를 정직하게 설파하려 할 때, 결과적으로 무례하거나 모욕적인 인상을 주는 실수를 하기도 함.[16P][117]
- 이들은 단지 솔직하게 말하려고 함. 이때 돌려 말하거나 숨기는 것을 바람직하게 여기지 않을 수 있음.[16P][119]
- 자신이 집단적 사고의 희생양이 되더라도, 시끄러운 여론을 무시하고 본질적인 원인을 간파, 해결 할 수 있음. [16P][121]
- 대다수 사람의 희망 사항이 자신의 의견과 불일치되더라도, 증거와 사실로써 그들을 할 말 없게 만들 수 있음.[16P][123]
- 대적자에게 자신의 사실이 틀렸음을 명백히 입증당하면, 이를 빠르게 인정하고 적의 편으로 돌아서는 면모를 보이기도 함.[16P][125]
- 이들은 대개 사회집단 내에서 벌어지는 잡담, 험담, 사내 정치질(office politics) 등을 거의 전염병 취급하며 본인은 거기에 옮지 않도록 노력하는 편임.[126]
- 칭찬을 쏟는 것에 인색한 편임.[16P]
- 의사 표현이 너무 길다고 생각되면, 이를 좀 더 자연스럽고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를 궁리함.[TR]
- 그들의 불손한 재치는 유명하며, 진지한 외형 뒤에는 유머 감각을 뒤섞어 풍자하는 면모가 있음.[16P][132]
- 이러한 우스꽝스러운 면모 때문에 좋아해 주는 사람이 있음.[16P][134]
- 다만, 정보를 전달할 때 재치와 감정적 배려를 조화시키지 않고 사실만 전달하는 데 급급한 나머지, 본인의 본래 의도가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생김.[135]
- 상대방이 틀렸음을 증명하려고 할 때 필요 이상으로 거칠게 나오는 경향이 있음.[16P][137]
- 경건함을 잃고 감정적으로 반박하는 행동을 경박하게 여김.[16P]
- 인기를 얻는 것은 주요 관심사가 아님.[16P][144]
- 인기나 유행보다 원칙과 진리가 먼저임.[16P][146]
- 자신을 공손한 인성이나 유쾌한 감성으로써 인기를 얻는 것엔 관심이 없으며, 합리적이고 성공적인 인간상을 보여주려고 함.[16P][148]
- 사람들이 자신의 지혜에 주목해 줄 것을 기대함.[TR]
- 누군가 자신을 재수 없어 한다는 걸 신경 쓰지 않으며, 그런 점마저 만족해하는 편임.[16P][151]
- 공부벌레라는 별명을 본인도 긍정적으로 수용하며, 그러한 캐릭터를 잘 이용하려는 편임.[16P][153]
- 책벌레 같은 면모를 보임. 영미권 속칭 ‘너드(Nerd)’.[16P][155]
- 겉과 속이 모순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음.[16P]
- 가령, 언제나 진중한 사람인 줄 알았는데 간혹 사차원의 면모를 보여 타인을 놀라게 할 수도 있음.[16P]
-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이는 도전에 대하여 확고한 모습을 보임.[TR]
- 직업 생활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면서 인간관계나 가족에 소홀한 경우가 많음.[TR]
- 일상적인 문제로 가까운 사람(가족·친구·연인)과 의논하는 것을 거부한다면, 정작 중요한 것을 잃을 수 있다는 걸 명심할 필요가 있음.[TR]
3.3. 사회관계
- 아무에게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는 편은 아니므로, 단순한 지인에게는 미지의 인물임.[16P][162]
- 사회적 차원에서 자아 독립성이 매우 높은 편임.[16P][164]
- 이해가 안 가는 규율을 맹목적으로 따르기 싫어함.[16P]
▲ 해당 설명과 관련 있는 인터넷 밈의 하나 |
* 다만, 때로는 사회적 합의가 가져오는 긍정적 측면과 중요성을 인식해야 함.[16P][a]
* 사회적 합의를 두고 논쟁을 벌이려고 할수록 자신조차 본질을 잃거나 더 산만해질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함.[16P][a]* 제한과 그것을 강요하는 권위자를 포함한 무언가를 이유 없이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을 싫어함.[16P][179]* 타인에게 의견을 요구하며 의지하기보다 본인이 직접 결정하는 역할을 선호함.[16P]* 대중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소 냉소적일 수 있음.[16P][182]
* 사람들이 자신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 그에 대해 지나치게 비판적이 됨.[16P][184]* 그들의 자신감은 다른 이들, 특히 지적으로 열등하다고 간주하는 이들에게서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조언을 간과하게 만들기도 함.[16P][188]* 친구는 끌어모으지 못해도, 평상시 객관적인 면모와 유능함만으로 엄청난 지지자들을 흡수해 버릴 수 있음.[16P]* 권력 욕심은 있으나 얼굴마담 역할(대표)은 부담스러워함.[16P][191]
3.4. 우정과 인간관계의 지향점
- 많은 지인보다 소수의 좋은 친구를 사귐.[16P]
- 대개 사람에게 골라지기보다 자기가 사람을 고르려고 함.[TR][194]
- 점찍어 둔 사람과 돈독한 관계를 만들려는 생각이 명확함.[TR][196]
- 좋은 영향을 공유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사람과 친구 맺는 것을 거부할 줄 앎.[16P][198]
- 자신의 발상을 자극하고 광범위한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친구를 갈망함.[16P]
- 우선순위나 가치가 유사한 사람들을 주변에 두고 싶어 함.[16P]
- 자기가 점찍어 놓은 대상과 함께 자기계발을 공유하고 싶어 함.[TR]
- 정직함과 탐구심을 중요시하는 사람과 가까이하고 싶어 하며, 이 기준에 미달하면 곧바로 흥미를 잃을 수 있음.[16P][203]
- 쉬운 얘기나 부박한 소리만 하는 사람과 멀리하려고 함.[16P][205]
- 얕은 지식으로 설명을 펼치는 행동을 무의미하고 어리석은 것으로 간주함.[16P][207]
- 대화 중에 거론된 핵심 정보를 잘 알려고 하지 않거나 얼버무리는 사람을 예의 없다고 생각함.[16P][209]
- 주로 새로운 학문에 도전하는 사람을 우수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TR]
