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4chan/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4chan/사건 사고#2025년 4월 사이트 해킹|2025년 4월 사이트 해킹]]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chan | ||
| ||
<colbgcolor=#ffdead,#ffdead><colcolor=#000> 사이트 종류 | 이미지보드 | |
개설일 | 2003년 10월 1일 | |
창립자 | 크리스토퍼 풀(moot) | |
소유자 | 4chan community support LLC. (니시무라 히로유키) | |
회원가입 | 없음[1] | |
링크 | NSFW | |
SFW | | |
SNS | | |
| ||
공식 마스코트인 네잎클로버와 코이와이 요츠바[2] |
1. 개요
4chan(포챈)은 미국의 이미지 보드 사이트이다.2. 연혁
moot이 후타바 채널 게시판 소스를 번역, 포팅해 2003년 10월에 만들었다. 후타바 채널의 비공식 자매 사이트를 표방하고 있다.2011년 11월 17일에 인터넷 검열제 SOPA에 반대하는 의미로 서버가 제한되었다. "검열 시행시 4chan 접근이 차단될 것이 분명하니 이 법안이 통과되지 못하게 하자." 는 의미다.
2013년 10월에 10주년을 맞았고, The Daily Dot 웹진에선 이를 기념하는 기사를 작성하였다.
2015년 1월 22일부로 운영자인 Moot이 은퇴를 선언하고 9월 21일 2ch의 설립자 니시무라 히로유키가 운영을 맡게 되었다.
2016년 12월 15일 gif, jpeg 등의 출처가 유해사이트로 지정되었다.
|
2017년부터 한동안은 코시미즈 사치코가 로고 옆에 있었다. |
2020년 11월 현재 4chan은 매월 2천만 명 이상의 유저들이 접속하고 있으며, 매일 90만 개 이상의 게시물이 만들어지는 최대 규모의 익명 SNS이다.
2025년 4월 15일 사이트가 해킹당하여 서버가 다운되었다. 약 11일 이후인 4월 26일에 사이트가 복구되기 시작했다.
3. 분위기
와패니즈가 여기에서 처음 유행했으며 자포네스크 양덕후가 많아 일본어로 작성된 사이트 소개 페이지도 있을 정도다. 장애소녀의 제작이 시작된 곳도 여기./b/ 등 게시판에서 벌어진 여러 일들로 인한 악명때문에 막장 사이트로 여기는 사람들도 일부 있지만, 진짜 막장은 /b/나 /pol/ 정도에 불과하며 막상 들어가보면 극히 정상적인 커뮤니티 사이트로 영어가 된다면 눈팅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완전한 익명성이 보장된다는 점이 가장 매력적.[3] 이 곳 역시 디시인사이드와 마찬가지로 (4chan의 막갤/코갤/야갤이라고 부를 수 있는 /b/ 같이) 특정 게시판에서 막장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된다.
사건 사고도 많이 일어났지만 사이트 자체가 고소먹은 적은 아직 없다.[4] 유해사이트로 못 들어가는 장소나 나라들도 있다. 한국에서는 2015년 3월 27일 경에 갑자기 유해사이트로 지정되었으나[5], 4chan은 https 연결을 지원하기 때문에[6] 큰 문제는 아니다. 지금은 잘 된다.
4. 영향력
영미권 웹에서 영향력 있는 커뮤니티 중 하나로, 인터넷의 밈 중 대부분은 이 곳이 원조다. 서브컬쳐계에서 나름 유명한 사람들이 방문한 적도 있다. 바로 위에도 나와 있듯이 로켓 딘 홀, 마르쿠스 페르손[7], 로렌 파우스트, 로그 호라이즌의 작가가 /a/에 찾아와 Q&A를 진행한 적도 있고, 카미야 히데키가 /v/로부터 원더풀 101에 관한 선물을 받은 뒤 직접 인증하기까지 했다. 이외에도 2015년 3월 말에 스타 워즈 팬 필름으로 유명세를 얻은 OtaKing은 /m/ 게시판의 고정닉 유저고, 유명 에뮬레이터인 RetroArch의 개발자 Squarepusher 역시 /vg/ 게시판의 에뮬레이션 스레드에 자주 방문하곤 한다.5. 규칙
자유로운 스레드로 유명한 사이트지만 엄연한 규칙들은 존재한다. /b/조차도 기본적인 규칙은 있다. 규칙에는 모든 게시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글로벌 룰(global rule)과 보드별로 존재하는 특정 룰(specific rule)로 구분된다.규칙 일람. 글로벌 규칙들은 특별히 예외가 적용되지 않는 한 모든 게시판에서 준수해야 한다.만약 규칙을 준수하지 않는다면 사용한 ip주소를 대상으로 최소한 경고, 보통 차단 조치를 당한다. 일반적인 규칙 위반으로 인한 차단은 보통 1-3일 정도 지속되는데 이 기간 동안은 소명할 수도 없고 자숙의 기간처럼 기다려야 한다. 이보다 차단 기간이 더 길 경우(30일, 영구차단 등)에는 차단 소명을 보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제재 기록 가운데 일부는 일종의 본보기로 사이트에 공개적으로 게시된다.
물론 ip 우회를 한다면 즉시 차단에서 벗어날 수는 있지만 발각시 우회 혐의로 30일 차단을 당하게 되며 심하면 ip 대역이 통째로 차단당하거나 영구차단 조치될 수도 있다.
글로벌 룰은 다음과 같다. 각 게시판 별 규칙은 게시판 문서 참조.
- [ 펼치기 · 접기 ]
- || 번 || 내용(원문) || 의미 ||
1 You will not upload, post, discuss, request, or link to anything that violates local or United States law. 작성자의 현지 국가의 법, 또는 미국의 법을 위반하는 사항에 대해 업로드, 글 작성, 토론, 요청, 링크 걸기를 하면 안된다. 2 You will immediately cease and not continue to access the site if you are under the age of 18. 18세 미만 미성년자 활동 금지. 미성년자였다면 즉시 사이트에서 활동을 중단해야 한다. 3 You will not post any of the following outside of /b/:
a. Troll posts
b. Racism
c. Anthropomorphic ("furry") pornography
d. Grotesque ("guro") images
e. Loli/shota pornography
f. Dubs or GET posts, including 'Roll for X' images/b/ 이외의 보드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게시가 금지된다.
a. 트롤링 게시글
b. 인종차별
c. 퍼리(수인) 포르노
d. 고어 이미지
e. 로리/쇼타 포르노
f. Dubs또는 GET 같이 게시글 번호에 대한 글[8], Roll for X 이미지 포함[9]. 즉, 게시글 번호를 가지고 일을 벌리지 말라는 뜻이다.4 You will not post or request personal information ("dox") or calls to invasion ("raids"). Inciting or participating in cross-board (intra-4chan) raids is also not permitted. 개인정보를 요청하여 신상털이를 시도하거나, 좌표를 찍고 화력 지원을 요청하는 행동을 하면 안된다. 4chan 내의 게시판 간 침공(raid)을 하는 것도 금지된다. 5 All boards that default to the Yotsuba B (blue) theme are to be considered "work safe". Violators may be temporarily banned and their posts removed. Note: Spoilered pornography or other "not safe for work" content is NOT allowed. 기본적으로 푸른색 Yotsuba B 테마가 적용된 게시판들은 SFW(건전) 게시판이다. 해당 게시판에서 음란물 같이 불건전한 컨텐츠를 업로드해서는 안된다. 음란물이나 기타 불건전한 NSFW 글들은 스포일러 처리해서 썸네일을 가리더라도 올리는건 허용되지 않는다. 6 The quality of posts is extremely important to this community. Contributors are encouraged to provide high-quality images and informative comments. Please refrain from posting the following:
a. Irrelevant catchphrases or copypasta
Example: "What the fuck did you just fucking say about me, you little bitch?..."
