保 지킬 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人,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ホ | ||||||
일본어 훈독 | たも-つ, も-つ, やす-んじる | ||||||
- | |||||||
표준 중국어 | bǎ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保는 '지킬 보'라는 한자로, '지키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지키다 |
음 | 보 | |
중국어 | 표준어 | bǎo |
광동어 | bou2 | |
객가어 | pó | |
민동어 | bō̤ | |
민남어 | pó | |
오어 | pau (T2) | |
일본어 | 음독 | ホ |
훈독 | たも-つ, も-つ, やす-んじる | |
베트남어 | bảo |
유니코드에는 U+4FD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RD(人口木)로 입력한다.
人(사람 인)과 子(아들 자)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즉 사람이 아이를 데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이며, '돌보다', 나아가 '보전하다'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갑골문부터 등장하는 글자로, 원래는 사람(人) 뒤에 아이(子)가 딸려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었다. 그런데 금문으로 오면 사람 뒤에 아이가 있고, 아이의 뒤쪽 부분에도 ノ자 형태의 획이 더 추가된 형태가 나타나는가 한편, 아이의 위쪽에 王자 형태(즉 玉)가 그려지기도 한다. ノ자에 대해서는 褓(포대기 보)자와 연결지어, 아이를 감싸는 포대기라고 설명하는 학자들이 있다. 이후 전서에서는 ノ자가 子의 양옆에 하나씩 생겨 呆와 같은 형태가 되었고, 이 형태가 예서와 해서까지 이어져 현재의 자형이 되었다. 원래 마지막 두 획은 ホ와 같이 나머지 획과 따로 떨어져 있었으나, 예서 이후의 서체에서는 ホ자 형태와 木자 형태가 둘 다 나타난다. 현재 제작되는 폰트들도 ホ자 형태인 것과 木자 형태인 것이 있다.
가나문자의 ho(히라가나ほ, 가타카나ホ) 의 유래가 되는 한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 마츠다이라 카타모리(松平 容保)
- 문보경(文保景)
- 빈보다 모미지(貧保田 紅葉)
- 사야시 리호(鞘師 里保)
- 야마니시 타모츠(山西 保)
- 오보카타 하루코(小保方 晴子)
- 오오누마 아키호(大沼 晶保)
- 오오쿠보 루미(大久保 瑠美)
- 완나이 키누호(湾内 絹保)
- 욱보사(郁保四)
- 치카조쿠 토모야스(近属 友保)
- 쿠보 유리카(久保 ユリカ)
- 타무라 호노(田村 保乃)
- 호시나 마사토시(保科 正俊)
- 호시나 슈지(保科 柊史)
- 호즈미 유우야(保住 有哉)
3.3. 지명
3.4. 창작물
3.5. 기타
4. 유의자
- 守(지킬 수)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䳰/𪃁(능에 보)
- 葆(더부룩할 보)
- 媬(도울 보)
- 椺(들보 보, 술잔 혁/격)
- 賲(보유할 보)
- 湺(사람이름 보)
- 煲(삶을 보)
- 𩭼(상투 보)
- 㷛/𤭭(솥 보)
- 堡/堢(작은성 보)
- 褓/緥(포대기 보)
- 㨐(가릴 부)
- 𢉣(갈무리할 포)
- 褒(기릴 포)
- 䭋(배부를 포)[5]
- 𣯂(포)
- 𠸒
- 𤦸
- 𧛱
- 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