- 어떠한 분석 행위를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는 사람을 탐색함(비현실적 면모와 연관).[16P][212]
- 점잖은 전개(low-drama)를 추구하므로 친구와의 공사가 명확하며 서로 신세를 지는 관계가 될 가능성도 드묾.[16P][214]
- 상대방은 이를 내외하는 것으로 오해하거나 친구인지 연인인지 헷갈린다고 여길 수 있음.[16P]
- 교우 관계 측면에서 사회성이 없는 편은 아님.[16P][217]
- 이들과 단순 지인을 넘는 친구 관계가 성립되면, 이들은 그동안 느끼지 못했던 짜릿한 경험을 할 수 있다고 함.[16P][219]
- 이들의 재치 있는 입담은 주로 편안함을 느끼는 사람한테만 보이는 모습임.[16P][221]
- 대개 친구라고 느껴지는 사람들에겐 물질적 보상보단 유용한 정보, 은밀한 이야기, 통찰력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보상함.[16P][223]
- 때가 적절하지 않음에도, 선을 넘는 사람으로 인식되면 쭉 불편해할 수 있음.[16P][225]
- 감정 다툼이 있을 때면 양자가 편해지는 쪽으로 이끌려는 경향이 있음.[16P][227]
- 어색하고 모호한 감정선을 지속하기보다 절교든 화해든 명확하게 결판내는 경향이 있음.[16P][229]
3.5. 사랑과 로맨스
- 전체적으로 연애 감각이 우둔한 편에 속함.[∑][231]
- 주로 합리성(또는 계산)을 끊임없이 논하려는 태도가 우둔한 연애 감각을 만들어냄.[16P]
- 연인과의 상황을 감정적인 흐름 자체가 아닌 이성적으로 파악하려고 함.[16P][234]
- 이들은 전형적인 과제 수행 방식으로 연애에 접근함.[16P]
- 다만, 이들은 영속적인 연애 불구는 아니며 연애 경험을 쌓아 성숙해지면 그 낭만을 이해하게 된다고 함.[16P][241]
- 배려가 지나친 상대방을 오히려 모욕적으로 간주할 수도 있음.[16P][243]
- 데이트는 데이트답게 그저 즐기는 것이 상대와 자신에게 모두 윈-윈임을 잊지 말 것.[16P]
- 재미만 추구하거나 깊이 없는 의사소통을 일삼는 연인은 추구할 가치가 없다고 여김.[16P][246]
- 상대방은 이들이 평소처럼 ‘지성과 자신감’을 과시하기보다 누군가를 기분 좋게 하려고 할 때 자연스럽게 자아내는 ‘지성과 자신감’에 더욱 매력을 느낀다고 함.[16P][250]
- 엄격한 조건에 일치하는 짝을 선택하고자 함.[TR][252]
- 상대방에 관한 기대와 이상이 다소 비현실적이며, 자기의 판타지(환상)에 맞출 것을 요구할 수도 있음.[16P]
- 상대방의 사람다움(평범함)을 고려하지 않거나 사랑에도 예측을 탐구하는 등 감정 작용의 본질을 간과하는 모습을 보임.[16P]
- 자신에게 헌신할 것을 바라나, 정작 그 동기에 가장 중요할 수도 있는 ‘사소한 애정 표현’이나 ‘로맨틱한 태도’의 필요성은 좀처럼 생각하지 않는 편임.[TR][256]
- 연애 문제로 낙담에 빠지기 쉬움. 특히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연인 관계가 단절되면, 사랑에 관한 탐구 의식 자체가 메마를 수도 있음.[16P][258]
3.6. 직업과 직장 생활
- 업무 성향이 지적이고 헌신적임.[16P]
- 승진에 상관없이 직업적인 목적의식부터 달성하고자 함.[16P]
- 직장에서도 독립성이 돋보이는 편임.[16P]
- 비교적 자유가 제한되는 신입 사원 시기에도,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독립성을 몰래 발휘하기도 함.[16P]
- 세세한 일을 간섭하기보다 다른 사람들이 일상적인 활동을 하게 두되 ‘광범위한 전략’을 지시하는 것에 초점을 둠.[16P][264]
- 연차적 계제 직종에 적응하기 어려워하며, 신입 사원일 때 특히 스트레스가 극심할 수 있음.[16P]
- 혼자 일하거나 소규모로 일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임.[16P]
- 신뢰가 강한 동료끼리 팀을 구축하면 뇌가 더 활성화될 수 있음.[16P][268]
- 동료들과 사적인 수다를 떠는 것을 가장 두려운 시간으로 여길 수 있음.[16P]
- 무의미한 만남으로 시간을 독점하거나, 쓸모없는 사회적 불문율을 고집하는 직장 상사를 최악으로 여김.[16P]
- 실적주의 시각에서 동료를 바라봄.[∑]
- 보통 ‘직함’과 ‘역량’이 비례한다고 인식하지 않음.[16P][273]
- 남들보다 상대적으로 쉬운 방법으로 자리를 차지하거나 인맥으로 출세한 사람에 대한 존경심은 거의 없음.[16P][275]
- 동료들끼리 업무 성과보다 개인적 친분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를 견딜 수 없어 함.[16P]
- 상사에게도 서슴없이 지적 사항을 이야기할 수 있음. 권위주의적인 상사와는 상극임.[16P][278]
- 팀 업무에 느슨하거나 헌신이 부족한 사람을 용서할 수 없어 함.[∑]
- 모든 임원이 완벽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도 인지할 필요가 있음.[16P]
- 초반엔 편한 분위기를 자아내지만, 이를 느슨하게 받아들이는 사람이 발견되면 혹독하게 꿰뚫을 준비가 되어 있음.[16P][284]
- 팀에서 업무 의지가 없거나 소극적으로 구는 사람을 보면, (그가 비록 무능해서 필요 없는 인력일지라도) 순전히 응징과 보복 차원에서 그를 제자리로 끌고 오는 데 총력을 기울일 수 있음.[16P][286]
- 업무에 집중하지 않는 사람 때문에 일에 차질이 생기는 것 보다 혼자 일을 하는 것을 택함.[16P][288]
- 지도자(감독)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유형 역시 독특한 편임.[∑]
- 전형적인 일대일 개별 관리식이 아니라, 광범위하게 전략을 주고 업무가 일상에 스며들도록 자아내어 효율성을 이끎.[16P][291]
- 자기가 감독일지언정 융통성 없이 상하 간의 예절을 고수하는 것을 쓸데없다고 생각함.[16P][295]
- 책임자가 갖는 권위 의식을 단순히 그들이 책임자라는 걸 드러내기 위해 남용하지는 않음.[16P][297]
- 자기보다 비판적이고 강한 사고력을 지닌 부하가 발견되면 지위나 책임을 기꺼이 위임하기도 함.[16P]
