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보드게임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의 카드}}}에 대한 내용은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키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키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키히#뒷걸음질/파고들기|뒷걸음질/파고들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보드게임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의 카드: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키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키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유키히#뒷걸음질/파고들기|뒷걸음질/파고들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비디오 게임 용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고인물(썩은물) · 군중제어기(메즈) · 궁극기 · 겜안분 · 광역 기술 · 극딜 · 난수조절 · 너프 · 노다이 클리어 · 뉴비절단기 · 넷코드 · 닥돌 · 더블 플레이 · 대리랭 · 딜찍누 · 딸피(빨피) · 랜덤 인카운터 · 랭크 · 룩딸 · 막장 플레이 · 먹자 · 미러전 · 발컨 · 버프 · 보스 러시 · 보스 재생실 · 부위파괴 · 분노 패턴 · 블링크 · 숙제 · 스킨 · 스플래시 데미지 · 스피드런 · 시체 훼손 · 신컨 · 어그로 · 엔드 콘텐츠 · 인정협회 · 입○○ · 잔기 · 잡몹(자코) · 즉사기 · 전체판정기 · 캠핑 · 차지샷 · 치트키 · 티밍 · 티배깅 · 팀킬 · 파고들기 · 파밍 · 평타 · 플레이어형 보스 · 플레이어형 잡몹 · 패턴화 · 패턴 스킵 · 하이스코어 · 현피(리얼철권) · 히트박스 · 히트스캔 · 회차 플레이 · CPU 보정 · DPS · GG · 1라운드 보스 · 1UP 틀:게임 시점 |
| 부분유료 · 완전판 상술 · 캐시 아이템 · 합본 · 합팩 · 확률형 아이템 · Pay to Win | |
| 각폭 · 개돌 · 로켓 점프 · 버니합 · 베이스레이프 · 스폰킬 · 퀵 스코프 · 똥싸개 · 킬딸 · 킬스트릭 · 슬라이딩 | |
| 기합회피 · 노봄발악 · 반격탄 · 방어막 시스템 · 봄 배리어 · 시누가요이 · 안전지대 · 입슈팅 · 와인더 · 위험행위권장 슈팅게임 · 처리지연 · 탄막 게임 · 폭탄 · 피탄 판정 · CAVE 5대천왕 | |
| 노미스 클리어 · 원코인 클리어 · 코인 러시 | |
| 불리기 · 임사 틀:하이스코어 | |
| 데스볼 · 어택땅 · 입스타 · 치즈 러시 · AOE 틀:실시간 전략 게임 · 분류:스타크래프트/전략전술 · 분류:스타크래프트 2/전략전술 | |
| 감나빗 · 맵병기 · ZOC | |
| 만점 플레이 · 폭사 · 풀콤보 분류:리듬 게임 용어 | |
| 가드 불능 · 가드 크러시 · 니가와(파동승룡 · 대기군인 · 열풍카이저) · 다단히트 · 모르면 맞아야죠 · 무한 콤보 · 바운드 · 자세 캐릭터 · 잡기 캐릭터 · 절명콤보 · 필살기(초필살기) · 한대만 · SNK 보스 신드롬 틀:대전 액션 게임의 커맨드 기술 분류 · 분류:대전 격투 게임 용어 | |
| 한타 AOS(장르)/용어 · 리그 오브 레전드/용어 | |
| 가챠 · 리세마라 · 복각 · 분재게임 · 사료 · 실장 · 이격 · 인권캐 · 천장 · 픽업 · 해금 서브컬처 게임/용어 | |
| 겸손한 게임 제안 · 루도내러티브 부조화 | |
| 분류:게임 용어 · 분류:게임별 용어 | }}}}}}}}} |
1. 개요
게임 용어. 유래가 된 일본어로는 '야리코미'라 하며, やり込み(やりこみ)라고 쓴다.게임 내에 제시된 클리어 목적 이상으로 파고 드는 플레이를 뜻한다.
2. 설명
일반적으로 게임을 클리어하는 데 의의를 두는 것이 아닌, 특정 목표를 잡고 극한까지 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한다.이런 요소를 공식화시킨 것이 바로 업적 시스템이다.
