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22:14:47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략적 팀 전투
||<-5><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D78C3A><tablebgcolor=#fff,#1f2023><bgcolor=#D78C3A> 파일:전략적 팀 전투 로고_white.svg ||
전략가 결투장 아이템 (삭제) 전략 및 팁 시스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세트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세트 1 세트 2
격동하는 원소
세트 3 | 갤럭시
세트 3.5 | 별을 향한 귀환
세트 4 | 운명
세트 4.5 | 야수의 축제
세트 5 | 심판
세트 5.5 | 영웅의 여명
세트 6 | 기계와 장치
세트 6.5 | 네온의 밤
세트 7 | 용의 땅
세트 7.5 | 미지의 영역
세트 8 | 괴물 습격!
세트 8.5 | 치명적 오류!
세트 9 | 룬테라 리포지드
세트 9.5 | 수평선 너머로
세트 10
리믹스 럼블
세트 11
먹물 우화
세트 12
마법 아수라장
세트 13
아케인의 세계로
세트 14
사이버 시티
세트 15
K.O. 콜로세움
세트 16
신화와 전설
연두색: 현재 진행 중인 세트
}}}}}}}}}


1. 개요2. 시스템
2.1. 시작 조우자2.2. 증강2.3. 파워 업
2.3.1. 목록
2.4. 단계
3. 특성
3.1. 계열
3.1.1. 거대 메크3.1.2. 괴물 트레이너3.1.3. 멘토3.1.4. 별 수호자3.1.5. 소울 파이터3.1.6. 수정 갬빗3.1.7. 슈프림 셀3.1.8. 악령3.1.9. 전투사관학교3.1.10. 크루3.1.11. 프로레슬러
3.2. 챔피언 고유 계열
3.2.1. 레슬링 챔피언3.2.2. 장미 어머니3.2.3. 태세의 대가3.2.4. 해적 선장
3.3. 직업
3.3.1. 결투가3.3.2. 마법사3.3.3. 봉쇄자3.3.4. 신동3.3.5. 요새3.3.6. 이단아3.3.7. 저격수3.3.8. 전쟁기계3.3.9. 책략가3.3.10. 처형자3.3.11. 헤비급
4. 유닛
4.1. 1단계
4.1.1. 가렌4.1.2. 나르4.1.3. 나피리4.1.4. 렐4.1.5. 루시안4.1.6. 말파이트4.1.7. 시비르4.1.8. 신드라4.1.9. 아트록스4.1.10. 이즈리얼4.1.11. 자크4.1.12. 칼리스타4.1.13. 케넨4.1.14. 케일
4.2. 2단계
4.2.1. 갱플랭크4.2.2. 라칸4.2.3. 럭스4.2.4. 문도 박사4.2.5. 바이4.2.6. 쉔4.2.7. 신 짜오4.2.8. 자야4.2.9. 잔나4.2.10. 진4.2.11. 카이사4.2.12. 카타리나4.2.13. 코부코
4.3. 3단계
4.3.1. 니코4.3.2. 다리우스4.3.3. 룰루4.3.4. 말자하4.3.5. 비에고4.3.6. 세나4.3.7. 스웨인4.3.8. 아리4.3.9. 야스오4.3.10. 우디르4.3.11. 제이스4.3.12. 직스4.3.13. 케이틀린
4.4. 4단계
4.4.1. 라이즈4.4.2. 레오나4.4.3. 볼리베어4.4.4. 뽀삐4.4.5. 사미라4.4.6. 세트4.4.7. 아칼리4.4.8. 애쉬4.4.9. 유미4.4.10. 자르반 4세4.4.11. 징크스4.4.12. 카르마4.4.13. 크산테
4.5. 5단계
4.5.1. 그웬4.5.2. 리 신4.5.3. 바루스4.5.4. 브라움4.5.5. 세라핀4.5.6. 요네4.5.7. 자이라4.5.8. 트위스티드 페이트
4.6. 증강 전용 기물
4.6.1. 에코

1. 개요


전략적 팀 전투의 세트 15에 대해 다루는 문서. 공식 부제는 K.O. 콜로세움. 대전 격투 게임, 특히 소울 파이터 스킨 시리즈와 자사의 격투 게임 2XKO를 테마로 한 세트이다. 2025년 7월 30일 TFT15.1 패치로 출시되어 2025년 12월 3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티저에서 모습을 보인 챔피언 및 스킨은 소울 파이터 그웬, 프로레슬러 브라움, 용의 권 리 신, 별 수호자 세라핀, 전투사관학교 이즈리얼, 메카 갈리오 등이다. 기물들이 기존 협곡 및 전략적 팀 전투의 아트 스타일이 아니라, 2XKO의 공개에 맞춰 그와 유사한 2.5D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모델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물들의 스킬명, 증강체 및 파워업 이름들은 대부분 만화나 애니메이션의 명대사나 밈 등에서 따온 것이 많다.[1]

2. 시스템

기존에 공격력/주문력 및 탱커/전사/암살자/마법사/원거리 딜러로 분류되어 있던 역할군이 더욱 상세하고 개별적이도록 새롭게 개편되었다.
  • 기존에는 모든 역할군이 공격 시 10, 피격 시 받은 피해량의 일부에 해당하는 마나를 회복하였으나. 이제 피격으로 인한 마나 회복은 탱커 역할군에만 해당된다.
  • 또한 '마나 재생' 능력치가 추가되면서 일부 유닛들은 공격을 하지 못하더라도 소량의 마나를 매 초 회복한다.
  • 기존에 시작 마나를 올려 주던 여신의 눈물과 상위 아이템들은 이제 마나 재생을 늘려 주게 되었다.
  • 각각의 역할군에 따라 공격 시 마나 회복량 및 기본 마나 재생량에 차이가 존재한다. 예외적으로 케일과 진의 경우 '주문력/공격력 전문가'라는 역할군으로 마나가 존재하지 않는다.
  • 탱커: 공격 당 마나를 5 회복하며, 유일하게 피격 시에도 마나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공격의 대상으로 지정될 확률이 높다.
  • 전사: 공격 당 마나를 10 회복하며, 스테이지에 따라 5~30%의 공격속도를 얻는다.[2]

    * 암살자: 공격 당 마나를 10 회복한다. 또한 공격의 대상으로 지정될 확률이 낮다.[3]
  • 마법사: 공격 당 마나를 7 회복하며, 초당 2의 마나 재생을 얻는다.
  • 원거리 딜러: 공격 당 마나를 10 회복한다.

또한, 기존에는 상징을 2~3개 추가로 확보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던 막강한 프리즘 시너지의 조건이 개편되었다. 별 수호자, 소울 파이터, 전투사관학교의 경우 프리즘 시너지를 맞추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하는 특성의 최대 시너지를 맞춘 뒤, 각 시너지별로 요구하는 퀘스트를 달성해야 한다.[별수호자][소울파이터][전투사관학교] [7][8] 또한 거대 메카, 수정 갬빗의 경우에는 특별한 조건이 필요하며, 프리즘 조건이 조합에 적혀져있지 않으며, 난이도, 성능 둘 다 극악이다.[거대메카][수정]

15.4 패치로 암살자 역할군이 삭제되고 기존 암살자 역할군 챔피언들은 모두 전사로 변경되었다. 또한 전사 역할군이 제공하던 흡혈 효과가 삭제되고 대신 공격 속도를 얻도록 변경되었다.

2.1. 시작 조우자

목록
  • 코부코 - 빠른 간식(7.92%)
    두 번째 파워 간식이 3-6이 아닌 2-6에서 제공됩니다.
  • 이즈리얼 - 업그레이드된 챔피언(5.94%)
    2성 챔피언 1명을 보유한 상태로 게임을 시작합니다.
  • 트위스티드 페이트 - 조합 아이템 모루(5.94%)
    조합 아이템 모루 2개를 획득합니다. 무기를 선택해주세요!
  • 비에고 - 3단계 시작(5.94%)
    무작위 3단계 챔피언 1명을 보유한 상태로 게임을 시작합니다!
  • 브라움 - 골드 구독(5.94%)
    각 스테이지 시작 시 상금을 획득합니다!
  • 야스오 - 골드 향연(5.94%)
    골드 증강 3개로 골드를 노리세요![11]
  • 아리 - 물놀이 에피소드(5.94%)
    물놀이 에피소드! 전략가가 던질 수 있는 물놀이 공을 획득합니다![12]
  • 유미 - 바위 게 웅덩이(5.94%)
    결투장이 추가 전리품을 지닌 게로 가득 찹니다.[13]
  • 세트 - 승자의 전당(5.94%)
    상위 4위 확정 후 남은 플레이어가 10골드와 조합 아이템 모루 2개를 획득합니다.[14]
  • 자르반 4세 - 장엄한 격돌(5.94%)
    공동 선택에서 더 많은 경쟁자가 등장합니다![15]
  • 징크스 - 증강 라운드 교체(5.94%)
    신나게 놀아봅시다! 이번 게임에서 증강이 더 일찍 제공됩니다.[16]
  • 아칼리 - 전리품 정기 구독(4.95%)
    각 스테이지 시작 시 매우 다양한 전리품을 획득합니다!
  • 최종 결승(4.95%)
    최종 결승입니다! 챔피언답게, 스스로 헤쳐 나가야 합니다.(조우자 효과 없음)
  • 자이라 - 프리즘 대단원(3.96%)
    세 번째 프리즘 증강으로 멋진 마무리를 준비하세요![17]
  • 리 신 - 프리즘 전주곡(3.96%)
    이번 전투는 프리즘 증강과 함께 시작됩니다![18]
  • 룰루 - 조련사 골렘(3.96%)
    골렘을 조련하세요! 골렘은 무작위 상징 3개를 장착하고 있습니다.[19]
  • 그웬 - 프리즘 연회(3.96%)
    최후의 결전입니다! 이번 게임의 모든 증강이 프리즘으로 변합니다.[20]
  • 세라핀 - 광란의 게판(2.97%)
    결투장이 추가 전리품을 지닌 게로 가득 찹니다. 게는 스테이지 5 이후 극도로 위험해집니다.[21]
  • 요네 - 유물 모루(0%)[22]
    이 유물 모루에서 시그니처 무기를 집습니다.

2.2. 증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증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증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증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파워 업

세트 15의 핵심 시스템. 1-3 및 3-6라운드에 '파워 간식'이 모든 플레이어에게 총 2개씩 주어지며, 해당 아이템을 챔피언에게 부여함으로써 추가로 강화할 수 있다. 파워 업된 챔피언을 판매하거나 매 스테이지마다 주어지는 파워 업 제거기를 사용하여 파워 업을 바꿀 수 있다. 파워 업은 한 챔피언에게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다른 챔피언에게 사용해야 한다. 파워 업된 기물을 상점에 팔면 열매는 되돌아온다.
  • 파워업은 '가중치'라고 해서 확률이 존재한다. 다만, 파워업 제거 열매를 사용한 다음 파워업을 제거한 기물에게 다시 파워업 열매를 사용하면 바로 직전의 선택지들은 제시되지 않으므로 어느정도 확률 보정이 가능하다.
  • 파워업은 언뜻 전부 무작위로 보이지만, 특정 파워업들은 선택지로 제시되는 시점이 존재하고, 그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선택지로 아예 제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성장형 파워업의 대부분은 초반에만 제시된다.

파워 업은 역할군에 맞는 범용 선택지, 특성에 맞는 선택지, 챔피언의 특별한 선택지 중에서 랜덤하게 나오고 그 수가 꽤 다양하다.

일단 시즌 초에서 전략적인 선택지로 작용한다기보다는, 초반에 운 좋게 골드 관련 파워 업을 골라 골드를 땡긴 다음, 일정 시점이 되면 해당 기물을 팔아치워 열매를 회수하고 메인 캐리/탱커 기물에 전투 능력치 관련 파워업을 선택하는 획일화된 방식으로 쓰이고 있다. 오직 2스테이지 이내의 초반에만 뜨는 '성장형 능력치' 파워업이 있기는 하나, 이를 선택할 경우 전투는 전투대로 불리하고 골드는 골드대로 모자라서 하위권으로 밀려나기 딱 좋기 때문이다.

시스템의 공식 명칭이 '파워 업', 아이템의 공식 명칭은 '파워 간식'이지만 아이콘의 생김새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서는 악마의 열매, 줄여서 열매라고 불리는 경우가 절대 다수이다. 실제로 세트15가 스킬명이나 모티브를 만화나 게임 등에서 따 온 것이 많은 것을 생각하면 그리 이상한 것도 아니다.

2.3.1. 목록

  • 2X 도전자: 바이, 아리, 다리우스, 야스오, 징크스, 브라움, 에코가 전장에 배치한 복사본 한 종류당 피해 증폭을 4%, 내구력을 2% 얻습니다. 이 유닛은 75% 더 얻습니다. (가중치 6)
    • 대상 챔피언: 바이, 아리, 다리우스, 야스오, 징크스, 브라움, 에코
  • 2XKO: 처치 관여 2회 후 2칸 내 적을 2초 동안 기절시키고 전투가 끝날 때까지 피해 증폭을 35% 얻습니다. (가중치 6)
    • 대상 챔피언: 나피리, 다리우스, 제이스, 볼리베어, 브라움
  • 2라운드: 사망 시 동일한 아이템을 장착한 훈련 봇을 소환합니다. 훈련 봇은 이 유닛의 체력을 60%만큼 갖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신 짜오, 코부코, 니코, 람머스, 스웨인, 우디르, 레오나, 세트, 크산테
  • 37번째 도전: 에코의 스킬이 가장 가까운 적을 우선적으로 공격하지만, 스킬 사용 시 최대 체력의 20%를 회복하고 스킬이 대상에게 적중할 때마다 마법 피해를 6% 더 입힙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에코
  • 9,000 초과[23]: 각 라운드 시작 시 영구적으로 무작위 추가 능력치를 얻습니다.[24] (가중치 10)
현재: +0 공격력, +0 주문력, +0% 공격 속도, +0 방어력, +0 마법 저항력, +0 체력, +0 마나 회복
  • 대상 챔피언: 가렌, 나르, 렐, 루시안, 말파이트, 시비르, 신드라, 자크, 칼리스타, 케넨, 케일, 갱플랭크, 럭스, 문도 박사, 바이, 쉔, 자야, 카이사, 카타리나, 니코, 다리우스, 람머스, 비에고, 세나, 스몰더, 야스오, 우디르, 제이스, 케이틀린, 코그모, 애쉬, 에코
  • 가시 돋친 껍질: 방어력을 40 얻습니다. 이 챔피언을 공격하는 적은 25+스테이지당 8만큼 물리 피해를 입습니다. (공격자당 재사용 대기시간 1초)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신 짜오, 코부코, 니코, 람머스, 스웨인, 우디르, 레오나, 뽀삐, 세트, 자르반 4세, 크산테
  • 간식 시간: 브라움이 스킬 사용 시 추가로 무작위 적에게 포로 5마리를 던져 각각 브라움 기본 공격력의 200%에 해당하는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포로에게 안전합니다. 브라움은 전문가니까요.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브라움
  • 강한 불꽃: 3초마다 가장 가까운 적을 감전시켜 적 최대 체력의 9%에 해당하는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적이 어떤 방식으로든 기절할 때마다 감전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케넨, 코부코, 람머스, 뽀삐, 세트, 자르반 4세, 브라움
  • 거인화[25]: 2개의 유닛 슬롯을 차지합니다. 체력, 내구력, 피해 증폭을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나피리,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갱플랭크,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신 짜오, 카타리나, 코부코, 니코, 다리우스, 람머스, 스웨인, 우디르, 제이스, 레오나, 볼리베어, 뽀삐, 세트, 자르반 4세, 크산테, 그웬, 리 신, 브라움, 요네

(1) 900 체력, 20% 내구력, 10% 피해 증폭

(2) 1250 체력, 25% 내구력, 20% 피해 증폭
  • 결승 진출[26]: 피해 증폭을 12%, 피해량 감소를 8% 얻습니다. 탈락한 플레이어 1명당 피해 증폭이 2%, 피해량 감소가 2% 증가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나피리, 말파이트, 자크, 갱플랭크, 바이, 쉔, 카타리나, 니코, 다리우스, 비에고, 우디르, 제이스, 볼리베어, 사미라, 아칼리, 그웬, 리 신, 브라움, 에코, 요네
  • 공격 전문가: 공격력을 5% 얻습니다. 다른 모든 요소로부터 얻는 공격력이 30% 증가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르, 시비르, 이즈리얼, 칼리스타, 갱플랭크, 문도 박사, 바이, 자야, 진, 카이사, 세나, 스몰더, 야스오, 제이스, 케이틀린, 볼리베어, 사미라, 애쉬, 징크스, 리 신, 바루스, 브라움, 요네
  • 과다출혈: 스킬이 4초에 걸쳐 60%의 추가 피해를 고정 피해로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말파이트, 시비르, 칼리스타, 케넨, 갱플랭크, 카타리나, 다리우스, 야스오, 징크스
  • 과잉 반응: 처치 관여 시 공격 속도를 90% 얻습니다. 공격 속도는 3초에 걸쳐 빠르게 사라집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르, 자야, 직스, 코그모, 징크스, 바루스, 자이라
  • 관리인: 스킬 사용 시 체력 비율이 가장 낮은 아군이 6초 동안 135(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의 보호막을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루시안, 신드라, 럭스, 잔나, 말자하, 아리, 코그모, 유미, 카르마
  • 구석 몰이: 공격 속도를 30% 얻습니다. 체력이 75% 및 25%일때, 안전한 위치로 돌진하고 사거리 제한이 없어집니다. (가중치 5)
    • 대상 챔피언: 쉔, 자야, 카이사, 애쉬, 징크스
  • 굶주린 영웅[27]: 체력을 100, 공격력을 8% 얻습니다. 라운드마다 플레이어 체력을 3 지불해 체력을 75, 공격력을 3 얻을 수 있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나피리, 아트록스, 갱플랭크, 문도 박사, 바이, 신 짜오, 진, 카이사, 코부코, 다리우스, 야스오, 우디르, 제이스
  • 궁극의 초월[28]: 7레벨 및 10레벨에서 추가로 초월합니다. 7레벨: 기본 공격 3회마다 주문력을 5% 얻습니다. 10레벨: 파동 2개를 추가로 발사해 55%의 피해를 입힙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케일
  • 그림자 분신: 동일한 아이템을 장착하고 22%의 피해를 입히며 50%의 체력을 지닌 이 챔피언의 완벽한 복사본을 생성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르, 루시안, 신드라, 이즈리얼, 케일, 럭스, 자야, 말자하, 세나, 직스, 케이틀린, 코그모, 사미라, 애쉬, 카르마, 바루스, 트위스티드 페이트
  • 극대화 공격[29]: 공격력을 12% 얻고 처치 관여 2회당 영구적으로 1% 얻습니다. (현재: 0%)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나르, 나피리, 시비르, 이즈리얼, 칼리스타, 갱플랭크, 문도 박사, 바이, 자야, 진, 카이사, 다리우스, 세나, 스몰더, 야스오, 우디르, 제이스, 케이틀린
  • 극대화 아르카나[30]: 주문력을 22% 얻고 처치 관여 2회당 영구적으로 1% 얻습니다. (현재: 0%)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루시안, 말파이트, 신드라, 자크, 케넨, 케일, 럭스, 쉔, 잔나, 카타리나, 니코, 말자하, 비에고, 아리, 직스, 코그모
  • 극한의 태세: 체력을 100 얻고 선택한 태세 특성이 추가로 +1 증가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리 신
  • 극한의 활력[31]: 전투 시작 시 영구적으로 체력을 40 얻습니다. 10초마다 이 챔피언이 생존하면 영구적으로 추가 체력을 12 얻습니다.
(현재: 0)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신 짜오, 코부코, 니코, 다리우스, 람머스, 스웨인, 우디르, 제이스
  • 기습 타격: 대상 변경 시 다음 대상에게 순간적으로 이동합니다. 다음 기본 공격 시 175%만큼 마법 피해를 추가로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카타리나, 다리우스, 제이스, 아칼리, 리 신, 에코
  • 끝판왕[32]: 모든 피해 흡혈을 10% 얻습니다. 아군이 사망할 때마다 피해 증폭을 4% 얻습니다. (중첩 가능)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거대 메크 로봇, 가렌, 나피리, 말파이트, 자크, 갱플랭크, 문도 박사, 바이, 카타리나, 니코, 다리우스, 비에고, 야스오, 우디르, 제이스, 볼리베어, 리 신, 브라움, 에코, 요네
  • 내면의 불꽃: 2초마다 가장 가까운 불태우기가 적용되지 않은 적에게 10초 동안 불태우기 및 상처를 적용합니다. 불태우기가 적용된 적으로부터 받는 피해가 15% 감소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거대 메크 로봇, 가렌,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신 짜오, 코부코, 니코, 람머스, 스웨인, 레오나, 뽀삐, 세트, 자르반 4세, 크산테
  • 내성[33]: 피해를 받을 때마다 해당 피해량이 25 감소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신 짜오, 코부코, 니코, 람머스, 스웨인, 레오나, 세트, 자르반 4세, 크산테
  • 단결된 의지: 쉔의 스킬이 체력이 가장 낮은 아군에게도 보호막 흡수량의 50%만큼 보호막을 씌웁니다. 또한 스킬 사용 시 중첩되는 마법 저항력을 25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쉔
  • 더 밝은 빛으로: 스킬을 2회 사용할 때마다 럭스의 스킬이 반경 2칸에 폭발하며 10%의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럭스
  • 더블 다운: 피해 증폭을 18% 얻습니다. 이 유닛이 스킬을 사용하면 사용한 마나의 20%를 다른 파워 업 유닛이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이즈리얼, 잔나, 아리
  • 로봇 레인저: 거대 메크 로봇의 공격력 및 주문력을 50%만큼, 체력을 10%만큼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루시안, 갱플랭크, 자르반 4세, 카르마, 요네

  • 마나 폭주: 마나가 가득 찬 상태로 전투를 시작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자르반 4세, 자이라
  • 로켓 손: 전투 시작 시 4초 동안 체력의 20%에 해당하는 보호막을 얻습니다. 대상이 사망하면 다음 대상을 근접 사거리로 끌어당기고 보호막을 다시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케넨, 라칸, 니코, 다리우스, 크산테
  • 마법 전문가: 주문력을 10% 얻습니다. 다른 모든 요소로부터 얻는 주문력이 30% 증가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루시안, 케넨, 케일, 럭스, 카타리나, 니코, 말자하, 비에고, 아리, 직스, 코그모, 라이즈, 아칼리, 유미, 카르마, 그웬, 세라핀, 에코, 자이라
  • 메카검술[34]: 최대 체력의 4%만큼 공격 속도를 얻습니다. 기본 공격 시 추가 마나를 5 얻습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아트록스
  • 메크 조종사 (가중치 10)
(1) 거대 메크 로봇에 탑승하고, 이 유닛의 능력치 부여: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60% ,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100% . 체력이 60%가 되면 거대 메크 로봇에서 탈출

(2) 거대 메크 로봇에 조종사의 특성 효과 적용
  • 대상 챔피언: 루시안, 아트록스, 갱플랭크, 세나, 자르반 4세, 카르마, 요네
  • 메크레슬러: 거대 메크와 프로레슬러를 배치하면 거대 메크 로봇이 체력을 100 얻고 프로레슬러가 되어 특성 중첩이 +1 증가합니다.
    • 대상 챔피언: 거대 메크 로봇
  • 모험가 (가중치 10)
(1) 적 처치 시 최대 체력의 15%만큼 체력 회복 및 2초 동안 공격 속도 40% 획득

(2) 처치 시 40% 획득. 체력이 10% 아래인 적 처형
  • 대상 챔피언: 가렌, 나피리, 자크, 문도 박사, 바이, 다리우스, 비에고, 야스오, 우디르, 제이스, 볼리베어, 아칼리, 리 신, 브라움, 에코, 요네
  • 몽둥이찜질: 기본 공격 및 스킬이 적의 방어력을 40%만큼 무시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르, 나피리, 시비르, 칼리스타, 갱플랭크, 문도 박사, 자야, 진, 카이사, 다리우스, 세나, 스몰더, 야스오, 케이틀린, 볼리베어, 사미라, 애쉬, 바루스
  • 무게 추[35]: 무게 추를 10개 획득합니다. 무게 추가 1개 이상일 때 이동 속도 및 공격 속도가 50% 둔화됩니다. 플레이어 대상 전투 승리 시 무게 추를 1개 떨어뜨리고, 패배 시 2개 떨어뜨립니다. 무게 추가 0개일 때 공격 속도를 60%, 피해량 감소를 12% 얻습니다. (남은 무게 추: 10)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피리, 갱플랭크, 카타리나, 다리우스, 비에고, 야스오, 제이스, 볼리베어, 크산테, 그웬, 리 신, 브라움
  • 무리 전술: 기본 공격 피해량의 15%의 물리 피해를 입히는 무리 2마리를 획득합니다. 나피리가 스킬을 사용하면 무리가 2칸 내 체력이 가장 낮은 적에게 돌진합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나피리
  • 미다스의 손[36]: 기본 공격 및 스킬이 체력이 10% 아래인 적을 처형합니다. 적 처치 시 25% 확률로 골드를 떨어뜨립니다. (골드: 0) (가중치 5)
  • 대상 챔피언: 거대 메크 로봇, 가렌, 나르, 나피리, 루시안, 말파이트, 시비르, 신드라, 이즈리얼, 자크, 칼리스타, 케넨, 케일, 갱플랭크, 럭스, 바이, 쉔, 자야, 진, 카이사, 카타리나, 니코, 다리우스, 말자하, 비에고, 세나, 스몰더, 아리, 야스오, 우디르, 직스, 제이스, 케이틀린, 코그모, 라이즈, 볼리베어, 사미라, 애쉬, 유미, 징크스, 카르마, 그웬, 리 신, 바루스, 세라핀, 요네, 트위스티드 페이트
  • 바느질: 첫 번째 및 두 번째 스킬 사용 시 추가 바늘을 2개 발사해 45%만큼 피해를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그웬
  • 바람 장막: 야스오가 치명타 확률을 60% 얻고 인접하지 않은 적에게 받는 피해가 15% 감소합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야스오
  • 방랑 2인조: 세나와 루시안 모두 마나 재생을 3 얻습니다. 둘 다 3성일 경우, 거대 메크 특성을 +1 얻습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루시안, 세나
  • 베테랑: 이 유닛은 멘토입니다. 이 멘토는 피해 증폭을 4% 부여하며 (4) 멘토 달성 시 스킬이 업그레이드되지 않지만 공격력 및 주문력을 35%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칼리스타, 자야, 잔나, 카타리나
  • 별 항해자 (가중치 10)
(1) 별 수호자로 획득하는 추가 효과 25% 증가