- 무능한 임원에겐 독재적 기질이 있으며, 이들의 말에는 소홀히 하거나 지지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음.[TR][300]
- 아첨하는 부하 직원에겐 관심이 없으며, 상대방의 두서없는 아첨 행위는 오히려 이들에게 역효과를 낼 수도 있음.[16P][302]
- 경력이 쌓이면 조직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감독관에 설 가능성이 큼.[16P][304]
- 완벽주의 성향(perfectionism)이 강한 덕택에 타인의 도움 없이도 효과적인 결과를 만들어 내기도 함.[16P][306]
- 직계가 낮아도 역량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거나 큰 공적을 남겨서 누구도 무시할 수 없는 위치에 있게 될 가능성이 큼.[16P]
- ‘제대로 작업한다’에 대한 기준은 자기가 모든 걸 주관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됐을 때라고 생각함.[16P][309]
- 어떠한 직업에서든지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는 창의성과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능력은 자신의 일을 시작할 때 이점이 됨. 때로는 능력과 신뢰성으로 훌륭한 협력자가 되기도 함.[16P][311]
3.7. 자녀 교육
- 자녀를 통해 개인적인 성장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음.[16P]
- 육아로 많은 만족을 얻으며 인생에서 헌신의 힘을 가장 크게 키울 기회임.[TR]
- 무엇(what)을 생각할 수 있는지가 아니라 어떻게(how) 생각할 수 있는지를 교육함.[16P]
- 통제가 안 되는 아동을 마주하면 이성이 무너지기 일쑤여서 육아가 쉽지 않음.[16P]
- 나이가 어릴수록 감정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지극히 정상적이라는 것을 알 필요가 있음.[16P][317]
- 파괴적인 행동을 보이는 아이들을 볼 때 무작정 응징하기보다는 그들이 일련의 유년 생활에서 겪는 성격 정제 과정임을 인정할 줄 알아야 함.[16P]
- 자녀가 자립심, 명확한 진로, 비판적 사고력을 가지길 원함.[16P]
- 독립을 장려하되 자유를 책임감 있게 사용할 것을 기대함.[16P]
- 자녀가 스스로 잠재력을 탐구할 수 있도록 일관된 지론(주로 지식 추구)을 주입하는 경향이 있음.[TR]
- 자녀가 난관에 봉착해도 무턱대고 두둔하지 않으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함.[16P]
- 이성적으로 생각하고 문제 해결 방식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독려함.[16P]
- 능력에 따라 자녀를 어려운 과목으로부터 철저하게 대비시키는 선생님 역할이 가능함.[16P]
- 무지함보다 지식을 갖추는 것이 더 나음을 언제나 강조하고 자녀를 설계함.[16P]
- 자녀가 거짓말을 하지 않고 솔직함을 드러낼수록 자신이 존경받는다고 느낌.[16P]
- 다른 성격 유형과 비교했을 때, 자녀에 대한 애정 표현이 부족하며, 애정 표현을 좋아하는 편이 아님.[16P]
4. 통계 및 알려진 사실
- 테스트별 별칭은 다음과 같다.
<rowcolor=#ffffff> MBTI 16Personalities TRUITY <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영어 The Conceptual Planner
개념 설계자Architect
건축가The Mastermind
지휘자[의미]한국어 과학자형 용의주도한 전략가 - - 다음은 테스트 참여도에 따른 인구 통계를 추론한 것이다. (평균 배분율은 100(%)을 16으로 나눈 6.25(%)임.)
<rowcolor=#ffffff> 대한민국 세계 16Personalities[329] 한국 MBTI 연구소 TRUITY 3.75% (13위) 5.5% (8위) 2% 2.09%
(Turbulent)1.66%
(Assertive)3%
(남성)1%
(여성)
- 학업 성적이 매우 우수함과 동시에 점수나 성과에 얽매여 있는 경우가 많음.[TR]
- 현실에서는 보기 힘들지만, 지식 공유형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편임. (예: 레딧, Quora, 위키 같은 정보 교류 커뮤니티) 이 경우엔 단연 1위이며 그 편차 또한 압도적임. 다만, 게임이나 스포츠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비율이 적은 편으로 보임(▼ MBTI distribution of Reddit vs. General Population).
<rowcolor=#ffffff> ◆ Reddit 사용자 비율 ◆ 실질 비율 | ◆ INTJ 지분율 (실질, 플로리다 맨, 비트코인 포럼, Reddit 순) |
<rowcolor=#ffffff> 쿼라의 MBTI 분포와 실질 분포 사이의 표본 비율[331] |
* 본인의 성격 유형 서술에 관해 꺼림칙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있어도 보통은 그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편임.[16P][335]* 심장 관련 질환을 겪을 가능성이 가장 낮음.[TR]* 모든 유형 중에서 종교(초월적 존재)를 믿을 가능성이 가장 낮음.[TR][338]* 소득이 높은 편에 속함.[TR]* 같은 자영업자 중에서도 평균 이상의 소득을 얻을 가능성이 크다고 조사됨.[TR]* 16 유형 중 천재 발현율이 두번째로 높다.* 평균 지능 지수(IQ)는 1위에 상응하며, 상위 2%[341] 내를 기준으로 할 경우 INTP에 밀리는 2위(즉 INTP쪽의 편차가 더 큼). 대체로 E보다 I가, S보다 N이, F보다 T가, J보다 P가 IQ가 더 높은 경향이 있음.*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평균 종합 2위로 알려져 있음(자연계 1위, 인문계 2위[342]). 지능 지수(IQ) 등에서는 1, 2위를 겨루는 INTJ나 INTP 등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역시 최적화되었을 것이라고 결론 짓기 어렵다. 