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14:27:38

피카요 토모리


1 P. 테라치아노 · 2 에스투피냔 · 4 리치 · 5 더빈터르 · 7 히메네스 · 8 로프터스치크 · 10 하파 레앙
VC

11 풀리식 · 12 라비오 · 14 모드리치 · 16 M. 메냥
C
· 18 은쿤쿠 · 19 포파나 · 23 토모리 · 24 아테카메
27 오도구 · 30 야샤리 · 31 파블로비치 · 33 바르테사기 · 46 가비아 · 56 살레마커스 · 96 토리아니
파일:UEFA EURO ITA.png 마시밀리아노 알레그리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피카요 토모리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AIC_logo.pn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231f20,#231f20><tablebgcolor=#231f20,#231f20> 파일:더비 카운티 로고(화이트).svg더비 카운티 FC
잭 스탬스 트로피
수상자

(26대~현재)
}}} ||
{{{#!wiki style="color: #231F2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1994 ~ 현재
26대
테일러
파일:UEFA ENG.png
27대
쇼트
파일:UEFA ENG.png
28대
예이츠
파일:UEFA ENG.png
29대
포웰
파일:UEFA ENG.png
30대
바이아노
파일:UEFA ITA.png
31대
라르센
파일:UEFA DEN.png
32대

파일:UEFA EST.png
33대
리곳
파일:UEFA ENG.png
34대
히긴보텀
파일:UEFA ENG.png
35대
킨클라제
파일:UEFA GEO.png
36대
마위니
파일:UEFA FRA.png
37대
이디아케
파일:UEFA ESP.png
38대
스미스
파일:UEFA ENG.png
39대
하워드
파일:UEFA SCO.png
40대
서포터[A]
41대
헐스
파일:UEFA ENG.png
42대
바커
파일:UEFA ENG.png
43대
브레이포드
파일:UEFA ENG.png
44대
브라이슨
파일:UEFA SCO.png
45대
키오
파일:UEFA IRL.png
46대
브라이슨
파일:UEFA SCO.png
47대
휴즈
파일:UEFA ENG.png
48대
키오
파일:UEFA IRL.png
49대
카슨
파일:UEFA ENG.png
50대
비드라
파일:UEFA CZE.png
51대
토모리
파일:UEFA ENG.png
52대
클락
파일:UEFA ENG.png
53대
시니
파일:UEFA SCO.png
54대
데이비스
파일:UEFA ENG.png[B]
55대
맥골드릭
파일:UEFA IRL.png
56대
넬슨
파일:UEFA ENG.png
57대
애덤스
파일:UEFA GAM.png
◀ 이전 수상자 보기

[A] 1승 강등이라는 끔찍한 결과에 따라, 올해의 선수로 팬들이 선정되었다.[B] 수상 당시 국적

}}}}}}}}} ||

}}} ||
파일:Fikayo Tomori(25-26).png
<colbgcolor=#b7c9e1><colcolor=#3c6090> AC 밀란 No. 23
피카요 토모리
Fikayo Tomori
본명 올루와피카요미 올루와다밀롤라 토모리[1]
Oluwafikayomi Oluwadamilola Tomori
출생 1997년 12월 19일 ([age(1997-12-19)]세)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잉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잉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냉|{{{#!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냉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냉}}}{{{#!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나이지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5cm / 체중 79kg
포지션 센터백, 풀백[2]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b7c9e1><colcolor=#3c6090> 유스 첼시 FC (2005~2016)
선수 첼시 FC (2016~2021)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2017 / 임대)
헐 시티 AFC (2017~2018 / 임대)
더비 카운티 FC (2018~2019 / 임대)
AC 밀란 (2021 / 임대)

AC 밀란 (2021~ )
국가대표 5경기 (잉글랜드 / 2019~ )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7c9e1><colcolor=#3c6090> 후원사 아디다스
}}}}}}}}} ||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플레이 스타일4. 기록
4.1. 대회 기록4.2. 개인 수상
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잉글랜드 국적의 AC 밀란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카요 토모리/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피카요 토모리/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피카요 토모리/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가대표 경력

캐나다 출생이지만 자란 곳은 잉글랜드라서 잉글랜드 연령별 대표팀에서 뛰었다. 이후 2017 FIFA U-20 월드컵에서 잉글랜드 주전 센터백으로 활약했다. 기니전에서 환상적인(...) 자책골을 넣으며 예능을 선보이기도 했지만, 안정적인 수비력을 보이며 팀의 우승에 기여하였다.