b.Indecipherable text
Example: "lol u tk him 2da bar|?"
c.Irrelevant ASCII macros
d.Ironic shitposting
Example: "upboads for le funy maymay trollololololoxdxdxdxd~~!"
e.Gibberish text
Example: "l;kjdsfioasoiupwajnasdfa"게시글의 퀄리티는 중요하다. 기여자들은 퀄리티가 높은 이미지와 유용한 댓글들을 다는게 권장된다. 다음과 같은 게시글들은 지양하라.
a. 관련 없는 캐치프레이즈나 꾸준글 복붙
b. 해석 불가능한 문장
c. 관련없는 ASCII 매크로
d. 아이러니한 뻘글
e. 횡설수설7 Submitting false or misclassified reports, or otherwise abusing the reporting system may result in a ban. Replying to a thread stating that you've reported or "saged" it, or another post, is also not allowed. 허위 신고 또는 사유를 잘못 접수하는 경우, 아니면 신고 시스템을 남용할 경우 차단당할 수 있다. 자신이 신고당했거나 다른 게시글을 신고하겠다고 밝히는 게시글을 작성, 또는 sage했다고 선언하는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 8 Complaining about 4chan (its policies, moderation, etc) on the imageboards may result in post deletion and a ban. 게시판 내에서 4chan의 규정, 사이트 운영 등에 대해 불만을 토로할 경우 게시글이 삭제되고 차단당할 수 있다. 9 Evading your ban will result in a permanent one. Instead, wait and appeal it! 차단을 우회할 경우 영구차단 당한다. 우회하지 말고 차단소명 기능을 사용해라.faq 10 No spamming or flooding of any kind. No intentionally evading spam or post filters. 게시글 도배는 어떤 것도 해서는 안된다. 고의적으로 도배 방지 필터를 우회하는 것도 안된다. 11 Advertising (all forms) is not welcome—this includes any type of referral linking, "offers", soliciting, begging, stream threads, etc. 홍보 활동은 어떤 종류든 환영받지 않는다. 이는 추천 링크 게시, 제안, 권유, 간청, 실시간 중계 스레드 등을 포함한다. 12 Impersonating a 4chan administrator, moderator, or janitor is strictly forbidden. 4chan의 운영자, 관리자, 청소부 유저들을 사칭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된다. 13 Do not use avatars or attach signatures to your posts. 게시글 작성 시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아바타나 서명을 사용하지 말 것. 14 The use of scrapers, bots, or other automated posting or downloading scripts is prohibited. Users may also not post from proxies, VPNs, or Tor exit nodes. 스크래핑 소프트웨어, 봇, 그 외의 다른 자동화 된 게시 또는 다운로드 용 스크립트의 사용은 금지된다. 또한 유저들은 프록시, VPN, Tor 노드 같은 IP 우회수단을 사용하면 안된다.[10] 15 All pony/brony threads, images, Flashes, and avatars belong on /mlp/. 포니/브로니 관련 스레드, 이미지, 플래시, 아바타들은 /mlp/ 보드에서만 허용된다.[11] 16 All request threads for adult content belong on /r/, and all request threads for work-safe content belong on /wsr/, unless otherwise noted. 요청 게시글은 지정된 게시판에서만 허용된다. 성인 컨텐츠 요청은 /r/에서만, 건전 컨텐츠 요청은 /wsr/에서만 허용된다. 17 Do not upload images containing additional data such as embedded sounds, documents, archives, etc. 사운드, 문서, 아카이브 등의 추가 데이터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하지 말 것.
6. 운영
4chan은 운영자(admin), 관리자(mod)와 청소부(janitor)들이 사이트를 운영한다. 어드민이라고 불리는 운영자는 사이트의 일반적인 운영과 공용 규칙 신설, 폐지, 개정 등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운영 인력 중 최상의 권력을 지닌다.모더레이터라고 불리는 관리자는 공용규칙과 보드 한정 규칙의 집행을 담당한다. 신고가 접수되면 최종적인 판결을 내리는 역할을 하며, 유저들이 신고한 포스트나 스레드를 청소부들이 삭제할 만한 글인지 판단하고 처리한다. 관리자마다 담당하는 게시판이 다른데 한 게시판만 관리하는 경우도 있고 여러 게시판을 한 번에 관리하는 관리자들도 있다.
청소부는 운영 인력의 가장 낮은 등급으로, 접수된 게시글들의 일시적인 조치를 맡는다. 청소부들은 신고된 스레드나 글을 올린 유저를 상대로 30분 임시 밴과 해당 스레드나 글을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은 있으나, 최종적인 처벌 여부는 이를 보고받은 관리자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은 모두 정기적인 모집 기간에 선발하는 자발적 지원자들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돈은 받지 않는다.[12]
여기서 주로 문제가 되는 게 청소부들인데, 이들이 자신들의 시간을 버려가며 돈도 못 벌며 하는 일에 지원하는 동기는 본인들이 활동하는 게시판들을 관리하고 싶어서인 게 뻔할 뻔자다. 뽑히는 방법도 관리자들이 친목을 다지는 IRC에 가서 같이 친목을 하다가 관리자들에게 마음에 들면 높은 확률로 뽑힌다. 주어진 업무만 담당하는 제 3자가 관리하는 게 아니라 게시판 유저 출신이 관리를 하다 보니 공정성은 결여되고 자기 입맛대로만 관리하는 경우가 많다. 관리자들은 본인들이 활동하는 게시판들과 스레드들에 매우 적극적으로 관여하면서 직접 주도하여 친목그룹을 만들어 관리 하는등 매우 막장스럽다. 여러모로 디시인사이드의 마이너 갤러리를 관리하는 매니저(완장)와도 비슷하다.[13] 이런 배경에서 일반 유저들은 janitor들을 janny라는 별칭으로 부르면서, 권력남용을 위해 무보수로 자원봉사하는 호구 백수새끼들이나 자발적 무급 노예 등으로 깐다.[14] 그림으로 표현할 때는 만화 내 친구 아서에서 학교 청소부로 등장하는 개 캐릭터인 모리스 아저씨를 이미지로 사용한다.
7. 디시인사이드와 비교
미국의 사이트라서 굉장히 자유로운 사이트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실상은 오히려 디시인사이드보다도 못한 부분이 많다.[15][16]애초에 4chan의 관리 방식에 불만을 가진 유저들이 만들어낸 게 8chan이다. 이는 4chan과 디시의 운영방식 차이에 기인한다. 4chan 게시판의 규칙은 대충 요약하면 디시의 "XX 관련 사진과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과 별 차이가 없다. 디시에서는 해당 규칙을 강제하지 않고 알바들은 야짤과 도배 같은 행위만 아니면 사실상 터치를 하지 않는 주의지만, 포챈은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기한 정지까지 때린다. 여기까지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문제는 운영진에 있다.
대형 게시판들처럼 유동 인구가 압도적인 게시판이라면 덜 하나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엔 끔찍하다. 특히 이전 오너였던 moot보다도 방임주의 성향이 강한 hiro때문에 근래 들어서는 관리자와 소통이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다. 피드백 IRC가 존재하기는 하나 사실상 아무짝에도 쓸모없다... 덕분에 운영진에 대한 불만은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 중.