입시나 수험은 환경, 트렌드에 영향을 받는다. INTJ는 수능 점수와 지능지수가 어느 정도 비례했으나 INTP는 평균적으로 높은 IQ에 비하여 수능 점수는 중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MBTI 문서 참조.* 학점(GPA)은 국내·국외 간, 성별 간, 표본 간에 편차가 심한 편임. TRUITY 조사 결과 가장 높은 두 유형 중 하나라고 소개되어 있음.[TR] 미국 펜실베이니아 27개 고교(3,500명)[344] 대상으로는 1위, 아이오와 표본에서는 GPA와 ACT 점수가 6~8위권으로 나타남. 대한민국 기준으로는 자연계 남성 2위, 자연계 여성 4위, 인문계 남성 6위, 인문계 여성 9위, 예체능계 남성 11위, 예체능계 여성 1위로 나타남(출처).* xNTx 중에 수학 성적(학업성취도)이 안 좋은 사람들은 ‘자기성찰노트나 수학일지를 꾸준히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된다. 즉 본인들이 틀리거나 몰랐던 부분을 그저 머리로만 이해하고 넘어가거나 따로 적어두지 않는다면 수학 성적에 발전이 없을 수도 있다.[345]* 직업적으로 과학·기술, 컴퓨터, 법조계에서 흔히 볼 수 있음.[TR]* INTJ들 사이에서 인기 없는 직업: 접수원, 호텔직원, 비서, 텔레마케터, 레크리에이션 종사자, 조교, 유치원 교사, 요양보호사, 생산직, 광고대행사, 치위생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사회복지사.[TR]* 이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취미는 독서, 문화 행사, 수업(청강), 미술 감상, 컴퓨터 관련, 독립 스포츠(수영, 등산, 마라톤), 배낭여행 등이 있음.[TR]* 16개 유형 중 인간관계, 가족, 금융 보안, 지역 사회 발전에 가장 관심이 없음.[TR]* Big 5를 간략하게 요약한,'Big 5 SLOAN'에서 32가지 유형 중 'RCOEI 형'에 무려 [math(\displaystyle \mathbf {44.3 \%})]를 기록하는 쏠림 현상이 일어났다.[350]* 에니어그램에서는 5w6 유형이 비율상 [math(\displaystyle \mathbf {46.4 \%})]로 가장 많으며, 표준편차도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크게 나타남(통계적으로 5w6임이 유의미하다는 뜻). 5w4 유형이 [math(\displaystyle \mathbf {23.2 \%})]로 뒤를 이음(평균 퍼센티지는 [math(\displaystyle \mathbf {5.5 \%})], 배수는 8.44).[351]* 정치 성향 부문에서는 중도우파, 권위주의가 다소 우위에 있음. 우파 성향 6위(좌파 성향 11위), 권위주의적 성향 7위(자유주의적 성향 10위)로 알려져 있음.[352] 미국 Slyerment 조사에서는 중도·무당층 [math(\displaystyle \mathbf {41 \%})], 공화당 지지 [math(\displaystyle \mathbf {40 \%})], 민주당 지지 [math(\displaystyle \mathbf {19 \%})]로 나타남.[353]* 판단(J)형들 중에서는 가장 내향적이다.
5. 타 유형과의 관계
5.1. TRUITY의 설명
* TRUITY의 신뢰성은 해당 각주(↗[TR])를 클릭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무난한 친선 관계: ISTJ · INTP · INTJ · ENTJ
다음 네 유형은 INTJ의 가치, 관심, 삶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 방식을 공유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 반드시 모든 것에 동의하거나 항상 잘 지낼 것이라는 보장은 없지만, 호화찬란하지 않고 편안한 관계를 원한다면 INTJ와 많은 공통점을 가진 이들과 관계를 맺는 게 낫다.
- 흥미로운 관계: INFP · INFJ · ENTP · ENFJ
다음 네 유형은 INTJ와 결정적인 차이점들로 인해 서로를 흥미롭게 볼 수 있다. INTJ는 이러한 유형의 사람들을 탐구할수록 매력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다만, 서로 도전할 기회와 공통점 사이의 균형을 잘 유지해야 한다.
- 상호 보완 관계: ISTP · ESTP · ESTJ · ENFP
다음 네 유형에 대해서는 INTJ와 서로 보완하고 배울 수 있는 많은 잠재력을 제시한다. INTJ가 자신의 편협한 생각을 보충한다고 하면, 이들의 아주 다른 것으로부터 새로운 관점이 생겨나게 할 수 있다. 또 이때 서로를 알게 됐을 때 얻는 삶의 가르침이 굉장히 중요할 수 있다. 다만, 이들의 첫인상은 INTJ 입장에서 먼저 다가가게 만드는 스타일은 아니다.
- 장단점 역전 관계: ISFP · ISFJ · ESFP · ESFJ
다음 네 유형은 INTJ와 근본적으로 추구하는 가치와 동기가 가장 상이하다. 이들의 강점은 INTJ의 약점이며, 이들의 약점 또한 INTJ의 강점이다. 그러므로 강점과 단점을 모두 보충할 수 있는 관계로 성장한다면 엄청난 성장을 이룰 수 있다. 성격 충돌과 갈등의 잠재가 가장 클 수 있다는 점만 잘 극복해낸다면.
이미 작성된 부분에 대해서는 한시적으로 존치하였으므로 이를 참조하기 바람.
5.2. 사회인격학
◎ 이 문단에서 유의할 점 ◎ ## 기존의 이 삭제되면서, 소시오닉스 이론에 대한 주의사항을 문단 내에 서술하기로 한 편집지침https://namu.wiki/thread/ObnoxiousTellingLyingParty이 위배된 상황입니다. |
Alpha | Beta |
ISFJ ESFJ INTP ENTP | ISTP ESTP INFJ ENFJ |
Delta | Gamma |
ISTJ ESTJ INFP ENFP | ISFP ESFP INTJ ENTJ |
▲ '사회인격학'의 쿼드라(Quadras) 그룹 모형 |
- 같은 Gamma 그룹 : 동일한 심리 기능 4개를 사용한다.
INTJ ― INTJ 동일(Identical) 관계
|
INTJ ― ISFP 활동(Activity) 관계 * 출처
|
- 정 반대편에 있는 Alpha 그룹 : 전부 다른 심리 기능 4개를 사용한다.
INTJ ― INTP
|
- Beta, Delta 그룹 : 심리 기능 중 2개만 동일하고, 2개는 다른 기능을 사용한다.