(2) 또한 입힌 피해량의 15%만큼 다른 별 항해자 체력 회복
  • 대상 챔피언: 렐, 신드라, 아리, 니코, 뽀삐, 징크스, 세라핀
  • 부식: 2칸 내 적에게 파쇄 및 파열을 30% 적용합니다. 파쇄 또는 파열이 적용된 적으로부터 받는 피해가 10% 감소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거대 메크 로봇, 가렌,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신 짜오, 코부코, 니코, 람머스, 스웨인, 우디르, 레오나, 뽀삐, 세트, 자르반 4세, 크산테
  • 별빛 기사[37]: 배치한 1단계 유닛 하나당 체력을 6%, 주문력을 10 얻습니다. 해당 유닛이 3성일 경우 수치가 2배로 증가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렐
  • 분노 해방: 공격 속도를 30% 얻습니다. 다른 파워 업 유닛 사망 시 공격 속도를 300% 얻습니다. 이 공격 속도는 4초에 걸쳐 점차 사라집니다. 이 유닛이 먼저 사망하면, 다른 파워 업 유닛이 효과를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르, 케일, 쉔, 자야, 직스, 코그모, 애쉬, 징크스, 자이라, 트위스티드 페이트
  • 불굴의 의지: 모든 피해 흡혈을 15% 얻습니다. 전투 시작 후 15초 동안 군중 제어 효과에 면역이 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거대 메크 로봇, 가렌, 나피리, 말파이트, 갱플랭크, 바이, 카타리나, 다리우스, 비에고, 야스오, 우디르, 제이스, 볼리베어, 아칼리, 그웬, 리 신, 브라움, 에코, 요네
  • 빠른 태그: 사망 시 같은 수의 아이템을 장착한 동일한 역할군 유닛을 소환합니다. 이 유닛은 장착 유닛보다 1단계 낮으며, 15% 감소한 체력을 갖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다리우스, 야스오, 브라움
  • 사냥본능: 스킬이 대신 사거리 내 체력이 가장 낮은 적을 대상으로 지정합니다. 마나 재생을 3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루시안, 시비르, 신드라, 말자하, 아리, 라이즈
  • 살아있는 벽: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을 20 얻습니다. 전투 시작 시 후방에 있는 아군이 이 챔피언의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합계 30당 공격 속도를 1.5%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렐, 말파이트, 쉔, 신 짜오, 스웨인, 레오나, 브라움
  • 섬멸: 피해 증폭을 12% 얻습니다. 전투마다 첫 처치 관여 시 피해 증폭이 28%로 증가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진, 라이즈
  • 슈프림 쇄도: 적이 슈프림 셀에 의해 처형될 때마다 잃은 체력의 15%를 회복하고 마나를 15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케넨
  • 신체 바꾸기: 전투 시작 시 가장 가까운 아군의 형상을 취하고 해당 아군과 이 챔피언이 체력의 30%에 해당하는 보호막을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코부코, 니코, 람머스, 스웨인, 우디르, 레오나, 뽀삐, 세트, 자르반 4세, 크산테
  • 쌍권총잡이: 기본 공격 12회마다 가장 가까운 적에게 투사체 5개를 발사해 기본 공격력의 140%만큼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갱플랭크, 자야, 카이사, 스몰더, 애쉬, 징크스, 요네
  • 아슬아슬: 체력이 65%인 상태로 전투를 시작하고 피해 증폭을 35%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피리, 문도 박사, 자야, 카타리나, 비에고, 야스오, 제이스, 볼리베어, 사미라, 아칼리, 리 신
  • 어둠의 목걸이: 입힌 마법 피해량의 15%만큼 체력을 회복합니다. 스킬 사용 시 최대 체력의 8%에 해당하는 고정 피해를 입지만, 주문력을 12 얻습니다. (중첩 가능)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카타리나, 아칼리, 그웬
  • 아직 안 끝났어[38]: 이 챔피언이 8번 사망 시 체력을 18%, 모든 피해 흡혈을 10%, 피해 증폭을 25% 얻습니다. (사망 횟수: 0)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나피리, 말파이트, 자크, 갱플랭크, 바이, 카타리나, 니코, 다리우스, 야스오, 비에고, 제이스
  • 얼음술사: 전투 시작: 라이즈가 전투 시작 후 3초 동안 행동할 수 없습니다. 라이즈의 스킬이 적에게 4초 동안 동상을 20% 적용하고, 대상과 인접한 적에게 25%만큼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라이즈
  • 에너지 파동: 기본 공격 6회마다 150(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의 고정 피해를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르, 칼리스타, 자야, 카이사, 애쉬
  • 영검: 치명타 확률을 20% 얻습니다. 기본 공격 시 치명타가 적용되면 40%의 추가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르, 자야, 진, 비에고, 코그모, 애쉬, 트위스티드 페이트
  • 영웅의 이야기[39]: 플레이어 레벨당 피해 증폭을 4.5% 얻습니다. 10레벨에서 추가로 피해 증폭을 35% 얻습니다. (가중치 5)
    • 대상 챔피언: 나르, 나피리, 루시안, 말파이트, 시비르, 이즈리얼, 칼리스타, 케일, 갱플랭크, 럭스, 자야, 진, 카이사, 카타리나, 제이스
  • 영혼 깎이: 마법 피해를 입힐 경우 전투가 끝날 때까지 대상의 마법 저항력이 5 감소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케일, 스웨인, 라이즈, 카르마, 트위스티드 페이트
  • 예리한 눈: 기본 공격 및 스킬이 적의 마법 저항력을 45%만큼 무시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루시안, 말파이트, 신드라, 케일, 럭스, 카타리나, 말자하, 비에고, 아리, 직스, 코그모, 라이즈, 아칼리, 유미, 카르마, 그웬, 세라핀
  • 예술적인 KO: 4번째 기본 공격마다 피해량이 35% 증가합니다. 대상 처치 후 남는 피해는 가장 가까운 적에게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진
  • 예열[40]: 전투 시작 시 또는 이 효과 활성화 시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을 48 얻습니다. 매초 3의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을 공격력 3%로 전환합니다. (최대 48)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나피리, 갱플랭크, 바이, 다리우스, 야스오, 우디르, 제이스, 볼리베어, 크산테, 리 신, 브라움, 요네
  • 요술사: 스킬을 두 번 사용하지만 입히는 총피해량이 20% 감소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루시안, 말파이트, 시비르, 이즈리얼, 칼리스타, 럭스, 카이사, 말자하, 스몰더, 아리, 케이틀린, 아칼리, 징크스, 카르마, 세라핀, 자이라
  • 요정 꼬리: 스킬 사용 시 요정 2명을 소환해 다음 8초 동안 대상에게 각각 80~275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스테이지에 비례)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루시안, 신드라, 이즈리얼, 잔나, 카타리나, 말자하, 아리, 코그모, 유미
  • 우등생 (가중치 10)
(1) 체력 200 및 +40% 잠재력 획득

(2) 라운드마다 경험치 1 획득, 생존한 우등생 한 명당 1 추가 획득
  • 대상 챔피언: 가렌, 이즈리얼, 라칸, 카타리나, 제이스, 케이틀린, 레오나, 유미
  • 우주 에이스[41]: 이 챔피언이 입힌 피해량이 크루 함선 로켓 발사에 75% 더 기여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말파이트, 시비르, 쉔, 직스, 트위스티드 페이트
  • 유독성 함정: 피해를 입히면 적에게 4초 동안 불태우기, 상처, 파쇄 20% 및 파열 20%를 적용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잔나, 말자하, 세나, 트위스티드 페이트
  • 이중 타격: 기본 공격 시 25% 확률로 1회 추가 공격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르, 케넨, 케일, 갱플랭크, 문도 박사, 쉔, 자야, 진, 카이사, 비에고, 우디르, 직스, 코그모, 볼리베어, 애쉬, 징크스, 요네
  • 자그마한 공포: 공격 속도를 15% 얻습니다. 체력이 50%가 되면 전투가 끝날 때까지 공격 속도가 두 배로 증가합니다. 이후 3초 동안 크기가 줄어들어 모든 기본 공격을 회피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거대 메크 로봇, 나피리, 갱플랭크, 카타리나, 비에고, 야스오, 제이스, 볼리베어, 아칼리, 그웬, 리 신, 브라움, 요네
  • 재생력: 3초마다 최대 체력의 6.5%만큼 체력를 회복합니다. 모든 요소로부터 받는 체력 회복 효과가 10% 증가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신 짜오, 코부코, 니코, 람머스, 스웨인, 우디르, 레오나, 뽀삐, 세트, 자르반 4세, 크산테
  • 저지 불가: 체력을 150 얻고 군중 제어 효과에 면역이 됩니다. 새로운 대상에게 돌진해 경로상의 적을 1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신 짜오, 코부코, 니코, 람머스, 우디르, 제이스, 레오나, 뽀삐, 크산테
  • 적응형 피부: 피해를 받을 때 피해 유형에 따라 방어력을 1 얻거나 마법 저항력을 6 얻습니다.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총합: 최대 80)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신 짜오, 코부코, 니코, 람머스, 우디르, 뽀삐, 세트, 자르반 4세, 크산테
  • 점증하는 분노: 기본 공격 시 중첩되는 공격 속도를 3.5%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시비르, 이즈리얼, 칼리스타, 케넨, 케일, 문도 박사, 쉔, 잔나, 세나, 스몰더, 직스, 징크스, 그웬, 세라핀, 자이라, 트위스티드 페이트
  • 정밀: 0.7의 공격 속도가 적용됩니다. 공격 속도 1%가 공격력 0.8%로 전환됩니다. 기본 공격 시 피해량이 130% 증가하고 마나를 5 더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시비르, 칼리스타, 카이사, 세나, 스몰더, 케이틀린, 사미라
  • 정신 건전지: 전투마다 첫 스킬 사용 시 마나 재생을 5, 주문력을 30%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세라핀, 자이라
  • 진심 강타: 각각의 적에게 가하는 첫 번째 기본 공격이 210%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1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거대 메크 로봇, 볼리베어
  • 찌그러뜨리기: 이제 바이의 스킬이 체력을 회복하지 않고 4초 동안 25% 증가한 보호막을 씌웁니다. 전환 시 4회 빠르게 공격하고 적중할 때마다 대상의 방어력과 마법 저항력을 5 감소시킵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바이
  • 천공 관통: 피해를 입힐 경우 적에게 6초 동안 파쇄 및 파열을 30% 적용합니다. 파쇄 및 파열이 적용된 적에게 입히는 피해량이 8% 증가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르, 루시안, 시비르, 신드라, 이즈리얼, 칼리스타, 자야, 잔나, 진, 카이사, 말자하, 세나, 스몰더, 아리, 직스, 케이틀린, 라이즈, 사미라, 아칼리, 애쉬, 유미, 징크스, 카르마, 그웬, 리 신, 바루스, 자이라, 트위스티드 페이트
  • 초강력: 징크스가 공격력을 20% 얻습니다. 스킬을 3회 사용할 때마다 크기가 두 배로 커지며, 적중한 적에게 50%의 추가 피해를 나누어 입힙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징크스
  • 초천재[42]: 2초마다 마나 재생만큼 주문력을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신드라, 이즈리얼, 말자하, 유미, 세라핀
  • 촉수 강타: 4초 후 3칸 내 적을 1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9초마다 반복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아트록스, 자크, 문도 박사, 바이, 세트, 뽀삐
  • 총공세: 전투 시작 시 총공세 상태로 돌입해 피해량 감소를 20%, 공격력을 45% 얻습니다. 더 이상 총공세 상태에서 체력이 점차 감소하지 않습니다. (가중치 20)
    • 대상 챔피언: 크산테
  • 최고의 친구: 5초마다 룰루가 괴물에게 간식을 먹여 람머스의 체력을 13% 회복하거나, 스몰더에게 공격력을 14% 부여하거나, 코그모에게 주문력을 14% 부여합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람머스, 스몰더, 코그모

  • 최대 속도[43]: 공격 속도를 15% 얻고 처치 관여 3회당 영구적으로 1%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르, 시비르, 칼리스타, 케넨, 케일, 문도 박사, 자야, 비에고, 스몰더, 직스, 코그모
  • 최선의 방어: 보호막을 얻거나 부여하면 다음 기본 공격 시 보호막 흡수량의 175%만큼 추가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쉔, 잔나, 코부코, 뽀삐
  • 최종 형태[44]: 5-2라운드 이후 이 챔피언이 3성일 경우, 전투 시작 시 4성으로 업그레이드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나르, 나피리, 말파이트, 시비르, 신드라, 이즈리얼, 자크, 칼리스타, 케넨, 케일
  • 추가 개화: 추가 식물 1개를 획득합니다. 식물은 20% 감소한 피해를 입히고 30% 낮은 체력을 지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자이라
  • 추격: 루시안의 스킬이 돌진하며 탄환을 +1발 추가로 발사하고 전투가 끝날 때까지 주문력을 8 부여합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루시안
  • 추적 화살: 아리가 마나를 10 얻을 때마다 여우불 화살을 대상에게 날려 스킬 피해량의 5%만큼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아리
  • 치명적 위협: 스킬에 치명타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3초마다 치명타 확률을 5%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루시안, 시비르, 신드라, 이즈리얼, 자크, 케넨, 케일, 럭스, 문도 박사, 쉔, 자야, 카이사, 니코, 말자하, 스몰더, 아리, 직스, 케이틀린, 사미라, 유미, 징크스, 바루스, 브라움, 세라핀, 에코, 트위스티드 페이트
  • 탄막 지옥: 스킬의 발사 투사체가 30% 증가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카이사, 애쉬, 유미
  • 태양 숨결: 2초마다 가장 가까운 불태우기가 적용되지 않은 적에게 10초 동안 불태우기 및 상처를 적용합니다. 불태우기가 적용된 적에게 입히는 피해량이 10% 증가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나르, 나피리, 루시안, 말파이트, 시비르, 신드라, 이즈리얼, 자크, 칼리스타, 케넨, 케일, 럭스, 문도 박사, 바이, 쉔, 자야, 잔나, 카이사, 니코, 말자하, 세나, 아리, 직스, 케이틀린, 코그모, 라이즈, 사미라, 애쉬, 유미, 징크스, 카르마, 그웬, 바루스, 브라움, 세라핀, 자이라, 트위스티드 페이트
  • 탱커 괴수: 최대 체력을 20% 얻고 크기가 커집니다. 15초 후 모든 적을 1.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거대 메크 로봇,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신 짜오, 코부코, 니코, 다리우스, 람머스, 스웨인, 우디르, 레오나, 뽀삐, 세트, 자르반 4세, 크산테
  • 특이점[45]: 2칸 범위의 특이점으로 변신해 매초 1%(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의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범위 내에서 적이 사망하면 영구적으로 체력을 15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라칸, 문도 박사, 쉔, 신 짜오, 코부코, 니코, 람머스, 스웨인, 우디르, 뽀삐
  • 파멸의 폭격: 바루스 스킬 사용 중 발사되는 화살의 마나 소모량이 2 감소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바루스
  • 팔굽혀펴기 100회[46]: 피해량 감소를 15% 얻습니다. 골드를 소모하는 새로고침 3회마다 영구적으로 피해 증폭을 1%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나피리, 말파이트, 자크, 갱플랭크, 카타리나, 코부코, 다리우스, 야스오, 제이스
  • 팬 서비스: 자야와 라칸이 서로의 별 레벨에 따라 추가 능력치를 얻습니다. (가중치 20)
(1) 8% 공격력 및 공격속도 | 115 체력, 5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2) 15% 공격력 및 공격속도 | 225 체력, 10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 대상 챔피언: 라칸, 자야
  • 평범[47]: 이 챔피언의 특성이 아무것도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체력을 300~1000, 공격 속도를 40~100% 얻습니다. (현재 스테이지에 비례) (가중치 5)
    • 대상 챔피언: 나르, 나피리, 시비르, 칼리스타, 케일, 갱플랭크, 자야, 카이사, 카타리나, 비에고, 세나, 볼리베어, 애쉬, 징크스, 바루스, 요네
  • 폭주 66호: 공격 속도를 20%, 주문력을 10% 얻습니다. 15회 및 66회 기본 공격 후 수치가 두 배로 증가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케일, 직스, 코그모, 트위스티드 페이트
  • 폭파광: 스킬로 피해를 입힐 경우 1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스몰더, 바루스
  • 폭풍술사 (가중치 10)
(1) 입힌 피해량의 22%만큼 마법 피해를 입히는 폭풍 소환
(2) 두 챔피언 모두 피해량에 기여. 폭풍이 더 커짐
  • 대상 챔피언: 루시안, 시비르, 칼리스타, 케넨, 럭스, 자야, 진, 카이사, 말자하, 세나, 아리, 직스, 코그모, 라이즈, 사미라, 유미, 징크스, 카르마, 그웬, 바루스, 자이라, 트위스티드 페이트
  • 품격[48]: 이 챔피언의 마지막으로 나열된 특성의 효과가 45% 증가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나르, 렐, 루시안, 시비르, 신드라, 이즈리얼, 자크, 케넨, 럭스, 자야, 잔나, 진, 코부코, 다리우스, 말자하, 스웨인, 아리, 야스오, 제이스, 직스, 케이틀린, 라이즈, 레오나, 볼리베어, 뽀삐, 유미, 자르반 4세, 징크스, 카르마, 그웬, 바루스, 브라움, 세라핀, 요네
  • 피를 나눈 형제: 요네와 야스오가 피해를 입힐 경우 적에게 출혈을 적용해 2초에 걸쳐 입힌 피해량의 20%만큼 피해를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야스오, 요네
  • 핏빛 장막: 모든 피해 흡혈을 20% 얻습니다. 모든 피해 흡혈로 얻은 초과 회복량은 보호막으로 전환됩니다. (최대: 체력의 40%)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말파이트, 문도 박사, 카타리나, 니코, 다리우스, 야스오, 사미라, 아칼리, 브라움, 요네
  • 해트트릭[49]: 공격력 및 주문력을 16% 얻습니다. 처치 관여마다 각각 0.75% 더 부여하는 모자를 착용합니다. 사망 시 모자의 50%를 잃습니다. (현재 모자 개수: 0)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르, 시비르, 신드라, 이즈리얼, 칼리스타, 케넨, 럭스, 문도 박사, 쉔, 자야, 잔나, 진, 카이사, 말자하, 세나, 스몰더, 직스, 케이틀린, 코그모, 자이라, 트위스티드 페이트
  • 핵폭탄급: 전투 시작 시 최대 체력의 10%를 저장하고 매초 2%를 추가로 저장합니다. 사망 시 저장한 체력만큼 넓은 반경에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거대 메크 로봇, 가렌,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신 짜오, 코부코, 니코, 람머스, 스웨인, 우디르, 레오나, 뽀삐, 세트, 크산테
  • 혼돈 고조: 스킬 사용 시 추가 구체를 발사해 무작위 적 1명에게 6%의 피해를 입힙니다. 이후 스킬 사용 시 추가 구체가 추가됩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신드라
  • 황금 장갑[50]: 이자를 획득할 때마다 수집한 골드당 영구적으로 공격력을 2% 얻습니다. (가중치 15)
    • 대상 챔피언: 코부코
  • 홀로서기: 전투 시작 시 이 챔피언이 가로 열에 혼자 있다면 체력을 30%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가렌, 렐, 말파이트, 아트록스, 자크, 케넨, 라칸, 문도 박사, 바이, 쉔, 코부코, 니코, 람머스, 스웨인, 우디르, 레오나, 뽀삐, 세트, 자르반 4세, 크산테
  • 황금의 대검[51]: 기본 공격 85회 시 2골드를 획득합니다. 이 효과가 발동될 때마다 골드량이 1씩 증가합니다. (공격 횟수: 0/85)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나르, 케일, 자야, 스몰더, 직스, 징크스, 요네
  • 황금의 심장[52]: 이 챔피언이 플레이어 대상 전투에서 생존할 경우 2골드를 획득합니다. (가중치 5)
    • 대상 챔피언: 신드라, 럭스, 잔나
  • 회오리칼날: 기본 공격 시 대상의 공격 사거리 내 적에게 기본 공격 피해량의 25%에 해당하는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볼리베어, 요네
  • 효율성: 스킬 마나 소모량이 15 감소합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칼리스타, 럭스, 잔나, 세나, 스몰더, 케이틀린, 라이즈, 카르마
  • 힘 모으기: 스킬 사용 시 사용한 마나의 40%만큼 공격력을 얻습니다. (중첩 가능)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이즈리얼, 칼리스타, 갱플랭크, 카이사, 세나, 스몰더, 케이틀린, 사미라, 징크스, 리 신, 바루스
  • 힘의 원천: 전투 시작 시 및 3초마다 마나 재생을 1 얻습니다. (가중치 10)
    • 대상 챔피언: 루시안, 이즈리얼, 칼리스타, 럭스, 잔나, 말자하, 스몰더, 아리, 케이틀린, 카르마, 세라핀, 자이라

2.4. 단계

레벨 파일:롤토체스-1단계.png 파일:롤토체스-2단계.png 파일:롤토체스-3단계.png 파일:롤토체스-4단계.png 파일:롤토체스-5단계.png
2 100%
3 75% 25%
4 55% 30% 15%
5 45% 33% 20% 2%
6 30% 40% 25% 5%
7 20% 30% 40% 10% 1%
8 18% 27% 32% 20% 3%
9 15% 20% 25% 30% 10%
10 5% 10% 20% 40% 25%
재고 개수 30개 25개 18개[53] 10개 9개

3. 특성

3.1. 계열

3.1.1. 거대 메크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거대 메크.svg
거대 메크

거대 메크 로봇을 획득합니다. 거대 메크가 입힌 피해량의 10%만큼 체력을 회복합니다.

프리즘: 초거대 메크 로봇을 얻습니다.

각 거대 메크 챔피언의 별 레벨당 거대 메크 로봇의 위력이 증가합니다.

(3) 거대 메크 로봇 등장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루시안|
1
2
3
4
5
6
7
루시안]]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아트록스|
1
2
3
4
5
6
7
아트록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4#갱플랭크|
1
2
3
4
5
6
7
갱플랭크]]
[[전략적 팀 전투/세트 14#세나|
1
2
3
4
5
6
7
세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4#자르반 4세|
1
2
3
4
5
6
7
자르반 4세]]
[[전략적 팀 전투/세트 14#카르마|
1
2
3
4
5
6
7
카르마]]
[[전략적 팀 전투/세트 14#요네|
1
2
3
4
5
6
7
요네]]

지금까지의 특수기물 소환 시너지들처럼 거대한 특수 기물을 소환하는 시너지.

특수 기물 소환에 조건이 필요한 (예: 아군이 20%의 체력을 잃으면 소환되었던 섬뜩한 힘 기물) 과거의 다른 특수 기물 시너지들과 달리, 11시즌의 이야기꾼이나 14시즌 니트로 시너지와 유사하게 시너지를 맞추기만 하면 처음부터 기물이 생성되어 함께 싸우는 방식이다.

시너지 1단계인 3거대 메크부터 거대 메크 로봇이라는 특수 기물이 소환되며 이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고 전투 시 함께 싸운다.[54] 거대 메크 로봇에게 따로 아이템을 주거나 회수할 수는 없지만 이후 5, 7시너지를 완성할 때마다 자체적인 아이템을 하나씩 획득하고 능력치가 강화된다. 7 시너지를 완성하면 연속된 3번의 스킬 사용 시 아트록스의 Q 스킬 3타와 비슷하게 전부 다른 모션이 출력된다. 거대 메크의 별 레벨은 거대 메크 기물들의 별 레벨 총합에 따라 단계적으로 강화된다. 단, 4성은 후술할 프리즘으로만 달성할 수 있다.