3. 종류
3.1. 컴플리트
도감 다 채우기, 아이템 전부 수집하기, 모든 플레이어블 캐릭터의 육성 가능한 수치(레벨/능력치 등)를 최대로 달성하기,[1] 미연시의 전 CG 수집, 악마성 시리즈에서의 맵 200% 달성, 야숨과 왕눈의 달성률 100% 등 게임에서 주어진 모든 요소를 컴플리트 하는 것을 뜻한다.일본 현지에서는 이미 후술할 제약 플레이보다 이쪽이 파고들기를 대표하고 있다. 다양한 콘텐츠가 마련되어 오랜 시간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을 '파고들기 요소가 많다'(やり込み要素が多い)고 표현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3.2. 슈퍼 플레이
하이 스코어 달성, 노 미스 플레이, 리듬 게임의 풀콤보/퍼펙트/엑설런트 등[2] 통상적인 클리어 조건을 넘어서 가능한 최고의 기록을 내는 것을 뜻한다.프린세스 메이커 2도 출시된지 오랜 시간이 지난만큼 온갖 플레이가 존재한다. 세이브, 로드 노가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최대 수치를 얻거나 무사수행 없이 올스탯 999를 찍는 등 엄청난 고인물 플레이가 존재한다. 동방 프로젝트의 정직한 자의 대회전의 경우 제작자인 ZUN에게 "완전 미쳤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파고들기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삼국지 영걸전은 난이도가 꽤나 높은 편이기 때문에 최대한 효율적인 경험치 분배와 적절한 노가다가 필요한 게임이었는데, 이것이 극한으로 발달하면 아군 장수 15명, 21명의 레벨을 99까지 올리기, 통칭 1599, 2199와 같은 극한의 플레이나 또는 최악의 무장인 유선을 99레벨까지 올려서 마지막 보스 조조와 1:1 맞짱을 뜨게 한다든지 하는 경우가 있다. 전혀 트릭이나 노가다 없이 플레이시, 영걸전은 전투와 적의 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한 명의 장수도 보통 90레벨 이상으로 올라가지는 않음에도 이걸 기어이 해내는 용자들이 있다.
드래곤 퀘스트 3의 조마(드래곤 퀘스트 3)처럼 스토리 상 빛의 구슬을 써서 정공법으로 이겨야 하는데 빛의 구슬 없이 주먹으로 패잡거나, 게임의 오류 및 버그같은 것도 적극 활용함으로서, 이벤트 전투가 발생하여 게임의 스토리와 시스템상으로 플레이어측이 패배할 수밖에 없는 전투에서 마저 이겨버리는 상황이 발생한다. 보통 이런 경우는 그대로 버그로 게임이 진행이 안되지만, 제작사에 따라서는 이런 상황도 예상하고서 새로운 이벤트를 준비한다. 말도 안되는 엔딩으로 치닫는 기신비상 데몬베인이라든지, 숨겨진 아이템을 주는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등이 있다. 역으로 전국란스의 리틀 프린세스 각성 후 전투는 이겨도 치트 쓰지 말라면서 강제로 게임 오버를 시켰는데 패치 후에는 그냥 무시하고 이벤트를 진행시킨다.
좋은 예로 모바일게임 영웅서기Zero에서 이런 식의 파고들기 요소가 등장하는데, 초반에 주인공 잡으러 온 아퀼라를 이기면 본 스토리와는 3억광년정도 떨어져있는 짧은 이벤트를 감상하게 되고, 바로 스탭롤이 나와 다음 난이도로 넘어가버린다. 없었던 일로 한다/이대로 끝낸다 선택지가 나오는데 없었던 일로 한다고 하면 아퀼라가 로드한다며 리셋하고 이대로 끝낸다고 하면 소드마스터 야마토 패러디 엔딩이 나온다. 그런데 얘는 하드코어 난이도만 가도 잡기가 너무너무 쉬워서[3] 파고들기까지는 아닐지도.
에이스 컴뱃 시리즈에서는 초반 등장하는 에이스에 일정 이상의 타격을 가하면 대사가 달라진다. 에이스 컴뱃 6 의 첫 미션에 등장하는 적군 에이스 편대는 보통의 진행으로는 떨구기가 힘들다. 가속보정이 걸려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실력이 뛰어나면 하나씩 잡을 수가 있다. 이럴땐 대사가 바뀐다.
3.3. 스피드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피드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피드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4. 제약 플레이
클리어에 관계없는 로우스코어, 저렙 플레이, 주요 기능이나 아이템을 사용하지 않는 것, 액션 게임 등에서 도발이나 적이 아닌 허공에 기술 날리기 등을 이용한 퍼포먼스성 플레이 등을 뜻한다. 이렇게 스스로 제약을 두는 경우는 2020년대 현재 야리코미보다는 제약 플레이(縛りプレイ)로 지칭된다.어려운 게임의 대표격인 프롬 소프트웨어에서도 온갖 제약 플레이가 성행한다. 아머드 코어 버딕트 데이에서는 아예 스토리 모드를 1회 클리어하면 여러 가지 조건이 걸려 있는 10종류의 '하드코어 모드'가 개방되는데, 이게 또 한 미친 난이도 한다. 다크 소울 3에서는 맨몸에 맨주먹으로 미디르를 때려잡는 변태 플레이를 보여주는 사람도 있다. 세키로의 경우 강적들을 상대하면서 닌자도구를 쓰지 않고 오직 패링과 회피만을 써서 노미스 플레이로 다 때려잡는 유저들이 있고, 그것도 모자라서 최종 보스의 패턴을 더욱 복잡하게 꼬아놓은 모드까지 설치한다.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서는 '정신기', '기체개조', '파일럿 육성'등을 강화 요소를 봉인하고 플레이 하거나 플레이 기체에 제한을 두는[4] 플레이가 가능하다. 최근에는 'EX하드'모드라 해서 기체개조와 파일럿 육성을 아예 불가능하게 만든 모드가 정식으로 추가 되기도 한다.
