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8 21:42:27

조상건

<colbgcolor=#595959><colcolor=#fff> 조상건
趙祥虔
파일:fullsizephoto805189.jpg
출생 1946년 1월 9일
평안북도 정주군 (現 평안북도 정주시)
사망 2023년 4월 21일 (향년 77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6cm, 85kg[1]
학력 서울연극학교 (연극과 / 전문학사)
데뷔 1976년 연극 '춘풍의 처'

1. 개요2. 일생3. 활동 내역
3.1. 연극3.2. 영화3.3. 드라마
4. 수상 경력5. 출처

1. 개요

대한민국배우.

2. 일생

1946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조지묵(趙智默, 1973년 사망) 슬하의 1남 2녀 중 외동아들로 태어나 3세 때 온 가족이 월남, 인천에 정착하여 경양식점을 차려 생계를 꾸렸다. 군 제대 후 1971년경 서울연극학교에 입학한 후 동랑레퍼터리극단에 머물며 <로미오와 줄리엣>, <출세기>, <태>, <마의태자> 등에서 작은 배역을 주로 맡았다. 1973년 졸업 후 1976년 삼일로창고극단 작품 <춘풍의 처>로 극작가 겸 연출가 오태석(1940~2022)과 인연을 맺었는데, 본인은 이 때를 데뷔로 친다.

이리하여 오태석과 호흡을 맞춰 <종(1978)>, <한만선(1983)>, <유다여 닭이 울기 전에(1983)> 등에 나오다가 1984년 오태석 휘하 몇몇 배우들과 함께 극단 '목화(현 목화레퍼터리컴퍼니)'를 결성하여 일명 '오사단'의 중견으로 자리잡았다. 1986년 <태>에서 신숙주 역을 열연하여 대한민국연극제 남자연기상을 받아 실력을 인정받았고, 연극 외적으로 1983년 배창호 감독의 영화 <철인들>에 출연해 은막에 진출했으며 1989년 <MBC 베스트셀러극장> '달빛밟기' 편을 시초로 TV 브라운관에서도 얼굴을 내밀었다. 특히 1995년 KBS 드라마 <김구>에서 장~노년 김구 역, 2001년 영화 <신라의 달밤> 박 반장, 2006년 영화 <타짜> 너구리 형사 역으로 각각 대중들에게 임팩트를 선사했다. 중후한 목소리가 인상적이며 정성호, 문세윤, 정형석이 그의 캐릭터 너구리의 성대모사를 꽤 잘한다.

2023년 4월 21일에 사망하였다. 향년 77세. # 평소에도 심장과 신장에 지병이 있었지만 차기작 준비 검토를 할 정도로 별 탈 없이 살다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으며 가족들끼리 조용히 장례를 치렀다. 이 때문인 건지 사망 소식도 조카인 최재형이 한겨레에 전화를 통해서 소식을 알렸으며, 사망한 지 4달이나 넘게 지난 2023년 8월 29일에 이르러서야 기사가 최초로 보도되었다.

3. 활동 내역

3.1. 연극

<rowcolor=#FFFFFF> 상연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72년 로미오와 줄리엣
1974년 - 집행
생일파티
출세기
1975년 보이체크
마의태자 왕철
1976년 고도를 기다리며 포조
니나
춘풍의 처 덕중
1978년 세조
비지
1979년 미스터 프라이데이
1980년 1980년5월
세조
은하수길 우유배달부
세일즈맨의 죽음
1982년 리어왕
1983년 한만선
유다여 닭이 울기 전에
자전거 황석구
1984년 아프리카 발레브
메밀꽃 필 무렵 조 선달
1985년 필부의 꿈 서방
1986년 봄봄 이장
신숙주
1987년 새불
1988년 부자유친 - 진행
1989년 비닐하우스 기술자
불의 나라
1990년 청중
춘향전 변학도
1991년 메리위도: 명랑한 과부 니구스
1992년 우리집 식구는 아무도 못말려
1993년 백마강 달밤에 의자왕
불 좀 꺼주세요 사내
1995년 로미오와 줄리엣
1996년 여우와 사랑을 방문객
1998년 천년의 수인 김구
1999년 리어왕 '99: 우리시대의 마지막 비극 리어 왕
태종 무열왕
2000년 잃어버린 강
2001 맥베드
2001년 칼맨
치마 김구

3.2. 영화

<rowcolor=#FFFFFF> 개봉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83년 철인들 조연
장미와 도박사
1990년 오세암 행운 스님 주연
1992년 눈꽃 닥터 민 조연
1996년 고스트 맘마 할아버지 단역
1997년 박대박 준의 아버지
산부인과
1998년 처녀들의 저녁식사 섹스샵 주인
2001년 눈물 공중전화 아저씨 조연
신라의 달밤 박 반장
화산고 경수의 아버지 단역
2002년 2009 로스트 메모리즈 김대성 조연
보스 상륙작전 왕발
2003년 블루 민 제독
청풍명월 김언 단역
2005년 그때 그 사람들 만찬장 집사, 심상효 조연
2006년 싸움의 기술 중국집 주인
타짜 너구리 특별출연
사랑따윈 필요없어 변호사 조연
2007년 오래된 정원 교도소 주임 단역
2008년 무방비도시 정연욱 조연
다찌마와 리: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 김 선생[2]
2009년 전우치 창고지기 단역
2011년 완득이 동주 父 특별출연[3]
2016년 죽여주는 여자 종수 조연

3.3. 드라마

<rowcolor=#FFFFFF> 방영연도 방송사 방송명 배역 비고
1989년 파일:MBC 로고(1986-2005).svg MBC 베스트셀러극장 '달빛밟기'
1995년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김구 장년 김구 주연
1996년 파일:SBS 로고(1994-2000).svg 임꺽정 양주군수
2009년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그저 바라보다가 최 회장
2014년 파일:MBC 로고.svg 트라이앵글 안창봉 조연
파일:SBS 로고.svg 모던파머 박득출
2015년 파일:JTBC 로고.svg 송곳 다원기업 회장
2020년 18 어게인 너구리

4. 수상 경력

  • 제10회 대한민국연극제 남자연기상 (1986, 태)

5. 출처

  • 무대 위의 얼굴 - 구히서 저. 시민. 1990. p267~273.[4]


[1] 네이버 프로필 기준. 연극평론가 구히서(1939~2019)의 저서 <무대 위의 인생>에선 177cm, 78kg이라 한다.[2] 배역명으로는 '김 선생'으로만 나오지만, 김구이다.[3] 아귀가 아들인지라 배우 개그가 성립했다.[4] 이 분량은 <한국연극> 1989년 10월호에 이미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