루시안, 세나, 요네의 모습은 정의의 가면 스킨 시리즈의 모델링과 기본 색상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아트록스와 갱플랭크는 각각 DRX, FPX 스킨의 색상 변형, 자르반 4세와 카르마는 스킨으로 존재하지 않는 모델링과 일러스트를 정의의 가면 시리즈의 컨셉으로 새로 제작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소환되는 거대 메크 로봇의 모델링은 메카 갈리오 스킨에 색상 변형이 적용된 모습이며, 로봇의 각 신체 색상이 다른 점과 첫 등장 또는 라운드 전환 시 합체 모션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개별 기물이 모여 로봇 형식으로 합체된다는 컨셉임을 유추할 수 있다.

파워 업 '메크 조종사'를 거대 메크 기물에 먹이면 전투가 시작될 때 해당 기물이 메크에 탑승하여 메크를 강화하는 전대물스러운 컨셉도 있다. 이것이 상당한 실전성도 갖추고 있어서 시즌 중후반부를 메크 조종사를 사용하는 거대메크가 지배하는 진풍경이 나올 정도.

프리즘 시너지가 존재하는데, 15.6 패치 이전에는 타 시너지에 비해 프리즘 달성 조건이 까다롭기로 악명이 높았다. 해당 패치 이전에는 프리즘을 찍으려면 전용 증강 3개[55]를 모두 선택하고 7거대 메크 및 및 10레벨에 도달해야했기 때문이다. 사실상 어떤 시너지 보다 운빨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며 심지어 10수정 갬빗보다 더 확률이 낮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조우자가 야스오로 나올 때 그나마 각을 보게 된다. 결국 15.3패치에서 첫 증강에서 '나는 다리'가 뜨면 나머지 메카 증강인 '나는 팔'과 '나는 머리'가 무조건 등장하도록 패치됐지만, 이마저도 증강 희귀도가 맞지 않으면 등장하지 않는다.[56] 이후 15.4b 패치에서 등장할 수 있는 증강 희귀도[57]에서만 올바르게 등장하도록 패치했으나, 그 다음 패치인 15.5 패치에서 패치 후에도 발생하는 버그를 이유로 나는 다리, 나는 팔, 나는 머리 증강이 모두 비활성화되었다. 이후 15.6 패치로 '나는 머리' 한 개의 증강만 뜨는 대신, 해당 증강을 먹고 10레벨 + 거대 메크 기물의 별 레벨 합 14 달성[58]으로 달성 조건이 완화되었다.

프리즘 달성 시 거대 메크 로봇이 4성 초거대 메크 로봇으로 강화되며 덩치가 엄청나게 커지고 번쩍거리는 효과가 생긴다. 그리고 메카 조종사 파워 업 여부와 관계없이 전투 시작과 동시에 모든 아군 거대 메크 기물이 초거대 메크 로봇에 탑승 후 하늘 높이 치솟은 뒤 내려찍으면서 맵 전체에 강력한 충격파로 물리 피해를 입히는 일명 갤럭시 임팩트를 시전한다. 이후는 그냥 일반 거대 메크의 스킬과 대미지만 다를 뿐 모션이 똑같다. 여담으로 점프 후 내려찍는 모션이 3성 리신의 처형자 태세 스킬과 유사하다. 다만, 난이도에 비해 대미지가 그렇게 드라마틱하게 높은 것도 아니고 3성 처형자 리신과 달리 일격 처형 판정이 아니라 이 한방에 상대가 죽지 않아서 살아남은 상대에게 역으로 당하는 어이없는 경우가 종종 나오기도 해서 극악의 확률을 뚫었다는 만족감 이외 실질적인 성능은 5코 3성이나 다른 프리즘 시너지에 비해 빈약한 편. 그래도 어지간해서는 내려찍기 한방에 싹 쓸려나가며 상대가 5코 3성이나 다른 프리즘 시너지 같은게 아닌 이상 후반부에서 탱커들이 강해져서 처음 내려찍기를 버텼다해도 이후 칼질 몇방이면 끝나버리기 때문에 나름 프리즘 시너지 값은 하며 현재는 달성 조건이 생각보다는 쉬운 편이라 5코 3성이나 다른 프리즘 시너지들의 달성 난이도를 생각하면 오히려 오버 밸런스에 가깝다.

전체적인 모티브는 거대로봇물.

3.1.2. 괴물 트레이너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괴물 조련사.svg
괴물 트레이너

룰루가 소환해 전투에 대신 내보낼 괴물을 선택하세요!
(1) 괴물 선택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룰루|
1
2
3
4
5
6
7
룰루]]

룰루 전용 시너지. 룰루를 전장에 투입하면 세 마리의 괴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대놓고 포켓몬의 스타팅 포켓몬을 고르는 것의 패러디로, 고를 수 있는 괴물은 탱커인 람머스, AD 마법사인 스몰더, AP 원거리 딜러인 코그모다. 시너지 아이콘에 괴물 속성도 표시되어 있는데, 람머스는 풀 타입, 스몰더는 불 타입, 코그모는 전기 타입이다.

따로 받는 시너지가 없으므로 조합에서 빈 자리가 있을 때 용병으로 쓰기 제격이다. 각 유닛들은 기절, 치유 감소, 파쇄 및 파열 등 유틸리티를 가지고 있어 적당히 섞어 써도 효율이 높다.

챔피언을 바꾸고 싶다면 기물을 대기석으로 내렸다가 다시 전장으로 올리면 된다. 룰루는 이런 식으로 자유롭게 변형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도적의 장갑 효율이 제법 좋은 편이다.

다만 워낙 독특한 시스템을 가지고 나와 밸런스를 맞추기 힘들어서인지 패치를 거듭하며 하나 둘씩 개성을 칼질 당하고 이젠 평범한 기물들로 전락해버린 시너지다. 오히려 회전초밥에서 나오지도 않고 서로 기물 수까지 공유한다는 단점만 떠앉게 된 셈.
  • 기존에는 트레이너가 몬스터를 훈련시킨다는 컨셉으로 전투에 참여하고 처치에 관여할 때마다 경험치를 얻는 시스템이었다. 경험치를 얻을 때마다 능력이 소폭 상승하며 15레벨 및 30레벨 달성 시 스킬이 강화되는 체계였기 때문에 이른 타이밍에 얻어야만 제대로 된 캐리 기물로 사용할 수 있었다. 이 탓에 고점과 저점이 너무 널뛰기를 해서 밸런스를 맞추기 빡세다고 판단했는지 15.5 패치에서 경험치 시스템을 삭제하고 스킬들의 저점을 높여주면서 그냥 평범한 기물로 만들어버렸다. 빨리 나와야 쓸 수 있다는 압박감이 사라진 대신 고점 역시 줄어들었다.
  • 기존에는 세 유닛의 상점 확률이 서로 별개였기 때문에 겹칠 경우 창고에 내려 다른 기물로 변경한 후 리롤을 돌려 쉽게 찾는 잡기술이 존재했다. 허나 패치로 인해 룰루는 3코스트 중 예외적으로 기물 수가 18장이 아닌 22장이 된 대신 세 기물이 상점 확률을 공유하게 바뀌면서 이런 스킬을 쓸 수 없게 되었다.

이스터에그로는 1% 확률로 색이 다른 람머스, 스몰더, 코그모가 등장한다.

3.1.3. 멘토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멘토.svg
멘토

이 특성은 멘토가 정확히 하나 또는 각기 다른 멘토가 넷 있을 때 활성화됩니다.

코부코: 6% 내구력
우디르: 8% 공격력 및 주문력
야스오: 공격속도 10%
라이즈: 기본 공격 시 추가 마나 2 획득
(1) 아군이 추가 효과 획득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코부코|
1
2
3
4
5
6
7
코부코]]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야스오|
1
2
3
4
5
6
7
야스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우디르|
1
2
3
4
5
6
7
우디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라이즈|
1
2
3
4
5
6
7
라이즈]]

시즌 13의 사절을 연상시키는 효과. 각 유닛을 하나 혹은 넷 모두를 집어넣어야만 특성이 발동한다.

1기만 넣었을때는 넣은 멘토 챔에 걸맞은 버프를 아군에게 뿌려주는 서브 시너지로 기능하지만, 4시너지를 활성화할 경우 멘토 챔피언들이 강화될 뿐 멘토가 아닌 아군에게는 버프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4시너지의 경우엔 덱 전체의 파워를 올리려고 사용하기보다는 멘토를 메인 캐리로 채택해야 한다.

골드 증강 중 '교원 회의'를 얻으면 위와 같은 제한이 해제되어 멘토 유닛 수와 상관없이 모든 챔피언이 추가 효과를 획득한다. 2, 3멘토는 물론 4멘토가 되어도 효과를 받을 수 있으며 멘토 유닛들의 스킬 강화 또한 그대로 적용된다.

3.1.4. 별 수호자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별 수호자.svg
별 수호자

별 수호자는 모든 별 수호자에게 부여되는 고유 팀워크 추가 효과를 갖습니다. 배치된 별 수호자마다 추가 효과를 강화합니다!

프리즘: 별 수호자 8명 배치 후 마나 16000 소모

렐: 보호막 획득
신드라: 주문력 획득
자야: 기본 공격 시 마법 피해를 입힘
아리 : 스킬 사용 시 마나 획득
니코: 체력 회복량 및 보호막 흡수량 증가
뽀삐: 체력이 낮을 때 체력 회복
징크스: 공격 속도 획득
세라핀: 모든 능력치 획득
상징: 다른 추가 효과 증가
(2~10) 별 수호자 효과 획득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렐|
1
2
3
4
5
6
7
]]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신드라|
1
2
3
4
5
6
7
신드라]]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자야|
1
2
3
4
5
6
7
자야]]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니코|
1
2
3
4
5
6
7
니코]]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아리|
1
2
3
4
5
6
7
아리]]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뽀삐|
1
2
3
4
5
6
7
뽀삐]]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징크스|
1
2
3
4
5
6
7
징크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세라핀|
1
2
3
4
5
6
7
세라핀]]

별 수호자 스킨들로 이루어진 계열이며, 길드, 천계, 신성기업처럼 각 유닛별로 다른 효과를 추가하는 시너지이다. 대신 모든 아군이 아닌 별 수호자에게만 이 효과가 적용된다.

프리즘 효과를 활성화시키면 전투시 전장에 지속적으로 데미지를 주는 별똥별이 떨어진다. 다만 출시 당시 조건이 마나 20000으로 굉장히 높아 마나 템을 정말 많이 확보한게 아닌 이상 보통 달성하기 전에 게임이 끝난다. 이후 마나 18500으로 조정되어 8별수를 빨리 완성한다면 아슬아슬하게 마지막 라운드쯤 볼 수 있게 되었고, 시즌 말인 11월 19일 15.9 패치로 16000으로 재조정되어 상대적으로 완성이 쉬워졌다.

장점과 단점이 매우 명확한데 장점은 뭐니뭐니해도 확실한 캐리 라인. 자야 아리 징크스 3개가 확실한 캐리롤 역할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야와 아리 3성, 징크스 2성만 만들어놔도 딜 하나는 확실하다.

단점은 약간 부실한 탱킹 라인. 니코와 뽀삐는 성능이 훌륭하지만 문제는 렐. 렐이 1코스트 기물이기는 하지만 그것을 감안해도 다른 1코스트 탱킹 기물과 비교했을 때 매우 저열한 성능을 자랑한다. 거기에 각 탱킹 기물이 보조시너지를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시너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아쉬운 편.

시즌 초에는 별 수호자 조합을 갈 때 모든 별 수호자 기물을 사용했으나, 별 수호자 효과 및 특성 단계에 따른 가중치가 하향된 이후에는 신드라, 아리 등 밸류가 떨어지는 별 수호자들을 버리고 코부코, 크산테, 바루스 등의 기물을 채워넣는 식으로 운영법이 변경되었다.

전체적인 모티브는 마법소녀물.

3.1.5. 소울 파이터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소울 파이터.svg
소울 파이터

소울 파이터가 추가 체력을 얻고 매초 공격력과 주문력을 얻습니다. 최대 8회까지 중첩됩니다. 최대 중첩 시 추가 고정 피해를 입힙니다.

프리즘: 플레이어 대상 전투 10회 승리
(2) 120 체력, 1% 공격력 및 주문력, +10% 피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나피리|
1
2
3
4
5
6
7
나피리]]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칼리스타|
1
2
3
4
5
6
7
칼리스타]]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럭스|
1
2
3
4
5
6
7
럭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신 짜오|
1
2
3
4
5
6
7
신 짜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비에고|
1
2
3
4
5
6
7
비에고]]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사미라|
1
2
3
4
5
6
7
사미라]]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세트|
1
2
3
4
5
6
7
세트]]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그웬|
1
2
3
4
5
6
7
그웬]]

소울 파이터 스킨들로 이루어진 계열. 전투 시작시 초당 공격력과 주문력을 얻고 8초 후 피해량의 일부 만큼 추가 고정 데미지를 입히는 시너지.

프리즘 효과를 달성하면 모든 소울 파이터 챔피언들의 능력치가 대폭 상승하고, 가하는 데미지가 모두 고정 데미지로 들어간다. 조건이 아주 쉽다고 보긴 어렵지만 거대 메카/별수호자/전사관에 비하면 그나마 쉬운 편이다. 상징 1개만 있으면 8렙부터 프리즘 효과 조건이 달성되고, 10라운드를 더 이기면 프리즘 효과가 달성되기 때문. 심지어 상징이 붙은 골렘을 주는 특성이 부여되거나 상징이 달린 훈련 봇을 이용한다면 이론상 7렙부터 프리즘 효과 달성 조건을 쌓아갈 수도 있다. 다만 지면 스택이 안쌓이므로 역전에는 도움이 안 된다.

이 덱의 단점은 4코스트 메인 딜러인 사미라의 성능. 사미라의 성능이 냉정하게 다른 4코스트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그웬을 빠르게 뽑는 것이 관건인데 문제는 그웬도 마법사 덱에서는 훌륭한 성능을 자랑하지만 소울파이터 덱에서는 성능이 그닥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캐리롤을 맡을 기물이 부족해서 랭크전에서는 우승을 하기가 조금 어렵다. 프리즘을 찍기 쉬운 조건임에도 후반부에 가면 부족한 덱 체급 때문에 승리하기가 힘든 이유다.

그나마 1,2코스트 기물이 많아서 잘 뽑히는데다가 4코스트 탱커인 세트의 탱킹 성능이 훌륭한 편에 직관적인 세트효과로 롤토체스에 막 입문한 초보자들 사이에서는 인기와 수요가 많다.

15.7 패치로 4~6시너지가 상향된 후에는 6시너지와 8시너지의 공격력, 주문력 증가량 차이가 없게 되어 8시너지를 맞추기보다는 6시너지에 브라움, 리 신, 볼리베어 등 다른 좋은 기물들을 섞는 추세가 되었다.

전체적인 모티브는 능력자 배틀물.

3.1.6. 수정 갬빗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수정 갬빗.svg
수정 갬빗

플레이어 대상 전투에서 처치 및 패배 시 보석의 힘을 얻습니다. 플레이어 대상 전투 3회마다 보석의 힘을 보상으로 전환하거나 '묻고 두 배로 가'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묻고 두 배로 가'를 활성화하면 패배 시 보석의 힘을 125% 더 얻지만, 승리 시 보석의 힘 50%를 잃고 즉시 이익을 실현합니다.

보석의 힘 획득량은 스테이지 3 및 4에서 증가합니다.
(3) 처치당 ?; 패배 당 13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신드라|
1
2
3
4
5
6
7
신드라]]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바이|
1
2
3
4
5
6
7
바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잔나|
1
2
3
4
5
6
7
잔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스웨인|
1
2
3
4
5
6
7
스웨인]]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애쉬|
1
2
3
4
5
6
7
애쉬]]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자이라|
1
2
3
4
5
6
7
자이라]]
보상표
수정 장미 스킨들로 이루어진 계열이자 늘 나오는 연패 보상 시너지.[59] 하트스틸처럼 일명 '묻더' 효과를 탑재하고 나왔다. 그러나 이전 시즌의 연패 시너지들과 비교해 이질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전 시즌들의 연패 시너지들은 보통 3코스트 하나는 있어야 활성화가 가능했던 경우가 많지만, 수정 갬빗의 경우 1코 1개, 2코 2개만 있으면 곧바로 시너지를 켤 수 있는데다 신드라, 잔나, 스웨인은 시너지가 3개인 기물이라 여기저기 빌드업용으로 쓰다가 기물이 모이면 연패 갬빗 운영으로 전환하는 식으로 하기 간편하다. 또한 스테이지가 올라갈수록 스택 수급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늦게 시너지가 켜진다고 해도 높은 보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대신 여타 연패 시너지들과 다르게 연패를 통한 스택 수급량이 상당히 적으면서, '묻고 더블로 가' 활성화 이후에는 연패가 깨진 즉시 스택이 반토막나고 강제로 보상을 받아야 한다는 리스크도 함께 갖고 있다. 적 기물을 처치할 때마다 추가 스택을 주기 때문에, 스택을 많이 쌓기 위해서는 '묻고 더블로 가'를 활성화하여 연패를 하면서도 상대 기물을 많이 잡아야 하는 고난이도의 운영을 요구한다. 게다가 시너지를 많이 켤수록 연패 스택이 많이 쌓이던 다른 연패 시너지들과 달리, 수정 갬빗은 5갬빗을 켜면 기물 처치 시 전리품을 얻게 될 뿐 연패 스택을 늘려주진 않으며, 7수정갬빗은 전투용 시너지라고 봐야 한다.

게다가 3라운드[60]마다 보상을 받을지 묻더할지 선택하는 구조여서, 체력이 아직 남아있어도 3연패를 할 정도가 아니라면 강제로 보상을 받아야 하기에 한계까지 맞기가 쉽지 않다. 전전시즌의 화공 남작은 100스택마다 선택하는 식이라 4스테이지쯤 되면 전투 두 번당 한 번꼴로 보상을 받을지 말지 선택할 수 있었고, 전시즌의 사이퍼는 선택할 수 있는 라운드가 정해져있어 처음부터 그에 맞게 계산해두면 됐지만, 수정 갬빗은 간격이 크고 계산을 잘 해야 해서 쉽지 않다.

이로 인해 초창기에는 수정 갬빗 연패 운영에 대해 평가가 좋지 않았다. 빠르게 3갬빗을 켜는 건 편하지만, 연패 시너지 주제에 스택 쌓는 속도도 별로고, 한계까지 맞아가며 보상을 받아도 그 리스크에 비해 리턴도 적고, 수정 갬빗 기물을 많이 찾는다고 해서 보상을 늘릴 수 있는것도 아니었기에 쌀먹만 조금씩 하거나, 연패는 포기하고 5갬빗의 전리품이나 7갬빗의 전투 효과를 노리는 식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즌 중반부에 라이엇이 수정갬빗 보상과 스택에 대해 조금씩 패치해주면서, 기존 연패시너지들처럼 최대한 빨리 시너지를 켠 후 한계까지 연패하면서 반등하는 플레이 대신 피관리 후 적절한 스택 계산으로 본인 덱에 맞는 보상을 얻는 식으로 운영법이 발전했다. '묻고 더블로 가' 활성화 이전까지는 이기든 지든 상관없기 때문에, 묻더 활성화 전까지 체력 관리를 하고 활성화한 다음부터 연패하다가 원하는 단계의 보상일 때 상자를 여는 식. [61]

즉 이전의 '빨리 켜고, 많이 켜고, 최대한 많이 지는' 게 핵심이던 다른 연패시너지들과 달리, 수정 갬빗은 '내가 원하는 보상을 받기 위해서 어느 타이밍에 갬빗을 켤지, 묻더 이전엔 피관리를 할지 연패로 스택을 많이 쌓을지, 기물을 적당히 잡으면서도 묻더를 유지하려면 얼만큼 필드를 강화해야 할지'를 고민하게 만드는 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최대한 많이 져서 최대한 높은 보상을 받는 걸 노리는 식으로 하기보다는, 내 덱에 맞는 보상을 먹기 위해서 스택을 어떻게 쌓을지 계산하는 게 필요하다. 예를 들어 리롤덱을 한다면 적당한 피관리 후 하급 챔피언 복제기를 2개 주는 170 보상을 노리고 2~3스테이지 약한 타이밍에 갬빗을 켜면서 연패하는 식.

이런 특이한 운영 방식 때문에, 연패 시너지는 보통 보상을 받기 전까지 계속해서 그 시너지를 유지하며 연패하는 게 좋은데 반해 수정 갬빗은 연패가 깨질 위험이 있다 싶으면 그냥 갬빗 기물들을 내리고 시너지를 꺼버리면 보상을 받는게 한 라운드 늦어질 뿐 타격이 크지 않아 운영이 수월하다.상대가 만나서 서렌치는 미친놈만 아니면 된다 오히려 수정 갬빗 기물들이 빨리 모였다 하더라도, 스테이지가 높아질수록 스택이 많이 쌓인다는 점을 노려 2스테이지에는 잠깐 갬빗을 꺼버리기도 한다.

툴팁에는 없지만 히든 프리즘 시너지가 존재하는데 바로 수정 갬빗 챔피언 10명을 배치하여 달성할 수 있는 10 수정 갬빗이다. 효과는 내구력 99%[62] 및 3초마다 모든 적에게 500의 고정 피해를 주고 킬을 딸때마다 골드가 우수수 떨어진다. 사실상 맞추기만 하면 5코 3성도 이겨버릴 수 있는 프리즘 크루를 제외하면 최강의 시너지이다. 별도의 퀘스트 없이 단순히 머릿수만 채우면 되서 달성이 쉬워보이지만 수정 갬빗 챔피언은 모두 6명 뿐이라 단 하나도 얻기 어려운 수정 갬빗 상징을 무려 4개나 확보+10레벨을 찍어야 하기에 난이도는 5코 3성보다 더 어렵다. 따라서 상징 운이 잘 받쳐주지 않는다면 차라리 5코 3성을 노리는 쪽이 더 효율이 좋다.

3.1.7. 슈프림 셀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슈프림 셀.svg
슈프림 셀

지난 전투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힌 셀이 슈프림이 됩니다. 슈프림 셀이 사망하면, 현재 가장 많은 피해를 입힌 셀이 슈프림이 됩니다.

셀이 피해 증폭을 얻습니다. 슈프림 셀은 능력치를 더 얻으며 체력이 10% 아래인 적을 처형합니다.
(2) 8% 피해 증폭 | 12% 피해 증폭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케넨|
1
2
3
4
5
6
7
케넨]]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카이사|
1
2
3
4
5
6
7
카이사]]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다리우스|
1
2
3
4
5
6
7
다리우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아칼리|
1
2
3
4
5
6
7
아칼리]]

6시즌의 제국과 거의 동일한 시너지로 원맨 캐리에 특화된 시너지.

이 시너지는 '슈프림'과 '셀'로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슈프림 셀 기물들 전체를 '셀'로 부르며 이 셀들은 시너지 단계에 따라 피해 증폭을 얻는다. 여기에 각 라운드 당 최고의 기량을 뽐내는 메인 캐리 기물 1명만이 '슈프림'이 되어 더 많은 시너지 효과를 받으며 체력이 적은 상대 기물을 즉시 처형하는 능력이 부여된다. 단 한 명만이 제대로 된 능력치를 부여받기에 효율이 별로일 것 같지만 다행히 슈프림 기물이 사망 시 다음으로 많은 피해를 입힌 셀에게 슈프림이 일시 양도되어 딜로스가 생기는 일은 적은 편. 다만, 슈프림으로 쓸 메인 캐리 기물이 제대로 활약하지 못하고 일찍 죽는 경우 다음 슈프림이 엉뚱한 기물에 붙어서 스노우볼이 굴러가 손해볼 위험이 있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시너지 기물도 4명 뿐이고 별도의 프리즘 시너지는 없지만 피해 증폭 자체가 상당히 강력한 옵션인데다 별도의 아이템이나 스킬 능력 없이 기본적으로 처형 능력이 추가되어 전반적인 킬 결정력을 대폭 끌어올려주기 때문에 기본 성능이 상당한 편이다. 특히 4코 기물인 아칼리가 사기적인 성능으로 활약을 하는데다 슈프림 셀 능력에 가장 최적화된 스킬 메커니즘을 갖고 있어서 다른 메인 시너지에 슈프림 셀을 곁들여 아칼리를 메인 캐리 기물로 쓰는 조합이 인기를 끌고 있다. 주로 거대 메크나 전쟁기계와 많이 조합된다. 다만, 머릿수가 적은 관계로 다른 메인 시너지 없이 4슈프림만 우직하게 미는 조합은 후반부에서 힘이 빠지기 때문에 그다지 추천되지 않는다.

특이하게도 카이사를 제외한 모두가 와일드 리프트 전용 스킨들로 이루어져 있다. 모델링도 와일드 리프트의 모델링을 그대로 가져왔다.