몬스터 헌터 시리즈는 전 시리즈에서 방어구 없이 무기만 들고 몬스터를 사냥하는 플레이가 있다. 한 대라도 맞으면 힘이 다하기 때문에, 실질 한 대도 맞지 않는 것이 전제조건. 게다가 무기마다 높은 효율을 보장하는 스킬을 활성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그만큼 플레이어 자신의 조작이 중요해진다.[5]
패미통의 '야리코미 게이머즈'라는 프로그램에서는 그야말로 기상천외한 플레이들이 투고된 바 있다. 소울칼리버 울트라 하드 모드를 낚시 컨트롤러로 클리어하거나,[6] 메탈기어 솔리드 2에서 해리어2를 소콤 피스톨로 약 3800발 정도를 쏘아 격추하는 등.
Grand Theft Auto Online에는 익스팬디드&인핸스드(E&E) 에디션 한정, 경력 진행이라는 시스템이 있는데, 여기서 다양한 도전과제들 중, 특정 무기(권총만 들거나, 단발에 재장전 시간도 오래 걸리는 머스킷이라거나)만 쓰면서 싸우거나, 추가 방어구없이 회복하지 않으면서 명중률을 일정이상으로 달성한채로 제한시간 안에 미션을 클리어하는것을 조건으로 하는, 다양하게 까다로운 조건들을 최종 보상의 조건으로 내세우는 경우가 있다.
리듬 게임에서 풀GOOD같은 것을 띄우는 플레이도 존재한다.[7]
3.4.1. 영상
절체절명도시 2 극악 제약 타임어택
제약
- 난이도 HARD
- 소지품 파손 금지
- 체온 회복 아이템 사용 금지
- 보석 5개 전부 입수
- 전 시나리오 타입A로 클리어
- 세이브는 각 시나리오 종료 후에만 가능
- 노 대미지
- 체온 회복 포인트는 전 시나리오 중 20번 까지만 사용 가능
- 재활용 박스와 회수 아저씨 사용 금지
메탈 기어 솔리드 2 유로피언 익스트림 난이도로 최소 발포수 빅보스 획득
슈퍼 뿌요뿌요 사탄전 뿌요회전 없이 클리어
에이스 컴뱃 제로 제약 플레이
제약
- 난이도 에이스
- 아군 기체의 지시는 분산/대지로 고정
- 특수무기 사용금지
- 미션 타겟을 직접 격파
- 미션 7/13은 S랭크 클리어
- 미션 16의 에이스 부대를 초기기체로 격파
- 사용무기는 투하 폭탄으로 제한
라이덴 노미스 노봄 1000만점+α
캐슬바니아 극악 제약 플레이
제약
- 스토리 진행중 필요한 경우를 제외한 스텟(HP/MP/하트)상한 증가 아이템 획득 금지
- 상태이상에 빠지지 않는다.
- 넘어지지 않는다.
- 속성 체찍 사용금지
- 서브웨펀/이팩트 오브 사용 금지
- 마도기 사용 금지
- 방어구 착용 금지
- 아이템 사용 및 상점 이용 금지
- 세이브 룸 이용 금지
- 악세사리 이용 금지
- 100분 이내 클리어
- 노세이브 클리어
엘든 링 공격 없이 엔딩보기
슈퍼 마리오 64의 물바다 시티의 2번째 스타를 A버튼을 안 누르고 먹는 영상. 참고로 투척병을 절벽에서 잡는 것은 전부 1프레임(0.03초)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으며, 투척병이 마리오를 발판과 스타로 던지는 것은 모두 운빨이다.
오리지널 모던 워페어 도전과제 1000점 타임어택
노부나가의 야망 열풍전 전쟁 없이 천하통일
4. 참고 문서
4.1. 진행 관련
4.2. 플레이 관련
4.3. 유명한 야리코미
[1] 마계전기 디스가이아 시리즈, 팬텀 시리즈 등을 만든 니폰이치 소프트웨어의 SRPG들은 장르부터 야리코미(파고들기)SRPG라고 불리어 왔다.[2] EZ2DJ의 마의 기록이 대표적인 사례.[3] 노멀에서 아퀼라는 레벨 40. 하드코어에서는 56이다. 노가다 할 필요도 없이 그냥 쭉 진행해서 컨트롤 조금만 해도 때려잡을 정도.[4] 건담시리즈 기체만 사용한다거나 여성 파일럿만 사용한다거나 주역기체를 사용하지 않거나 하는식.[5] 동굴에서 주로 사용하는 장비인 횃불로만 퀘스트를 클리어하는 경우도 있다.[6] 해설의 말을 빌리자면 위아래로 흔들면 종베기, 좌우로 흔들면 횡베기라는 실로 실감나는 컨트롤이 가능하나 그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물론, 가드도.[7] 게임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정확한 타이밍에 건반을 누르면 Perfect 또는 Cool 판정을 주고 반박자정도 느리거나 빠르면 Great 또는 Good 판정을 주는데, 이것이 실수가 아니라 처음부터 끝까지 반박자 간격을 주면서 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