8. 레딧과의 관계
레딧을 좋게 보지는 않는 편.[17] 레딧의 투표 시스템이 그 주 이유인데, 이는 군중심리를 유발하기 딱 좋은 환경을 형성하고, 다수의 동의를 얻지 못 하는 내용의 댓글은 묻혀버리는 등, 자유를 무엇보다 중요시 하는 4chan에선 곱게 봐줄리가 없다. 그 외 에는 자기들이 기껏 만들어낸 재미있는 밈을 레딧이 훔쳐가 퇴화시켜버린다고 깐다. 주로 le를 사용한다던가, 특정 이모티콘[18]을 제외한 이모티콘 사용, 유행이 지난 밈/ 억지 밈들을 비꼬는 용도 외로 사용한다던가 하면 레딧으로 가라거나 newfag으로 찍힐 수 있으니 주의. 현재는 4chan의 성장이 더뎌지고 레딧의 규모가 넘사벽으로 커지면서, 원주민의 머릿수가 압도적이지 못하게 되자, 없는 건 아니지만 4chan에서는 더 이상 예전만큼의 레딧 혐오를 찾을 수 없게 됐다. 하지만 여전히 레딧은 비하 대상이며 2016년 미국 대선 이후에 온 유저들을 election tourist라고도 한다. 디시나 펨코에서 루리웹을 보는 시선과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데, 한국 디시에서 자기가 싫어하는 게임/영화/애니를 무조건 근픽이라고 하듯이, 4chan에선 자기사 싫어하는 게임/영화/애니를 무조건 레딧픽으로 모는 현상이 있다. 4chan은 우파적 성향이 강하고, 레딧은 굳이 분류하자면, 적어도 메이저 서브레딧들에선, 좌파적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19] 싫어하는 게 크다.4chan은 레딧과 함께 서방 인터넷 영향력을 양분하는 사이트였지만, 2024년 기준으로 레딧이 주식시장에 상장을 하면서 규모는 4chan에 비해 넘사벽 수준으로 커진 상태이다. 애초에 양지 커뮤니티인 레딧을 음지 커뮤니티인 4chan과 비교할 수도 없을 뿐더러 각종 사건사고와 기행으로 4chan의 이미지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비하면 레딧은 기본적으로 좌파 성향이 강하기는 하지만 다양한 서브레딧을 통해 많은 성향의 사람을 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 4chan과 레딧을 1:1로 비교할 수는 없다. 레딧 유저들 중 4chan을 잘 모르는 사람도 많아졌다.
DayZ 개발자 딘 '로켓' 홀이 4chan에서 테이저를 갖고 싶다고 하길래 방금 막 리스트에 추가했다는 트윗을 하였고, 이후 레딧에 테이저가 확정된 것이냐는 글이 올라왔을 때 "나는 4chan을 함께 쓰고 조금도 제한받지 않는 꿈의 공간이라고 생각해. 사람들은 그냥 자신이 원하는 말이라면 무엇이든지 말해. 이는 가장 재미있는 결과와 가장 끔찍한 결과를 동시에 낳지."라고 대답했다. 이 말에 한 레딧 유저는 자신이 들어본 4chan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좋은 설명이라는 답글을 남겼다.
9. 게시판
문서가 있는 4chan 게시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a/ | /v/ | /tv/ | /k/ | /tg/ |
/int/ | /r9k/ | /pol/ | /mu/ | /b/ | |
/fit/ | /lit/ | /mlp/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4chan/게시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4chan/게시판#|]][[4chan/게시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4chan/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4chan/사건 사고#|]][[4chan/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기능
- 보드
각 주제별로 존재하는 게시판.
- 스레드
각 게시판에 존재하는 게시글들의 나열. 주제를 구성하는 본문의 머릿글(OP. Original Post)를 시작으로 답글들이 나열되는 구조다. 각 스레드는 보드별로 제한된 공간을 차지하며, 이 공간은 페이지라는 가상의 칸으로 구분된다. 새로운 게시글이 작성되면 스레드가 범프(bump)를 받아 1페이지 제일 앞으로 위치가 갱신된다. 즉, 활동도가 높을수록 상위권에 많이 머문다. 반면 활동도가 낮은 스레드는 금방 하위권 페이지로 추락한다. 보드가 가득 찬 상태에서는 신규 스레드가 개설되면 가장 마지막인 10페이지의 끝에 있는 스레드가 더 이상 활동 불가능해지면서 삭제되거나 아카이브 처리된다.
스레드들의 위치를 구분하는 페이지는 평상시에 1부터 10까지 존재한다.
스레드들이 새로운 글을 받고 범프되는 시점에도 제한이 있어서 답글 수가 500개를 넘어간 스레드들은 글을 아무리 더 써도 더 이상 범프되지 않고 10 페이지를 향해 떨어지기 시작한다. 또한 첨부 가능한 이미지도 300개로 제한되어 이미지 제한에 먼저 도달하면 글쓰기를 통한 범프는 여전히 가능하나 사진을 더 이상 올릴 수 없게 된다.
- 게시글 번호
게시판 별로 각 게시글은 고유한 번호를 받는데, 이는 해당 게시글이 게시판 내에서 몇 번째로 작성된 것인지를 보여준다. 종종 특이한 숫자가 걸리면 이용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다.
- 카탈로그
카탈로그는 검색창 옆에 붙어있는 버튼을 누르면 스레드가 이미지로 펼쳐지며 스레드가 보기 좋게 정리가 된다. CTRL+스레드를 클릭하면 스레드가 고정이 된다. appchan X확장 프로그램의 경우 스레드 이미지 우측 상단에 있는 아주 작은 화살표를 클릭하면 스레드를 숨기거나 하는 여러 가지 기능이 있다. 오른쪽 하단에 있는 캐릭터는 비비안 제임스.
- 닉네임 설정
기본적으로 익명 게시판이나 글이나 스레드를 작성할 때 사용자 이름을 따로 지정할 수 있다. 작성 탭은 상단에 있는 Name 칸에 원하는 닉네임을 설정하면 글이나 스레드의 작성자 이름란에 닉네임이 뜬다. 별도로 닉네임을 쓰지 않으면 기본값 익명(Anonymous)로 뜬다. 다만 기본적으로 익명으로 활동하는 사이트라서 구분이 되는 닉네임을 쓰는건 친목 행위로 간주하고 적대하는 사용자들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닉네임 사용자들을 이름충(Namefag)이라고 비하하는 문화도 있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관리 유저들이 쓸 수 있는 식별코드(Tripcode)나 4chan 패스 구매자들이 표기할 수 있는 패스 마크[20]도 좋게 보지 않으면서 코드 사용자들을 Tripfag라고 부르는 사용자들이 많다.
- 파일 첨부
글을 쓸때 사진같은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일반 답글 작성 시에는 선택사항이지만 스레드 개설 시에는 사진 업로드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올릴 수 있는 파일의 확장자는 jpg, png, gif 같은 일부 사진(webp 불가), webm 동영상 등으로 제한적이다. 2024년 말에는 mp4도 업로드가 가능해졌으나, 오디오가 없는 영상에 한해서만 허용된다. 또한 용량에도 4mb 제한이 있어서 그 이상의 대용량 파일은 따로 링크를 걸지 않는 이상 올릴 수 없다. /gd/, /po/, /qst/, /sci/, /tg/같은 일부 게시판에서는 추가로 PDF도 허용한다.
- 필터
필터는 자신이 보고 싶지 않은 단어나 항목등을 뜨지 않게 한다. 위에 있는 것처럼 /단어/를 쓰면 빨간색으로 표시된 단어는 게시판내에 뜨지 않게 된다. 단, 이 필터는 'appchan x'라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의 필터로, 순정필터와는 인터페이스가 다르다.
- 숨기기
보고싶지 않은 게시글을 이미지째로 숨길 수 있는 기능. 게시글 번호 옆의 삼각형 아이콘을 클릭하면 Hide 옵션이 나오고, 선택하면 게시글이 통째로 가려진다.
- 신고
규칙을 위반하는 게시글이나 스레드 OP를 신고할 수 있는 기능. 게시글 번호 옆의 삼각형 아이콘을 클릭하면 report 옵션이 나오고, 이를 선택하면 신고 탭이 뜬다. 신고 탭에서는 해당 글이 위반한 규정을 고르거나, 미국에서 불법인 경우 미국 국내법 위반 혐의로 신고할 수 있다. 사유를 선택한 다음 CAPTCHA 보안문자 인증을 마치면 신고가 접수되며, 이는 청소부와 관리자들을 통해 처리된다. 잘못된 사유나 허위 신고의 경우 신고자가 제재를 당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이미지 검색
이미지가 있는 게시글들은 게시글 번호 옆의 삼각형 아이콘을 누르면 이미지 검색을 통해 사진을 찾아볼 수 있다. 구글, Yandex, SauceNAO 3가지 검색엔진으로 바로 업로드할 수 있다.