3.1.8. 악령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악령.svg
악령

4초마다 그림자 세계가 가장 가까운 적 3명을 공격해 마지막 발동 이후 악령이 입힌 피해량의 일정 비율만큼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체력이 가장 낮은 아군 악령이 악령과 그림자 세계가 입힌 피해량의 18%만큼 체력을 회복합니다.
(2) 피해량의 20%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자크|
1
2
3
4
5
6
7
자크]]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케일|
1
2
3
4
5
6
7
케일]]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진|
1
2
3
4
5
6
7
]]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말자하|
1
2
3
4
5
6
7
말자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크산테|
1
2
3
4
5
6
7
크산테]]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바루스|
1
2
3
4
5
6
7
바루스]]

악령이라는 이름대로 그림자 세계라는 다른 차원을 컨셉으로 하는 시너지. 설명이 좀 애매하지만 4초마다 전장 중앙에 그림자 세계가 열려서 가까운 3명의 적에게 번개 공격을 가하고[63], 악령끼리만 적용되는 마법공학 총검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4초마다 지속적으로 번개가 떨어지는 특성상 장기전에 유리한 양상을 보이므로, 튼튼한 앞라인이 필수. 화면 중앙에서 가까운 적을 대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운이 좋다면 아군 앞라인이 무너지고 다가오던 적 후방 기물이 폭사하기도 한다. 또한 무조건 3명의 대상을 공격하므로 맨 앞에 메인 탱커를 하나만 내세우는 원탱 조합의 경우 뒷라인도 동시에 공격할 수 있어서 이런 조합에 강하다.

시즌 초반에는 6악령으로 최대 시너지를 찍어도 별도의 부가효과가 없는데다 1단계에서부터 기본적으로 번개 공격이 발동하며 번개의 피해량이 악령 유닛의 강함에 비례하는 만큼 캐리 기물 2~3개 정도만 맞추면 굳이 억지로 고시너지를 맞출 필요가 없어서 악령은 구색만 갖추고 나머지를 전쟁기계나 헤비급으로 채우는 하이브리드 덱 구성 위주로 돌아갔는데, 거듭된 상향으로 번개의 피해량이 늘어나고 주기도 20% 짧아지면서 현재는 아예 6악령으로 밀어도 어느 정도 승률이 나올 만큼 상당히 강력한 시너지로 거듭났다.[64] 케일도 자체 성능은 너프를 먹었어도 케일이 좋아하는 파워 열매들이 거의 다 상향을 받았으며, 말자하도 상향을 먹어 자체 체급이 우수해진 것은 덤.

참고로 번개의 피해량 산정 방식이 최근 4초 이내에 악령 기물들이 넣은 총 피해량에 비례하므로 4초 안에 최대한 많은 딜을 욱여넣어야 효율이 좋기 때문에 공격 속도나 스킬 회전률이 빠른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이 시너지 효과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딜러진들에게 공속이나 마나 회복 위주로 아이템을 주면 효율이 좋다. 특히 악령 시너지의 핵심딜러인 케일은 평타 특화 기물이기 때문에 공격 속도의 효율이 매우 뛰어나다.

단점으로는 후방 기물만 4개라 앞라인이 조금 애매하다는 것인데, 다른 봉쇄자 없이 혼자서도 높은 밸류를 자랑하는 크산테가 빠르게 뜨지 않으면 힘들어질 수 있다. 악령 시너지에 자체 흡혈 효과가 있기 때문에 악령으로만 조합해도 크산테가 상당히 잘 버틴다. 또한, 프리즘 시너지가 따로 없고 단계를 올려도 별다른 추가 효과 없이 그냥 번개의 피해량과 피흡 능력치만 늘어나는지라 다른 시너지에 비해 고점이 그리 높지는 않다는 문제가 있다. 즉, 시너지 효과 보다는 기물들의 자체 성능으로 고점을 보는 조합이며 그만큼 아이템이 매우 중요하다. 대신 초반부터 상당한 딜량을 보여줄 수 있는데다 저코스트 기물 위주라 저점이 안정적이고 별도의 퀘스트 조건 같은 것도 없어서 난이도가 쉬운데 성능은 어지간한 고벨류 덱에도 비비는 편이라 가성비가 좋아서 시즌 내내 상당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챔피언 스킨은 창공 스킨으로 구성되어있다.

3.1.9. 전투사관학교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전투사관학교.svg
전투사관학교

전투사관학교 챔피언이 스킬을 업그레이드하고 잠재력을 얻습니다. 잠재력은 전투사관학교 챔피언의 스킬을 강화합니다.

프리즘: 플레이어 대상 전투에서 완성 아이템을 사용하여 175점 획득

(3) 3 잠재력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가렌|
1
2
3
4
5
6
7
가렌]]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이즈리얼|
1
2
3
4
5
6
7
이즈리얼]]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라칸|
1
2
3
4
5
6
7
라칸]]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카타리나|
1
2
3
4
5
6
7
카타리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제이스|
1
2
3
4
5
6
7
제이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케이틀린|
1
2
3
4
5
6
7
케이틀린]]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레오나|
1
2
3
4
5
6
7
레오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유미|
1
2
3
4
5
6
7
유미]]

15시즌에서 새로 추가된 신규 시너지로 전투사관학교 스킨들로 이루어진 계열. 전 시즌 증폭과 유사하게 '잠재력'이라는 전용 능력치를 특성 단계에 비례해서 제공하며 잠재력 수치에 따라 각 기물 별로 고유한 방식으로 스킬이 강화된다.

이 덱의 최고 장점은 바로 2코스트 기물인 라칸과 카타리나의 훌륭한 체급. 2코스트 기물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높은 체급으로 적들을 밀어붙이는 것 하나는 최고다.

둘다 2코스트라서 저렙 단계에 빠르게 3성을 찍을 수도 있고 특히 카타리나는 밤끝, 타격대 or 내셔의 이빨, 정의의 손길을 가지고 있으면 2코스트라고는 믿을 수가 없는 대단한 성능을 보여준다.

카타리나가 아닌 유미 위주의 유미덱도 성능이 괜찮은 편. 특히 유미는 4코스트 중에서도 최상위권의 성능을 자랑한다. 다만 유미는 마나 회복을 얼마나 빠르게 하냐에 따라서 성능이 좌지우지되기 때문에 전투사관학교로만 덱을 맞추지는 않고 신동 덱과 같이 덱을 맞추는 5전사관 5신동 덱에서 조금 더 인기가 많은 편이다.

또한, 프리즘 시너지가 존재하며, 효과는 잠재력이 +10으로 늘어나면서 각 전사관 기물 스킬의 효과들이 모두 차원이 다른 수준으로 강화된다. 다만 5코 없이 7명만 배치해도 퀘스트가 해금되기에 퀘스트 해금 조건은 쉽지만 문제는 퀘스트 달성 조건이 소울 파이터와 별 수호자에 비해 꽤나 어렵다. 7전사관을 켠 상태에서 매 플레이어 대상 전투 1판 마다 전사관 기물들이 장착한 완성 아이템[65] 1개당 1점 씩 점수가 쌓이는데 이걸 175점을 모아야 프리즘이 달성된다. 즉, 3스테이지 초반에 빠르게 7전사관을 키고 아이템 증강을 먹어도 최소 6스테이지는 가야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라 어지간해서는 프리즘을 찍기 전에 게임이 끝나는 경우가 많아서 달성이 쉽지 않다. 그래도 승패에 상관없이 전투 완료가 누적 조건이기 때문에 완패를 해도 점수가 쌓이므로 불리한 상황에서 역전하기에는 좋다. 이렇게 어려운 만큼 완성 시의 보상은 상당한 편이다. 잠재력이 10을 돌파하여 모든 전사관 기물들의 스킬이 5코 3성 마냥 아예 다른 스킬이 될 정도로 막강해진다. 특히 카라티나가 가장 임팩트가 큰데 스킬을 한번 쓰기 시작하면 전투가 끝날 때 까지 끊임없이 말그대로 무한 궁을 써댄다. 가뜩이나 순간이동 하는 순간에는 무적 판정이라 잡기도 쉽지 않은데 계속 스킬을 쓰면서 광역딜을 박아대기에 그야말로 신이 된다.

단점은 위에 서술했듯이 프리즘 효과를 보기가 매우 어려워서 고점을 보기 쉽지 않다는 것과 아이템과 별을 다 맞춰줘야 강해지기 때문에 아이템 운이 없으면 성능이 급격하게 낮아진다. 그리고 프리즘을 달성하더라도 5코 3성이나 10수정 갬빗 등 다른 고점들에 비하면 스킬 강화 이외 별다른 부가 효과가 없어서 난이도에 비하면 성능이 그다지 파격적인 수준도 아니다.

하지만 비록 다른 시너지들에 비해 고점은 낮아도 저점이 워낙 높아서 안정적인데다 카타리나와 라칸이 너프된 후에도 1코라고는 믿을 수 없이 튼튼한 가렌과 완성형 딜탱인 제이스, 성장형 스나이퍼인 케이틀린 덕분에 시즌 내내 상위권 티어를 유지하고 있는 시너지이다.

전체적인 모티브는 학원 배틀물.

3.1.10. 크루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크루.svg
크루

크루 챔피언이 배치한 크루 멤버 1명당 체력 및 공격 속도를 5% 얻습니다.

3성 크루 챔피언 1명당 추가 효과를 얻습니다.

1명: 새로고침당 경험치 +1, 플레이어 레벨에 의해 크루 유닛 확률이 감소하지 않음
2명: 라운드당 무료 새로고침 +1회
3명: 280의 피해를 입히면 로켓을 발사해 75의 피해를 입힘
4명: 플레이어 레벨당 로켓을 2.5% 더 자주 발사
5명: 행성 파괴자 발사(즉시 승리)
(2) 크루 특성 활성화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말파이트|
1
2
3
4
5
6
7
말파이트]]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시비르|
1
2
3
4
5
6
7
시비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쉔|
1
2
3
4
5
6
7
]]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직스|
1
2
3
4
5
6
7
직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트위스티드 페이트|
1
2
3
4
5
6
7
트위스티드 페이트]]

오디세이 스킨으로 이루어진 계열.

매우 독특한 효과를 지니고 있는데, 일단 2크루부터 시너지 단계를 높여도 자체적인 추가 효과는 없다. 단지 전장에 투입되는 크루 챔피언 수에 정비례해 약간의 능력치를 얻는 게 전부.

크루 시너지는 크루 챔피언을 3성을 찍어야 진가가 발휘되는데, 크루 시너지의 진짜 효과는 해당 계열의 기물 머릿수에 따라 강화되는 다른 계열들과 달리 단순히 크루 챔피언의 머릿수가 아닌 '3성을 찍은 크루 챔피언의 수'에 따라 강화된다.

우선 기본적으로 3성을 하나만 찍어도 상점 새로고침만 해도 경험치를 추가로 제공하는 운영적인 면에서 매우 강력한 효과를 제공한다. 레벨업에 투자할 골드를 아낄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크루 챔피언을 찾는데 투자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봤을 때 매우 유리해지는 셈. 또한 일반적으로는 플레이어 레벨이 높아지면 저코 기물의 3성작이 어려워지지만 하나 이상의 3성 크루를 확보한 경우, 크루 챔피언들은 예외적으로 레벨과 무관하게 등장 확률이 낮아지지 않아서 레벨업의 리스크가 없어지므로 마음놓고 레벨을 올려 전투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다만, 크루 유닛 3성을 3개 확보하기 전까지는 전투에 일절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단점. 3성 2개까지는 리롤과 레벨업에 소폭 도움을 주는 효과뿐이라 실질적인 전투력 이득은 함선을 띄울 때부터라서 증강체 등을 통해 최대한 많이 3성을 찍어야 하는 시너지이며 그만큼 리롤과 골드 확보가 매우 중요한 계열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크루 시너지의 최고 임팩트는 바로 크루 챔피언 5마리가 모두 3성이 되었을 경우 프리즘 시너지로 발동하는 행성 파괴자 효과이다. 무려 모든 상대 전설이들을 즉시 처형시켜 게임을 끝내버리는 효과다. 크루 프리즘 활성화에 성공하는 순간 전투로 돌입하지 않고 바로 효과가 발동되기에 완성되는 순간 반드시 승리하는, 명실상부한 15시즌 최강의 시너지이자 롤체 전 시즌을 통틀어봐도 가장 강력한 시너지라고 할 수 있다.[66][67] 문제는 이런 막강한 효과만큼 완성 난이도가 매우 극악이라는 것. 크루 5명을 전부 3성을 찍어야 하는데 1~3코 4마리와 5코 1마리라는 폭넓은 분포라서 저코스트 3성작까지는 크루 시너지 효과로 인해 나름 쉬우나 문제는 그 다음 5코스트인 트위스티드 페이트 3성작을 해야하기에 매우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한다. 그래도 크루 기물로 초반 스노우볼을 잘 굴리거나 증강체로 판도라의 대기석을 골라 트페 3성을 노리다보면 의외로 달성이 가능한 편이다. 톡톡이의 시험 모드에서 5크루 프리즘을 달성할 경우에는 '톡톡이의 초강력 미사일'로 바뀌어서 적을 공격하는 시너지로 바뀌게 된다.

5크루로 2등하는 것도 가능한 버그가 있었다. 링크

3.1.11. 프로레슬러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프로레슬러.svg
프로레슬러

프로레슬러가 추가 공격력을 얻습니다.

체력이 50%일 때, 프로레슬러가 해로운 효과를 제거하고 체력을 회복한 다음, 전투에 다시 뛰어들어 반경 1칸 내 적을 1초 동안 공중에 띄웁니다.
(2) 15 공격력, 25% 체력 회복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나르|
1
2
3
4
5
6
7
나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문도 박사|
1
2
3
4
5
6
7
문도 박사]]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볼리베어|
1
2
3
4
5
6
7
볼리베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브라움|
1
2
3
4
5
6
7
브라움]]

체력회복과 공격력 추가, CC 효과를 추가해준다. 2시너지와 4시너지의 효율차이가 그리 크지 않은데, 반대로 말하자면 2시너지만으로도 충분히 괜찮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4시너지밖에 없고 효과도 보조적이여서 보조 시너지로 활용하는 편이 좋다.

단, 프로레슬러 특성을 받은 기물을 메인으로 쓰는 경우[68]에는 체력 회복량과 공격력의 차이가 무시 못할 수준이기 때문에 브라움을 빨리 찾거나 상징작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3.2. 챔피언 고유 계열

3.2.1. 레슬링 챔피언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레슬링 챔피언.svg
레슬링 챔피언

(1) 레슬링 챔피언이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승리하면 포로 팬 2명이 추가됩니다! 패배 시 포로 팬 하나당 전략가 피해량이 1 감소합니다. 이후 포로 팬 100%를 잃습니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브라움|
1
2
3
4
5
6
7
브라움]]
브라움을 필드에 넣고 승리한 횟수의 두 배만큼 중첩이 쌓이고 패배시 전략가가 받는 피해량이 중첩 수 만큼 감소하는 효과. 고코스트 기물 특성상 스택을 빠르게 쌓기 어렵지만 잘 쌓아두면 한턴을 쉽게 넘길 수 있다.

효과 발동시 중첩이 전부 사라지기에 처음부터 다시 쌓아야한다.

3.2.2. 장미 어머니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장미 어머니.svg
장미 어머니

(1) 자이라의 별 레벨에 따라 배치할 수 있는 식물을 1/1/8개 획득합니다. 전방 가로 2열에 배치한 식물은 튼튼한 휘감는 뿌리로 자라며, 후방 가로 2열에 배치한 식물은 치명적인 가시로 자랍니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자이라|
1
2
3
4
5
6
7
자이라]]
식물이라는 특수 기물을 소환하는 전용 특성.

식물은 3성 전 까지는 1개, 3성이 되면 무려 5개나 배치할 수 있으며 위치에 따라 종류가 바뀌는데 후방 2라인에 배치 시 원딜을 넣는 딜 위주의 치명적인 가시, 전방 2라인에 배치 시 근딜을 하는 탱 위주의 휘감는 뿌리로 바뀐다. 이외 자세한 사항은 후술할 자이라 문단 참고.

전투 시작 시 식물이 제자리에서 범위 내 적들을 공격하면서 함께 싸우며 자이라가 스킬을 사용할 때 마다 체력 회복 및 강화된다. 단, 먼저 공격 당해 체력이 모두 까이면 파괴되지만 파괴 후 자이라가 스킬을 사용할 때 마다 무한정 부활하기 때문에 자이라 본체만 살아있다면 꾸준히 딜을 넣어 아군 전체의 전투력을 확실히 보강해준다. 식물의 별 레벨은 자이라 본체의 별 레벨을 따라가며 별 레벨에 따라 식물의 성능이 크게 달라지는데 1성에서는 크게 영향력이 없는 수준이지만 2성부터는 상당히 강력한 딜이 나오며 3성은 5코 3성 답게 그냥 끝판왕이다.

자이라가 소환하는 식물은 기물 판정이라 식물까지 모두 죽어야 패배 처리된다. 따라서 자이라 본체를 포함해서 다른 모든 아군이 다 죽어도 식물이 끝까지 살아남아 기적적으로 이기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3.2.3. 태세의 대가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태세의 대가.svg
태세의 대가

(1) 리 신을 배치할 때 결투가 태세, 처형자 태세, 전쟁기계 태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각 태세는 고유 스킬이 있으며, 리 신에게 해당 특성을 부여합니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리 신|
1
2
3
4
5
6
7
리 신]]

3.2.4. 해적 선장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해적 선장.svg
해적 선장

(1) 트위스티드 페이트가 크루 함선을 업그레이드해 피해량의 15%를 고정 피해로 입히도록 하며, 라운드마다 무작위 보상을 제공하는 현상금 카드를 뽑습니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트위스티드 페이트|
1
2
3
4
5
6
7
트위스티드 페이트]]
보상표

3.3. 직업

3.3.1. 결투가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결투가.svg
결투가

결투가는 기본 공격 시 공격 속도를 얻습니다. 최대 12회까지 중첩됩니다.
(2) 4% 공격 속도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케일|
1
2
3
4
5
6
7
케일]]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갱플랭크|
1
2
3
4
5
6
7
갱플랭크]]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카이사|
1
2
3
4
5
6
7
카이사]]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비에고|
1
2
3
4
5
6
7
비에고]]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우디르|
1
2
3
4
5
6
7
우디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애쉬|
1
2
3
4
5
6
7
애쉬]]

공격 속도 이득을 보는 평타 특화 시너지.

공속 효율이 뛰어난 평타 특화 기물들로 이루어져 있는데다 점점 추가 능력치를 얻는 특성 상 장기전에 유리하다. 다만, 별도의 프리즘도 없고 단일 성능은 다소 애매한 편이라 주로 순수 결투카 조합보다는 다른 메인 시너지에 결투가를 곁들여서 전투력 보강 용으로 사용되는 편이다. 케일은 결투가보다는 악령과 전쟁기계의 효율이 더 좋으며 카이사는 슈프림 셀과 람머스가 주요 조합으로 쓰이며, 갱플랭크와 비에고는 고속 연사포 없이는 파워가 애매하고 애쉬 또한 수정 갬빗 보상 없이는 파워가 애매한지라 애로사항이 많다.

3.3.2. 마법사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마법사.svg
마법사

마법사가 추가 주문력을 얻습니다.

적이 마법사에게 피해를 입은 뒤 사망하면 자신의 최대 체력에 비례한 피해를 다른 적에게 입힙니다.
(2) 20 주문력, 최대 체력의 8%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루시안|
1
2
3
4
5
6
7
루시안]]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케넨|
1
2
3
4
5
6
7
케넨]]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럭스|
1
2
3
4
5
6
7
럭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스웨인|
1
2
3
4
5
6
7
스웨인]]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아리|
1
2
3
4
5
6
7
아리]]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카르마|
1
2
3
4
5
6
7
카르마]]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그웬|
1
2
3
4
5
6
7
그웬]]

늘 있던 주문력 특화의 마법사 시너지.

시즌 초에는 6마법사 조합이 상당히 강력했으나 카르마가 하향된 이후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3.3.3. 봉쇄자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봉쇄자.svg
봉쇄자

유닛이 보호막이 씌워졌을 때 내구력을 5% 얻습니다.

전투당 1회, 체력이 50%일 때 봉쇄자가 가장 가까운 아군과 자신에게 최대 체력의 일정 비율만큼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을 씌웁니다. 보호막은 중첩됩니다.

(2) 최대 체력의 18%에 해당하는 보호막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케넨|
1
2
3
4
5
6
7
케넨]]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말파이트|
1
2
3
4
5
6
7
말파이트]]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잔나|
1
2
3
4
5
6
7
잔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라칸|
1
2
3
4
5
6
7
라칸]]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니코|
1
2
3
4
5
6
7
니코]]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크산테|
1
2
3
4
5
6
7
크산테]]

다른 시즌의 보호막 관련 탱킹 시너지는 기물들이 다 자체 보호막 스킬이 있었는데, 이번 시즌에는 패시브 효과가 추가된 대신 스킬로 보호막을 사용하는 기물이 잔나밖에 없다.

3.3.4. 신동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신동.svg
신동

아군이 마나 재생을 얻습니다. 신동은 능력치를 더 얻습니다.
(2) 1 마나 회복 | 3 신동 마나 회복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신드라|
1
2
3
4
5
6
7
신드라]]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이즈리얼|
1
2
3
4
5
6
7
이즈리얼]]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말자하|
1
2
3
4
5
6
7
말자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유미|
1
2
3
4
5
6
7
유미]]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세라핀|
1
2
3
4
5
6
7
세라핀]]

마나 재생을 제공하는 시너지. 보통 말자하를 캐리 기물로 사용하는 조합이나 전투사관학교 조합에서 서브 시너지로 2시너지를 기용한다. 메인 시너지로 사용할 경우 유미를 메인 캐리로 사용하고 5 신동+5 전투사관학교로 조합을 구성한다.

3.3.5. 요새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요새.svg
요새

아군이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을 10 얻습니다.

요새는 능력치를 더 얻습니다.
전투 시작 후 10초 동안, 요새는 추가 수치를 2배로 얻습니다.

(3)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18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가렌|
1
2
3
4
5
6
7
가렌]]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렐|
1
2
3
4
5
6
7
]]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쉔|
1
2
3
4
5
6
7
]]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신짜오|
1
2
3
4
5
6
7
신짜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스웨인|
1
2
3
4
5
6
7
스웨인]]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레오나|
1
2
3
4
5
6
7
레오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브라움|
1
2
3
4
5
6
7
브라움]]

늘 나오던 시너지로 탱킹에 특화된 시너지이다.

요새 뿐만 아니라 모든 아군의 방어력과 마법 저항력을 동시에 늘려서 유지력 하나는 정말 발군이 된다. 다만, 요새 한정으로 받는 추가 능력치의 지속시간이 있어서 초반 10초 이후 힘이 약간 빠지는 편이라 장기전에는 불리하다.

메인 시너지로 6시너지까지 사용하는 경우는 코그모 리롤덱(+요새 상징 야스오)을 하거나 전쟁기계와 유사하게 6 요새 기반으로 밸류덱을 짜는 경우이다. 이때 후반 캐리 기물로 추가로 세라핀을 사용하는데, 요새 기물들의 뻥튀기된 방마저가 반영되어 별 수호자나 신동 조합에서 쓰는 것보다 더 강력한 한방 대미지를 자랑한다.

3.3.6. 이단아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이단아.svg
이단아

이단아가 모든 피해 흡혈과 공격력을 얻습니다. 또한 체력이 50% 아래인 적을 공격할 때 공격 속도를 40% 얻습니다.

(2) 피해 흡혈 10, 공격력 15%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쉔|
1
2
3
4
5
6
7
]]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자야|
1
2
3
4
5
6
7
자야]]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비에고|
1
2
3
4
5
6
7
비에고]]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야스오|
1
2
3
4
5
6
7
야스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사미라|
1
2
3
4
5
6
7
사미라]]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볼리베어|
1
2
3
4
5
6
7
볼리베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요네|
1
2
3
4
5
6
7
요네]]

5코스트 기물인 요네의 성능이 시원찮고, 멘토 시너지를 제공하는 야스오를 제외하면 아이템 없이는 기본적인 성능이 안 나오는지라 상징 없이 6시너지까지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소울 파이터, 요새 자야 등의 조합에서 2시너지만 사용하는 편이다.

15.9 패치에서 비에고에게 새롭게 이단아 특성이 추가되었다.

3.3.7. 저격수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저격수.svg
저격수

저격수가 피해 증폭을 얻습니다. 멀리 떨어진 적을 대상으로 수치가 증가합니다.
(2) 13% 피해 증폭, 칸당 +3% 피해 증폭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나르|
1
2
3
4
5
6
7
나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시비르|
1
2
3
4
5
6
7
시비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진|
1
2
3
4
5
6
7
]]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케이틀린|
1
2
3
4
5
6
7
케이틀린]]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징크스|
1
2
3
4
5
6
7
징크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바루스|
1
2
3
4
5
6
7
바루스]]

이전 세트들의 저격수에 비해 피해 증폭 제공량이 상당히 낮아지고 시너지 등급당 피해 증폭 증가량도 미미해져, 고시너지를 사용하기보다는 크루 조합, 별 수호자 조합 등에서 2시너지만 사용하는 편이다. 그마저도 크루는 트위스티드 페이트가 나온 이후, 별 수호자는 바루스에게 줄 아이템이 없을 경우 저격수를 아예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크루+봉쇄자+진 조합에서 4시너지 이상 사용하기도 했지만 말파이트와 진의 너프 이후 해당 조합은 거의 사장된 상태이다.

