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07:26:02

플라즈마 병기

Plasma weapon

1. 개요2. 현실3. 플라즈마 병기가 등장하는 작품
3.1. 게임3.2. 소설3.3. 영화3.4. 만화 / 애니메이션

1. 개요

여러 SF 매체에서 나오는 병기 체계 중 하나. 실탄이 아니라 플라즈마를 쓰는 무기이다. 주로 플라즈마를 '쏘는' 총기로 등장하나, 보호막을 만들거나 칼날로 쓰는 사례도 가끔 있다. 에너지 구체를 쏘는 총기가 일반적이며, 색깔 또한 녹색, 하얀색, 파란색 등 다양하다. 플라즈마 자체가 상당한 고온인걸 감안해서인지 상대는 맞은 부위가 증발하거나 녹아내리는 등 보통 매우 강력한 병기로 묘사된다.

2. 현실

SF 작품에서 휴대용 개인화기부터 고정 포대까지 다양하고 강력한 무기로 묘사되지만, 현재 군사 기술력으로는 고온의 플라즈마를 발사하는 것이 어려워서 플라즈마 병기를 실제로 제작하는 것은 아직까진 무리이다.

특히 영상물에서는 빛나는 구체를 느린 속도로 쏴보내는 식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은데, 불꽃에 가까운 플라즈마의 특성을 고려하면 현실적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형태다. 날아가면서 불꽃처럼 흩어져버리기 때문. 그래서 자기장을 이용해 플라즈마를 가둬서 쏜다는 설정이 많이 나오지만 아직까지는 기술적으로 어렵다. 이 플라즈마를 가두어놓는 자기장을 쏘는것 자체도 무기가 될수 있다지만 이쪽은 플라즈마와 다르게 자기장에 영향을 거의 안받는 부도체를 대상으로할 경우 의미가 없을정도로 효율이 떨어진다.

다만 플라즈마를 도넛 형태로 발사하는 기술은 이미 개발되었다.참조 비록 발사된 플라즈마는 2피트 가량 움직이고 수십 밀리초 동안 유지되는 게 고작이긴 하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를 Self-Organized Plasma라고 하며 영상 속의 플라즈마는 그 중 일부인 Compact Toroid 혹은 그 중에서도 Spheromak 형태로 보인다. 실제로 1990년대미국에서 MARAUDER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는데, Spheromak 형태의 플라즈마를 쏴서 목표를 타격하는 무기체계를 연구하였다. 2000년에는 무려 초속 10,000km 의 속도와 착탄 시 2.2kg 의 폭약이 내는 에너지량을 달성했다고 한다.

플라즈마를 유지하는 기체가 실체를 가지는 만큼 미래의 무기를 가정할시 실제 고체 탄두를 쏘아보내는 무장을 대체할 무기로 고려되며, 기본적으로 빛이기 때문에 표면에 간단하게 산란처리만 해도 짧은 시간 조사시의 위력이 경감된다는 문제를 품은 레이저 병기보다 일단 플라즈마를 구성하는 유체가 목표의 표면에 닿으면 닿은 부분으로 열에너지를 대부분 전달이 가능하기에 방호가 까다로워 미래에 채택될 병기 중 하나로서 생각되기도 하지만, 이 경우 실제로는 화염방사기 비슷한 효과에 가까워서 용도가 제한적이다. 게다가 발사한 순간부터 가열한 플라즈마가 급속도로 식어버리는 문제도 있다.