INTJ ― INFP 이익(Benefit) 관계 2
|
6. 해당 인물
* 나무위키 기본방침 규정에 따라 '해당 인물 문서의 프로필 및 여담 참조.'와 같은 식으로 다른 문서의 내용이 있었다는 사유만으로 근거를 제시할 수 없습니다. |
6.1. 연예인
- 공민지: 지상파 예능 방송 프로그램 '언니들의 슬램덩크'에서 정식 MBTI(국내 판권상)로 검사한 결과 ◆●
- 김민기(개그맨): 유튜브 채널 '홍윤화 김민기 꽁냥꽁냥'의 한 영상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김법래: 유튜브 채널 'uymp_official'에서 정식 MBTI(국내 판권상)로 검사한 결과 ◆●
- 엄기준: 유튜브 채널 'uymp_official'에서 정식 MBTI(국내 판권상)로 검사한 결과 ◆●
- 유준상: 유튜브 채널 'uymp_official'에서 정식 MBTI(국내 판권상)로 검사한 결과 ◆●
- 이수혁: '과학자형'이라고 언급한 것을 보아 정식 MBTI에서 검사한 것으로 확인되지만, 인터넷 사이트에서도 쓰는 별칭이므로 시험 문항지 없이는 정확한 확인이 불가. ◆
- 류진(그룹 ITZY 멤버): 유튜브 채널 'STUDIO K'에서 검사한 결과. 질문지의 구성과 내용으로 보아 16Personalities로 검사한 것으로 추정. ※●
- 박지원(그룹 프로미스나인 멤버): 프로미스나인 공식 유튜브의 채널나인 EP23 MBTI 특집에서 검사한 결과
- 방용국: 유튜브 채널 '팬바타'에서 언급함. 42초부터 나온다.
- 보아: 본인 소셜 미디어에서 스크린 캡처로 검사 결과 게재. 16Personalities로 검사한 결과로 확인. ※
- 빽가: 유튜브 채널 '코요태레비전'에서 검사한 결과. 질문지와 성격 유형 별명을 소개한 것으로 보아 16Personalities 추정. ※●
- 손나은: 유튜브 채널 ‘문명 특급’에서 밝힌 결과. 용의주도한 전략가 라고 자막이 삽입 된 것을 보아 16Personalities로 검사한 것으로 추정. ※●
- 안소희: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언급함. 45초부터 나온다. ※●
- 에릭(그룹 신화 멤버):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은혁(그룹 슈퍼주니어 멤버): 네이버 나우 댸니쇼에서 스크린 캡처로 검사 결과 게재. 16Personalities로 검사한 결과로 확인. ※
- 이경규: 유튜브 채널 '카카오TV'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종섭(그룹 P1Harmony 멤버): 유튜브 채널 'P1Harmony'의 한 영상(1:04~)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지웅(그룹 P1Harmony 멤버): 유튜브 채널 'P1Harmony'의 한 영상(1:47)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함영준: 유튜브 채널 '햄연지 YONJIHAM'의 한 영상(1:01)에서 '용의주도한 전략가형(INTJ-T)'가 나오면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로 확인. ※●
- 허영생: 유튜브 채널 '채널명 없는 영생.'의 한 영상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6.2. 인터넷 방송인
- 각별: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돌카스: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벤 샤피로: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송미아: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샒의 삶: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수레기: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아는 변호사: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침착맨: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 129화에서 MBTI 정식 검사를 거친 결과. ◆●
- 채사장: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검사한 결과. 질문지를 보아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것으로 확인. ※●
- 최케빈: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첫눈에뿅: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카엔: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캬하하: 본인 아프리카TV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핏블리: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핑맨: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 동준사장: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16Personalities로 실시간으로 검사한 결과. ※●
건우나현의 하루하루 이야기 (건우):개인 검사
- 연예인
- 강동원: 유튜브 채널 '모노튜브'(26:24~)에서 단순 제작진의 질문으로 언급. 제작진이 강동원에게 과거 나무위키의 내용을 읽으면서 하나하나 재확인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 구혜선: 유튜브 채널 '카카오TV'에서 본인이 언급.
- 김범: 구미호뎐 드라마토크에서 언급.
- 김유정: 소셜 미디어 글 게재로 본인이 간접적으로 시사.
- 김윤아: 본인 소셜 미디어(트위터) 글 게재로 밝힘.
- 미노이: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언급
- 시현(EVERGLOW): 2022년 2월 2일에 진행한 브이라이브에서 MBTI가 ENTP에서 INTJ로 바뀌었다고 밝힘.
- 신예은: 소셜 미디어 글 게재로 본인이 간접적으로 시사.
- 안소희: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언급. '용의주도한 전략가형(INTJ-T)'이라고 언급한 것을 보아 16Pesonalities에서 검사한 것으로 확인.
- 이대열(그룹 골든차일드 멤버): 자체 콘텐츠 팬덤 소통 창구에서 채팅으로 주장(검사 결과는 증빙되지 않음). '용의주도한 전략가형(INTJ-T)'이라고 언급한 것을 보아 16Pesonalities에서 검사한 것으로 확인.
- 이바다: 유튜브 채널 'culture NEON(1:49~)'에서 본인이 언급.
- 정모(그룹 CRAVITY 멤버): 200509 크래비티 팬싸인회에서 본인이 언급.
- 정수빈(그룹 VICTION 멤버): V LIVE '슬기로운 빅톤생활' EP.01 (5:23~)에서 단순 자막 언급
- 조유리: 스튜디오 문나잇에서 언급
- 코난 그레이: 본인 유튜브 채널에서 언급
- 황동준: 유튜브 채널 'Mnet K-POP'(2:00~)에서 언급.
- 비오: 유튜브 컨텐츠인 '미노이의 요리조리 시즌2'에서 언급.
- 강형욱 : 나무위키 강형욱 문서에서만 INTJ인걸 확인 가능
- 인터넷 방송인
개인의 독자연구가 아닌, 작중에 명시되었거나 공식에서 공인한 것만을 등재할 것.