3.3.8. 전쟁기계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전쟁기계.svg
전쟁기계

전쟁기계가 내구력을 얻습니다. 체력이 50% 이상일 경우 수치가 증가합니다. 전쟁기계가 사망하면 다른 전쟁기계가 최대 체력의 10%만큼 체력을 회복합니다.
(2) 내구력 15% 또는 25%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나피리|
1
2
3
4
5
6
7
나피리]]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아트록스|
1
2
3
4
5
6
7
아트록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문도 박스|
1
2
3
4
5
6
7
문도 박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바이|
1
2
3
4
5
6
7
바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우디르|
1
2
3
4
5
6
7
우디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세트|
1
2
3
4
5
6
7
세트]]

세트 9의 전쟁기계에서 전쟁기계 사망 시 다른 전쟁기계가 체력을 회복하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시너지 단계를 올려도 내구력 증가량은 5%씩밖에 오르지 않지만 회복 효과를 더 많이 누릴 수 있게 되어 시너지 단계별 차이는 결코 적게 느껴지지 않는다.

소울 파이터 조합 등 여러 조합에서 서브 시너지로 2시너지를 기용한다. 문도 박사/바이 전용 증강 없이 메인 시너지로 6시너지를 사용하려 할 경우 전쟁기계 태세 리 신이 핵심 기물이 되며, 리 신 2성작을 위해 돈/경험치 증강 또는 강력한 빌드업을 가져간 후 안정적으로 9레벨을 갈 수 있는 빌드업 능력이 요구된다. 이때 조합은 리 신을 포함한 6 전쟁기계 + 트위스티드 페이트, 자이라, 브라움 등 고밸류 기물들을 사용한다.

3.3.9. 책략가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책략가.svg
책략가

전투 시작: 전방 가로 2열에 있는 아군이 15초 동안 보호막을 얻습니다. 후방 가로 2열에 있는 아군이 피해 증폭을 얻습니다. 책략가는 능력치를 세 배로 얻습니다.
(2) 150 보호막, 4% 피해 증폭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잔나|
1
2
3
4
5
6
7
잔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직스|
1
2
3
4
5
6
7
직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라이즈|
1
2
3
4
5
6
7
라이즈]]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자르반 4세|
1
2
3
4
5
6
7
자르반 4세]]

후방 기물에게 피해 증폭을 주는 점은 세트 14, 전방 기물에게 보호막을 주는 점은 세트 9 책략가와 동일하다. 서브 시너지로 활용하기에도 좋으며 직스를 캐리로 사용하는 크루 조합에서는 메인 시너지로 4시너지까지 올리기도 한다.

간혹 잔나, 라이즈를 아이템 없이 기용하는 경우 별 의미 없는 피해 증폭 대신 보호막을 얻어 전방에서 조금이라도 탱킹을 하도록 하기 위해 앞배치를 하기도 한다.

3.3.10. 처형자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처형자.svg
처형자

처형자가 치명타 확률 및 치명타 피해량을 얻습니다. 스킬에 치명타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2) 25% 치명타 확률, 10% 치명타 피해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칼리스타|
1
2
3
4
5
6
7
칼리스타]]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카타리나|
1
2
3
4
5
6
7
카타리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세나|
1
2
3
4
5
6
7
세나]]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라이즈|
1
2
3
4
5
6
7
라이즈]]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아칼리|
1
2
3
4
5
6
7
아칼리]]

늘 있던 치명타 옵션 시너지. 아칼리를 메인 캐리로 사용하는 덱에서 세나, 라이즈와 함께 3시너지 혹은 처형자 리 신까지 사용하여 4시너지를 기용하고 그 외 거대 메크, 전투사관학교 카타리나 등의 덱에서 2시너지를 기용한다. 3->4시너지 구간에서의 능력치 상승폭에 비해 2->3시너지와 4->5시너지의 능력치 상승폭이 미미하여 상징 없이 5시너지까지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상징의 중요도도 낮은 편.

3.3.11. 헤비급

파일:전략적팀전투-특성-헤비급.svg
헤비급

아군이 체력을 100 얻습니다.

헤비급은 추가 체력을 얻고 체력의 일정 비율만큼 공격력을 얻습니다.
(2) 20% 체력 | 체력의 0.2%만큼 공격력 획득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아트록스|
1
2
3
4
5
6
7
아트록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자크|
1
2
3
4
5
6
7
자크]]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코부코|
1
2
3
4
5
6
7
코부코]]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다리우스|
1
2
3
4
5
6
7
다리우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제이스|
1
2
3
4
5
6
7
제이스]]
[[전략적 팀 전투/세트 15#뽀삐|
1
2
3
4
5
6
7
뽀삐]]

별 수호자, 악령 등 다양한 덱에서 2시너지를 기용하며, 6시너지까지 사용할 때는 다리우스를 캐리 기물로 삼고 7레벨에 스몰더 또는 말자하 등의 3코스트 후방 딜러를 함께 사용하여 이들의 3성작을 한다. 이때 제이스의 경우 제이스 딜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투사관학교를 활성화하지 않아 다리우스에 비해 캐리력이 떨어지기에 아이템 우선 순위가 밀리는 편.

4. 유닛

4.1. 1단계

4.1.1. 가렌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가렌, champimg=2021_Battle Academia.jpg
, set=15, c1=전투사관학교, c2=요새, c3=
, hp= 700 / 1260 / 2268, mana= 30 / 80, ad= 55 / 83 / 124, ar= 40 / 40, as=0.6, range=1)]
파일:garen_Q.png
정의의 강력한 일격
체력(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을 회복하고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잠재력 : 스킬 사용 시 중첩을 1회 얻습니다. 중첩당 체력을 2 얻습니다.
체력 회복량(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체력의 8% + [ 330 / 360 / 39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체력의 10% + [ 80 / 100 / 125 ]

영구 체력 증가(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2 / 4 / 6 ] + 잠재력당 체력 3
승리가 눈 앞에 있다!(구매)
흐아아아압!(등급 상승)
하하하하하하!(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탱커.[탱커]

전 시즌의 1코 가렌과 마찬가지로 Q를 사용한다. 전투사관학교 시너지를 활성화할 시 스킬을 쓸 때마다 영구적으로 체력을 얻기에 3성작이 된다면 후반 포텐셜이 보장되는 기물. 3성작을 할 경우 주로 이즈리얼-신드라-렐을 같이 찍는 '이신가렐' 덱에 쓰이며, 그 외에는 우수한 4코스트 탱커인 데다 시너지를 공유하는 레오나의 존재 때문에 시너지용 기물로 쓰인다.

단 유물 아이템 '활력 증진의 펜던트'를 장착하거나 완벽한 적응 증강을 먹고 적응형 투구 2개를 장착하여 초반부터 스택을 엄청나게 쌓아 키워오는 경우에는 후반에도 가렌 2성으로도 레오나 2성에 꿇리지 않는 탱킹력을 자랑하여 메인 탱커로 사용하기도 한다.

영웅 증강 '운동장의 정의'를 먹으면 역할군이 공격력 전사로 변경되고, 스킬은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파일:garen_Q.png
운동장의 정의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체력이 12%(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아래인 경우 처형합니다.

잠재력 : 스킬 사용 시 중첩을 1회 얻습니다. 중첩당 최대 체력을 얻습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체력의 12% + [ 180% / 270% / 400% / 530% ]

처형 기준값:
6% +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6%

영구 체력 증가(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2 / 4 / 6 / 8 ] + 잠재력당 체력 3
체력 회복이 삭제되는 대신 피해량이 증가하고 공격력에 비례한 체력% 이하의 적을 처형한다. 사용시 영구적으로 체력을 얻는 효과는 전투사관학교 시너지의 효과라 그대로 남아있고 마나 소모량은 30으로 대폭 감소하기 때문에, 영증을 먹고 전사관 덱을 타면 평타 두번에 스킬 한번씩 찍을 때마다 딜러는 삭제하고 탱커도 30%씩 날려버리는데다가 처형까지 자체 탑재한 근딜이 체력이 4천이 넘어가는 무시무시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영웅 증강 중 우승 포텐셜이 가장 높은 기물로 꼽힌다. 추가로 영웅 증강을 획득한 상태로 4성을 달성하고 전투사관학교 프리즘 시너지를 얻으면 스킬이 선딜레이 없이 즉발로 바뀌고[70] 내려 찍는 공격 모션이 가만히 있는 자세로 바뀌며 툴팁에 표기된 피해보다 2~3배 높은 고정피해를 입히는 이스터에그가 존재한다. 6천을 넘기는 피해를 마나 30으로 주기 때문에 매 라운드마다 딜량을 몇 만씩 찍고, 잘 하면 5코 3성 기물도 해당 기물이 스킬을 쓰기 전에 먼저 갈아버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4.1.2. 나르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나르, champimg=2016_El.jpg
, set=15, c1=프로레슬러, c2=저격수, c3=
, hp=500 / 900 / 1620, mana=0 / 40, ad=50 / 75 / 113 , ar= 20 / 20 , as=0.7, range=4)]
파일:gnar_P.png
가다가다가다!
기본 지속 효과: 같은 대상에게 기본 공격을 가할 때마다 공격 속도가 8%(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증가해 최대 80%(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까지 증가합니다.

사용 시: 6초 동안 공격력을 90% 얻고, 주변 아군 2명에게 공격력을 부여합니다. (공격형 기반 챔피언 우선 지정)

추가 공격력:
[ 90% / 90% / 90% ]
아군 공격력:
[ 20% / 25% / 35% ]
흐루쉬, 브라움!(구매)
샤앙어~(등급 상승)
슈기 슈기 슈기~(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원거리 딜러.[원거리딜러]

시즌 11의 시비르를 연상시키는 버프형 기물로, 스킬 사용 시 양 옆의 기물에게 공격력을 제공한다. 대신 단일 캐리력은 애매해서메인 캐리로는 잘 쓰이지 않으나, 자체 공속 업을 탑재한 평타 딜러라는 포지션 특성상 초반 빌드업, 특히 구인수 빌드업에 극도로 유리해 초반에 나르를 먹고 구인수+황금의 대검 파워업[72]이나 그림자 분신 파워업[73]을 먹고 도박꾼의 칼날을 줘서 골드 광산 더블 배럭을 돌리는 빌드업이 유명하다.

후반으로 가도 저격수+프로레슬러라는 최상급 2시너지 두개를 탑재하고 있어 2시너지 셔틀로 잘 쓰인다. 시즌 초에는 5코스트 악령+저격수인 바루스의 성능이 심각하게 나빠서 2코스트 악령+저격수인 진을 캐리로 쓰는 전쟁기계 진 덱에서도 바루스 쓸 바에 프로레슬러로 메인탱인 문도를 강화시킨다며 후반에도 나르를 쓰기도 했다.

스킬명은 무다무다 패러디.

4.1.3. 나피리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나피리, champimg=naafiri_Soulfighter.jpg
, set=15, c1=소울 파이터, c2=전쟁기계, c3=
, hp=650 / 1170 / 2106, mana=0 / 30 , ad=55 / 83 / 124, ar= 45 / 45, as=0.8, range=1)]
파일:Naafiri_E.png
회전 영혼톱
2초 동안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을 얻고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90% / 110% / 150% / 19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50% / 225% / 340% / 456% ]
덤비든가, 도망치든가.(구매)
꼬리를 흔들어주지.(등급 상승)
우리가 최상위 포식자다.(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전사.[전사]

원본의 E를 사용한다. 초반 2성이 붙었을 때 브루저 빌드업으로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특히 골드 증강중 하나인 나 혼자만 레벨업에서 1코 기준 최강의 기물. 다만 성장성이 높지는 않아 4라운드에서는 힘이 많이 빠지니 그 전에 다른 기물에 아이템과 파워업을 옮겨 주는게 좋다.

전용 파워업인 무리 전술이 존재한다. 협곡처럼 하수인 2마리를 소환하고, 그 하수인들이 같이 공격해 주는 파워업. 성능은 좋다고 볼 수는 없지만 유물 아이템인 은빛 여명 착용시 평타 스턴이 하수인에게도 적용되어 적 기물 하나를 무한 스턴을 걸 수 있다. 물론 은빛 여명이 성능이 괜찮았을 때도 예능 전술이였는데, 피해 마나 전환이 사라지고 난 지금에서는 탱커 하나를 무한 스턴 거는것에 대해 메리트가 적어져서 완전히 사장된 전술이다.

스킬은 체인소 맨의 패러디.

4.1.4.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렐, champimg=rell_Starguardian.jpg
, set=15, c1=별 수호자, c2=요새, c3=
, hp=750 / 1350 / 2430, mana=0 / 40, ad=50 / 75 / 113 , ar= 40 / 40 , as=0.6, range=1)]
파일:rell_Q.jpg
꺾이지 않는 천상의 창
대상을 관통해 일직선상의 짧은 범위에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이후 4초 동안 받는 피해량이 감소(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합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30% / 195% / 295% ]
고정 피해량 감소(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0% / 30% / 45% ]
같이 싸우는 거야!(구매)
건드리지 말랬지!(등급 상승)
여자애한테 당하셨네.(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탱커.[탱커]

원본의 Q를 활용한 스킬을 들고 나왔다. 성능이 애매한 탓에 이신가렐 혹은 별 수호자에서 시너지용으로 쓰인다.

15.6에서 전용 파워업 별빛기사가 생겨 이신가렐 덱에서 메인탱커를 맡아도 될만한 성능으로 올라왔다. 1코스트 기물에 비례해서 탱킹력이 상승하며, 자신이 3성을 달성할 경우 효과가 두배로 상승한다. 이신가렐에서 별빛기사를 달아준 3성 렐은 정말 딱딱한 편. 별수호자덱에서도 역시 탱킹력이 좋아져서, 4라운드 이전까지는 별빛기사 렐로 메인탱을 세우는 것도 고려해볼만하다. 다만 렐 자체의 스킬이 워낙 심심하고, 딱딱하다는 것 이외에는 부과효과가 없어서 후반까지 쭉 파워업을 유지시키는 것은 대부분 좋지 않다.

4.1.5. 루시안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루시안, champimg=lucian_Maskedjustice.jpg
, set=15, c1=거대 메크, c2=마법사, c3=
, hp=500 / 900 / 1620, mana=0 / 40, ad=30 / 45 / 68, ar=20 / 20, as=0.7, range=4)]
파일:lucian_W_buff.png
쌍포 발사
대상을 향해 4발의 탄환을 발사합니다. 각 탄환은 처음 적중한 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며, 빗나갈 때마다 마나를 8 회복합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85% / 130% / 225% ]
우리가 새로운 추억을 만들고 있어.(구매)
으아아아아!(등급 상승)
어디 다시 한 번 덤벼 봐라.(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마법사.[마법사]

세트 8.5 당시의 스킬을 다시 들고 나왔다. 1렙 기물 중 성능이 우수한 편이며, 3성작 시 캐리로 쓰는 경우도 있다. 다만 시너지를 공유하는 데다 성능도 우수한 4코스트 카르마의 존재 때문에 주로 ap 템 + 처치 시 골드를 주는 '미다스의 손' 파워업을 넣고 초중반 골드를 뜯는 용도로 쓰이다 카르마가 나오면 곧바로 버려진다.

전용 파워업으로 스킬 사용시 앞으로 이동을 하고 탄환 개수를 늘려주며 스킬 사용마다 주문력을 늘려주는 '추격'이 있고, 15.5에서 세나와 공유되는 파워업 '방랑 2인조' 가 생겼는데, 이 파워업들이 있을 경우 메인 캐리 기물로도 쓰인다. 특히 방랑 2인조는 세나와 함께 3성을 찍으면 거대 메크 특성이 하나 추가되어 거대 메크 기물 6기로도 7거대메크를 켤 수 있어 뒷심이 제법 좋은 증강체이다. 자야 라칸의 팬서비스와 달리 둘 중 한명만 방랑이인조가 떠도 둘 모두에게 적용된다. 다만 1코스트와 3코스트 기물을 3성을 바라봐야 하기에 완성 난이도는 굉장히 높은 편이다.

4.1.6. 말파이트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말파이트, champimg=malphite_Odyssey.jpg
, set=15, c1=크루, c2=봉쇄자, c3=
, hp=700 / 1260 / 2268, mana=0 / 100, ad=60 / 90 / 135, ar=55 / 55, as=0.55, range=1)]
파일:malphite_P.png
지표면의 저항력
기본 지속 효과: 장착한 아이템 하나당 방어력을 12 얻습니다.

사용 시: 원뿔 범위 내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 40% ] + [ 270% / 405% / 610% ]
부순다.(구매)
(웃음)(등급 상승)
받아라.(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탱커.[탱커] 단 대미지 계수가 주문력일 뿐, 피해 자체는 AD 대미지로 들어간다.

원본의 W를 재해석한 스킬을 들고 나왔다.

크루 조합의 메인 탱커. 풀템을 장착하기만 해도 방어력 증가가 보장되기에[78] 2코스트인 쉔보다도 높은 탱킹력을 보여준다. 딜러진은 초반에는 시비르 3성, 후반에는 직스 3성이나 트위스티드 페이트 2성으로 스테이지에 따라 교체되나, 탱커 아이템은 말파이트에 고정으로 준다.

영웅 증강 '지표면의 거인'을 먹으면 주문력 전사가 되고 스킬이 아래와 같이 변경되며 스킬 마나 소모량은 50이 된다.
파일:malphite_P.png
지표면의 거인
1(공격 사거리)칸 내 가장 큰 적 무리로 돌진합니다. 이후 반경 1칸 내 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고 잠시 기절시킵니다.

스킬을 사용할 때마다 사거리가 1씩 증가합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00% / 300% / 450% ]
협곡의 궁극기를 가지고 온 CC형 스킬. 스킬 피해량은 마법 대미지가 들어간다.

전반적으로 평가가 좋은 1코스트 영웅 증강답게 지표면의 거인 역시 흉악한 성능을 자랑한다. 기본이 CC기이면서도 대미지도 무시 못하는 수준으로 뒷라인 딜러들을 빈사상태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말파이트 특성상 봉쇄자보다는 크루 조합으로 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후반에 자르반 4세와 연계하여 시도 때도 없이 에어본을 걸어대는 것을 볼 수 있다.

주된 아이템은 전방 AP딜러의 아이템인 보석 건틀릿과 정의의 손길, 대천사의 포옹 등이 아닌 피바라기+거인의 결의+구인수의 격노검이 가장 좋은 조합으로 꼽힌다. 전사이기에 깡공속을 늘려 스킬을 자주 쓰게 하고, 거인의 결의로 CC면역을 획득하기에 딜템을 몰아주는 것보다 이것이 가장 좋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선호되는 파워 업은 피해량이 감소하는 대신 스킬을 2번 사용하게 하는 요술사가 가장 선호된다. 에어본에서 내려오자마자 또 에어본이 걸려 효율이 아주 좋기 때문이다. 여러모로 2세트의 4코스트 기물이었던 말파이트와 비슷한 점이 많다.

4.1.7. 시비르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시비르, champimg=sivir_Odyssey.jpg
, set=15, c1=크루, c2=저격수, c3=
, hp=450 / 810 / 1458, mana=0 / 60, ad=50 / 75 / 113, ar=20 / 20, as=0.7, range=5)]
파일:sivir_Q.png
별 절단기
현재 대상을 관통해 2칸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칼날을 던집니다. 칼날은 적중한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며, 적중할 때마다 피해량이 40% 감소합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70% / 255% / 385%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0% / 30% / 45% ]
전투... 돈 버는 현장이지.(구매)
조심해.(등급 상승)
항상 최고의 자리에 머무는 게 쉬운 일은 아니지!(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마법사.[마법사]

원본의 Q를 들고 나왔다.

크루 덱의 초중반부 메인 ad 캐리. 주로 초반에 ad 템을 박고 템포를 당겨오는 용도로 쓰이며, ap 캐리인 직스의 템각이 애매한 경우 후반까지도 파워업을 넣고 캐리 기물로 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후반에 트위스티드 페이트의 2성작이 완료되면 파워 업과 아이템이 모두 트페에게 간다.

4.1.8. 신드라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신드라, champimg=syndra_Starguardian_Prestige.jpg
, set=15, c1=수정 갬빗, c2=별 수호자, c3=신동
, hp=450 / 810 / 1458, mana=0 / 30, ad=40 / 60 / 90, ar=20 / 20, as=0.7, range=4)]
파일:syndra_Q.png
별빛 폭발
대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고 적의 마법 저항력을 10 감소시킵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15% / 325% / 485% ]
이젠 참지 않는다.(구매)
날 막아보라지.(등급 상승)
내 힘은 무한하다!(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마법사.[마법사]

적당한 1코스트 AP 딜러. 이신가렐 덱의 메인 캐리로 쓰이는 경우가 아니라면 주로 신동 덱의 빌드업용 기물로 쓰인다. 앞라인 2성이 잘 찍히고 전용 파워업인 '혼돈 고조'를 먹었을 때 빌드업 파워가 몹시 강한 편이다. 특히 전성기에는 쇼진이나 내셔같은 스킬을 많이 굴리게 해주는템에 보건같은 극딜템 하나만 껴주면 1코 2성으로 9렙까지 째게 해주는 엄청난 성능을 보여주기도 했다. 너프된 이후에는 적당히 괜찮은 빌드업 기물 정도.

4.1.9. 아트록스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아트록스, champimg=2023_DRX.jpg
, set=15, c1=거대 메크, c2=전쟁기계, c3=헤비급
, hp=650 / 1170 / 2106 , mana=20 / 80 , ad=50 / 75 / 113 , ar=40 / 40, as=0.65, range=1)]
파일:aatrox_P.png
검의 활기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하고 현재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체력 회복량 및 피해량은 아트록스의 잃은 체력에 비례해 100%까지 증가합니다.
체력 회복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100% / 105% / 110% ] + 4%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00% / 150% / 225% ] + [ 25% / 40% / 55% ]
결투를 시작하지.(구매)
흐아아아아아!(등급 상승)
너희는 나를 파괴할 수 없다!(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탱커.[탱커]

탱킹 관련 시너지를 3개나 가지고 있는 유일한 1코 탱커로 빌드업 과정이나 시너지 셔틀로 수 많은 덱에서 채용하는 기물. 초반엔 높은 탱킹력을 보여주지만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기용하는 관계로 3성을 찍기도 힘들고, 성장성도 낮아 3성을 만들었을 때 리턴도 적다.

15.3버전에서는 뜬금없이 핫한 기물로 떠올랐는데, 다른 게 아니라 사교계 파워업[82]의 주목도가 높아지면서 사교계가 유독 잘 뜨는 아트록스가 떠오른 것. 제이스와 함께 모든 기물을 통틀어서 가장 사교계가 잘 뜨는 유닛인데, 아트록스보다 약간 확률도 더 낮고 3코스트라 쉽게 먹기도 힘들어서 사고 팔며 리롤하기도 힘든 제이스보다 확률도 더 높고 1코스트라 부담없이 사고 팔 수 있으며, 시너지 구조상 훨씬 더 범용성이 좋은 아트록스가 사교계 셔틀로 각광받게 된 것이다.

대표적으로 쓰이는 덱은 4멘토 세나/라이즈 덱으로, 원래도 하이퍼캐리보다는 덱 전체가 전투요원인 덱이라 전투증강 효과를 잘 받았는데 팀 전체 적용 기준 파워업 하나로 1.5증강체급 밸류를 보여주는 사교계빨을 극한으로 잘 받고, 시너지도 헤비급(코부코)/거대 메카(세나+자르반)/전쟁기계(우디르)로 완벽하게 맞아떨어진다.

이후 15.4b 패치로 사교계가 아예 삭제되면서 다시 원래의 시너지 셔틀 기물로 돌아왔다.

4.1.10. 이즈리얼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이즈리얼, champimg=ezreal_Battleacademia.jpg
, set=15, c1=전투사관학교, c2=신동, c3=
, hp=500 / 900 / 1620, mana=0 / 50, ad=50 / 75 / 113, ar=20 / 20, as=0.7, range=4)]
파일:ezreal_Q.png
끓어오르는 주문의 힘
현재 대상에게 파동을 방출해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와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잠재력: 짧은 거리를 순간적으로 이동한 다음 5초 동안 공격 속도를 25% 얻고, 전투가 끝날 때까지 공격력 및 주문력을 얻습니다.
물리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15% / 175% / 300% ]
마법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30% / 350% / 600% ]
추가 효과:
잠재력당 공격력 및 주문력 4
빨리 끝내자고!(구매)
전부를 걸겠어!(등급 상승)
한 번 이겼다고 자만하지 말아야지!(전투 종료)
역할군은 혼합 마법사.[마법사]

공격력 기반 물리 피해와 주문력 기반 마법 피해를 동시에 입히는 하이브리드 딜러. 다만 스킬 사용 후 투사체를 날리기까지의 모션이 길어 자체 딜로스가 큰 탓에 캐리력은 떨어지는 편.

스킬은 협곡의 Q를 사용한다. 전투사관학교 시너지가 켜져 있을 땐 비전 이동과 동시에 사용하는데, 이 비전 이동의 로직이 멍청하기로 유명하다. 적 암살자 앞으로 이동하거나 뭉쳐있는 아군 쪽에 이동해 자르반이나 라이즈 같은 광역 스킬에 휩쓸려 폭사하는 등 악명이 자자하다.