플라즈마 자체의 특성상 레일건과 유사하게 전자기로 유도가능하다. 그래서 레일건을 발사하는 것과 같이 자기장으로 구속한 플라즈마를 전자기로 유도해 발사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한일이며 전자기의 세기가 충분하고 플라즈마가 되는 원료의 공급만 충분하다면 얼마든지 무기로도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구조나 방식이 더 간단한 레일건도 겨우 배치되는 마당에 출렁이는 성질을 가진 탄체를 발사하는 병기의 개발이 어려운 것은 당연한 일이다. 플라스마 구속은 핵융합 발전로 설계 과정에서 시도되고 있다. 그리고 실 사용에 의미있을 만큼 큰 에너지 규모에서는 아직도 실현이 채 안 된 상태이다.[1] 가까운 미래에 수학적 진보가 이뤄져 자기장을 다루는 데 골머리를 안 싸매도 되거나, 보다 진보된 초전도체가 개발되거나, 플라즈마를 다루는 상황을 시뮬레이팅할 전산장치의 성능이 충분히 확보된다면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물론 현대의 기술력으론 극초음속으로 이동하는 물체도 완벽하게 다룰 수 없는 시점에서 그렇게 하긴 아직 어렵다.

다만 플라즈마를 고속으로 쏘아내는 무기 말고도 다른 방식의 무기가 개발 중이다. 먼저 레이저를 발사하여 목표물 주위의 공기를 플라즈마화하고, 그 다음에 상대 주위에 분포하게 된 플라즈마 덩어리에 다시 레이저로 자극을 가하여 마치 폭풍처럼 휘몰아치게 하는 방법이다.

