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0:05:36

한전KDN

한전케이디엔에서 넘어옴
파일:정부상징.svg 파일:산업통상자원부_국문_흰색글자.svg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ddd> 전력 한국전력공사 · 한국전력기술 · 한국전력거래소 · 한전KDN · 한전KPS · 한전MCS
발전사 한국지역난방공사 · 한국남동발전 · 한국남부발전 · 한국동서발전 · 한국서부발전 · 한국중부발전
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 ·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 한전원자력연료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화석연료 한국가스공사 · 한국가스기술공사 · 한국석유공사 · 한국석유관리원 · 대한석탄공사
에너지 일반 한국에너지공단 · 한국에너지재단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광물 · 소재 한국광해광업공단 · 한국세라믹기술원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기획 · 정책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안전 · 평가 한국전기안전공사 · 한국가스안전공사 · 한국제품안전관리원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무역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무역안보관리원 · 한국무역보험공사
기타 한국디자인진흥원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한국산업단지공단 · 강원랜드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4098><tablebgcolor=#004098> 파일:한국전력공사 심볼마크.svg한국전력공사
그룹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발전사
파일:한국남동발전 로고.svg 파일:한국중부발전 로고.svg 파일:한국서부발전 로고.svg 파일:한국남부발전 로고.svg 파일:한국동서발전 로고.svg 파일:한국수력원자력 로고.svg
그룹사
파일:한국전력기술 로고.svg 파일:한전KPS 로고.svg 파일:한전원자력연료 로고.svg 파일:한전MCS 로고.svg 파일:한전CSC 로고.svg 파일:한전KDN 로고.svg
파일:한전FMS 로고.svg 파일:한전산업개발 CI.svg[1] 파일:한일병원_로고_.png[2]
기타
스포츠단
,[1] 민영화했지만 그룹사로 분류한다.
[2] 한일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그룹사로 분류한다.
,
}}}}}}}}}
한전KDN
KEPCO KDN
파일:한전KDN 로고.svg
정식 명칭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한자 명칭 韓電케이디엔株式會社
영문 명칭 KEPCO Knowledge, Data & Network Co., Ltd.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1992년 1월 23일[1]
설립목적 ○ 전력정보기술의 고도화 및 전문화
○ 전력정보서비스의 안정적 제공
○ 전력용 정보통신자원의 효율적 활용
상법 제317조
업종명 컴퓨터시설 관리업
전신 세일정보통신주식회사
(1992년 1월 23일 ~ 1996년 4월 19일)
한전정보네트웍주식회사
(1996년 4월 20일 ~ 2000년 4월 19일)
대표자 박상형
주무기관 산업통상자원부
주요 주주 한국전력공사: 100%
기업 분류 준시장형 공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2,938명(2024년 2분기 기준)
자본금 640억원
매출액 738,833백만 원(2023년 결산 기준)
미션 에너지ICT 기술 전문화 및 고도화를 통해 에너지산업 발전에 기여
비전 친환경, 디지털 중심의 에너지ICT 플랫폼 전문기업
소재지 본사 -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61 (빛가람동)
원전ICT사업처 - 경상북도 경주시 양정로 255 (동천동, 동부빌딩)
전력SW개발센터 -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로 105, 제1연구동 D207호 (문지동, 한국전력연구원)
전력IT기술센터 - 전라남도 나주시 전력로 55, 2층 205호 (빛가람동, 나주통합ICT센터)
지역본부 소재지 보기
서울지역본부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07길 11, 2~3층 (삼성동, 성보타워빌딩)
경기지역본부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055 (파장동)
강원지역본부 - 강원도 춘천시 사우로 154, 2~3층 (우두동, 주성빌딩)
대전충남지역본부 - 대전광역시 대덕구 동서대로 1784 (비래동)
광주전남지역본부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로 3, 2층 (소촌동, 한국전력공사 광산지사)
부산울산지역본부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가야대로214번길 42 (학장동)
대구지역본부 - 대구광역시 수성구 알파시티1로 42길 13 (대흥동, 한전KDN대구지역본부)
인천지역본부 -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885 (만수동)
관련 웹사이트
한전KDN(주) 공식 홈페이지
공식 SNS
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 한전KDN(주) 공식 블로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한전KDN(주) 공식 유튜브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한전KDN(주) 공식 인스타그램
관련 전화번호
대표전화: 061-931-7114
원전ICT사업처: 054-622-2319
전력ICT개발원: 061-931-6913
전력SW개발센터: 042-330-2701
전력IT기술센터: 061-931-7751
지역본부 전화번호 보기
서울지역본부: 02-3469-7312
경기지역본부: 031-240-5212
강원지역본부: 033-259-3211
대전충남지역본부: 042-330-7511
광주전남지역본부: 062-949-3911
부산울산지역본부: 051-320-2310
대구지역본부: 053-350-2111
인천지역본부: 032-722-0110

1. 개요2. 역대 사장3. 사업
3.1. 파워콤과 통신사업
4. 노동조합 현황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한전KDN의 경관, 홍보 영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한전KDN(주) 공식 홍보영상

파일:한전KDN_HQ.jpg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61 (빛가람동)에 위치한 한전KDN(주) 본사 사옥

파일:세일정보통신 로고.png
세일정보통신 시절 로고

파일:한전정보네트웍주식회사 로고.png
한전정보네트웍주식회사 시절 로고
}}}}}}}}} ||
친환경, 디지털 중심의 에너지ICT 플랫폼 전문기업
한전KDN(주)의 캐치프레이즈
한국전력공사 계열 전력ICT 전문 준시장형 공기업.

