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 지명
자세한 내용은 진산군 문서 참고하십시오.현재는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이다. 원래 전라북도 진산군이었다.
2. 鎭山
각 고을(소재지)의 뒤(주로 북쪽)에 있는 큰 산으로, 주산(主山)이라고도 한다. 풍수지리상의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해당 고을을 대표하는 산이기도 하지만, 진산 이외 다른 산이 사실상의 영산(靈山)/주산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더러 있다. 가령 인천의 경우처럼 실제 진산 소래산이 아닌 문학산을 실질적으로 쳐주는 편이다.[1]다만 해당 지역구분은 현재의 행정구역이 기준이 되는 것이 아니고, 구한말까지 이어져 온 전통적인 고을들이 기준임을 유의해야 한다.
해당 고을의 관아(중심지)를 끼고 있는 산이라, 산의 이름이 해당 고을의 별칭으로 불리거나 역으로 해당 고을의 별칭이 산의 이름으로 명명되기도 했다.
2.1. 목록
구한말 당시 행정구역 | 현재 기준 행정구역 | 진산 |
한양 | 서울 강북 | 북악산 또는 북한산(삼각산) |
인천 | 인천 중, 동, 미추홀, 남동, 연수, 경기도 시흥시 북부[2] | 소래산[3] |
부평 | 인천 부평, 계양, 서구[4], 경기도 부천,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부 | 계양산 |
시흥/금천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금천구, 관악구, 구로구 동부, 동작구 서남부, 경기도 광명시 | 삼성산 또는 금주산, 장군봉 |
과천 | 경기도 과천, 안양, 군포, 서울 서초, 동작 동북부 | 관악산 |
안산 | 경기도 안산, 시흥시 남부 | 수암봉 |
수원 | 경기도 수원, 오산, 화성시 동부 | 화산[5] |
동래 | 부산광역시[6] | 금정산 |
경주 | 경주시 | 낭산## |
전주 | 전주시, 완주군 중남부 | 완산[7] |
성주 | 성주군 | 인현산[8] |
대구 | 대구광역시[9] | 연귀산[10] |
하양 | 경산시 북부 하양읍, 와촌면, 진량읍 북부,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지구 북부 | 무학산 |
울산 | 울산광역시 중구, 남구, 동구, 북구, 울주군 온산읍, 온양읍, 범서읍, 청량읍, 서생면, 웅촌면 및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지구 | 무룡산 |
3. 한국의 2세대 무협 작가 眞山
진산(작가) 항목으로.[1] 이는 옛 인천도호부의 동쪽 지역이었던 시흥시 옛 소래읍 지역이 인천광역시로 수복(재편입)되지 못한 탓이기도 하다.[2] 지금의 시흥시 북부 지역은 1914년까지는 인천의 일부였다.[3] 문학산은 진산이 아닌 안산(案山)이다. 하지만 문학산은 실질적으로 인천의 진산 취급 받긴 하다.[4] 검단 제외[5] 현 화성시 화산동 융건릉 일대에 있는 산. 산 이름에서 더 나아가 수원 고을의 별칭이기도 했으며, 조선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원(융릉)을 조성하기 위해 수원 읍치를 옮기면서 새로운 성을 쌓고 '화성(華城)'이라 이름한 것도 화산(花山/華山)의 '화(華)'에서 따온 것이다(花와 華는 음이 같아 당시 통용되어 쓰였다).[6] 북구, 강서구, 기장군 제외[7] 여기서 전주의 고호(古號)인 '완산주(完山州)'와 현 행정구역인 '완산구', '완주군'의 이름이 유래됐다.[8] 흔히 성주군의 진산을 성산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나, 성주군의 진산은 분명 성주읍 금산1리에 있는 인현산이 맞다.[9] 칠곡지구, 시지, 안심, 현풍읍, 유가읍, 구지면, 논공읍, 군위군 제외[10] 대구제일중학교 자리에 있는 낮은 구릉이다. 보통 규모가 큰 팔공산이나 앞산이 진산처럼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나, 풍수지리에 따른 대구의 실제 진산은 연귀산이다. 더불어 앞산은 풍수지리상으로는 대구의 안산(案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