- sage
포스팅 후 스레드가 보드의 윗 순위로 갱신(bump)되지 않게 하는 기능 포스트 탭의 옵션 창에 sage를 입력하면 된다. 스레드 내에서 sage를 조장하거나 선언하는 건 규칙에 의해 금지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 CAPTCHA 인증
처음 글을 작성하거나 스레드를 개설할 때 도배 방지용 captcha 보안문자 인증을 거쳐야 한다. 접속하는 ip주소와 사이트 쿠키를 기준으로 인증 여부가 결정되는데, 처음 접속하거나 장기간 미접속한 경우 captcha 인증을 사실상 필수로 해야 한다. 화면에 나오는 보안문자들을 올바르베 쳐야지 통과되며, 실패하면 다시 새로운 보안문자를 쳐야 한다. 4chan 패스 구입 시 면제되며, 글을 많이 쓰다보면 종종 보안문자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 쿨타임
captcha와 마찬가지로 도배 방지용 기능이다. 처음 글을 작성할 때는 1분 또는 2분, 스레드 개설시 5분을 반드시 기다려야 하며, 글을 쓴 다음에도 1분을 기다려야 해서 즉시 새로운 글을 쓸 수 없다. 그러나 2024년 가을부터는 아예 첫 쿨타임을 15분으로 늘려버리고 이를 대기 없이 통과하려면 이메일 인증하는 제도를 도입하여 상당한 논란이 되었다. 2025년 해킹 사태 이후에는 다시 쿨타임을 이전처럼 글 2분 스레드 5분으로 복구했다.
- 카운터
카탈로그와 스레드 하단 등에 표기되는 수치. 카탈로그의 섬네일에는 2개의 칸이 있는데 각각 답글 수와 첨부 사진파일 수를 나타내며, 스레드 하단에는 현재 페이지가 표기되는 3번째 칸도 있다. 과거에는 ip주소도 집계하는 슬롯이 있었지만 어느순간부터 없어졌다.
11.1. 4chan 패스
4chan pass2012년 9월 28일에 출시된 유료 서비스. 가격은 1년(12개월)간 20달러였으나, 2025년 초부터 30달러로 인상되었다. 패스 구입을 위해서는 회원가입처럼 이메일을 등록해야 하며, 결제는 신용카드 또는 지원하는 암호화폐로 가능하다. 결제가 완료되면 패스 사용에 필요한 10자리 토큰값과 6자리 PIN번호가 이메일로 전송된다. 패스는 1년 구독 옵션이 유일하며, 만료 1주일 전에 이메일로 갱신 링크가 전송된다. 그 후 1주일이 지나면 만료되었다는 이메일이 발송되며, 그 전에 갱신하면 갱신일로부터 12개월 연장된다. 패스 갱신은 만료 1주일 전부터만 가능하다.
패스를 구입하면 기본적으로 captcha 인증을 할 필요가 없어지며, 스레드 개설이나 글 작성 전에 필수적으로 대기해야 하는 쿨타임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 IP 대역차단을 피할 수 있고 사이트 특에서 차단한 국가에서도 활동이 가능한 것은 물론 대부분 막힌 VPN같은 IP 우회수단의 사용도 가능해진다. 패스를 여러 기기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는 기기들이 동일한 IP로 접속할 때에 한해서만 가능하며, 각 패스는 한 번에 하나의 IP주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쓰는 IP주소가 바뀌면 다시 인증해야 한다.
다만 패스를 구입한다고 해서 규칙에 대한 면제권이 생기는건 절대로 아니다. 패스 유저라도 사이트 규칙을 위반하면 여전히 개인 차단과 같은 제재를 받으며, 사이트 측에서 패스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패스를 끼고 제재를 우회하는건 매우 어렵다.
12. 스레드 아카이브
5ch-후타바 채널을 기반으로 하는 웹사이트답게 스레드가 뒤로 밀리면 알아서 삭제된다. 때문에 이러한 스레드들을 저장하는 아카이브 사이트들이 있는데 다음과 같으며, 사이트마다 수집하는 게시판은 다르며 그 숫자가 한정되어있다. 대부분은 후우카(Fuuka) 및 이를 기반으로 한 API에 기반하고 있다.- 4plebs.org
- archive.moe
- Foolz.us
- foolzashit.com
- heinessen.com
- Installgentoo.net
- loveisover.me
- nyafuu.org
- pensivenonsen.se (사실상 /v/ 전용 아카이브)
- Suptg.thisisnotatrueending.com (위와 같음)
- Rebeccablacktech.com
- Warosu.org
링크집은 여기서 참조하였다.
13. 유행어, 밈(필수요소)
서양권 인터넷 밈의 상당수가 4chan이 원산지.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도 처음 캡션이 붙은 곳은 포챈이다. 공익광고 짤방도 많이 만들어진다.포챈에서 유행한 여러 밈 때문에 영화에서 추가 장면을 찍는 경우까지 생겼다. 대표적인 예는 스네이크 온 어 플레인에서 새뮤얼 L. 잭슨이 'I've had it with motherfucking snakes on this motherfucking plane!" 이라고 소리지르는 장면과[21], 엑스맨 3에서 저거너트가 "I'm the Juggernaut, bitch!" 라고 외치는 장면.[22]
한 유저가 이러한 필수요소와 요츠바어의 향연을 플래쉬 애니메이션으로 구성하여 올리기도 했다. # 2채널에서 만든 애니를 패러디한 것으로 보인다.
meme이란 단어는 레딧에서 가져다 쓴다고 epic meme, maymay 등으로 변형시켜 비꼬는 듯한 투로 쓰이는 때가 많다. 4chan, 특히 /b/에서 meme이란 단어를 안좋게 보긴 하나 '안 쓰는' 건 아니다. 무엇보다 인터넷 필수요소를 부르는 다른 단어가 없는 상태. 4chan의 창립자인 moot도 4chan을 '밈 공장'이라고 표현한 바가 있듯이 이 단어에 대한 4chan의 태도는 애매모호한 상태. 비슷하게 레딧에서 유명해진 필수요소를 올렸다간 욕만 쳐먹는다.
13.1. 목록
상당수는 4chan 밖으로도 유출되어 쓰이고 있다.- Epic - '서사시'를 뜻하는 단어지만 요츠바 채널에서는 게시판 그림을 이야기나 연속 그림으로 이어 만든 것을 말한다. Epic이 그럴듯하게 이어지면 Epic win이라는 댓글이 달린다. 이 epic은 아예 형용사화되어서 대중에도 킹왕짱이나 본좌 비슷한 단어로 퍼졌으나, 2008년경 유행이 지나며 그냥 간혹가다 쓰이는 형용사 정도로 포스가 떨어졌다. 그래도 가끔 "epic win/fail"식으로 쓰이는 건 볼 수 있다. 최근 들어선 "ebin"으로 변형돼서 쓰이는 경우가 있다.
- fag - 동성애자 비하 은어인 'faggot'의 줄임말. ~충에 대응되는 단어. 뜻은 동성애자라는 뜻이지만, 한국에서의의 게이와 마찬가지로 액면 그대로 동성애자라는 뜻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고 농담조[23]로 상대방을 비하할 때 쓰는 접미사다. 다만 이러한 동성애자라는 뜻은 생긴지 비교적 근래라서 미국 70년생 정도까지는 '루져새키' 정도의 의미로 썼었고 지금도 그렇게 쓰는 아저씨들도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24] 예를 들면 newfag는 뉴비를 지칭하는 것이고, ausfag는 호주(Australia)에서 온 사람, asukafag는 아스카의 소류 아스카 랑그레이의 빠를 나타내는 말이다.