4.1.11. 자크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자크, champimg=zac_Empyrean.jpg
, set=15, c1=악령, c2=헤비급, c3=
, hp=650 / 1170 / 2106, mana=30 / 75, ad=60 / 90 / 135 , ar=40 / 40, as=0.55, range=1)]
파일:zac_W.png
현실의 물결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하고 반경 1칸 내 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100% ] + [ 7% ]
회복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40% / 280% / 350% ]
야, 그쯤 하라고.(구매)
호오오오오오우!(등급 상승)
어이, 그만 하시지?(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탱커.[탱커]

창공 자크 스킨으로만 벌써 4번째 등장했다.

자체 탱킹력은 허접해 보일지라도 악령에서는 크산테가 뜨기 전 유일한 앞라인 기물이며, 케일 리롤을 노린다면 같은 1코라 수월하게 3성을 찍을 수 있어 실질적인 탱킹력은 높다. 또한 자체 회복기 + 악령 시너지의 치유 능력으로 진득하게 버틸 수 있다.[85] 영웅 증강인 완전체를 얻을 경우엔, 피바-대천사-보건을 넣고 메인딜러로 사용할 수 있다.

굳이 전용 증강을 집어주지 않더라도 다른 방템에 피바라기 정도만 쥐어주면 준수한 광역딜+ 흡혈 탱커로 활용할 수 있다.

전용 영웅 증강인 '완전체'를 선택하면 주문력 전문가가 되고 스킬이 아래처럼 변경되며 마나 소모량은 60이 된다.
파일:zac_W.png
완전체
기본 지속 효과: 천천히 전장을 튕겨 다니며 착지 시 반경 1칸에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마나 재생을 10(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얻습니다.

사용 시: 다음 착지 시 대신 반경 2칸 내 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60% / 90% / 135% ] + [ 6.5% ]
강화된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130% / 195% / 295% ] + [ 12% ]

협곡의 궁극기를 변형한 스킬로, 자크는 계속 튀어 다니면서 착지할 때마다 계수가 높은 마법 피해를 입힌다. 이 경우 배치를 통해 자크가 빠르게 뒷라인으로 들어가 상대방 원거리 딜러를 빨리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다. 이 때문에 아이템으로는 스킬의 깡대미지를 높이는 보석 건틀릿 + 타격대의 철퇴, 그리고 흡혈 및 보호막을 위한 피바라기를 준다.

동그랗게 부풀어 통통 튀어오르는 점 때문에 유저들에게는 오물풍선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영웅 증강 중에서는 프리즘 증강인 주인공으로 먹었을 때 승률이 준수하고, 실버 증강으로 등장했을 때는 승률이 좋지 않은 편이다. 이는 실버 증강으로 등장해도 준수한 승률을 보장하는 타 1코스트 영웅 증강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그 이유는 주인공은 자체 기다림의 미학 효과가 있어 빠르면 5라운드 초반, 늦어도 6라운드에는 자크 4성작이 확정되어 있어 빠른 레벨 업을 통한 6악령 계열 밸류업이 쉬운 반면, 실버 증강으로 떴을 때는 1코스트 리롤덱이므로 자크3성과 케일3성을 모두 볼 가능성이 높은데 두 기물에게 모두 딜템을 챙겨주기가 쉽지 않으며, 1코스트 4성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덱 파워가 딸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4.1.12. 칼리스타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칼리스타, champimg=kalista_Soulfighter_Wild Rift.jpg
, set=15, c1=소울 파이터, c2=처형자, c3=
, hp=500 / 900 / 1620, mana=0 / 90, ad=55 / 83 / 124, ar=20 / 20, as=0.7, range=4)]
파일:kalista_Q.png
영혼의 창
가장 멀리 있는 적에게 창을 던져 처음 적중하는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적을 처치하면 창이 관통하며 남는 피해량만큼 다음으로 적중하는 적에게 피해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380% / 570% / 90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60% / 90% / 135% ]
결코 빗나가지 않는다.(구매)
우리의 창이 널 찾아내고 말 것이다.(등급 상승)
녀석들이 약해질수록, 우린 더 강해질 것이야.(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마법사.[마법사]

케일에 가려진 1코 캐리 기물로 별 등급에 따른 성장성이 뛰어나며 배치 심리전을 걸 수 있고 장애물이 없을 경우 저격능력은 케이틀린보다 더 좋다. 아이템 빌드 또한 4코 기물인 사미라와 동일하게 가도 무방하기 때문에 빌드업으로도 유용하다. 다만 보유 시너지가 소울 파이터와는 어울리지 않는 처형자 시너지고, 코스트 또한 낮기 때문에 소울 파이터 문장이 있다면 그웬을 획득 한 이후 버려지는 1순위 기물이다.

15.2 패치 이후 창으로 막타를 칠 시 나머지 피해량이 크게 증폭되어 다른 적에게 전이되는 심각한 버그가 터졌다. 라운드당 기본 몇만 단위의 대미지는 기본에 심한 경우 일곱 자리의 딜량까지 나오는 수준이었기에 빠르게 핫픽스되었다. 이제 대상을 관통할 때의 궤도가 대부분의 상황에서 일직선이 되도록 바뀐것은 덤.

4.1.13. 케넨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케넨, champimg=kennen_Supremecell.jpg
, set=15, c1=슈프림 셀, c2=마법사, c3=봉쇄자
, hp=700 / 1260 / 2268, mana=30 / 85, ad=45 / 68 / 101, ar=40 / 40 , as=0.65, range=1)]
파일:kennen_E.png
태풍의 눈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합니다. 이후 가장 가까운 적 2명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며 1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체력 회복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180% / 210% / 240% ] + 5%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00% / 150% / 225% ]
하이야!(구매)
흐아아아아아!(등급 상승)
그들의 마지막 순간이 임박했어.(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탱커.[탱커]

보유한 시너지가 준수하기 때문에 보통 초반 빌드업으로 많이 이용한다. 특히 탱커와 CC기가 귀한 6마법사덱에서는 취향에 따라 최후 스쿼드에도 아리 대신 기용 될 정도. 6봉쇄+@ 덱에서는 말파이트 보다는 우선순위가 떨어지지만 그래도 여건이 된다면 3성을 맞춰주는 정도.

전용 파워 업 슈프림 쇄도는 아군이 적을 처치할 때마다 체력과 마나가 회복된다. 람머스와 함께 스턴기가 있는 탱커가 가진 강한불꽃 파워 + 유물 아이템 지평선의 초점과 궁합이 좋은 탱커이기도 하다.

전용 증강인 9,000볼트를 선택하면 주문력 원거리 딜러로 변하고 마나 소모량이 80이 되며 스킬은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파일:kennen_E.png
9,000볼트
기본 지속 효과: 기본 공격 시 추가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사용 시: 대상 및 가장 가까운 적에게 꿰뚫는 표창 2개를 던져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은 적중한 적 하나당 35% 감소합니다. 처음 적중한 적은 1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기본 지속 효과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30% / 45% / 7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60% / 240% / 360% ]

4.1.14. 케일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
, champname=케일, champimg=kayle_Empyrean.jpg
, set=15, c1=악령, c2=결투가, c3=
, hp=500 / 900 / 1620, mana= - , ad=30 / 45 / 68, ar=25 / 25, as=0.7, range=4)]
파일:kayle_P.png
악마를 해방하라
기본 지속 효과: 기본 공격 시 추가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전략가의 레벨에 따라 추가 능력을 얻습니다.
레벨 6: 매 3회 공격 시 파동을 일으켜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고 3초간 파쇄를 20% 적용합니다.
레벨 9: 기본 공격 시 항상 파동이 발사되며 더 멀리 날아갑니다.

파쇄: 마법 저항력 감소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33% / 50% / 75% ]
파동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50% / 75% / 110% ]
불로 심판해 주마!(구매)
자비 따윈 없다!(등급 상승)
(웃음)(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전문가.[전문가]

전통의 1코 왕귀 기물로 세트 9.5와 동일한 스킬로 나왔지만 악령이라는 새로운 시너지를 들고 나왔다. 6악령으로 굴리거나, 아트록스+자크+나피리와 같이 3성작을 보는 전쟁기계 기반 리롤 덱에서 잘 집히면 무난하게 캐리가 가능한 기물.

스킬이 다른 챔피언들과 달리 마나를 소모하여 발동하는 액티브 스킬이 아니라 패시브 스킬이며 전략가 레벨에 따라 평타 성능이 강화되는 특이한 구조를 가졌다. 따라서 극한의 평타 특화 챔피언이며 마나 관련 능력치가 아예 없다. 전략가 레벨 6레벨과 9레벨에서 외형이 달라지면서 기본 평타가 단계적으로 강화되는데 6레벨부터 평타 3타 마다 모든 기물을 관통하는 파동을 일직선으로 날리는 능력이 추가되며 스치는 모든 적 챔피언들에게 추가 마법 피해와 마저깎을 먹인다.[89] 9레벨에서는 이 파동이 매 타격마다 날아가며 날아가는 사거리가 훨씬 길어져서 거의 전장 전체 범위로 날아간다. 전용 파워 업인 '궁극의 초월' 파워 업이 적용된 경우 7레벨과 10레벨에서도 추가 효과를 얻는데, 7레벨에서는 3타 마다 주문력과 공격력이 끝없이 늘어나서 스노우볼을 굴리기 좋고 10레벨에서는 아예 파동이 3갈래로 날아가 전장을 거의 뒤덮을 정도로 타격범위가 엄청나게 늘어나서 탱커만 때리고 있어도 뒷라인을 동시에 녹여버리는지라 3성까지 찍을 경우 1코 주제에 5코 2성도 압살하는 정말 말도 안되는 캐리력을 보여줄 수 있게 된다.[90]

평타 특화 챔피언인데다 6레벨 이후 스킬이 기본 공격의 타수에 따라 발동하는 방식이라 공격 속도가 빨라질수록 스킬 회전률도 같이 올라가므로 공격 속도 능력치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공격속도 끝판왕 아이템인 '구인수의 격노검'이 최우선 코어템으로 꼽히며 이외 아이템들도 전반적으로 공격속도 위주로 챙겨주는 것이 효율이 좋다. 즉, 케일을 쓸거면 조합 아이템 중 '곡궁'을 최대한 많이 확보해주는 것이 좋다. 다만, 최근 구인수가 리워크됐기 때문에 구인수는 하나 정도만 들고, 보석 건틀릿 + 타격대의 철퇴가 코어로 꼽힌다.

15.2 패치에서 저코 삼대장인 케일, 카타리나, 갱플랭크의 스킬이 모두 너프당했다. 케일은 온힛 피해는 그대로지만 파동 피해의 계수가 줄어들어서, 딜 관련 증강을 반드시 한두개정도는 집어줘야 안정적인 캐리가 된다.

코어 열매는 어차피 왕귀를 바라보고 쓰는 기물인만큼 9000초과 또는 그림자 분신, 영웅의 이야기가 추천된다. 혹은 증강체 효과 등으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진다면 전용 파워인 궁극의 초월도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빌드업을 강력하게 가져가고 싶다면 이중 타격도 상당히 좋다.

4.2. 2단계

4.2.1. 갱플랭크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갱플랭크, champimg=2020_FPX.jpg
, set=15, c1=거대 메크, c2=결투가, c3=
, hp=750 / 1350 / 2430, mana=0 / 50, ad=50 / 75 / 113, ar= 55 / 55, as=0.8, range=1)]
파일:gangplank_Q.png
특대형 황금 총
2칸(사거리) 내 가장 체력이 낮은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대상이 사망하면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30)%의 확률로 1골드를 획득합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305% / 460% / 815% ]
내 심장은 강철로 만들어졌다.(구매)
쏟아부어라!(등급 상승)
가소로운 것들.(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전사.[전사]

15시즌 초반부를 지배하던 OP기물로 라칸, 카타리나와 함께 저코 3대장으로 불렸다. 스킬 피해량 자체도 준수하고 처치 시 확률로 골드를 주는 징수의 총/미다스의 손 효과까지 자체 탑재하고 있는데 여기에 더해 막타를 치기 쉽게끔 사거리 내 체력이 낮은 적을 조준하는 효과까지 있다. 여기에 스킬 사거리가 평타 사거리에 비례해서 사거리를 늘려주는 '탄성 팔' 파워업을 먹으면 전열 몇마리 잡더니 냅다 맨 끝의 딜러에게 총을 쏴서 한방에 처치해버리는 엽기적인 모습까지 보여준다. 2코스트라 초반부터 가져가기도 쉽고, 파워업빨도 잘 받으면서 빌드업용 파워업을 쓴다고 밸류가 떨어지지도 않고, 처치 시 골드 획득으로 스노우볼까지 굴릴 수 있는데 탄성 손으로 고점까지 높다보니 엄청난 픽률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15.2패치에서 3성 기준 스킬 피해량이 10%이상 감소하고 스킬 사거리가 더이상 증가하지 않게 바뀌었으며, 같이 쓰던 메인탱커 2코 기물인 코부코도 덩달아 너프를 먹어 파워가 떨어졌다. 해당 패치 직전에 진행된 EWC 롤체에서는 마지막 불꽃을 태우기라도 하듯 한판에 갱플덱이 겹친 2명이 서로서로 1,2등을 한다던가, 한 판에 갱플덱 3명이 겹쳤는데 3명이 전부 순방을 한다던가 하는 상황이 나오기도 했다.

큰 너프에도 불구하고 빌드업에서 돈을 수급할 수 있는 데다가 후반까지 캐리가 가능하단 점에서 여전히 강력함을 보여주었고, 결국 15.2b 핫픽스로 스펙이 칼질당하는 너프를 다시 당했다. 이 때문에 메인 캐리로 쓰는 덱은 사장되었지만, 골드를 수급할 수 있고 초반에 자리 하나를 더 쓸 수 있는 거대 메크 시너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 덕에 빌드업 수요는 높은 편이다.

4.2.2. 라칸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라칸, champimg=2025_Battleacademia.jpg
, set=15, c1=전투사관학교, c2=봉쇄자, c3=
, hp=800 / 1440 / 2592, mana=15 / 65, ad=50 / 75 / 113 , ar=50 / 50, as=0.6, range=1)]
파일:rakan_Q.png
다들 날 바라봐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하고 가장 가까운 적 3명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잠재력: 체력 비율이 가장 낮은 아군 2명의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합니다.
체력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350% / 400% / 625%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80% / 120% / 180% ]
아군 체력 회복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잠재력당 [ 55% / 65% / 85% ]
파티에 싸움이 빠지면 쓰나!(구매)
뭐? 할 말 있어?(등급 상승)
하! 난 못 건드려!(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탱커.[탱커]

시즌 초반 사기였던 카타리나 덱의 메인탱커로, 카타리나의 성능도 강력했지만 전투사관학교 시너지가 활성화됐을때 라칸의 아군 회복량이 굉장히 사기라 엄청난 유지력을 자랑했다. 이후 카타리나의 너프와 함께 라칸의 마나 소모량도 증가하는 너프를 먹었지만 여전히 좋은 성능으로 보유 시너지인 전투사관학교나 봉쇄자 관련 덱을 짤때 항상 들어가는 기물이다.

이후 자야와의 전용 열매 효과인 "팬서비스" 효과를 이용한 리롤덱으로 메타에 올랐다. 대천사, 가고일, 거결 삼신기를 갖추는데 성공하면 정신나간 유지력을 보여준다. 현재는 너프로 위상이 많이 내려갔다. 카타리나 덱에서의 주력 열매는 '저지 불가'로, 카타리나를 1열 구석 방향에 혼자 두고 라칸을 포함한 나머지 기물들을 후방에 배치하여 라칸과 카타리나가 적 메인 딜러 방향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4.2.3. 럭스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럭스, champimg=lux_Soulfighter.jpg
, set=15, c1=소울 파이터, c2=마법사, c3=
, hp=550 / 990 / 1782 , mana=20 / 60, ad=35 / 53 / 79, ar=20 / 20, as=0.75, range=4)]
파일:lux_E.png
영혼불꽃 폭발
대상이 포함된 가장 큰 적 무리를 향해 에너지 구슬을 날립니다. 목표 지점에 도착하면 반경 1칸 내 적에게 5초 동안 파쇄를 20% 적용합니다. 또한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나누어 입히고 추가로 각각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나누어 입히는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300% / 450% / 700% ]
개별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90% / 135% / 210% ]
우린 할 수 있어요.(구매)
제가 끝장내드리죠.(등급 상승)
사과드리면 기분이 좀 풀리실까요...?(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마법사.[마법사]

원본의 E를 사용하며 추가적으로 파쇄효과를 건다. 완전히 동일한 시너지를 가진 그웬이나 같은 마법사인 카르마 빌드업[94]으로 쓰다가 탬을 옮겨주는 경우가 대다수. 빈도는 낮지만 같은 2코인 신짜오와 같이 3성을 보는 짜오 럭스덱이 존재한다.

4.2.4. 문도 박사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문도 박사, champimg=2016_El.jpg
, set=15, c1=프로레슬러, c2=전쟁기계, c3=
, hp=800 / 1440 / 2592, mana=30 / 90, ad=50 / 75 / 113, ar=40 / 40, as=0.6, range=1)]
파일:drMundo_R.jpg
철제 의자 일격
기본 지속 효과: 7초마다 다음 공격이 추가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사용 시: 1.5초에 걸쳐 최대 체력(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을 얻고 즉시 기본 지속 효과를 발동합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50% / 75% / 125% ] + 8%
체력 회복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40% / 280% / 350% ]
문도는 고통 못 느낀다.(구매)
하나도 안 아플 거다!(등급 상승)
어떤가, 환자. 아직도 감각 있나? 문도는 없다.(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탱커.[탱커]

이번 시즌에서 가장 탱킹력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 전쟁기계와 어그로 핑퐁과 체력회복이 달려있는 프로레슬러 시너지, 적절한 스킬셋으로 2코 같지 않은 뛰어난 탱킹력을 가진 기물. 다만 많은 덱에서 메인탱커로 쓰이고 시너지용으로 집어가는 덱들도 있어서 3성 찍기가 2코중에서는 어려운 편에 속한다.

전용 영웅 증강인 '의자를 집어던지세요!'를 선택할 시 역할군이 공격력 원거리 딜러로 변하고 마나 소모량이 40이 되며 스킬은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파일:drMundo_R.jpg
의자를 집어던지세요!
기본 지속 효과: 기본 공격 시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를 입히지만 체력을 소모합니다.

사용 시: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히고 대상 뒤에 있는 가장 가까운 적을 중심으로 반경 1칸 내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체력 소모량:
[ 30 / 45 / 60 ]
기본 지속 효과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50% / 50% / 50% ] + 7%
스킬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120% / 180% / 280% ] + 25%
광역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스킬 피해량의 25%
시즌 시작부터 좋지 않은 성능으로 한 번도 빛을 보지 못했다가 15.4패치로 사거리가 4로 늘어나고 마나 소모량이 50에서 40으로 버프받자 좋은 영웅 증강으로 취급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지나치게 강력했는지 15.5패치로 딜량이 너프당했다.

4.2.5. 바이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바이, champimg=vi_crystalrose.jpg
, set=15, c1=수정 갬빗, c2=전쟁기계, c3=
, hp=800 / 1440 / 2592, mana=20 / 75, ad=50 / 75 / 113, ar=45 / 45 , as=0.6, range=1)]
파일:vi_P.png
빛나는 너클 폭발
기본 지속 효과: 아군이 장착한 조합 아이템 하나당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을 2 얻습니다.

사용 시: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하고 대상을 중심으로 반경 1칸에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또한 적중한 적에게 4초 동안 파열을 20% 적용합니다.

파열: 방어력 감소.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50% / 225% / 350% ]
회복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30% / 280% / 330% ]
에잇, 빵야!(구매)
펀치 맛 좀 봐라!(등급 상승)
(웃음)(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탱커.[탱커]

지난 시즌처럼 또 연패 시너지의 저코스트 탱커 역할을 맡았다. 수정 갬빗 활성화용 또는 전쟁기계 빌드업 용도로 쓰다가 버려지는 취급이지만 문도 박사 영웅 증강 덱에서는 메인 탱커로 사용되기도 한다.

영웅 증강을 먹으면 공격력 전사가 되고 스킬이 아래처럼 변경되며 마나 소모량은 30이 된다.
파일:vi_P.png
금속 너클
기본 지속 효과: 아군이 장착한 조합 아이템 하나당 공격력을 2% 얻습니다.

사용 시: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고 대상 뒤 원뿔 범위 2칸에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적 처치 시 35% 확률로 전리품을 획득합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75% / 420% / 650% ] + [ 30% / 45% / 70% ]
2차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60% / 90% / 120% ]

2코스트 이상의 기물을 대상으로 한 골드급 영웅 증강 중에서는 평가가 좋은 편이다.

4.2.6.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쉔, champimg=shen_Psyops.jpg
, set=15, c1=크루, c2=요새, c3=이단아
, hp=800 / 1440 / 2592, mana=25 / 75, ad=60 / 90 / 135 , ar=45 / 45, as=0.6, range=1)]
파일:shen_W.png
파워 슈트: 최대 충전
4초 동안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을 얻습니다. 다음 기본 공격 3회 동안 추가 고정 피해(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400% / 475% / 575% ]
피해량(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 75% / 115% / 175% ]
목표 확인!(구매)
그래야지.(등급 상승)
.(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탱커.[탱커]

3시너지 기물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3시너지인 케넨이나 우디르 같은 기물에 비해 성능이 좋지 않은데, 퓨어 탱커 역할군과 주문력 계수인 보호막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이단아 시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2코스트 기물 중에서는 평가가 제일 좋지 않지만, 순혈 크루덱에서는 눈물을 머금고 3성을 찍을 수 밖에 없는 기물이고, 그마저도 저격수 크루등 다른 변종 크루덱에서는 철저하게 버려진다.

전용 영웅 증강 '황혼 강습'을 선택할 시 주문력 원거리 딜러가 되고 마나 소모량이 50이 되며 스킬은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파일:shen_W.png
황혼 강습
다음 기본 공격 3회 동안 추가 고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를 입히고 입힌 피해량의 10%만큼 체력을 회복합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70% / 105% / 17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 75% / 115% / 175% ]

4.2.7. 신 짜오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신 짜오, champimg=xinZhao_Soulfighter_Wild Rift.jpg
, set=15, c1=소울 파이터, c2=요새, c3=
, hp=800 / 1440 / 2592, mana=10 / 65, ad=50 / 75 / 113, ar=45 / 45, as=0.65, range=1)]
파일:xinZhao_R.png
수호하는 초승달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하고 반경 2칸 내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또한 현재 대상에게 표식을 남깁니다. 3초 동안 표식이 없는 적으로부터 받는 피해가 40% 감소합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00% / 150% / 235% ]
회복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90% / 360% / 450% ]
망설임은 금물!(구매)
승리를 위해!(등급 상승)
칭찬 따윈 없다!(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탱커.[탱커]

탱킹 능력은 준수하나 같은 라인 2코 탱커인 코부코, 문도, 라칸 등이 성능이 좋은 덱에서 메인 탱커로 사용되는 반면 순방용 덱 느낌인 요새 자야 덱을 제외하면 메인 탱커로 사용할 일이 거의 없어 상대적으로 인식이 밀리는 비운의 기물.

4.2.8. 자야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자야, champimg=2019_Star Guardian.jpg
, set=15, c1=별 수호자, c2=이단아, c3=
, hp=550 / 990 / 1782, mana=20 / 70 , ad=45 / 68 / 101, ar= 25 / 25 , as=0.75, range=4)]
파일:xayah_E.png
빛나는 날카로운 깃털
3회의 기본 공격 동안 공격 속도를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80)% 얻습니다. 이 기본 공격은 대상 및 주변 적 2명에게 추가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50% / 75% / 115% ]
얼굴 좀 펴. 바보 같긴.(구매)
사랑과 빛으로!(등급 상승)
별 수호자의 계획은 엇나가는 법이 없지.(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원거리 딜러.

보통 별 수호자 덱에서 징크스 빌드업용으로 쓰이다 템을 옮겨주게 된다. 드물게 자야라칸 전용 파워업인 팬서비스를 선택하고 메인캐리롤을 맡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팬서비스가 가중치가 적용되는 열매임에도 불구하고 더럽게 안뜬다는 성토가 많다. 15.3패치로 자야와 라칸 중 하나에 팬서비스가 들어가 있을 경우 다른 하나에 파워업 열매를 주면 무조건 팬서비스가 등장하도록 패치되었지만, 여전히 첫 팬서비스 파워업 자체는 운으로 뽑아야 한다.

이후 15.3 패치에서 자야가 상향 된 이후 아이템 트리가 정립되자 팬서비스 덱이 압도적 1티어를 기록하게 되었다. 자야 라칸의 3템과 3성작이 완료되면 같은 리롤덱은 물론이고 9렙 5코 2성으로 도배한 밸류덱도 때려잡는 파워를 보여주자 결국 15.4b에서 팬서비스 너프, 라칸의 팔 다리를 잘라버리는 너프로 그저그런 덱으로 몰락하였다.