2019-20 시즌의 활약에 힘입어 2019년 10월에 드디어 잉글랜드 A대표팀에 선발되었다. 물론 존 스톤스의 부상도 영향이 있었지만 현재 잉글랜드 센터백 중 해리 매과이어를 제외하고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땜빵이라기보다는 유망주를 기용해보려는 시도로 봐야 할 듯.
2019년 11월 유로 2020 예선에서 코소보를 상대로 데뷔했는데 후반 막판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와 교체되면서 풀백으로 뛰었다.

유로 2020에서 대표팀에 선발되지 못했는데 이를 두고 같은 팀 동료 레비치는 상당히 놀랐다고 언급했다. 밀란에서 상당한 클래스를 보여주었는데 선발되지 않은 이유를 모르겠다고.

2021년 10월 잉글랜드 대표팀에 다시 선발되었다. 밀란에서 환상적인 폼을 보여주고 있기에 당연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2022년 들어서 또다시 잉글랜드 대표팀에 들지 못하고 있다. 밀란에서 상당한 폼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국 리그가 아닌 곳에서 뛰어서 그런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3]

이후 2022년 5월 발표된 국가대표팀에 다시 차출되었다. 네이션스 리그 이탈리아전에서 드디어 선발로 출전해 이탈리아 국가대표로 뛰는 토날리와 상대팀으로 만나게 되었다.

하지만 이후 22-23시즌 리그에서 상당한 부진을 겪어서인지 아니면 감독이 원하는 스타일이 아니어서인지 월드컵 최종명단에서 제외되었다. 하지만 더욱 심한 부침을 보이는 다이어와 매과이어 등이 명단에 포함되면서 꽤 논란이 되기도 했다.

2023년 8월 31일 발표된 국가대표에서 다시금 차출되었다. 그러나 사우스게이트가 프리미어 리그 선수를 선호하는 성향이 있어 국가대표에서는 여전히 찬밥취급이다.[4] 심지어 10월 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는 명단 제외를 당하기도 했다. 리그에서 폼이 좋지 않은 매과이어가 선발인 가운데 폼이 리그에서 상당히 좋은 토모리를 쓰지 않는 것으로 인해 꽤 논란이 되고 있다.

3. 플레이 스타일

기본적인 신체 능력이 매우 우수한데, 특히 센터백 중에서도 최상급의 준족에 순간속도와 민첩성을 보유하고 있다. 세리에 A 센터백들 중에서도 가장 빠른 발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빠른 발을 이용한 1대1 대인 수비와 광활한 뒷공간을 커버하는 플레이는 토모리가 가장 자신 있어하는 플레이 중 하나다. 라인을 많이 끌어올리는 축구를 하더라도 토모리가 빠른 수비 복귀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격적인 축구가 가능하다. 게다가 결정적인 찬스가 나더라도 빠르게 따라잡아 절묘한 태클로 공을 빼내기 때문에 상대 공격수에게는 상당히 짜증나는 유형의 센터백이다.

속도에 더해 탄력적이면서도 단단한 체격을 갖추고 있어 1대1 상황에서 힘 있는 바디 체킹을 펼친다. 수비력도 유망주 시절부터 상당히 각광받은 선수로, 상술한 것처럼 빠르게 따라잡아 절묘하게 공만 빼내는 태클을 시도하는데, 최종 수비 상황에서도 침착해서 결정적인 태클로 수비를 해내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다. 워낙 태클이 정교하고 발이 빠르다 보니, 수비 시 옐로나 레드카드를 받는 경우가 상당히 드물다.