- Drawfag / Writefag - 유저 중에서 팬아트를 그리거나 팬픽을 잘 쓰는 능력자, 혹은 그런 팬아트나 팬픽을 만드는 행위를 나타낸다.[25] 한국어로는 그림쟁이 / 글쟁이 정도. 자주 요청에 의해서 즉석으로 그리고 쓰고 한다. Anon이 아닌 네임드인 경우가 많다.
- Namefag / Tripfag - 이름을 Anonymous로 두지 않고 이름을 쓰거나(Namefag), 이름 뒤에 식별을 위한 고유한 문자열(Tripcode)을 붙이는 이들을 가리키는 멸칭이다. 보통 중요하거나 같은 주제로 반복되는 스레드를 관리하는 고정닉들이 트립코드[26]를 쓰기 때문에 고정닉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다른 chan 계열 게시판에서는 트립코드를 다는 데 별다른 제약이 없어서 다른 chan쪽 유저가 4chan에 와서도 이름과 트립코드를 달고 포스팅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게 하면 다른 유저들에게 순화된 표현으로 "newfag 새끼가 네임질에 트립질 하고 지랄이야"라고 신나게 욕을 처 먹는다.
- lulz - for teh lulz 라고 자주 쓰인다. 보통 위험한 짓을 할 때[27] 자주 쓰인다. '뭔가를 할까요'라고 물어보면 DO IT FOR TEH LULZ - 개그니까 해라고 돌아온다.
요즘은 또 줄여서 lel/kek이라고 한다. 용도는 lulz와 살짝 다르게 평범하게 웃긴 것을 지칭할 때 쓴다. 이 쪽의 어원은 Top lel / Top kek이다.
- GET (Doubles/Triples/Quads)/(Dubs/Trips/Quads) - 언제부터 생겨난 놀이인지 각각의 포스트 ID의 마지막 숫자를 보고 만약 같은 숫자가 반복되었다면 난리치면서 좋아한다. 666은 특히 "사탄 트리플"이라 하여 찬양한다. 참고로 /a/보드가 6개의 최고기록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2013년 2월 21일에 /mu/ 보드가 8개가 3으로 같은 최고기록을 기록했다.[28]
/tg/ 등지에서 롤플레잉이 벌어지는 스레드에서 Trips/Quads가 터지면 그 포스트에서 제안한 사항이 굉장히 설득력있게 받아들여지는 장면을 목격할 수 있다.
4chan에서 이러한 GET들을 예측할 때는 작성자가 영화 '아메리칸 싸이코'의 주인공 패트릭 베이트먼의 사진을 올리는 것이 관행이었다.[29] 하지만 트롤과 뉴비들이 이러한 Doubles Guy를 무차별적으로 스팸하자 유저들은 짜증을 내기 시작했고, 많은 유저들이 Doubles Guy를 밈의 자리에서 끌어내리려 힘썼지만 실패했다. Doubles Guy는 지금도 잘만 쓰이고 있다.
- Trap - 뉴하프/여장남자(오덕 계에서는 보통 오토코노코를 지칭. Danbooru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스타워즈 제다이의 귀환에서 반란군들이 데스스타를 공격할 때 아크바 함장이 "이츠 어 트랩!" 이라고 한 거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b/ 보드에선 거의 24시간 트랩 스레가 항상 있다. 여러 사진으로 사람들의 성 정체성을 혼란스럽게 하지만 점점 동화돼서 즐기는 듯.
- MOAR - more. 보통은 야짤을 계속 올려달라고 할 때 쓰인다.
- >implying - 해당 문서 참고.
- Babby - Baby에 b를 하나 더 붙인 것이다. 발음은 베이비가 아니라 "배비"다.
- Autism, Spaghetti - 개념을 상실한 인간은 Autist, 개념을 상실하고 벌인 행위는 Autism[30], 개념을 말아먹은 행동을 하여 창피해하는 상황은 Spaghetti라고 한다. 후자의 경우는 "Spill spaghetti," 아니면 그냥 "Spaghetti"라고 한다. 일코에 실패하여 덕후성이 만인에게 드러난 경우도 해당된다. 한국어로는 손발리 오그라진다와 느낌이 비슷하다.
- Weaponized Autism - 4chan 식의 풍자와 조롱, 트롤링 문화 전반을 실제 자폐증과 구분하여 쓰는 말.
- KEK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와 한국의 의성어 ㅋㅋ에서 유래된 단어. 이 때는 kekeke였으나 호드 유저가 영어로 'lol'을 치면 얼라 유저에게 'kek'으로 보이기 때문에 kek으로 정착된다.
위 사진에서 보이는 튀르키예 유명 제과회사중 하나인 ETi에서 만든 케이크 과자 이름인 topkek이 최고로 웃기다라는 밈으로 쓰이기도 했다.
여담이지만 이집트 신화에는 Kek이라는 이름의 개구리 신이 있기 때문에 /pol/ 판에서는 아예 페페 더 프로그와 함께 합성하여 Praise Kek이라는 밈을 만들어 내기도 했으며 kekistan이라는 가상국가를 만들기도 했다. 물론 여기서 페페 더 프로가 어떻게 악용되었는지를 감안해서 Kek 자체가 대안우파 용어로 취급되기도 한다. 당장 케키스탄의 국기조차도 나치 독일군의 군기를 패러디한 물건이다.
- Kekistan - /pol/의 유저들이 창안한 4chan의 가상국가. 브렉시트 전후 한 영국인 pol판 유저가 파키스탄에 빗대어 놀리면서 유명해졌다.
- Feels Guy - 문서 참고.
- 페도베어(pedobear) - 문서 참고.
- 춤추는 바나나 - # 원래 〈Peanut Butter Jelly Time!〉이라는 노래 비디오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기묘한 춤 때문에 인기가 많다. 이 춤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타우렌 춤으로도 등장했다.
- 어썸 페이스(awesome face)' - 에픽 스마일리라는 명칭이라고도 부른다.얼굴에 집중적으로 합성된다는 측면에서 역할이 레오니다스와 비슷한데, 눈과 입만 합성되기도 한다. 원본
- 긴고양이(Long cat) - 고양이에 관심이 많은 4chan 유저 특성상 고양이 관련된 합성요소가 많은데 그 중 개성있는 필수요소로 Long cat이 있다. 일본의 고양이 사진으로, 고양이 이름은 '노비코'이며, 미코라는 HN을 쓰는 해당 고양이의 집사가 추켜세운 고양이가 매우 길게 위아래로 늘어진 모습. 원본 및 관련기사. 그림. 흰 고양이와 검은 고양이가 맞서는 베리에이션도 존재한다. # 원본이었던 고양이 노비코는 18년동안 살다가 2020년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고 한다.
- Sage man - 4chan의 용어 sage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글을 내리는 존재를 인격화한 캐릭터이다. No picture available를 처단한다.
- Anonymous - 닉네임을 쓰지 않으면 게시글을 올릴 때 자동적으로 뜨는 네임으로, 익명 유동닉이라 할 수 있다. 약칭 Anon. 일본 2ch의 名無し와 동일하지만 2ch와 달리 게시판에 따른 다채로운 기본익명닉네임 변화 같은 것은 없다. 그림으로 그려질 때는 투명 인간에 양복만 그려지거나, 피부가 초록색에 얼굴이 없고 양복을 입은 인간으로 묘사된다. 관련 문서의 4chan 기반 해킹집단인 Anonymous 문서도 참조.
- 요츠바: 요츠바랑의 그 요츠바다. 이는 4chan이 요츠바 채널로 불리기 때문.[31] 4chan에서는 성녀로 대우받고 있다. 사이트 공식 이미지 중에는 이런 위험한 이미지도 있다. (클릭시 주의) 이런 것도.