- 같은 학교 친구 - 조겨울
- 걸어서 30분 - 정진영
- 내일 - 최중길
- 너의 밤이 되어줄게 - 윤태인
- 데뷔 못 하면 죽는 병 걸림 - 박문대
- 리버티 - 서이결
- 라이브온 - 고은택
- 바니와 오빠들 - 정지원(원)
- 보이스 아이돌 프로젝트 - 솔잎
- 백수세끼 - 강서준
- 살아남은 로맨스 - 유제하, 원작 은채린, 염진선, 함세은
- 싸움독학 - 김문성
- 어글리후드 - 다이사 섀넌
- 여신강림 - 이수호
- 연애혁명 - 왕자림
- 인생존망 - 임슬기
- 테일즈런너 - 마키, 하루
- 트웬티 트웬티 - 채다희
- 피라미드 게임 - 송재형
- 후덜덜덜 남극전자 - 공성중
7. 국내 커뮤니티
8. 문서 작성 시 유의사항
|
|
◎ 편집 합의에 관하여 유의해야 할 점 ◎ * 토론 합의에 따라 나무위키 토론 관리 방침 '신뢰성 판단' 조항 중 8순위 이상에 상응하는 근거를 일일이 밝혀야 합니다. 다만, 근거란 서술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지, 단순히 원 출처와 동일한 서술만 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각종 서술에 대한 무분별한 삭제를 지양합니다. |
[참고] 이 설명에 따르면 감정형(F)은 사고형(T)에 비해서 원리와 원칙, 규범을 덜 중시해야 할 것 같지만, 감정형 중 외향 감정(Fe)을 주/부기능으로 쓰는 경우 '모든 사람'이 동의할 만한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고형(T)과는 다른 의미의 원칙과 규범(보편적 통념, 또는 사회적 규범)을 중시하게 된다.[참고] [TR] [16P] [TR] [16P] [TR] [TR] [9] Preferring to conceptualize the world on a logical, rational basis.[TR] [TR] [TR] [16P] [16P] [15] No escape from patterns and systems, no exits. Nothing, and no one, resides outside a system; that’s the way it is.[TR] [16P] [18] 이 내용은 Romantic Relationships 섹션에 서술된 ‘to help an inherently unpredictable situation seem a little less daunting. If Architects refuse to play along, they may find the dating world difficult, if not impossible.’로부터 추론한 것임.[16P] [TR] [16P] [16P] [16P] [16P] [16P] [16P] [27] Strengths & Weaknesses의 ‘Rational’ 문단을 요약한 것.[16P] [16P] [∑] [16P] [16P] [33] Architects can get impatient with anyone who seems to value feelings more than facts.[16P] [35] Strengths & Weaknesses의 ‘Curious’ 문단의 일부.[16P] [∑] [TR] [TR] [16P] [TR] [16P] [43] get hung up on the wrong details or can’t otherwise earn their respect.[16P] [16P] [46] They bring a single-minded drive to their passion projects, applying the full force of their insight, logic, and willpower.[16P] [TR] [49] They believe that most people, processes and systems have the potential to be improved upon and they will seek new and creative ways to try to bring about that change.[∑] [16P] [52] For Architects, life is like a giant game of chess. Relying on strategy rather than chance.[16P] [54] Armed with powerful intellects and strategic minds, Architects (INTJs) can outmaneuver obstacles that seem unbeatable to most.[16P] [TR] [57] They enjoy applying themselves to a project or idea in depth, and putting in concentrated effort to achieve their goals.[16P] [59] When Architects pursue their interests, their natural confidence can draw people to them – professionally, socially, and even romantically.[16P] [16P] [62] Strengths & Weaknesses의 ‘Determined’ 문단을 요약한 것.[∑] [TR] [65] they are fully engaged in the work of self-improvement. They are lifelong learners and will always be looking for ways to increase their knowledge and skills.[16P] [67] Architects derive much of their self-esteem from their knowledge and mental acuity.[16P] [69] “One never notices what has been done; one can only see what remains to be done, and if one didn’t like the work, it would be very discouraging.”[TR] [16P] [72] But as anyone with this personality type would tell you, a new idea isn’t worth anything unless it actually works. Architects want to be successful, not just inventive.[16P] [TR] [16P] [TR] [TR] [TR] [∑] [16P] [16P] [16P] [83] Architects believe that, through willpower and intelligence, they can achieve even the most challenging of goals.[16P] [85] they contemplat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move before they make it.[16P] [∑] [16P] [89] Rather than hunches or half-baked assumptions, they base their conclusions on research and analysis.[TR] [16P] [92] it can also lead them to reject anyone who doesn’t seem to meet these expectations. From the outside,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may seem dismissive, but they would say they’re just being decisive.[TR] [94] … and indeed they do not show emotion easily.[TR] [96] INTJs' partners often find them difficult to read.[TR] [TR] [99] ‘they find the process of discussing emotions much too messy and disorganized.’와 ‘They enjoy solving difficult problems, but are often out of their depth when it comes to illogical, unpredictable personal issues.’ 토대로 각색한 내용.[TR] [TR] [102] but when it comes to looking at themselves and their feelings, they often avoid the activity.[16P] [104] Architects aren’t known for being warm and fuzzy.[∑] [TR] [107] They may be arrogant and condescending, as well as impatient with people who don’t catch on as quickly as they’d like.[TR] [109] these strengths can turn into weaknesses when they morph into a superiority complex. Unfortunately, among INTJs, this is not uncommon.[16P] [16P] [112] But their strengths, when misunderstood, can turn into weaknesses – and keep them from reaching their full potential.[16P] [114] Though the INTJ may outwardly appear intractable, as a type they are actually quite receptive to and supportive of change and innovation.[TR] [16P] [117] As a result, they may inadvertently come across as rude or even offensive when they’re only trying to be honest.[16P] [119] they’re only trying to be honest. At times, Architects may wonder if dealing with other people is even worth the frustration.[16P] [121] Even when the people around them fall prey to groupthink, Architect personalities can cut through the noise and figure out the true cause of a problem – and then fix it.[16P] [123] This gives them the self-assurance they need to stand up for their ideas, even in the face of disagreement.[16P] [125] Strengths & Weaknesses의 ‘Curious’ 문단의 일부.[126] And chitchat, gossip, and office politics – well, those can be nothing short of workplace plagues.[16P] [TR] [TR] [130] While they focus on creating logical and innovative solutions, they may sometimes leave out the details of their plans, leaving their teams to wonder exactly how things will be accomplished.[16P] [132] Many Architects are known for their irreverent wit, and beneath their serious exteriors, they often have a sharp, delightfully sarcastic sense of humor.[16P] [134] Sharp-witted and darkly funny. Architects (INTJs) aren’t everyone’s cup of tea – and they’re okay with that.[135] TRUITY 본문에는 나오지 않았으나 INTJ-INFP 관계성에서 INTJ의 이러한 성격이 서술되어 있음.[16P] [137] These personalities can also become needlessly harsh or single-minded in trying to prove others wrong.[TR] [139] They enjoy discussing interesting ideas, and may get themselves into trouble because of their take-no-prisoners attitude: if someone’s beliefs don’t make logical sense, the Mastermind typically has no qualms about pointing that out.