4.2.9. 잔나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잔나, champimg=janna_Crystalrose.jpg
, set=15, c1=수정 갬빗, c2=봉쇄자, c3=책략가
, hp=600 / 1080 / 1944 , mana=10 / 60, ad=35 / 53 / 79, ar=25 / 25, as=0.7, range=4)]
파일:janna_E.png
수정 번데기
체력이 낮은 아군 2명에게 4초 동안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을 부여합니다. 그런 다음 가까이 있는 적 2명에게 나비 4마리를 날려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나누어 입힙니다.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80% / 100% / 135% ]
나비당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30% / 195% / 310% ]
평안을 위해.(구매)
호호호호호~(등급 상승)
.(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마법사.[마법사]

탱킹 시너지인 봉쇄자 중에서 유일한 원거리 기물이다. 이전 시즌과는 다르게 봉쇄자들 중에서 자기 스킬로 실드를 거는 탱커가 없으므로 유일하게 능동적으로 보호막을 걸어주고, 다른 보유 시너지인 책략가로 앞라인 봉쇄자 기물 전체에 보호막을 씌워 줄 수 있는 봉쇄자 덱에서 절대로 빠질 수 없는 고효율 기물이다.

평소엔 그냥 시너지 셔틀이지만 파워업 배테랑을 주고 템을 갖추면 이게 그 잔나가 맞나 싶을정도로 정신나간 성능을 보여준다.

4.2.10.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진, champimg=jhin_Empyrean.jpg
, set=15, c1=악령, c2=저격수, c3=
, hp=550 / 990 / 1782, mana=0 / 4, ad=64 / 96 / 144, ar=25 / 25, as=0.75, range=5)]
파일:jhin_P.png
막이 내리고
기본 지속 효과: 공격 속도는 항상 0.75입니다. 추가 공격 속도 1%당 0.8%의 공격력으로 전환되고, 매 4번째 공격은 강화되어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90% / 285% / 440% ] + [ 30% / 45% / 70% ]
공격 속도:
[ 0.75 / 0.75 / 0.85 ]
아, 정말 짜릿한 고통이군.(구매)
관객들이 기다린다.(등급 상승)
이번엔 내가 제대로 보여줬군.(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전문가.[전문가]

추가 공격 속도가 공격력으로 전환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구인수 등의 아이템과 전용 파워 업 '예술적인 KO'를 주고 메인 캐리 기물로 사용하기도 했지만 4타 대상이 4타를 맞기 전에 죽으면 4타와 예술적인 KO 효과가 모두 증발하는 심각한 버그 때문에 오히려 공격 전문가 같은 일반 증강이 더욱 좋다는 오류가 있었다. 이후 라이엇에서도 인지하고 4타 대상이 맞기 전에 죽을 경우 다음 타겟으로 정상적으로 유도되도록 패치했다.

구인수의 스택이 곧 공격력이기 때문에 매 초마다 오르는 공격력을 기반으로 4타를 맞힌다면 체력이 절반 이하로 떨어진 탱커나 브루저, 원딜 정도는 한방에 시원하게 보내버릴 수 있다.

하지만 구인수가 없다면 성능이 절반 이상으로 떨어질 정도로 구인수의 의존도가 높고, 설령 구인수를 준다고 해도 단일 타겟만 노리는 진의 특성상 여러 적을 공격할 수 있게 해주는 예술적인 KO을 필수로 뽑아야 제 성능이 나온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조건이 밎아야 하는 캐리 기물이다.

15.3 패치 이후로 말파이트를 탱커로 채용하는 조합의 메인 딜러로 급부상하였다. 이 조합에서는 되려 구인수가 선호되지 않고 예전 평타 딜러 시절처럼 무한의 대검, 최후의 속삭임, 죽음의 검, 거인 학살자 등을 준다. [101]

4.2.11. 카이사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카이사, champimg=kaisa_Inkshadow.jpg
, set=15, c1=슈프림 셀, c2=결투가, c3=
, hp=550 / 990 / 1782 , mana=0 / 50 , ad=45 / 68 / 101 , ar=25 / 25, as=0.7, range=4)]
파일:kaisa_Q1.jpg
미사일 대학살
기본 지속 효과: 처치 시 영구적으로 공격력을 1% 얻습니다.

사용 시: 대상 및 주변 적에게 미사일 8개를 나누어 발사합니다. 각 미사일은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34% / 51% / 8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6% / 8% / 14% ]
날 시험하려 들지 마.(구매)
거기! 어서 덤비라고.(등급 상승)
내가 이 정도라니깐.(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원거리 딜러.[원거리딜러]

13시즌의 트리스타나, 14시즌의 샤코와 비슷하게 처치 시 공격력을 얻는 성장형 AD 기물. 초창기에는 굉장히 좋지 않은 성능으로 아무도 픽을 하지 않는 수준의 비인기 기물이었으나, 15.2 패치로 공격력 계수가 버프를 받으며 쓸만한 기물로 떠올랐다. 스킬딜이 분산되는 특성 상, 시너지 없이 캐리력이 아주 좋지는 않으므로 슈프림 셀을 반드시 같이 넣어줘야 한다.

주로 앞라인으로 전쟁기계를 세우고 문도와 같이 3성작을 하는 경우가 많다. 단, 성장형 기물이니만큼 2-1 이전에 집고 한땀한땀 키워야 하는 것이 중요해, 2라운드 이내에 카이사를 필드에 올려놓은 경우가 아니면 잘 가지는 않는 편이다. 헤비급이 상향된 후에는 다리우스를 끼고 헤비급으로 앞라인을 세워도 무방하다.

다만, 13시즌의 트리스타나와 달리 크립 라운드에서 처치한 것은 스택에 포함되지 않는다.

4.2.12. 카타리나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카타리나, champimg=katarina_Battleacademia.jpg
, set=15, c1=전투사관학교, c2=처형자, c3=
, hp=800 / 1440 / 2592, mana=0 / 30 , ad=35 / 53 / 79, ar=55 / 55, as=0.75, range=1)]
파일:katarina_E.png
그것은 제 잔상입니다만
2칸 내 가장 체력이 낮은 적에게 순간적으로 이동해 반경 1칸 내 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잠재력: 다시 순간적으로 이동해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40% / 210% / 325% ]
추가 순간적 이동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잠재력당 피해량의 12%
상대가 안 되네.(구매)
(웃음)(등급 상승)
너무 쉬워.(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전사.[전사][104]

15시즌 초반을 주름잡던 저코 3대장[105]의 일원이었다. 그중에서도 카타리나는 상대하는 입장에서 꽤나 불쾌했는데, 스킬이 순간이동으로 뒷라인까지 순식간에 파고드는데다 낮은 체력을 우선으로 타겟팅하기에 카타리나가 스킬을 쓰다가 살짝이라도 뒷라인 딜러가 스치면 바로 다음 타겟이 되어 그대로 후방부터 찢겨나가기 때문. 심지어 반대배치를 해도 어느센가 뒷라인에 들어와 딜러를 먼저 죽여버리는 일이 빈번해서 탱커를 장식으로 만드는지라 상대하는 입장에서 매우 대처가 까다로웠다. 심지어 당시 카라리나 조합에서 함께 쓰이는 라칸의 성능도 매우 좋았기 때문에 갱플랭크 까지는 아니어도 이게 말이 되냐며 제발 너프좀 하라는 의견이 태반이었다. 결국 15.2 패치로 라칸과 사이좋게 너프를 당했다. 하지만 너프를 당했음에도 3신기만 제대로 갖춰지면 전장을 종횡무진하며 까딱하면 뒷라인부터 썰어버리는건 여전해서 시즌 초반의 위상까지는 아니더라도 여전히 카타리나를 주력 캐리 기물로 운용하는 덱이 상위권 티어덱으로 인기를 끌고있다.

후방으로 파고들어 혼자서 싸우는 특성 상 어느 정도의 유지력과 스킬 회전률이 중요한지라 이들을 모두 챙길 수 있는 내셔의 이빨, 밤의 끝자락, 정의의 손길이 3신기 코어템으로 취급된다. 특히 그중에서도 스킬 회전률이 가장 중요하기에 찬란한 아이템을 만들 수 있다면 찬란한 내셔의 이빨을 주는 것이 가장 효율이 좋다.

'아직 안 끝났어', '과다출혈', '어둠의 목걸이' 등을 주력 열매로 사용한다. 초반부터 스택을 많이 쌓을 수 있다면 '극대화 아르카나'도 좋고 마나 재생 능력치가 많이 붙는다면 '9000 초과'도 좋다.

파일:i013319227873.gif
스킬명 '그것은 제 잔상입니다만'은 블리치 잔상권의 패러디. 영문명 또한 teleports behind you로 블리치 밈으로 유명하다.

4.2.13. 코부코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2
, champname=코부코, champimg=Kobuko_Classic.jpg
, set=15, c1=멘토, c2=헤비급, c3=
, hp=800 / 1440 / 2592 , mana=20 / 70, ad=50 / 75 / 113, ar=40 / 40, as=0.65, range=1)]
파일:Kobuko_skill.png
황금 발바닥 만트라[106]
3초 동안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을 얻습니다. 다음 기본 공격 시 추가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히고 대상을 1.7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4 멘토 추가 효과: 인접한 모든 적을 기절시키고, 대상 주변 반경 1칸 내 적에게도 2차 피해에 해당하는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또한 4칸 내 가장 멀리 있는 적을 향해 충격파를 날려 적중한 모든 적에게 2차 피해에 해당하는 물리 피해를 입히고 잠시 기절시킵니다. 피해량은 적중한 적 하나 당 20% 감소합니다.
내려찍기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100% / 150% / 230% ] + 25%
2차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90% / 135% / 210% ] + 10%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325% / 375% / 450% ]
각오하게나!(구매)
오호호호호!(등급 상승)
좋은 승부였네~(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탱커.[탱커]

단독으로 쓰더라도 멘토 효과로 성능이 보증 된 탱커라 많은 유저들이 빌드업시 채용한다. 4멘토를 활성화 시켜 스킬을 강화시키면, 2코스트 기물임에도 엄청 단단하고 스킬 사용시 주위에 있은 상대 탱커와 멀리 있는 원거리 기물도 cc로 휩쓰는 미쳐버린 기물이 된다.

15.4패치에서 이자로 획득한 골드당 공격력을 얻는 파워업이 새로 생겼다. 코부코를 메인캐리로 쓰라고 내놓은거지만 공격력 증가량이 그렇게 크지 않고 방템을 안주다보니 빨리 죽어서 다리우스에게 퓨전 춤을 주고 먹이는 영양간식쯤으로 평가된다.

시즌 중반에는 말자하의 미친 성능에 힘입어 체력을 극한까지 올리고 파워업 핵폭탄급을 줘서 말자하의 마깎과 함께 맵 전체를 터트리는 일명 ‘치즈카츠’ 덱이 유행하기도 했다. 연구가 덜된 초반엔 그저 예능용 취급을 받았으나 쓰면 쓸수록 정신나간 성능을 보이며 op덱으로 등극했다.

여담으로 처음 등장한 시즌 11 때부터 그래왔지만 이름 때문에 야코 드립에 묶여 야부야로 개명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4.3. 3단계

4.3.1. 니코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니코, champimg=neeko_Starguardian.jpg
, set=15, c1=별 수호자, c2=봉쇄자, c3=
, hp=850 / 1530 / 2754 , mana=20 / 80 , ad=45 / 68 / 101, ar=50 / 50 , as=0.6, range=1)]
파일:neeko_R.png
낙화 분출
내구력을 35% 획득하고, 2초에 걸쳐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합니다. 이후 반경 2칸 내 적들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회복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300% / 350% / 45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20% / 180% / 290% ]
전투 시작! 우후!(구매)
화려한 색깔을 조심하라고!(등급 상승)
이제 와서 말로 하자고?(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탱커.[탱커]

별 수호자 효과도 그렇고 전체적으로 뽀삐를 보조해 주는 세미탱커의 느낌이 강하다. 보통은 뽀삐 주고 남은 탱템이나 도장 짬처리용으로 활약하며, 봉쇄자 덱에서도 마찬가지로 라칸이나 크산테 보조용으로 활약한다. 다만 스킬 자체에 자힐+내구력이 붙는다는 점을 활용해 빠르게 가고일+정령+워모그를 입혀주고 2성 정도만 만들 수 있다면 방마저+높은 내구력+자힐의 시너지로 인해 4라운드까지는 어지간해선 안 뚫리는 든든한 탱커가 된다.

영웅 증강을 먹으면 주문력 전사로 변경되고 스킬이 아래처럼 변경되며 마나 소모량은 10/50이 된다.
파일:neeko_R.png
유성
공중으로 도약해 내구력을 45% 얻고 1.75초에 걸쳐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합니다. 이후 땅을 내려찍어 2칸 내 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스킬을 사용할 때마다 반경이 1칸씩 늘어납니다.
회복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50% / 350% / 45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50% / 375% / 600% ]

잡기술로 대기석에서 니코에게 열매를 먹이면 주문력 탱커 취급을 받아 저지불가 파워업이 선택지에 뜨게 된다. 이를 이용해 영웅 증강 니코가 전투 시작시 상대방 탱커를 뚫고 적 딜러진에게 돌진해 스킬 2~3번으로 후열을 쓸어버리는 전법을 사용 할 수 있다.

4.3.2. 다리우스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다리우스, champimg=darius_Supremecell.jpg
, set=15, c1=슈프림 셀, c2=헤비급, c3=
, hp=850 / 1530 / 2754, mana=0 / 30 , ad=50 / 75 / 113, ar=60 / 60 , as=0.85, range=1)]
파일:darius_Q.png
장대한 단두대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하고 현재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탱커를 상대로 피해량이 60% 증가합니다. 대상이 사망하면, 즉시 스킬을 재사용하여 75%에 해당하는 피해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215% / 325% / 520% ]
회복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90% / 130% / 170% ]
힘보다 중요한 게 어딨나!(구매)
흐아아아아!(등급 상승)
비겁한 자에게 관용은 없다.(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전사.[전사]

슈프림 셀 조합의 브루저 기물. 세트 3부터 가졌던 협곡의 궁극기를 사용한다. 다만 자체 성능이 좋은데다 영구 성장형이기 때문에 아이템 투자의 가치가 있는 카이사나, 뒷 라인으로 들어가는 메카니즘을 가져 조커픽으로 아이템을 받는 아칼리에 비해서 성능이 애매한 탓에 평상시에 투자를 잘 받는 편은 아니다. 같은 스킬이었던 세트 3, 세트 9에 비해 계수가 낮은 탓에 탱커 상대로 피해량 증폭 옵션이 있음에도 탱커에게 약한 모습을 보인다.

다만 유물의 밸류는 매우 잘 받는 편으로, 뒷라인부터 들어갈 수 있는 망령 해적검이나 멀리 있는 적으로 돌진하는 자객의 발톱 등이 있을 경우 유의미한 캐리력을 보인다.

4.3.3. 룰루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룰루, champimg=2022_Monstertamer.jpg
, set=15, c1=괴물 조련사, c2=, c3=
, hp= / / , mana= 0 / 100 , ad= / / , ar= / , as=, range=)]
맛 좀 봐라!(구매)[110]
도망가! / 슝!(괴물 선택)
.(등급 상승)
어휴, 이슬! 참견하긴.(전투 종료)[111]
괴물 조련사 효과로 배치할 때 3종의 괴물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대신 배치하는 것이기에 룰루 자체의 스펙은 마나만 표기되어 있다. 룰룰 처음 배치하기 전 까지는 상점과 대기석에서는 룰루로 표시되지만, 한 번 배치하여 괴물을 선택한 이후에 룰루는 전략가 대기석으로 빠지면서 기물 대기석과 상점에서 룰루가 해당 괴물 기물로 변경된다. 괴물을 대기석으로 뺐다가 다시 배치할 때 마다 3종의 괴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으며 이 때 대기석과 상점의 괴물이 모두 해당 기물로 변경된다.

출시 초창기에는 소환하는 괴물이 별도의 레벨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아래 3종의 기물들을 모두 빠르게 30레벨작을 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주로 2라운드 이내에 룰루를 획득했을 시에만 가는 경우가 많았으나. 15.5패치 이후로 괴물 레벨업 시스템이 사라지면서 다른 기물들과 동일하게 별 레벨 시스템으로 바뀐 관계로 옛말이 되었다.

공동 선택 라운드에서 선택할 수 없는 기물이다. 따라서 룰루의 괴물을 메인 캐리 기물로 쓰는 덱일 경우 공동 선택에서 아이템 위주로 고르거나 무조건 리롤을 쳐야 한다. 시즌 초기 당시에는 공동 선택 라운드에서 등장하였지만 가운데를 탈출하는 등의 버그가 있어 비활성화된 것이다.

원본 스킨 자체가 포켓몬스터의 패러디이기에 낮은 확률로 룰루가 선택한 기물이 색이 바뀌고 반짝이는 이펙트가 뜨는 이로치 이스터에그가 존재한다.
=====# 람머스 #=====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람머스, champimg=rammus_Duriandefender.jpg
, set=15, c1=괴물 조련사, c2=, c3=
, hp=900 / 1620 / 2916, mana=40 / 110, ad=50 / 75 / 113, ar=60 / 60, as=0.65, range=1)]
파일:rammus_W.png
두리안 방어
기본 지속 효과: 괴물 트레이너 레벨당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을 1 얻습니다.

사용 시: 4초 동안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을 얻습니다. 2칸 내 가장 큰 적 무리로 도약하여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를 입히고 적을 도발합니다. 도발한 적 하나당 최대 체력을 얻습니다. 보호막이 파괴되면, 가장 가까운 적 3명에게 동일한 피해를 입히고 1/1.25/1.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550% / 675% / 80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 40% / 60% / 100% ] + [ 40% / 60% / 100% ]
도발한 적 하나당 체력:
[ 15 / 25 / 35 ]
그래.(선택 시 / 구매)
알았다.(등급 상승)
음.(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탱커.[탱커]

광역CC기가 귀한 시즌이라 일찍만 나오면 어찌저찌 키워볼 수 있는 기물. 단 마나통이 너무 큰 관계로 마나 템을 몰아주거나 주변에 봉쇄자를 배치해서 보호막이라도 줘야지 제 값을 한다. 얼핏 성장성이 뛰어나 보일 수 있으나, 초반부터 매우 허약한 주제에 일찍부터 필드에 나와 있어야 하고 아이템도 몰아 받아야 하며 시너지 한 칸까지 잡아먹어서 뒷라인에서 안정적으로 디버프를 거는 스몰더, 코그모와는 달리 어깨가 매우 무겁다.

그래도 15.2 패치로 보호막량이 버프되고 나서는 3코스트 리롤덱에서 탱커로 채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30레벨 이후로 60이 넘는 공짜 방마저와 끊임 없이 파고들어 적을 도발하고 상대방 딜러에게 스턴을 걸어 상대를 매우 짜증나게 만들 수 있다.
=====# 스몰더 #=====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스몰더, champimg=smolder_Classic.jpg
, set=15, c1=괴물 조련사, c2=, c3=
, hp=650 / 1170 / 2106 , mana=0 / 60, ad=50 / 75 / 113, ar= 30 / 30 , as=0.75, range=4)]
파일:smolder_W.png
불꽃 폭발
기본 지속 효과: 피해를 입히면 5초 동안 불태우기 및 상처를 적용합니다. 대상의 방어력을 30%만큼 무시합니다.

사용 시: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가장 가까운 대상 3명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스킬을 2회 사용할 때마다 다음 가장 가까운 적에게 두 번째 불덩이를 날려 75% 피해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290% / 435% / 700% ]
2차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50% / 75% / 120% ]
역할군은 공격력 마법사.[마법사]

시즌 초 1라운드 크립에서 룰루가 나오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골랐을 정도로 룰루 선택지에서 압도적으로 좋았고, 빨리 뽑아 레벨링과 9,000 초과 파워업을 먹여 마나 재생이 5가 넘었다면 순방은 기본이고 카타 갱플마저 씹어 먹을 정도로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줬다. 이후 스몰더의 픽률 견제용 너프와 9,000 초과 너프등 여러 직간접적인 너프를 먹고 람머스나 코그모와 격차가 많이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소모 마나를 줄여주는 효율성 스몰더 덱은 많이 쓰인다.
=====# 코그모 #=====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코그모, champimg=2022_Monstertamer.jpg
, set=15, c1=괴물 조련사, c2=, c3=
, hp=650 / 1170 / 2106, mana=0 / 50, ad=15 / 23 / 34, ar=30 / 30, as=0.75, range=5)]
파일:kogmaw_Q.png
전하 쇄도
기본 지속 효과: 기본 공격 시 추가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6의 최대 공격 속도가 적용됩니다.

사용 시: 다음 기본 공격 시 대상 및 가장 가까운 적 2명에게 추가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고 4초 동안 파쇄 및 파열을 30% 적용합니다. 스킬 사용 시 전투 종료까지 공격 속도를 15% 얻습니다.

파쇄: 마법 저항력 감소
파열: 마법 방어력 감소
적중 시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50% / 75% / 120% ]
강화 공격 시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55% / 85% / 130% ]
역할군은 주문력 원거리 딜러.[원거리딜러]

초반엔 도무지 쓸 수 없는 핵 폐기물과 같은 성능으로 아무도 쓰지 않았으나, 추후 버프로 대천사나 쇼진 같은 마나 아이템과 유물 아이템인 새벽 심장을 사용하는 덱들이 점차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마나 코스트가 낮고 공격속도 부스팅이 되는 스킬셋 특성 상 스킬을 사용 할 때 마다 추가딜이 중첩되는 요정 꼬리나 스킬 사용시 아군에게 보호막을 주는 관리인 파워업이 전용 증강 취급을 받으며, 이를 뽑지 못 했을 경우 덱 파워가 매우 떨어진다.

4.3.4. 말자하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말자하, champimg=malzahar_Empyrean.jpg
, set=15, c1=악령, c2=신동, c3=
, hp=800 / 1440 / 2592, mana=0 / 30, ad=40 / 60 / 90, ar=30 / 30, as=0.7, range=4)]
파일:malzahar_E.png
음흉한 속삭임
가장 가까운 미감염 대상 1명을 감염시켜, 15초에 걸쳐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감염된 대상이 사망하면 가장 가까운 미감염 대상에게 전염되어 남은 시간만큼 지속됩니다.

모든 적이 감염되었다면, 이 효과가 중첩됩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515% / 775% / 1315% ]
으하하하하하하!(구매)
하아!(등급 상승)
저들의 삶은 곧 끝이 난다..!(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마법사.[마법사]

전시즌과 전전 시즌 모르가나와 스킬셋이 비슷하며 가장 가까운 미감염 기물에게 15초짜리 도트 피해를 거는 스킬을 사용한다. 차이점이라면 이 도트는 지속시간 동안 대상이 죽으면 다른 가까운 대상에게 옮겨가 남은 시간만큼 피해를 주고, 모든 적이 이 스킬에 걸린 상태라면 다음 스킬 사용 시 마다 도트딜 피해가 계속 중첩된다.

스킬 특성상 적의 앞라인이 모두 감염에 걸린 상태라면 미감염 상태인 뒷라인에 걸어버리기 때문에 탱커진이 살아있는데도 적의 딜러들을 쓸어버릴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따라서 빠르게 뒷라인까지 전부 감염 시킬 수 있게 스킬 횟수를 뻥튀기 시키는게 중요하다. 때문에 스킬을 두 번씩 쓰는 요술사 파워업이 가장 선호되었고 과거에는 그림자 분신이 더 선호되었지만, 말자하에게 그림자 분신이 뜨지 않게 패치된 후 요술사가 1순위였으나 요술사마저 삭제된 후에는 유독성 함정이 선호된다.

템도 스킬 횟수를 늘려주는 마나 관련 아이템은 다 잘 받는 편이며, 오래 지속되는 도트 특성상 치감을 영구 지속시켜버리는 모렐로노미콘이나 유물템인 역병의 보석과의 시너지는 최상급이다.

덱은 보통 앞라인을 6헤비급으로 튼튼하게 세워놓고 전투를 오래 끌면서 도트딜로 뭉근하게 다 녹여버리는 헤비급 말자하 덱이 주류이며, 신동 유미 덱을 탈때에도 유미 다음 가는 서브 캐리로서 활약한다. 또 6악령 덱을 갈 때 케일이 잘 확보되지 않으면 그냥 업치고 말자하 캐리로 돌리기도 한다. 악령 1~2코 딜러인 케일과 진 모두 마나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기물이라 대놓고 마나템을 몰아주면 된다.

매치업은 도트딜인 특성상 팀 기물 전체를 수호하는 별 수호자에게는 유독 약하다. 시스템 상 디버프를 1회 모두 제거하는 프로레슬러나 크산테에도 카운터당했으나 디버프 삭제를 하지 않게 변경되서 간접 상향을 받았다.

9월 3일에 열린 15.4 pbe에서 1성 말자하의 주문력 계수가 575545%가 되는 버그가 있었으나 다음날 바로 수정되었다.