토모리가 단점으로는 공중볼 경합이 꼽혔었다. 물론 타 센터백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키가 크지 않다는 부분도 크지만 사실 토모리의 점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키가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첼시 시절에는 공중볼 상황에서 공의 낙구 지점을 잘 파악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첼시 시절에는 헤더를 이용한 득점보다는 세컨 볼 상황을 노리거나 역습을 저지하는 역할을 맡았다. 밀란으로 이적한 이후에는 위치를 파악하고 선점하는 움직임에 있어서는 발전을 이뤘다. 하지만 다른 센터백에 비해 여전히 공중볼에는 약한 모습이다.

다만 빌드업 전개 부분에서는 아쉬운 모습을 보인다. 빌드업 상황에서 안전 지향적인 패스를 선호하며 토모리에게서 롱패스 같은 전진 패스를 통한 직접적인 빌드업 전개를 기대하기는 힘들다. 물론, 간헐적인 볼 운반과 가끔 나오는 전진패스, 약발 사용으로 빌드업에 도움을 주기는 하지만, 실제적인 빌드업 주도는 주로 다른 센터백 파트너가 담당한다. AC밀란 초반에는 키예르나 로마뇰리 등의 빌드업 좋은 파트너가 패스를 뿌려주는 역할을 주로 맡았었다. 특히 20-21시즌 키예르 같이 롱패스가 좋은 파트너를 만나면 토모리의 평범한 빌드업 능력이 많이 보완되는 편이다. 22-23시즌 말부터는 전진패스가 날카로운 치아우가 빌드업을 많이 관여하며 토모리는 그에 비해 관여가 적은 편이다.

경기력의 기복이 있다는 점도 토모리의 우려스러운 부분 중 하나였다. 유망주였던 첼시 시절에는 경기마다 한 번씩 결정적인 실수를 저지르는 바람에 주전으로 자리잡지 못했다. 당시에 적은 경험을 가지고 최상위권 리그였던 프리미어리그에서 살아남기가 쉽지는 않았다. AC 밀란으로의 이적 이후 꾸준히 주전으로 뛰면서 실수의 횟수가 대폭 감소하였다.[5] 특히 AC 밀란으로 갓 이적했을 때에는 베테랑 수비수 시몬 키예르와 좋은 호흡을 보여주었다. 경험이 많고 빌드업을 주도하는 키예르의 옆에서 그의 지휘를 받았기에 토모리도 빠른 발을 통한 광활한 커버로 시너지를 발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우승 시즌에는 장기 부상이었던 키예르를 대신한 칼룰루와 파트너십을 발휘해 훌륭한 수비를 선보이며 거의 완벽한 시즌을 보냈다. 22-23 시즌에는 리그에서 다시금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수비 위치 선정이나 맨 마킹에서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23-24시즌에는 21-22시즌의 경기력을 회복하며 거의 기복이 없는 단단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5-26시즌부터는 놀랍게도 옛 센터백 파트너였던 칼룰루처럼 쓰리백의 우측 스토퍼와 포백의 우측 풀백을 동시에 소화하는 역할을 맡았다. 수비시에는 352의 우측 스토퍼, 공격시에는 토모리가 우측 풀백으로 올라가고 수비시에 우측 윙백이었던 살레마커스가 우측 윙으로 올라가며 442 혹은 4231을 구성하는 하이브리드 포메이션을 구성한다. 이는 토모리가 풀백으로 진화하여 가능한 것이다. 게다가 수비시 우측 스토퍼라 공중볼에 대한 약점도 가려지며 일대일 수비에서 거의 완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장 의외인 것은 크로스가 꽤 좋은 편이며 전진 드리블은 많지 않지만 적절한 타이밍에 오버래핑하며 볼키핑과 패스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센터백일때보다 풀백일때 빌드업이 더 좋아졌다는 것이다. 바르샤의 쥘 쿤데처럼 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특히 살레마커스와 좋은 호흡을 보이고 있어 이전에는 약점이었던 밀란의 오른쪽 라인이 리그에서 손꼽히는 강한 포지션이 되었다.