3. 플라즈마 병기가 등장하는 작품

3.1. 게임

  • 배틀테크
    설정상 일반적으로 배틀테크 세계에서 화염방사기라 불리는 물건은 정확히는 핵융합 화염방사기라는 물건으로, 핵융합 엔진 내에서 만들어진 플라즈마를 자기장에 가둬서 고온 고압 상태로 방출하는 무장이다.[3] 그 위력은 실로 어마어마해서 콘크리트 및 철판을 통째로 녹이며 화염방사기 발사 영역 안의 생명체들은 그대로 탄화된다. 물론 배틀메크떡장갑에야 잘 먹히지는 않지만, 이건 통상적인 장갑파괴가 아니라 과열을 통해 적 메크를 제압하는데 사용된다. 이 화염방사기를 다루는 유명한 메크파이어스타터이다. 다만 게임에선 단순화라는 명목으로 위력 설정은 적용이 되지 않는다. 성전시대에는 이 화염방사기의 사정거리 연장 버전인 ER 화염 방사기가 등장하였다.
    또한 이 핵융합 화염방사기에서 파생된 플라즈마 라이플과 플라즈마 포라는 무장도 있는데, 이것들은 핵융합 엔진 내에서 만들어진 플라즈마를 단열 폼으로 형성된 얇은 셸 케이싱에 봉인해서 실탄 화기의 탄환처럼 가속시켜 발사하는 형태의 무장이다. 표적에 명중하여 셸 케이싱이 깨지면 안의 플라즈마가 새어나와 화염방사기처럼 지글거리는 화염으로 피해를 입히는 방식으로, 사정거리가 보다 연장되었고 보다 많은 양의 열기를 쌓을 수 있긴 하나 일단 기본적 특성은 핵융합 화염방사기와 대동소이하다.
  • 스타 트렉 온라인 - 에너지 무장과 발사체 무장의 속성 중 하나로 등장한다. 에너지 무장은 2.5% 확률로, 발사체 무장은 적중 시 10초간 실드를 무시하는 선체 피해를 준다. 특이사항이라면 플라즈마 어뢰는 고출력 어뢰를 사용했을 때 어뢰를 여러 개 발사하는 것이 아닌 중 플라즈마 어뢰 하나를 발사한다. 보그 집합체와 로뮬란 공화국이 플라즈마 무기를 사용하며, 로뮬란 공화국 함선의 기본 무장 속성이다.
  • 아머드 코어 시리즈 - 대개 탄속이 늦고 단발 화력이 높은 대구경 에너지 무기로 등장한다.[5] 실탄계의 그레네이드와 함께 대표적인 고화력 무기로, AC시리즈 대대로 내려오는 똥파워 무기인 카라사와 역시 PS1 작품군에서는 레이저나 하이 레이저가 아닌 플라즈마 소총으로 등장했다. 이후 PS2계 작품군까지 쭉 이런 형태의 입지를 가져오다가 4계에서는 대규모 ECM 폭발을 전개해 레이더기능 마비와 프라이멀 아머 감소 능력을 지닌 특화형으로 등장했고, V계에서는 탄속이야말로 전 시리즈 중 가장 느린 대신[6] 강력한 단발화력에 의한 관통력과 높은 연사력에 의한 DPS를 위주로 한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근거리 사격 무기로 입지를 굳혔다.
  • 엑스컴 리부트 시리즈 - 외계인의 플라즈마 화기
    이 쪽은 플라즈마가 점성이 높은 액체 같은 형태로, 물총처럼 꿀렁대면서 나간다. 레이저나 구체 같은 형태보다는 그나마 현실적인 묘사. 그 때문에 외계인들이 쓰는 플라즈마 화기 중에는 저격소총이 없다. 외계인들의 기술 수준으로는 플라즈마를 원거리에 고속으로 투사할 수는 없다고. 인류가 역설계하거나 노획해서 쓰는 플라즈마 권총과 소총 등도 마찬가지다. 다만 인류는 이걸 역설계해서 레이저처럼 나가는 플라즈마 저격총이나 외계 금속을 플라즈마로 가속하여 날리는 합금 캐넌을 개발하는 등 한술 더 뜨는 모습을 보여준다. 외계인 고문의 힘은 위대하다 파이어스톰과 함께 인류가 개발한게 외계인 제품보다 뛰어난 몇 안되는 케이스다. 엑스컴 2에서는 지구를 점령하는데 성공하면서 기술발전도 시켰는지 외계인의 플라즈마 화기도 레이저 형태로 나간다. 그런데 기술만 발전했지 의식수준은 전혀 발전하지 않았는지 여전히 외계인측 저격총은 없다.(...) XCOM측 연구결과를 들어보면 외계인의 플라즈마 화기는 언제 폭발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상당히 불안정[7]한데, 엘더가 자기휘하 외계인들의 목숨을 전혀 귀하게 여기지 않아서 이딴 물건을 개선도 안시키고 그냥 싼맛에 생산해 쥐어주고 있는거라고. 이 결점 때문에 저격총 같은것도 만들지 못한듯 하다. 이후 엑스컴: 키메라 스쿼드에서는 전쟁이 끝나고 버려진 플라즈마 화기를 범죄세력이 노획해서 이용하게 되었고, 키메라 스쿼드는 XCOM시절에 사용하던 인간측의 플라즈마 화기를 이용한다.