[16P] [TR] [142] With those who demonstrate less ability to think logically and rationally.[16P] [144] For the most part,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aren’t obsessed with being popular.[16P] [146] – in other words, they’d rather be right than popular.[16P] [148] They tend to prioritize rationality and success over politeness and pleasantries.[TR] [16P] [151] Sharp-witted and darkly funny, Architects (INTJs) aren’t everyone’s cup of tea – and they’re okay with that.[16P] [153] this personality type may have been called “bookworms” or “nerds.” But rather than taking these labels as insults, many Architects embrace them.[16P] [155] In school,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may have been called “bookworms” or “nerds.”[16P] [16P] [TR] [TR] [TR] [16P] [162] They don’t spend their time and energy on just anyone, and they can be difficult to get to know.[16P] [164] Strengths & Weaknesses의 ‘Independent’ 문단을 요약한 것.[16P] [166] conformity is more or less synonymous with mediocrity.[16P] [16P] [169] They can imagine few things more frustrating than allowing rules or conventions to stand in the way of their success.[16P] [16P] [172] In their quest to find better ways of doing things, they aren’t afraid to break the rules or risk disapproval – in fact, they rather enjoy it.[16P] [16P] [a]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can get caught up in arguing about useless rules and regulations – but sometimes these battles are distractions from more important matters.[16P] [a] [16P] [179] Architects hate blindly following anything without understanding why. This includes restrictions and the authority figures who impose them.[16P] [16P] [182] they may be cynical about human nature more generally[16P] [184] When the people in their lives fail to match their level of restraint, Architects can become scathingly critical.[16P] [TR] [16P] [188] Their self-assurance can blind them to useful input from other people – especially anyone they deem to be intellectually inferior.[16P] [16P] [191] Many Architects pursue low-profile but influential roles.[16P] [TR] [194] INTJs can be almost scientific in choosing a mate.[TR] [196] They often have clear ideas about what makes for a solid relationship and are unwavering in their pursuit of this ideal.[16P] [198] This mindset gives them a clear picture of what they expect from their social lives and their friends – and it can also lead them to reject anyone who doesn’t seem to meet these expectations.[16P] [16P] [TR] [16P] [203] ‘로맨스’ 항목에서 요구하는 인간상과 서술이 유사함. they look for friends who value intellect, honesty, and self-improvement. They may become bored or irritated by anyone who falls short of this mark. Fortunately, anyone who does share these qualities is likely to appreciate Architects as well.[16P] [205] – making small talk is something they typically avoid.[16P] [207] many common social practices – from small talk to white lies – may seem pointless or downright stupid to them.[16P] [209] “You are not entitled to your opinion. You are entitled to your informed opinion. No one is entitled to be ignorant.” They may become bored or irritated by anyone who falls short of this mark.[TR] [16P] [212] Architects may struggle to find people who can keep up with their nonstop analysis of everything around them.[16P] [214] Architects don’t want to feel beholden to their friends, and they don’t want their friends to feel beholden to them. For them, an ideal friendship is low drama, based on mutual respect rather than obligation.[16P] [16P] [217] this doesn’t mean that Architects are antisocial or friendless.[16P] [219] In fact, few things are more exhilarating to Architect personalities than the spark they feel when they connect with someone who really gets them.[16P] [221] Among friends whom they know and respect, Architects have no trouble relaxing and being themselves. Their sarcasm and witty banter may not be for everyone.[16P] [223] Architects reward their true friends with candor and insight, along with an endless supply of fascinating stories, ideas, and conversations.[16P] [225] may not be for everyone – especially people who struggle to read between the lines.[16P] [227] Even with their closest friends, these personalities may struggle to offer comfort – or receive it.[16P] [229] Architects are used to feeling knowledgeable and capable, and this sudden cluelessness can be disorienting for them.[∑] [231] Strengths & Weaknesses에서 대놓고 ‘우둔한 로맨스’라고 언급하기도 함.[16P] [16P] [234] In a purely rational world, this approach would be foolproof.[16P] [236] Especially in the early stages of a relationship, they may struggle to understand what’s going on and how to behave.[16P] [238] As Architects often learn, the ways of love are hard to describe in a spreadsheet.[16P] [16P] [241] As they mature and gain experience, many Architects eventually come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romantic rituals.[16P] [243] It might not come as a surprise, then, that the social niceties and obscure etiquette of dating can seem useless or even insulting to Architect personality types.[16P] [16P] [246] Architects care about depth and intelligence, and they insist on honest, open communication. For them, a relationship that isn’t founded on these values is hardly worth pursuing.[16P] [248] Some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might constantly try to demonstrate their intellectual superiority, as a way of proving that they’re above the “silliness” of dating. Obviously, this mindset is unlikely to help Architects find or connect with a partner.[16P] [250] Just doing what they do best – pursuing the interests that light them up – can help their confidence and intelligence shine.[TR] [252] INTJs make devoted partners once they have found a match that fits their rigorous list of requirements.[16P] [16P] [TR] [256] INTJs can be almost scientific in choosing a mate and make devoted partners once they have found a match that fits their rigorous list of requirements. they do not usually see the need for frivolous affection or romance, feeling that their devotion should be evident.[16P] [258] And if their relationships fall apart for reasons they don’t understand, they can become cynical about matters of the heart, even questioning the importance of love and connection.[16P] [16P] [16P] [16P] [16P] [264] Rather than micromanaging, they aim to direct broader strategies while letting other people handle day-to-day activities.