1992년 1월 23일한국전력공사가 자본을 100% 출자하여 세일정보통신(주)로 설립하였다. 이후 1996년에 사명을 한전정보네트웍(주)로 바꾸어 이듬해에 연합통신으로부터 YTN 지분 30%를 인수하고 1998년에 640억원으로 증자하였다.[2] 이후 2000년 4월 즈음에 사명을 한전KDN(주)로 변경하였다.

2. 역대 사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한전KDN 심볼.svg한전KDN
역대 사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초대
이강연
2대
이호림
3대
최대용
4대
서사현
5대
정연동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6대
이계순
7대
임창건
8대
이희택
9대
전도봉
10대
김병일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11대
임수경
12대
박성철
13대
김장현
}}}}}}}}}
  • 이강연 (1992~1993)
  • 이호림 (1993~1996)
  • 최대용 (1996~1998)
  • 서사현 (1998~2000)
  • 정연동 (2000~2002)
  • 이계순 (2002~2003)
  • 임창건 (2003~2006)
  • 이희택 (2006~2008)
  • 전도봉 (2008~2011)
  • 김병일 (2011~2014)
  • 임수경 (2014~2018)
  • 박성철 (2018~2021)
  • 김장현 (2021~2024)
  • 박상형 (2024~현재)

3. 사업

  • 전력사업과 관련된 시스템 통합(SI) 및 시스템 운영(SM) 사업
  • 지능형 전력망(Smart-Grid) 관련사업
  • 정보통신·전기·소방시설 공사 및 관련 감리·컨설팅
  • 정보통신서비스, 방송 및 기타 정보기술(IT) 을 활용한 사업
  • 신·재생에너지 관련사업
  • 정부 등의 위탁사업
  • 위의 사업관련 제조, 연구개발, 출자, 임대 및 부대사업

3.1. 파워콤과 통신사업

예전에는 케이블TV와 인터넷서비스를 위한 HFC망을 운용하는 사업자였다.

한국전력이라는 거대한 전력공급이 가능한 지상전주와 지하관로를 이용하여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곳곳의 가정과 회사에 방송과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광케이블이나 동축케이블을 포설하는 전송선로사업자(NO: Network Operator)라고 봐도 좋다

당시 2000년도 초반경에는 KDN에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케이블 방송사업자에게 선로를 임대하는 임대망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통신에 대한 부분은 파워콤으로 분사를 한 후 이후 파워콤은 LG그룹에서 인수 후 LG파워콤에서 최종적으로는 LG U+로 합병 되었다.

지상전주의 경우에는 통신선로를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는 조가는 2단으로 구성[3]하여 사용하는데.. 보통 상단조가는 LG에서 사용하고 하단조가는 그 외 통신사에서 사용을 하는데, 이것이 KDN에서 초기 통신사업을 할 때 전력통신(파워콤) 용도로 배정하였다 상대적으로 사용 회선수가 많은 LG 텔레콤(이동통신 서비스)과 LG 파워콤(홈서비스), LG 데이콤(비즈니스)에서 많이 점유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사실상 공가승인이 나면 상·하단 조가는 통신사 구분없이 사용 가능하다

4. 노동조합 현황

  • 한전KDN노동조합: 한국노총 전국전력산업노동조합연맹 소속.

5. 둘러보기

파일:정부상징.svg 파일:산업통상자원부_국문_흰색글자.svg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ddd> 전력 한국전력공사 · 한국전력기술 · 한국전력거래소 · 한전KDN · 한전KPS · 한전MCS
발전사 한국지역난방공사 · 한국남동발전 · 한국남부발전 · 한국동서발전 · 한국서부발전 · 한국중부발전
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 ·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 한전원자력연료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화석연료 한국가스공사 · 한국가스기술공사 · 한국석유공사 · 한국석유관리원 · 대한석탄공사
에너지 일반 한국에너지공단 · 한국에너지재단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광물 · 소재 한국광해광업공단 · 한국세라믹기술원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기획 · 정책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안전 · 평가 한국전기안전공사 · 한국가스안전공사 · 한국제품안전관리원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무역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무역안보관리원 · 한국무역보험공사
기타 한국디자인진흥원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한국산업단지공단 · 강원랜드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로의 사명 변경일은 2000년 4월 20일이다.[2] 그래서인지 YTN에는 국가기관과 관련된 지분이 꽤 많다.[3] 예전 배전전주를 보면 3단짜리 조가도 간혹 보이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