  • 테라 인빅타 - 근미래 하드SF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에서 플레이어와 외계인이 사용 가능한 무기. 플레이어는 후반 연구를 통해 해금할 수 있다. 시바 스타MARAUDER 프로젝트에서 따온 요격 불가능한 고속 저중량 장거리 무기. 중형급 이상 외계함선도 장착하며, 인류측의 함선장갑이 얇다면 멀리서 날라온 고속 플라즈마 덩어리 한두방에 무력화 당할수도 있다.
  • 플래닛사이드 2
    SF MMOFPS게임 플래닛사이드 2에 등장하는 세개 팩션 중 하나인 바누 자치국의 무기체계는 대부분 플라즈마이다. 특징으로는 무낙차 내지는 저낙차, 저반동, 고정확도, 거리당 높은 데미지 감소율을 지니며, 일부 무기[8]를 제외하고는 죄 플라스마 병기이다. 가장 미래적인 느낌이 난다며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고 뿅뿅거리는게 총 쏘는 맛이 안 난다는 사람들도 있어 화약 무기를 주로하는 테란 공화국이나 코일건을 사용하는 신흥 연합국에 비해 호불호가 갈린다.
  • 홈월드
    여기서 나오는 플라즈마 무기는 대부분 푸른 구체를 발사한다. 폭격기, 강습 프리깃이 무장하고 있으며 설정상 핵융합로에서 플라즈마를 끌어들여 구체 형태의 자기장 셸에 가둔 다음 실탄 화기의 탄환처럼 가속시켜 발사한다고 한다. 표적에 명중해서 셸이 깨지면 안의 플라즈마가 새어나와 피해를 입히는 방식으로, 배틀테크의 플라즈마 라이플 및 플라즈마 포와 비슷한 설정이다.
    홈월드 캐터클리즘에서는 이보다 더 발전된 에너지 캐논이 있으며 이걸로 업그레이드하면 전 유닛이 기존의 매스 드라이버에서 울긋불긋한 빛깔의 플라즈마 구체를 발사한다. 데미지도 준수하고 유도 기능이 있어서 덕분에 전투기, 콜뱃 클래스는 망했어요
    홈월드2에서는 폭격기밖에 무장하고 있지 않으며 프로제니터 드레드노트 하부에도 플라즈마 무기가 장착되어 있는데 페이즈 캐논을 쓰지 못해도 이것만으로도 대부분의 함급을 상대할 수 있을 정도로 데미지가 절륜하다.
  • KKND2
    조합유닛을 만들 때 추가 가능한 무기부품 중 하나. 소형 조합유닛부터 붙이는 게 가능한 병기지만, 그 위력은 '이게 과연 초반용 맞아?'싶을 정도로 제법 강력하다. 특히 대 건물 파괴력이 아주 뛰어나, 조금만 아차하면 금방 녹아 버리는 건물들을 볼 수 있다.
    서바이버와 시리즈9의 플라즈마는 대전차포의 형태를 하고 있어 원거리 공격이 가능하며[9], 돌연변이의 경우 단거리인 대신 유닛 주변 360도 사방에 플라즈마를 분사해 범위 피해를 주는 형태를 하고 있다. 위력은 돌연변이 쪽이 가장 강력하지만 사정거리 문제로 실질적으로는 밸런스가 맞는 편.
    후반부에 등장하는 조합부품인 아틸러리와 비교하면 어느 정도 보조하는 성격의 공성병기.
  • 타이탄폴 시리즈: 타이탄의 주무기 중 플라즈마 레일건이 있다.어차피 그거나 그거나 살인병기나 다름없는데?? 충전형이며 굳이 충전을 안해도 쏠 수는 있지만 대미지는 기대하지 말자. 타이탄폴 2에서는 노스스타의 주력 무장이다.
  • Fall Guys - 아이온 스러스터: 플라즈마 레이저를 발사하는 장애물 중 하나로 등장하며 폴 가이가 그 위에 서면 해당 폴 가이를 허공으로 날려버린다. 가끔씩은 폴 가이에게 도움이 되는 장애물로 변하지만 대부분은 폴 가이의 이동을 막기 위해서 마련한 장애물이라고 할 수 있다.
  • 산나비 - 감독관 말살 모드
    감독관은 챕터 3의 보스이자 마고 그룹의 산하 계열사 마고 전자의 중앙 공장을 관리하는 자율행동 슈퍼컴퓨터이다. 챕터 최후반부 중앙 공장 폐기 절차가 발동하자 감독관은 말살 모드로 변경되며 탈이온화 플라즈마 가속기를 장착해 공장 내부를 파괴한다. 설정상 위력은 전략 병기 즉 핵 병기에 맞먹는 위력이며 설정에 맞게 인게임 내에서는 맵과 오브젝트 뒤에 숨은 플레이어를 제외하고 모든 오브젝트를 재로 만드는 모습을 보인다.