- 성난 남자(Rage Guy): 문서 참고.
- 볼바르 로딩화면(Bolvar's Loading Screen): 볼바르 폴드라곤 문서 참고. 아래와 같은 식으로 쓰인다.
- 라그나로스(Ragnaros the Firelord): 볼바르와 이하 동문.
- 우울한 키아누(Sad Keanu): 영화배우 키아누 리브스. 혼자 벤치에 걸터앉아 쓸쓸한 표정으로 샌드위치를 먹던 모습이 파파라치에게 찍혀서 퍼진 이후 합성의 대상이 되었다. 위의 사진은 원본에 볼바르 로딩 화면을 합성.
* Yo Dawg: MTV의 프로그램 Pimp my ride[32]에서 유래한 것으로 호스트 MC(이자 유명 힙합MC인) Xzibit[33]이 미간을 찡그리며 웃는 표정을 붙여놓은 방식의 필수요소. 추가로 붙이는 대사가 중요한데 "야 니 ~좋아한다며? 그래서 내가 니 Y에 X를 설치했어. 그러니까 넌 Y하는 동안 X도 할 수 있어."[34]를 기본 틀로 하여서 이루어진다. 주로 배경에 있는 이미지를 설명하면서 추가로 언어유희를 구사하는 방식이다. 이미지와 대사 내용은 터무니 없는 게 주를 이루며, 그를 통한 병맛이 주 개그포인트다.
- Sad Frog/Feels Good Man/Feels Bad Man[35]: 만화 Pepe the Frog에서 짤라 낸 이미지. 이것도 4chan의 대표적인 리엑션 이미지(reaction image) 혹은 짤방이다. 요즘은 우울한 키아누(Sad Keanu)보다 이 쪽이 4chan에서 더 많이 쓰인다. 파생 짤방이 매우 많으며, 한국에서도 커뮤니티 사이트 등지에서도 신세 한탄용으로 유명해지기 시작한 짤이다. 유래를 추적한 글, 사용 예시
- Absolutely disgusting: 뉴저지 UPN9 리포터의 역겨워하는 얼굴 표현이 "Absolutely Disgusting"라는 뉴스 자막과 적절하게 맞아 떨어지면서, 어떤 역겨운 것, 더러운 것 등에 대한 리엑션 이미지로 많이 쓰인다. 이 쪽도 파생 짤방이 매우 많다.
- Why: 미국의 언론인인 Tony Kornheiser의 어이없어 하는 표정이 매우 적절하여 어이없다, 그 결정을 이해할 수 없다, 어째서? 등등 감정을 표현하는 짤방으로 활용된다. 이것 또한 파생 짤방이 매우 많다.
- normie: 자신의 밈들을 배포하는 일반인을 비하하는 말. 욕으로 쓰는 이유가 자신의 밈들이 너무 퍼져서 희소성이 사라진다는 이유다.
- >>>/(스레 이니셜)/: 화살표가 가리키는 스레로 꺼지라는 뜻이다. 보통 한 스레와 맞지 않는 얘기를 할 때 다른 스레로 가라고 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pol/ 은 "니가 하는 말은 우리 스레랑 맞지 않으니 /pol/로 꺼져" 라는 뜻이다.
- sauce?: 야짤이나 야한 webm의 출처를 알려달라 할 때 쓴다. 보통 /aco/, /gif/, /hm/, /s/, /b/등 야짤을 올릴 수 있는 스레에 주로 쓰인다. 어원은 "출처"라는 뜻의 "Source" 인데, 이 글자가 같은 발음의 sauce가 됐다.[36] 또 다른 변형으론 saucerino, saucy, sauc 등 있다.
- Meduka Meguka: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가 방영되었을 때 미칠 듯한 관심을 보인 양덕들이 작붕장면만 모아 만든 패러디 만화. /a/의 밈화 되었다. 편의상 '마법소녀 메두카☆메구카'나 '작붕도카'라고 부른다. 1화, 2화, 3화, 4화, 5화
- YLYL : 웃으면 이미 졌다는 뜻이다. 기원은 2007년 /b/에서 시작된 밈 따먹기 스레드로, 최대한 공격적인(혹은 불쾌한) 밈(offensive meme)을 올려놓고 반응을 떠보는 것에서 따왔다. 이 점은 웃음참기와도 일맥상통한다. 유튜브에서 밈 컴필레이션이라고 올라오는 쇼츠 밈 모음 영상에 항상 붙어다니는 약어다. KYM의 설명 영미권 밈 컴필레이션 영상중 offensive가 붙은 건 정치, 인종 같은 블랙코미디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 Brother May I Have Some Oats : 두 돼지의 그림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짤방 밈. Oatposting 이라고도 불린다.
- Brother May I Have Some Loops : 후루츠링을 갈망하는 고양이의 사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Oatposting의 파생 밈.
13.1.1. 릭롤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릭롤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릭롤링#|]][[릭롤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1.2. Mudkip(물짱이)
물짱이에 관한 꾸준글이다. 유행의 시초는 2005년 경, 핼러윈 때 Ash, 그니까 지우로 코스프레한 학교 찌질이한테 물짱이가 그렇게 좋으면 물짱이랑 성관계할 수도 있냐고 하며 인형을 줬더니 진짜로 인형으로 자위하기 시작했다는 매우 진위가 의심스러운 이야기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이야기에서 나온 "So I herd you like Mudkipz..." ?[37]는 희대의 명드립이 되어서 수많은 패러디를 만들었다.
애석하게도 이것 때문에 물짱이가 서양 동인계에서 다른 포켓몬들보다 수간을 당하는 상황에 자주 처하게 되는 매우 불쌍한 처지에 놓였다. DeviantArt 등의 외설적인 팬아트에서 자주 나오는 편이다. 그나마 위의 문장이 외설적인 의미를 가지진 않고 관련 창작물도 그런 의미를 표현하지 않는 편이라 수간과 관련된 밈인지 모르는 경우도 많은 편이다.
시간이 지나 잊혀지나 했지만 이 글의 계보를 잇는 새로운 꾸준글이 출현하기 시작했으니...
13.1.3. Vaporeon(샤미드)
여러분, 여러분은 인간 수컷과 암컷 포켓몬 번식의 관점에서, 샤미드가 인간과 가장 호환되는 포켓몬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나요? 그들은 주로 포유류로 구성된 알 그룹 육상에 속할 뿐만 아니라, 샤미드는 평균 1m의 키와 30kg의 체중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그들이 인간의 좆을 다룰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샤미드들은 인상적인 HP 종족값과 기술 녹기를 배울 수 있으므로, 여러분은 그들을 거칠게 다룰 수 있습니다. 샤미드들의 신체가 대부분 수분에 기반을 둔 생물학적 특성 덕분에, 저는 흥분한 샤미드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젖어서 몇 시간 동안 아프지 않고 쉽게 섹스를 할 수 있다는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들은 또한 유두를 숨길 수 있는 털이 없는 것과 함께 헤롱헤롱, 초롱초롱눈동자, 김밥말이, 애교부리기, 꼬리흔들기 등의 기술도 배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샤미드들이 여러분을 분위기에 빠지게 만드는 것은 매우 쉬울 것입니다. 또한 저수와 촉촉바디 특성을 통하여 충분한 물로 쉽게 피로에서 회복할 수 있습니다. 이 정도의 호환성에 가까운 포켓몬은 없습니다. 또한, 재미있는 사실, 만약 여러분이 충분히 노력한다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샤미드를 하얗게 만들 수 있답니다.