파블로비치-가비아-토모리는 세리에 A 내에서 최고의 수비라인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평가에는 토모리가 오른쪽 스토퍼와 풀백을 동시에 소화한 부분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빠른 스피드와 탄탄한 대인 수비를 바탕으로 밀란의 수비를 책임지는 리그 내 최고 수비수 중 하나이다.

한마디로 첼시의 걸레 수비로 대변되는 대인마크 실력에 이탈리아의 전술적인 움직임을 배운 센터백으로 거듭난 선수이다. 선수 본인도 이탈리아의 전술을 체득하며 발전했다고 언급할 정도이다. 공중볼과 빌드업은 평범하지만 스피드, 몸싸움, 태클, 일대일 수비, 넓은 커버 범위까지 고루 갖춘 AC 밀란의 핵심선수이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 잉글랜드 U‑20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U‑20 월드컵: 2017

4.2. 개인 수상

5. 여담

  • 토모리의 풀네임인 올루와피카요미 토모리(Oluwafikayomi Tomori)는 '신이 나를 기쁨으로 채워줬다'는 뜻이다.
  • 상술했듯이 풀네임이 상당히 길고 어려운데 2019-20 시즌에는 역시 풀네임이 길고 어려운 태미 에이브러햄과 함께 두 사람이 맹활약할 때 풀네임을 적으며 찬양하는 팬들이 존재했다.
  • 유스 시절 연습 경기에서 디에고 코스타의 코뼈를 부러뜨린 적이 있다고 한다. 다행히도 코스타가 그에게 패악질을 부리진 않은듯.
  • 가장 존경하는 선수는 존 테리이다. 같은 국적, 포지션에 유스 선배인 선수이니 당연하다는 반응.
  • AC 밀란 입단 당시 23번을 고른 이유는 자신이 밀란에 온 당시 나이가 23세이며, 마이클 조던을 존경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축구와 학업을 병행하고 있다고 한다. 무역업 관련 회계사인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경영학을 배우고 있으며 선수 본인도 배우려는 의지가 확고하다고.
  • U-20 월드컵에서 만난 이승우와 친분이 생긴 듯 하다. 첼시 FC 데뷔골을 넣었을 때 인스타그램으로 이승우가 축하해주었다.

6.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AC 밀란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Pietro Terracciano(25-26).png
파일:Pervis Estupiñán(25-26).png
파일:Samuele Ricci(25-26).png
파일:Koni De Winter(25-26).png
파일:Santiago Giménez(25-26).png
1 <rowcolor=#fff> 2 4 5 7
피에트로 테라치아노
Pietro Terraccian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1990.03.08 ([age(1990-03-08)])
2025~2027
페르비스 에스투피냔
Pervis Estupiñán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DF
1998.01.21 ([age(1998-01-21)])
2025~2030
사무엘레 리치
Samuele Ricc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2001.08.21 ([age(2001-08-21)])
2025~2029
코니 더빈터르
Koni De Winter

파일:벨기에 국기.svg | DF
2002.06.12 ([age(2002-06-12)])
2025~2030
산티아고 히메네스
Santiago Giménez

파일:멕시코 국기.svg | FW
2001.04.18 ([age(2001-04-18)])
2025~2029
파일:Ruben Loftus-Cheek(25-26).png
파일:Rafael Leão(25-26).png
파일:Christian Pulisic(25-26).png
파일:Adrien Rabiot(25-26)..png
파일:Luka Modrić(25-26).png
<rowcolor=#fff> 8 10 (VC) 11 12 14
루벤 로프터스치크
Ruben Loftus-Chee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6.01.23 ([age(1996-01-23)])
2023~2027
하파엘 레앙
Rafael Leão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FW
1999.06.10 ([age(1999-06-10)])
2019~2028
크리스천 풀리식
Christian Pulisic