3.2. 소설

  • 제인 에어 납치사건
    작중에서 군수업자 잭 시트가 막대한 돈을 투자해 만들려고 시도했으나. '천만 달러' 를 들였음에도 상기의 이유로 작동하지 않고, 절대 만들 수 없다는 것(....) 을 알게 되어 산문의 문을 탈취해. 플라즈마 소총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작품세계로 가서 그것을 실체화해 가지고 나오려는 음모를 꾸민다.[10] 마지막에 소원대로 플라즈마 소총이 있는 세계로 가나 했더니(...) 누군가 책을 시집으로 바꿔 두는 바람에 텍스트의 세계로 가버리고, 주인공이 해당 산문의 문을 그 직후에 파괴해버린 탓에 도로 나오지도 못하게 되었다.(...)

3.3. 영화

3.4. 만화 / 애니메이션



[1] 토카막 말고 더 복잡한 구조로 2억도 이상의 플라즈마를 오랜 시간 유지했다는 이야기도 있다.[2] 정확히는 공구다.[3] 다만 이 핵융합 화염방사기와는 별개로 재래식 전투 차량에 탑재하기 위한 가연성 연료 기반의 차량용 연료형 화염방사기도 또 따로 존재하는데, 물론 이쪽은 일반적인 방식의 화염방사기이기 때문에 핵융합 화염방사기와는 달리 플라즈마 병기로는 분류되지 않는다.[4] 일반 전차 모드의 포가 90mm 트윈 플라즈마 캐논이고 공성모드에서는 그보다 더 위력이 절륜한 180mm 텅스텐 포탄을 쏜다.[5] 게임에서 등장하는 레이저 라이플도 엄밀히는 광학 병기가 아닌 플라즈마 병기에 해당한다. 탄속은 광속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레이저라는 이름답게 상당히 빠른 편이다.[6] 일반적인 실탄 무기는 물론 HEAT탄보다 느리다. 사실상 사격계 무기 중에서는 최저속이다[7] 다른것도 아니고 고에너지 플라즈마이므로, 폭발하면 사용자 혼자 죽는걸로 그치지 않고 사용자 주변한테도 피해를 줄수 있다고 한다. 아쉽게도 인게임에서 이런 설정은 구현되지 않았다. 만일 적용되면 게임이 너무 쉽지 않을까?[8] 랜서, 볼텍스, 샤론HRB 물론, 샤론의 경우 스타워즈에 나오는 블래스터와 비슷하므로, 플라스마에 더 가깝다.[9] 하지만 후반부에 나오는 저거넛이나 미사일 게/딱정벌레, 그림 리퍼보다는 사정거리가 짧다.[10] 이 소설에선 책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며 소설 속에 들어가 더욱 실감나게 작품을 즐기는 관광상품도 존재한다. 다만 이야기에 간섭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기에 관광시에는 작품 속 세계관에 위배되지 않는 드레스코드를 준수시키고 누군가가 나쁜 마음을 먹고 고전 명작 등을 왜곡하지 못하게 경찰 조직을 신설해 감시한다는 설정. 그러나 사건을 해결하고 떠나려던 주인공이 고민 끝에 제인이 로체스터에게 돌아가기로 마음 먹게 된 계기인 누군가(로체스터)가 제인을 부르는 목소리를 자신이 맡아 하고 때문에 본래 선교사의 아내가 되어 떠나는 결말이었던 본작의 제인 에어는 우리(현실)가 아는 그 결말로 변조되지만 딱히 작품성을 해친 것도 아니고(실시간으로 결말부가 변조되는 걸 보던 다른 사람이 "이건 샬롯 브론테 스타일이지만 완전히 다르다."고 감탄할 정도였다.) 오히려 독자들이 한번 정도는 상상해봤을 최고의 결말을 만들어 많은 사람들의 극찬을 받았다. 이후 에필로그에선 현실 세계의 협조를 받은 로체스터와 제인의 고용인에게 감사인사와 시간이 되면 놀러오라는 초대권유를 받게 된다.[11] 전작의 "집시 데인저"의 후계 기종, 손이 변형되는 플라즈마 캐논도 여전히 장비중이다.[12] 설정상 장착은 되어있으나 사용되지 않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