[16P] [16P] [16P] [268] in the company of a small group of trusted colleagues, Architects’ brainstorming sessions may become even more electric.[16P] [16P] [∑] [16P] [273] Titles mean little to Architects.[16P] [275] The other side of that coin is that Architects have little respect for anyone who gets ahead based on networking or nepotism rather than merit.[16P] [16P] [278] They might also find it difficult to restrain themselves from offering their bosses feedback and criticism – an approach that, depending on the boss, can backfire.[16P] [280] and they often struggle to defer to a manager they don’t respect.[∑] [16P] [16P] [284] That’s not to say that they’re completely hands-off, however. Architect bosses want to know exactly what’s going on and when, and they're always ready to drill into any level of detail necessary. … Architect bosses want to know exactly what’s going on and when, and they're always ready to drill into any level of detail necessary.[16P] [286] People with this personality type value resourcefulness, grit, insight, and commitment – in themselves and in others. They believe that everyone should get their work done to the highest possible standards. So if a social butterfly at work breezes through without carrying their own weight, Architects may feel called to use their ingenuity to bring that person back down to earth.[16P] [288] Many Architects would rather work alone than be slowed down by anyone who isn’t as focused as they are.[∑] [16P] [291] Rather than micromanaging, they aim to direct broader strategies while letting other people handle day-to-day activities.[16P] [293] Employees who struggle to direct themselves – who just want to be told what to do – may have a hard time meeting Architects’ standards.[16P] [295] – even if that means breaking with established hierarchies. … Generally speaking, Architects prefer to treat those who work for them as equals.[16P] [297] In the workplace, they rarely throw around their authority just to prove that they’re in charge.[16P] [TR] [300] They are unlikely to offer support or assurance to teammates who they don’t perceive as useful contributors. INTJs value competence and decisiveness, and may sometimes neglect to listen to differing opinions once their mind is made up.[16P] [302] And anyone who tries to cover up bad results with flattery or excuses is likely to be disappointed. Those strategies rarely work with Architect personalities.[16P] [304] As their careers progress, they may be drawn to positions that allow them to influence a company or organization’s overall strategies.[16P] [306] Fortunately, their perfectionism and resolve often enable them to produce effective results even without the help of others.[16P] [16P] [309] Architects really do believe that if you want something done right, you’d better do it yourself.[16P] [311] These personalities have the creativity and vision to make important contributions in any workplace, and these skills certainly give them a leg up if they choose to start their own business. … Their capability and reliability can make them excellent collaborators.[16P] [TR] [16P] [16P] [16P] [317] emotions may be confusing and, at times, chaotic, but they’re perfectly normal.[16P] [16P] [16P] [TR] [16P] [16P] [16P] [16P] [16P] [16P] [의미] 대담한 통솔자의 '통솔자'라는 뉘앙스보다는 주로 뛰어난 두뇌로 복잡한 일을 계획 및 지휘하는 사람을 의미함[329]
[TR] [331] 이 수치를 [math(\sf \frac{가상}{현실})]로 산정했을 때 무려 17배에 달함(편차가 있을 수 있음), 바로 밑의 INTP, INFJ가 6배인 점이 흥미로운 점이며 16가지 유형 중 무려 10개 유형이 1보다 낮은 배수([math(>0)])로 밀릴 정도라는 점을 고려하면 엄청난 비율임을 알 수 있음. 이를 역으로, 가상에서 느껴지는 INTJ가 100명이라고 가정했을 때, 현실에서는 고작 6명 수준 ([math(\displaystyle \frac{1}{17} \approx 5.8 \%)])라는 뜻으로도 풀이됨.[16P] [333] You may even be a little uncomfortable, because you’re not used to being understood, even by the people closest to you.[16P] [335] But embracing that disconnect isn’t a requirement for Architects.[TR] [TR] [338] Least likely of all the types to believe in a higher spiritual power.[TR] [TR] [341] 전세계 기준으로 상위 2%의 IQ는 130(표준편차 15)에 해당한다.[342] 영어 영역 미포함시 3위, 포함시 2위[TR] [344] 이사벨 마이어스. 자료 소개[345] 강윤수. (2020).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양식과 MBTI 성격기질별 특징. 수학교육 논문집, 34(3), 299-324. SJ형 학생들은 마인드맵 등의 학습 전략, SP형 학생들은 장,단기 학습목표를 꾸준히 실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NT형 학생들은 SRN(자기성찰노트)이나 수학일지를 활용한 학습 전략, NF형 학생들은 논리적근거를 제시하는 수학학습 노트 쓰기 활동과 대수 학습에 더 많은 시간 투자가 필요하다.[TR] [TR] [TR] [TR] [350] Pinterest 이미지 업로드 플랫폼의 한 표 자료.[351] master personality typology survey MBTI X ENNEAGRAM (2016.2.)[352] Reddit 출처의 한 인포 그래픽.[353]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로 나온 한 인포 그래픽.[TR] [SO] [TR]
| ||||
순위 | 성격유형 | 합계 | Turbulent | Assertive |
1 | INFP | 13.39% | 10.61% | 2.78% |
2 | ENFP | 12.60% | 8.05% | 4.55% |
3 | ESFJ | 8.35% | 4.36% | 3.99% |
4 | ISFJ | 7.66% | 5.02% | 2.64% |
5 | ISFP | 6.61% | 4.65% | 1.96% |
6 | ESFP | 6.36% | 3.57% | 2.79% |
7 | INTP | 6.28% | 3.96% | 2.32% |
8 | INFJ | 6.25% | 4.60% | 1.65% |
평균 | 6.25% | |||
9 | ENFJ | 6.09% | 3.35% | 2.74% |
10 | ENTP | 5.04% | 2.57% | 2.47% |
11 | ESTJ | 4.56% | 1.79% | 2.77% |
12 | ISTJ | 4.28% | 2.21% | 2.07% |
13 | INTJ | 3.75% | 2.09% | 1.66% |
14 | ISTP | 3.11% | 1.79% | 1.32% |
15 | ESTP | 2.94% | 1.32% | 1.62% |
16 | ENTJ | 2.73% | 1.26% | 1.47% |
※ 16 Personalities 대한민국 통계 2021-05-14 기준, 응답자 표본 크기: 70,266 |
[TR] [331] 이 수치를 [math(\sf \frac{가상}{현실})]로 산정했을 때 무려 17배에 달함(편차가 있을 수 있음), 바로 밑의 INTP, INFJ가 6배인 점이 흥미로운 점이며 16가지 유형 중 무려 10개 유형이 1보다 낮은 배수([math(>0)])로 밀릴 정도라는 점을 고려하면 엄청난 비율임을 알 수 있음. 이를 역으로, 가상에서 느껴지는 INTJ가 100명이라고 가정했을 때, 현실에서는 고작 6명 수준 ([math(\displaystyle \frac{1}{17} \approx 5.8 \%)])라는 뜻으로도 풀이됨.[16P] [333] You may even be a little uncomfortable, because you’re not used to being understood, even by the people closest to you.[16P] [335] But embracing that disconnect isn’t a requirement for Architects.[TR] [TR] [338] Least likely of all the types to believe in a higher spiritual power.[TR] [TR] [341] 전세계 기준으로 상위 2%의 IQ는 130(표준편차 15)에 해당한다.[342] 영어 영역 미포함시 3위, 포함시 2위[TR] [344] 이사벨 마이어스. 자료 소개[345] 강윤수. (2020).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양식과 MBTI 성격기질별 특징. 수학교육 논문집, 34(3), 299-324. SJ형 학생들은 마인드맵 등의 학습 전략, SP형 학생들은 장,단기 학습목표를 꾸준히 실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NT형 학생들은 SRN(자기성찰노트)이나 수학일지를 활용한 학습 전략, NF형 학생들은 논리적근거를 제시하는 수학학습 노트 쓰기 활동과 대수 학습에 더 많은 시간 투자가 필요하다.[TR] [TR] [TR] [TR] [350] Pinterest 이미지 업로드 플랫폼의 한 표 자료.[351] master personality typology survey MBTI X ENNEAGRAM (2016.2.)[352] Reddit 출처의 한 인포 그래픽.[353]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로 나온 한 인포 그래픽.[TR] [SO] [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