파일:미국 국기.svg | MF
1998.09.18 ([age(1998-09-18)])
2023~2027
아드리앙 라비오
Adrien Rabiot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5.04.03 ([age(1995-04-03)])
2025~2028
루카 모드리치
Luka Modrić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MF
1985.09.09 ([age(1985-09-09)])
2025~2026
파일:Mike Maignan(25-26).png
파일:Christopher Nkunku(25-26).png
파일:Youssouf Fofana(25-26).png
파일:Fikayo Tomori(25-26).png
파일:Zachary Athekame(25-26).png
16 (C) <rowcolor=#fff> 18 19 23 24
마이크 메냥
Mike Maignan

파일:프랑스 국기.svg | GK
1995.07.03 ([age(1995-07-03)])
2021~2026
크리스토퍼 은쿤쿠
Christopher Nkunku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7.11.14 ([age(1997-11-14)])
2025~2030
유수프 포파나
Youssouf Fofana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9.01.10 ([age(1999-01-10)])
2024~2028
피카요 토모리
Fikayo Tomori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7.12.19 ([age(1997-12-19)])
2021~2027
자카리 아테카메
Zachary Athekame

파일:스위스 국기.svg | DF
2004.12.13 ([age(2004-12-13)])
2025~2030
파일:David Odogu(25-26).png
파일:Ardon Jashari(25-26).png
파일:Davide Bartesaghi(25-26).png
파일:Matteo Gabbia(25-26).png
<rowcolor=#fff> 27 30 31 33 46
데이비드 오도구
David Odogu

파일:독일 국기.svg | DF
2006.06.03 ([age(2006-06-03)])
2025~2029
아르돈 야샤리
Ardon Jashari

파일:스위스 국기.svg | MF
2002.07.30 ([age(2002-07-30)])
2025~2030
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
Strahinja Pavlović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DF
2001.05.24 ([age(2001-05-24)])
2024~2028
다비데 바르테사기
Davide Bartesagh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2005.12.29 ([age(2005-12-29)])
2025~2030
마테오 가비아
Matteo Gabbi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1999.10.21 ([age(1999-10-21)])
2017~2029
파일:Alexis Saelemaekers(25-26).png
파일:Lorenzo Torriani(25-26).png
파일:AC 밀란 로고(2025-26 HOME).svg
파일:AC 밀란 로고(2025-26 HOME).svg
파일:AC 밀란 로고(2025-26 HOME).svg
<rowcolor=#fff> 56 96
알렉시스 살레마커스
Alexis Saelemaekers

파일:벨기에 국기.svg | FW
1999.06.27 ([age(1999-06-27)])
2020~2027
로렌초 토리아니
Lorenzo Torrian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2005.01.31 ([age(2005-01-31)])
2024~2030
구단 정보
<colbgcolor=#000> 단장: 파일:UEFA EURO ALB.png 이글리 타레 / 감독: 파일:UEFA EURO ITA.png 마시밀리아노 알레그리 / 홈구장: 산 시로
출처: AC 밀란 공식 웹사이트, 트랜스퍼마크트,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09월 04일
}}}}}}}}} ||
[1] 자신의 본명을 발음하는 토모리[2] 데뷔 초부터 풀백을 소화한 이력이 있었고, 25-26 시즌부터 하이브리드 쓰리백의 오른쪽 스토퍼와 오른쪽 풀백을 소화하고 있다.[3] 유로 2020때도 외국에서 뛰는 선수 중 최종명단에 뽑힌 선수는 분데스리가의 도르트문트에서 뛰는 제이든 산초, 주드 벨링엄 이 둘이 유일했다.[4] 물론 주드 벨링엄처럼 압도적인 기량을 선보이면 선발도 모자라 아예 갈리기까지한다.[5] 이에 대해 토모리는 밀란에서 수비에 대한 부분을 새롭게 배운 것이 많다고 밝히기도 했다.[6] PL 5R 울버햄튼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