- 포켓몬스터 갤러리의 번역
- 포켓몬스터 갤러리의 번역
샤미드에 관한 꾸준글이다. 여기선 아예 대놓고 샤미드가 수간하기 좋은 포켓몬이라는 점을 샤미드의 크기, 종족값, 알 그룹 등의 근거를 들어가며 엄청난 장문으로 설명하는 글이다. 번역글 링크를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한국인들의 반응은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이 때문에 물짱이에 이어서 샤미드가 포켓몬 수간물의 계보를 잇게 되어 버렸다. 당연히 e621등의 사이트에서 외설적인 팬아트에 자주 나오게 되었다. 물짱이와 다른 점은 이쪽은 대놓고 샤미드를 수간하자고 말하고 있으니 그냥 그냥 샤미드를 검색만 해도 외설적인 이미지가 뜬다는 것. 샤미드 수간물마다 이 글이 하나씩 붙는 건 덤.
최근 들어서는 위 파란색 로션 짤과 같이 사용되고 있다.
여러 파생 버전으로 다른 이브이 진화형 꾸준글도 자주 언급된다.
- [ 펼치기 · 접기 ]
- >Hey guys, did you know that in terms of male human and female Pokemon breeding, Vaporeon is actually not the most compatible Pokemon for humans? This is a common and understandable misconception, however Vaporeon has it's human on Pokemon breedability outclassed by it's cousin evolution, Umbreon. Umbreon weights approximately 60 pounds, or around 27 kilograms, and is 3'3" tall (About a meter), making it not only large enough to appropriately handle human genitalia, but also light enough to easily be lifted, and promptly set back down repeatedly. It's relatively small size would also prove a tight entry, which is always a good thing. Umbreon also boasts an extremely impressive defensive stat spread. With it's combination of very high HP, Defense, and Special Defense stats, it can take a great pounding and come back for more! It's ability, Inner Focus, allows it to keep slamming attentively, without getting fatigued. Umbreon also has access to the ability Synchronize, which allows it to share it's current status with you, meaning you will receive all of the pleasure it feels COMBINED with all the pleasure you're getting from pounding this perfect breedable Pokemon.Umbreon also has the capability of seeing perfectly in pitch-black darkness, allowing it to effectively attend a midnight fornication session. Even if you do manage to drain Umbreon's energy with all the furious thrusts, it can recover very quickly with its access to the move Moonlight. Its black fur is also a giant positive attribute, allowing all the excretions you make to be easily seen all over its body. A great fun fact, Umbreon can excrete toxins in its sweat, which would in turn soak into your member and swell it up, making it even more sizable and sensitive. This would not only enhance the experience for you, but for your Umbreon as well (Which with Synchronize, ends up pleasing you exponentially more). Umbreon's wide movepool also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Umbreon is the best Pokemon to breed with. It can learn Payback, which doubles in power after the Pokemon is hit, meaning Umbreon with throw it back twice as hard as normally if you're hitting it good. Umbreon can also learn Guard Swap; it could give YOU its insane durability, and go crazy on you all night with your now massive endurance. Speaking of endurance, Umbreon also has access to Endure, making it practically immune to fatigue, it will always have energy left over. Charm is also within Umbreon's movepool, letting it be extremely seductive towards you, easily getting you in the mood. Umbreon can also use Taunt, in turn making you ONLY able to to attacking moves such as Slam, Pound, etc; none of that foreplay shit, right into the action. It also has access to Sleep Talk, giving it the ability to not only give consent in its sleep, allowing access to any of its ports and any time, but also move in it's sleep, making it an effective 24/7 fuckmate.Umbreon still has even more great moves that good to have while smashing, such as Quick Attack, allowing swift slams and bounces, which can have even greater power if Umbreon uses Curse beforehand. Curse would also raise Umbreon's defense, making it able to take powerful thrusting for almost any duration. Looking back, Umbreon's slightly small size ensures a gorilla grip cavity and easy physical manipulation. Its ungodly bulk allows it to take poundings for hours on end and resume after recovering with moonlight (Which works even better when it's sunny). It's access to the abilities Inner Focus and Synchronize allow it to unwaveringly throw it back and add all of its pleasure onto yours, effectively making it twice as amazing as any other Pokemon, or even FOUR TIMES, factoring in the doubled power of payback of course. All of this information in combination with its extremely useful movepool in the world of intercourse makes Umbreon the Pokemon most qualified to breed with humans; able to take dick of any shape, any size, in any position easily for extensive periods of time, while having the ability to return for even more mere seconds later.Hey guys, did you know that in terms of human companionship, Flareon is objectively the most huggable Pokemon? While their maximum temperature is likely too much for most, they are capable of controlling it, so they can set themselves to the perfect temperature for you. Along with that, they have a lot of fluff, making them undeniably incredibly soft to touch. But that's not all, they have a very respectable special defense stat of 110, which means that they are likely very calm and resistant to emotional damage. Because of this, if you have a bad day, you can vent to it while hugging it, and it won't mind. It can make itself even more endearing with moves like Charm and Baby Doll Eyes, ensuring that you never have a prolonged bout of depression ever again.
13.1.4. Do a barrel roll!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페피 헤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페피 헤어#|]][[페피 헤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 파생 사이트
4chan으로부터 수많은 이미지보드 사이트가 파생되었으며, 이들은 4chan처럼 *chan 형식의 이름을 가진다.- 1d4chan
- 4chan Cup
- Know Your Meme - 관련 사이트는 아니나 문화적으로 꽤 밀접하다.
- Vidya Gaem Awards
- 7chan
- 8chan
- Danbooru 문서에 언급된 chan 중 일부. 상세는 문서 참고.
- The Rules of the Internet
- Encyclopedia Dramatica
- Implying
- 420chan - 이름값답게 대마초 피우는 이들이 대마초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듯하다.
- Wizardchan - 30세 이상 동정인 마법사들이 4chan에서 뛰쳐나와서 세운 이미지보드.
- inflate chan - 지금은 사라졌다, Danbooru 문서에 언급된 chan과 마찬가지로 특정 페티시 관련 이미지보드인데 Body Inflation 관련이다.
- soyjak.party
- 미국 외 국가의 chan보드
Krautchan- 사실상 유럽권 통합 chan이나 다름없던 위상이었지만 2018년 폐쇄 이후 여러 후신격 chan으로 찢어졌다.- Ylilauta
- Hispachan - 2022년까지 존재했던 스페인어권 chan 보드
- Indiachan - 인도권 chan 보드. 힌디어보다는 영어 및 힌글리시가 주류언어인듯.
- Karachan - 폴란드어 chan보드. 4chan 영향을 받은곳답게 각종 정치인들을 까며 자국 출신인 요한 바오로 2세도 깐다. 2019년 당 사이트는 차단되었다는 내용의 가짜 대문을 내세우고 실제로는 karaczan[38]이라는 이름으로 계속 운영된다는 듯.
[1] 단, 이메일 인증이 없을 시 제한 존재[2] 
아직도 404 에러 페이지 등에서 해당 캐릭터의 일러스트를 볼 수 있다.[3] SFW 게시판도 혐짤이나 야짤이 올라올 순 있지만 유저들의 신고나 관리자의 직접확인으로 오래 지나지 않아 삭제될 때가 많다.[4] 이는 타국의 비슷한 웹사이트인 일베저장소와 5ch도 마찬가지다.[5] KT 회선망 기준. SKT 회선망도 유해사이트로 지정되었다, U+까지 유해사이트로 지정되었다.[6] Cloudflare 제공 SSL.[7] 마인크래프트의 스플래쉬 텍스트중 'Whoa, /v/!' 가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8] Dubs는 Doubles의 줄임말로 게시글 번호의 끝의 두 자리가 중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비슷하게 끝의 세 자리가 중복되는건 TRIPS, 네 자리가 중복되는건 QUADS라고 표현한다.참조 GET는 게시글 번호가 특이한 숫자에 달성했을때 XX번 달성! 같은 표현을 쓰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Dubs가 걸린 사람에게 원하는걸 들어주겠다는 식으로 게시글 번호로 어그로를 끄는 글들을 작성할때도 사용된다.[9] Roll는 주사위를 굴리듯(Roll the dice)이 숫자를 때려 맞추는 것이다.[10] 다만 4chan 패스 사용 시 IP 우회가 허락된다.[11] 마이 리틀 포니 관련 컨텐츠를 /mlp/ 이외의 보드에 올리는 것은 금지되었다.[12] 청소부만 해당. 운영자, 관리자, 기술자는 사이트측에서 고용한 정식 스태프이기 때문에 돈을 받는다. 그렇다고 관리자가 많은 돈을 받지는 않는다.[13] 차이라면 디시의 매니저는 갤러리 개설을 신청한 유저로 결정되고, 일반적으로 갤러리의 자치를 통해서 뽑고 바꿀 수 있지만 4chan 청소부들은 엄연히 사측에서 직접 뽑고 통제하는 인원이라는 점이다.[14] 대표적인 표현으로 'He does it for free'(그는 무급으로 해)가 있다.[15] 굳이 비교하자면 디시인사이드가 양지에 있는 것처럼 보일 수준이다. 이쪽은 그냥...[16] 여담이지만 디시인사이드가 훨씬 더 먼저 생겨난 사이트이다.[17]하지만 레딧에는 4chan의 greentext 글들이나 캡처되어 올라오는 일도 많고, 4chan을 딱히 싫어하지도 않는다. 별로 좋게 보진 않는다. 자신들의 밈을 훔쳐간다고 하면서. 또한 4chan의 모든 유저들이 레딧을 까는 것도 아니며
같은 예시를 들며 자조적인 면을 보이기도 한다.[18] ;_; 그마저도 스포일러 처리되는 일이 잦다.[19] 특히 정치를 다루는 거의 모든 메인 서브레딧이 친바이든 혹은 친샌더스 성향이다.[20] 옵션 창에 since4pass를 입력하면 뜬다.[21] 이후에 엄청난 유행어가 되었다.[22] 한 패러디 팬 더빙 영상에서 유래했다.[23] 실생활에서는 심한 욕이다. 주로 호모포비아인 사람들이 게이를 지칭할 때 하는 말.[24] 한국에서 게시판 유저들이 스스로 "~게이"라고 하는 것은 "게시판이용자"의 줄임말이다(다만 유행어의 발상지인 와갤에서는 게이 유머가 흥하던 곳이라 정말 서로를 게이로 부르기 위해 쓰였다. 디시에는 '게시판'이 없다. 게시판 이용자라는 말은 사실 디시의 영향을 받은 일베 등 타 커뮤니티에서 적절하게 끼워 맞춘 말). 4chan의 fag은 본래 게이를 비하하는 욕이다. 아니, 게이 자체도 어감이 좋은 편이 아니지만(뭔가 시시하다 = that's gay).[25] 팬아트나 팬픽 자체는 Draw/Writefaggery라고 부른다.[26] 트립코드는 Name 필드에 #뒤에 어떤문자를 입력하면 생긴다.[27] 성관계라든가, 해킹이라든가, DDoS라든가[28] quote를 사용한 포스트를 올리면 이상하게도 아무것도 없는 빈 내용으로 올라갔다. 이 에러가 발생하기 이전에 moot이 플레이스테이션 4가 공개된 기념으로 /v/ 보드에 "PC4가 x86인데, 그럼 4chan 서버를 맥 미니에서 PC4로 옮겨야 할까?" 라는 스레드를 올렸기 때문에 플스4와 관련된 드립들이 넘쳐났다. 몇 시간 뒤 이러한 오류는 고쳐졌지만 그동안 4chan 유저들은 greentext로 포스트 숫자를 적는 것으로 quote 기능을 대신해야 했다.[29] 4chan의 레이아웃을 보면 손이 가리키는 위치에 게시물 번호가 뜬다.[30] 자폐증 환자를 비하하는 뜻은 있지만 진짜 자폐증과는 관련이 없다. 1:1로 대응이 되지 않지만 한국 인터넷으로 치면 찌질이~찐따 쯤의 뉘앙스로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뜻이 다른 것을 모르고서 4chan 밖에서 물고 늘어지는 경우가 있다. 당연히 잘못은 이런 말을 먼저 쓴 4chan 쪽이 한 것이지만. 사실 4chan에서는 이를 풍자처럼 사용하고 있는데 풍자는 원래 Autism이 아니라 Satire다.[31] 404 에러(페이지를 찾을 수 없음)시에 뜨기 때문에 /jp/나 /a/를 제외하면 사이트에선 404 girl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물론 요츠바라고 부르라고 하는 유저도 있다.[32] 실제로 이 프로그램에서 이그지빗이 차를 튜닝해주는데 뭐 필요하면 뭐달아주고 뭐 필요하면 뭐 달아주고~ 이런방식이 주를 이룬다.[33] 처음에 패러디되었을 때는 트위터에 불만을 표출했다. 하지만 개그포인트를 이해하고 나서는 비슷한 언어유희를 트위터에 올렸다.[34] 원문: (Yo, sup) dawg, I heard you like X, so I put an X in Your Y so you can (Verb-X) while you (Verb-Y)[35] 한국명 슬픈개구리, 우는개구리 등등.[36] sauce 자체가 소스라는 뜻이기 때문에 가끔 케첩병 사진을 글자 대신으로 답할 때도 있다. 또한 케첩병이 현재 4chan Cup의 /gif/ 축구클럽 아이콘이다.[37] 그래서 네가 물짱이을 조아한다고 드렀는데 말야... 오타가 아니라 본문이 이렇다.[38] 폴란드어로 바퀴벌레를 뜻한다.
아직도 404 에러 페이지 등에서 해당 캐릭터의 일러스트를 볼 수 있다.[3] SFW 게시판도 혐짤이나 야짤이 올라올 순 있지만 유저들의 신고나 관리자의 직접확인으로 오래 지나지 않아 삭제될 때가 많다.[4] 이는 타국의 비슷한 웹사이트인 일베저장소와 5ch도 마찬가지다.[5] KT 회선망 기준. SKT 회선망도 유해사이트로 지정되었다, U+까지 유해사이트로 지정되었다.[6] Cloudflare 제공 SSL.[7] 마인크래프트의 스플래쉬 텍스트중 'Whoa, /v/!' 가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8] Dubs는 Doubles의 줄임말로 게시글 번호의 끝의 두 자리가 중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비슷하게 끝의 세 자리가 중복되는건 TRIPS, 네 자리가 중복되는건 QUADS라고 표현한다.참조 GET는 게시글 번호가 특이한 숫자에 달성했을때 XX번 달성! 같은 표현을 쓰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Dubs가 걸린 사람에게 원하는걸 들어주겠다는 식으로 게시글 번호로 어그로를 끄는 글들을 작성할때도 사용된다.[9] Roll는 주사위를 굴리듯(Roll the dice)이 숫자를 때려 맞추는 것이다.[10] 다만 4chan 패스 사용 시 IP 우회가 허락된다.[11] 마이 리틀 포니 관련 컨텐츠를 /mlp/ 이외의 보드에 올리는 것은 금지되었다.[12] 청소부만 해당. 운영자, 관리자, 기술자는 사이트측에서 고용한 정식 스태프이기 때문에 돈을 받는다. 그렇다고 관리자가 많은 돈을 받지는 않는다.[13] 차이라면 디시의 매니저는 갤러리 개설을 신청한 유저로 결정되고, 일반적으로 갤러리의 자치를 통해서 뽑고 바꿀 수 있지만 4chan 청소부들은 엄연히 사측에서 직접 뽑고 통제하는 인원이라는 점이다.[14] 대표적인 표현으로 'He does it for free'(그는 무급으로 해)가 있다.[15] 굳이 비교하자면 디시인사이드가 양지에 있는 것처럼 보일 수준이다. 이쪽은 그냥...[16] 여담이지만 디시인사이드가 훨씬 더 먼저 생겨난 사이트이다.[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