원래도 상당히 좋은 성능이라 치감/마깎 등의 디버프 담당은 세라핀이 나온 뒤에도 말자하가 끼는게 더 강할 정도로 효율이 좋은 기물이었는데, 15.4패치에서 뜬금없이 마나통이 35에서 30으로 줄어드는 의문의 버프를 먹었다. 스킬을 난사해 빠르게 맵 전체에 감염을 까는 게 핵심인 신동 기물에 마나통 5감소가 굉장히 큰 버프였던지라 순식간에 탈3코급 기물로 급부상, 15.4버전 최강의 ap캐리 포지션을 차지했다. 15.4b 패치로 스킬 피해량이 5%가량 감소되고 기존 최고 효율이던 그림자 분신이 더이상 등장하지 않게 되는 너프를 먹었으나, 딜량 자체는 원래 말자하 딜 반에 모렐로 딜 반 수준이고 그림자 분신이 사라진건 뼈아프지만 아쉬운대로 요술사 파워업으로 대체가 가능해 치명적인 너프는 아니라는 평.

이후 15.6에서 파워 업 '유독성 함정'이 추가되면서 또다시 메타를 강타했다. 패치노트가 나왔을 때부터 치유력 감소, 불태우기, 파쇄, 파열을 다 합쳐놓은 게 말이 안된다는 평가를 받았는데[116], 이걸 가장 잘 묻히고 잘 쓰는 기물 중 하나가 말자하다보니 4스테이지에 말자하 2성만 있어도 연승하며 9렙을 밀 수 있는 말도 안되는 파워를 보여주고 있다.

신동덱은 물론이요 헤비급 말자하 수정겜빗 말자하 심지어는 요새 말자하 별수호자 말자하 등등 어느 덱이든 쓰고싶다면 유독성을 주고 넣어 편안히 레벨을 올리며 1등을 기다리면 되는 수준의 기물이 되었다.

15.6 패치 기간 동안 감염된 적 사망 시 주변 적에게 전염되는 중첩이 1중첩이 아니라 2중첩으로 적용되는 버그가 있었다는 것이 밝혀지며 15.7 패치에서 자체 스탯 너프는 없이 버그만 수정되었다. 패치 이후로도 '문제가 두 배' 증강을 먹고 사용할 경우 사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문제가 두 배를 사용할 경우 조합은 2말자하+2람머스+니코+크산테+신드라/세라핀으로 가져간다.

4.3.5. 비에고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비에고, champimg=viego_SoulFighter.jpg
, set=15, c1=소울 파이터, c2=결투가, c3=이단아
, hp=850 / 1530 / 2754 , mana=0 / 40 , ad=30 / 45 / 68 , ar=60 / 60, as=0.9, range=1)]
파일:viego_P.png
몰락한 왕의 연계
기본 지속 효과: 기본 공격 시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사용 시: 다음 3회 기본 공격 시 파괴적인 연계기를 퍼붓습니다.

칼자루 강타: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올려 베기: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고 잠시 기절시킵니다.
내려 베기: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기본 지속 효과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30% / 45% / 80% ]

연계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00% / 150% / 270% ]

최종 연계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10% / 315% / 560% ]
이제 결투를 시작하지.(구매)
.(등급 상승)
K.O.!(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전사.[전사]

좋은 스킬셋, 시너지로 높은 DPS를 가지고 있지만 근접 전사라는 낮은 안정성 때문에 사용하기 까다로운 기물이다. 탄성팔 파워업이나 사거리 유물등을 채용해 패널티를 상쇄하고 3성을 찍어 메인캐리로 사용 할 수는 있으나 대부분의 상황에서 같은 결투가인 애쉬 메인캐리가 상위호환이라는게 문제.

원래도 성능 자체는 나쁘지 않은편이었는데 다른 결투가들에 가려져 계속 버프를 받다보니 15.4패치에서 기어코 1티어 op자리를 차지하고 만다. 구인수와 보건에 생존성을 보완할 밤끝, 탄성팔을 주고 시즌초의 갱플처럼 쓰인다. 탄성팔 의존도가 심하게 높다는게 유일한 단점.

결국 15.5 패치에서 탄성팔이 나오지 않게 변경되어 기세가 한풀 꺾였다.

15.9패치에서 새롭게 이단아 특성을 받게 되었다.

4.3.6. 세나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세나, champimg=senna_Maskedjustice.jpg
, set=15, c1=거대 메크, c2=처형자, c3=
, hp=650 / 1170 / 2106, mana=0 / 60 , ad=55 / 83 / 124, ar=30 / 30, as=0.75, range=4)]
파일:senna_R.png
슈퍼광살포
현재 대상을 관통해 일직선상 범위에 1초에 걸쳐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두 번째 적부터 대신 감소한 피해를 입습니다.

더 이상 대상이 없다면, 남은 지속시간에 따라 마나를 회복합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360% / 540% / 875%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40% / 60% / 95% ]
2차 피해량:
피해량의 22%
함께 이겨낼 수 있어.(구매)
(웃음)(등급 상승)
거기 서 있으면 안 될텐데.(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마법사.[마법사]

협곡의 Q스킬을 재설계한 스킬을 들고 왔다.

15.2b 패치까지의 평가는 15시즌 최약의 기물. 거대 메크덱은 상징이 없다보니 5코스트인 요네를 얻기 위해 세나 3성작에 투자할 겨를이 없고, 그렇다고 처형자 덱에 시너지 셔틀로 쓰기엔 멘토 효과까지 주는 라이즈가 있기 때문에 포오네 등으로 자리가 넘쳐나지 않는 이상 굳이 세나를 시너지 셔틀로 넣을 이유가 없다. 유저들 사이에선 휴대용 대격변 3코 3성 루트로 세나가 뜬다면 그 판은 서렌 쳐야 한다고 평가받을 정도.

그러나 15.2c 패치에서 중국 랭커가 4멘토 폭풍술사 세나-라이즈 덱을 개발하고, 뒤이은 15.3 패치에서 세나와 라이즈가 나란히 딜 버프를 받으며 단숨에 케이틀린을 잇는 강력한 3코스트 AD 캐리로 떠올랐다. 앞라인은 스킬로, 뒷라인은 폭풍술사로 지지기 때문에 뒷라인 공략이 쉽게 가능한 데다가, 케틀과는 달리 배치 신경을 쓰지 않아도 알아서 뒷라인이 녹아내리기 때문에 OP라는 평가를 받는다. 거기에 요네, 리신, 자이라 등 밸류업이 자유로운 것은 덤.

이후 너무나도 강력한 모습을 보여 처형자가 생성한 폭풍에 치명타가 다시 적용되는 걸 막아 간접적으로 너프 했으나, 여전히 강한 덱 파워로 잘만 쓰인다.

스킬명은 드래곤볼의 마관광살포의 패러디이다.

4.3.7. 스웨인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스웨인, champimg=2021_Crystal Rose.jpg
, set=15, c1=수정 갬빗, c2=마법사, c3=요새
, hp=950 / 1710 / 3078, mana=20 / 80, ad=60 / 90 / 135, ar=50 / 50, as=0.6, range=1)]
파일:swain_R1.jpg
반짝이는 깃털의 표상
최대 체력(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을 얻고 반경 2칸 내 적에게 매초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이후 스킬 사용 시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하고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이 증가합니다.
체력 증가(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10% + [ 300% / 340% / 38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5% / 35% / 55% ]
체력 회복량(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10% + [ 300% / 340% / 380% ]
피해량 증가(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6% / 9% / 14% ]
승리가 눈앞에 있다.(구매)
이대로, 가즈아!(등급 상승)
녀석들을 전장에서 쓸어버리자고!(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탱커.[탱커]

3시너지 탱커 기물로 시너지 자체는 매우 알찬 편이나 2성까지는 자체 탱킹 성능은 영 좋지 못한 편이다. 하지만 시너지 효과를 제대로 켜거나 3성을 찍는 순간 얘기가 달라지는데, 피통과 스킬 회복량이 엄청나게 올라서 딸피 상태에서도 스킬 한번으로 거의 풀피에 준하는 수준으로 회복해버려 어지간한 포화에도 끈질기게 버티는 좀비같은 최강의 탱커가 탄생한다. 3성작에 탱커 3신기[120]까지 갖추었다면 4코3성의 공세도 버티는 정신나간 탱킹력을 보여준다. 이 때문에 아무리 3성이라는 점을 감안해도 오버밸런스라는 평이 많다. 다만, 탱킹에 올인된 설계 특성 상 자체적인 딜링력은 장판딜 이외에는 영 시원찮아서 후방부터 무는 카타리나나 아칼리같은 조합에는 취약한 편.

등급 상승 대사인 가즈아가 매우 인상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4.3.8. 아리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아리, champimg=ahri_Starguardian.jpg
, set=15, c1=별 수호자, c2=마법사, c3=
, hp=650 / 1170 / 2106, mana=10 / 50, ad=40 / 60 / 90 , ar= 30 / 30, as=0.75, range=4)]
파일:ahri_E.png
순수한 심장 파괴자
현재 대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은 대상이 잃은 체력에 비례해 50%까지 증가합니다.

대상이 사망하면 남는 피해량의 55%에 해당하는 피해를 가장 가까운 적 2명에게 나누어 입히고 추가로 대상마다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430% / 650% / 1100% ]
2차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40% / 60% / 95% ]
별 수호자에겐 승리뿐!(구매)
얘들아, 진지한 표정.(등급 상승)
이렇게나 반짝반짝 빛나는데, 겸손하기가 어렵지~(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마법사.[마법사]

마법사 및 별 수호자 조합의 중반부 딜러. 단일 타게팅 대미지가 강력하고 대상이 사망 시 다른 대상을 2명 타게팅하는 옛 루덴의 메아리 아이템과 비슷한 효과가 있어 중반부 성능이 좋은 편이다.

유물 아이템 중 루덴의 메아리는 거의 아리 전용템 수준으로 궁합이 좋다. 아리의 스킬 자체가 루덴의 메아리와 비슷한데 아리의 스킬은 단일타겟의 대가로 달린 주문력 계수가 거의 5코2성에 맞먹기에 루덴의 메아리를 쥐어 주면 연속으로 터져 엄청난 광역 딜러로 변모한다. 이 경우 메인 캐리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후 루덴이 삭제된 대신 스킬 후속타의 데미지가 증가해서 루덴이 있어야 메인딜러로 고려해야했던 이전과 달리 깡으로 쓸 수가 있게 되었다.

4.3.9. 야스오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야스오, champimg=yasuo_Foreseen.jpg
, set=15, c1=멘토, c2=이단아, c3=
, hp=850 / 1530 / 2754, mana=0 / 40, ad=70/ 105 / 158 , ar=60 / 60 , as=0.75, range=1)]
파일:yasuo_R.png
폭풍 발도[122]
가장 가까운 적 3명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4 멘토 추가 효과: 이후 4칸 내 체력 비율이 가장 낮은 적에게 순간적으로 이동해 기절시키고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40% / 210% / 335%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30% / 45% / 70% ]
마지막 대상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40% / 210% / 335% ]
내 칼엔 오직 한 가지 목적뿐.(구매)
솔!(등급 상승)
지치지도 않고 덤벼드는군.(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전사.[전사]

단일 용병으로 기용할 때 빛이 나는 멘토 시너지를 가지고 있지만 특성이 유틸리티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4멘토가 아닌 이상 기용률이 낮다. 단 4멘토 상태에서의 CC기 성능은 매우 훌륭하여 멘토 세나, 멘토 라이즈 조합에서는 3성을 찍고 서브 캐리로 활약하기도 한다.

단, 베테랑 파워 업의 추가 이후로 베테랑 유닛을 메인으로 하는 4멘토 잔나, 4멘토 카타리나 덱에서는 라이즈가 나오기 전까지만 쓰이는 유닛이다. 이 둘은 각각 책략가와 처형자 시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이 두 직업 시너지가 같이 있는 라이즈가 필수로 쓰이기 때문에 탱커인 코부코, 우디르와 다르게 쓸 이유가 없어서[124] 코그모 스웨인 덱에서 사용처가 생겼다. 게다가 야스오의 이단아 시너지는 이 둘의 시너지인 수정 겜빗과 전투사관학교에서는 유닛이 없는 시너지이다 보니 칼리스타가 아닌 이상 사용처가 적은 편에 속한다.

4.3.10. 우디르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우디르, champimg=udyr_spiritguard(pheonix).jpg
, set=15, c1=멘토, c2=결투가, c3=전쟁기계
, hp=900 / 1620 / 2916, mana=40 / 80, ad=45 / 68 / 101 , ar=50 / 50, as=0.7, range=1)]
파일:No.2udyrR.webp
타오르는 불사조 태세[125]
4 멘토 기본 지속 효과: 체력이 가장 높은 적을 추적하는 불꽃폭풍을 소환합니다. 불꽃폭풍은 매초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를 입히고 불태우기 및 상처를 적용합니다.

사용 시: 빠르게 3회 기본 공격합니다. 각 기본 공격 시 우디르가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하고 반경 1칸 내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광역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35% / 50% / 80% ]
체력 회복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50% / 190% / 250% ][126]
불꽃폭풍 피해량(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1.2% ]
내가 택한 싸움이다.(구매)
(기합소리)(등급 상승)
균형이란 때로 부조리한 법. 정말 미안하군.(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탱커.[탱커]

자체 성능도 준수한데다 다양한 덱에서 활용하기 좋은 시너지 3개를 가지고 있어 인기가 많은 기물.

4 멘토 효과로 소환되는 불꽃폭풍은 우디르가 살아있는 동안에만 지속된다.

15.2 패치에서 파워업으로 거인화를 주고 앞라인에 단독으로 세우는 덱이 유행하고 있다. 3성을 찍으면 매 라운드 우디르가 받은 피해가 3만은 기본으로 넘어갈 정도로 단단해서 단숨에 메타의 중심에 올라섰다. 단, 3코스트 기물이라 후반에는 한계를 보이는 편이다. 고정 데미지를 주는 스킬을 자주 사용하는 신동 조합이나 완성된 마법사 조합에게 무력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렇게 갱플랭크나 아칼리와 같이 빠른 핫픽스가 적용된 조합보다는 파훼법이 존재하기는 하나, 유저들은 15.2패치 기준 우디르 메타를 상당히 불쾌해하는 편이다. 이유는 4스테이지에서의 성능이 지나치게 좋아, 우디르 2성이 있는 상태에서 애쉬를 하나만 찾아도 9레벨로 올라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른 조합들이 4코스트 2성 하나는 찾아야 4스테이지를 버티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너무 지나치다는 반응이 많다.

결국 15.3 패치에서 거인화가 소폭 너프를 먹고, 뒷라인 공략이 용이한 4멘토 세나-라이즈가 떠오르며 적당한 수준의 덱으로 티어가 내려갔다.

4.3.11. 제이스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제이스, champimg=jayce_Battleacademia.jpg
, set=15, c1=전투사관학교, c2=헤비급, c3=
, hp=850 / 1530 / 2754, mana=0 / 40, ad=90 / 135 / 203, ar=60 / 60, as=0.7, range=1)]
파일:jayce_E1.png
천둥의 망치 타격
대상을 중심으로 반경 1칸 내 적들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잠재력: 가장 가까운 적 3명에게 불꽃을 나누어 발사합니다. 불꽃은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히고 방어력을 3 감소시킵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80% / 270% / 425% ] + [ 20% / 30% / 50% ]
불꽃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70% / 105% / 170% ]
불꽃 개수:
잠재력당 1
후끈 달아오르는데!(구매)
가속!(등급 상승)
항복은 언제나 받아주지!(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전사.[전사]

스킬은 협곡의 해머폼 Q를 사용한다. 연구가 되지 않았던 시즌 초에는 4코중심 7사관의 시너지 셔틀을 담당했으나 점차 케틀제이스덱이 발굴되며 메타덱으로 올라왔다. 템은 브루저 3신기인 피거스를 주는데, 이것만으로도 강력하지만 유물에서 여명을 먹으면 몇배는 더 강력한 성능이 나온다. 전사관 시너지효과인 스킬 사용시 주변 적에게 들어가는 추가 공격에도 여명의 공격력 뻥튀기가 들어가서 스킬 몇번만 쓰면 뒷라인과 앞라인이 같이 사라지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뒷라인 킬러인 케틀과의 조합도 찰떡궁합.

그러나 15.3 패치로 은빛 여명의 마나젠 옵션이 삭제되면서 아이템 자체가 유물에서 꽝 담당 수준으로 위상이 내려갔기에 더 이상 보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4.3.12. 직스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직스, champimg=ziggs_Odyssey.jpg
, set=15, c1=크루, c2=책략가, c3=
, hp=650 / 1170 / 2106, mana=0 / 90, ad=20 / 30 / 45, ar=30 / 30, as=0.75, range=4)]
파일:ziggs_E.png
궤도 폭탄
기본 지속 효과: 기본 공격 시 반동 폭탄을 던져 처음 적중한 적에게 추가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사용 시: 대상을 중심으로 반경 1칸 내 적들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기본 지속 효과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기본 공격 피해량 + [ 50% / 75% / 12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30% / 345% / 550% ]
뭐래니? 이거 완전 안전하거든?(구매)
간다~!(등급 상승)
어라? 폭탄 어디 갔지?(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원거리 딜러.[원거리딜러]

크루 조합의 중후반부 딜링 담당 기물. 이전 시즌들과 같이 스킬 기반 딜링이 아니라 평타 기반 딜링을 하기에 아이템으로는 쇼진의 창이나 푸른 파수꾼과 같은 마나젠 아이템이 아닌 구인수의 격노검이 1코어로 꼽힌다.

파워 업은 직스가 3성이라면 이미 다른 크루 유닛들도 3성일테니 함선의 피해량을 강화하는 그림자 분신이나 우주 에이스가 가장 많이 쓰인다.

4.3.13. 케이틀린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3
, champname=케이틀린, champimg=caitlyn_Battleacademia.jpg
, set=15, c1=전투사관학교, c2=저격수, c3=
, hp=650 / 1170 / 2106, mana=0 / 60, ad=55 / 83 / 124, ar=30 / 30 , as=0.75, range=5)]
파일:caitlyn_R.png
마법의 춤추는 탄환
가장 멀리 있는 적에게 탄환을 발사하여 처음 적중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탄환은 주변 적에게 튕겨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잠재력: 탄환이 더 튕깁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330% / 495% / 790% ] + [ 30% / 45% / 70% ]
2차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85% / 130% / 205% ]
추가 튕기기 횟수:
잠재력당 1
난 여기 이기러 왔어.(구매)
난 절대 지지 않아.(등급 상승)
이게 바로 선배의 실력이다!(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마법사.[마법사]

제일 멀리 있는 적에게 협곡의 궁을 쏜다. 시즌 초엔 전투사관학교의 메인캐리는 카타리나였기 때문에 묻혀서 잘 쓰이지 않다가 15.2 패치로 카타리나가 너프된 이후 연구 끝에 제이스와 함께 메인 캐리를 맡는 조합이 발굴되어 주목받았다. 스킬 계수가 굉장히 높아 적 캐리 기물이 타게팅될 경우 죽는 건 확정이기 때문에 상대하는 입장에서 대비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이다. 심지어 배치를 잘 해서 어찌어찌 피한다고 해도 잠재력의 효과로 탄알이 튕기기 때문에 맨 끝 자리를 더미 기물로 배치했더라도 옆에 있던 메인 캐리도 같이 죽어버리는 경우가 생기기까지 한다.

이렇게 양 끝에 배치해서 뒷라인 딜러를 암살한다는 점이 강력해 티어덱에 올랐었으나, 이후 너프를 크게 당하면서 15.3패치 이후로는 빈집일 때나 가는 조합 수준으로 위상이 약화되었다.

이스터에그로 전투가 끝난 뒤 튕겨지는 탄환이 정확히 경기장의 꼭짓점을 맞히면 1골드를 획득할 수 있다. 쇼진 등 스킬을 자주 쓰게 해주면 체감이 생각보다 큰 편.

유물로 수상한 외투가 떴을 때 외투를 집어넣고 수호자의 맹세를 2개 주는 빌드가 존재한다. 외투로 케이틀린을 3기로 분열시켜 총알이 많이 튀게 만들어 뒷라인 딜러를 삭제시킨다는 발상에서 나온 템 트리이다. 그러나 15.5 패치로 외투가 삭제되면서 더 이상 보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4.4. 4단계

4.4.1. 라이즈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라이즈, champimg=ryze_Young.jpg
, set=15, c1=멘토, c2=책략가, c3=처형자
, hp=850 / 1530 / 2754, mana=10 / 60, ad=50 / 75 / 113, ar=35 / 35 , as=0.8, range=4)]
파일:ryze_Q.png
해일 광선[131]
3초에 걸쳐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대상 주변 반경 1칸 내 적은 같은 시간 동안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습니다.

4 멘토 추가 효과: 0.5초마다 추가로 대상으로부터 2칸 내 무작위 적 1명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고 아군 1명의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합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810% / 1215% / 7000% ]
추가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10% / 165% / 1200% ]
파도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50% / 75% / 250% ]
체력 회복(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30% / 40% / 280% ]
실패할 순 있어도, 그만둘 순 없어.(구매)
마지막 기회다.(등급 상승)
룬괘를 보니 넌 그냥 패배할 운명이야.(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마법사.[마법사]
4멘토 덱의 메인 캐리로써 PBE 서버-시즌 초를 지배했던 OP 기물로, 8렙을 달려 라이즈에 3템을 주면 앞라인이 모조리 녹아내리는 괴랄한 성능을 자랑했다. 거기다 용병으로 유용한 멘토-무난한 탱킹 시너지인 책략가 덕분에 많은 덱에서 용병으로도 자주 기용되었던 기물. 이후 딜 너프가 세게 들어왔음에도 시너지 덕분에 6마법사, 크산테-아칼리, 봉쇄자 아칼리 등 수많은 덱에서 용병으로 쓰이다가[133] 15.2c 패치에서 4멘토 세나-라이즈가 발굴되고, 뒤이어 15.3 패치에서는 딜 버프까지 받으며 다시 한 번 ap 캐리 기물로 떠올랐다.

전용 파워업 '얼음술사'를 먹으면 라이즈의 스킬 피해량이 30%증가하고 대상과 인접한 적 주변에도 피해를 주게 되며, 동상(공/이속 감소) 20%를 적용한다. 대신 전투 시작 후 라이즈가 3초간 행동할 수 없게 되는 디메리트가 달려 있다. 데미지 상승률 자체도 상당한데 스킬을 광역기로 바꿔버리는 파격적인 성능인지라 라이즈 캐리일 경우 1순위로 채용되며, 3초간 행동불가가 되는 디메리트를 써먹기 위해 시간이 지나면 주문력이 올라가는 대천사를 채용한다. 특히 사교계 라이즈가 0티어일 시절에는 얼음술사에도 버그가 있어 안그래도 강한 데미지를 뻥튀기시켜 메타를 박살내는데 일조했다.

이래저래 15시즌 내내 굴곡진 그래프를 보여준 기물. 시즌 초반부터 메인 캐리 기물로서 1티어에 자리했다가, 너프 후 시너지싸개로 전락했지만 사교계의 재발견과 버프로 15시즌에서 손에 꼽히는 사기덱의 중심에 올라섰다가, 너프 및 사교계 삭제 후 다시 시너지용 기물로 돌아가는 등 채용 자체는 시너지덕에 꾸준히 되면서도 메인 캐리 기물로서는 안정적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사기의 반열에 오르거나, 무능한 기물이 되거나 둘 중 하나만 반복하고 있다.

4.4.2. 레오나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레오나, champimg=leona_Battleacademia.jpg
, set=15, c1=전투사관학교, c2=요새, c3=
, hp=1200 / 2160 / 3888, mana=30 / 100 , ad=60 / 90 / 135 , ar=60 / 60 , as=0.6, range=1)]
파일:leona_W.png
꺾이지 않는 새벽의 방패
4초 동안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을 얻고 반경 2칸 내 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잠재력: 3칸 내 적을 관통하는 태양 광선을 발사합니다. 태양 광선은 각각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을 강탈하고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650% / 775% / 200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 50% / 75% / 500% ] + [ 50% / 75% / 500% ]
태양 광선 피해량(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 25% / 40% / 250% ] + [ 25% / 40% / 250% ]
태양 광선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강탈:
잠재력당 1
맞서 싸우세요.(구매)
저들의 방어를 뚫겠습니다.(등급 상승)
다음번엔 흠집이라도 내 보시죠.(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탱커.[탱커]

전사관 및 신동 조합의 서브 탱커로 탱커이지만 스킬 구성은 딜에 더 치중된 딜탱에 가까운 기묘한 기물. 심지어 쉴드량은 주문력에 비례하면서 대미지는 방마저에 비례하는 모순적인 설계 때문에 딜도 탱도 애매하다.

다만, 신동 조합에서는 탱커 아이템을 투자받는 편으로, 노 아이템에 1성인 경우에는 크산테의 부활 옵션 때문에 크산테에 비해 탱킹력이 낮으나 2성이 되면 방마저 강탈 옵션 및 크산테의 앞라인 돌격으로 인한 탱커의 부재 때문에 메인 탱커로 변모한다. 특히 3탱템을 투자받을 경우 크산테에 비해 확실히 잘 버티는 모습을 보여준다.

4.4.3. 볼리베어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볼리베어, champimg=2016_El.jpg
, set=15, c1=프로레슬러, c2=이단아, c3=
, hp=1050 / 1890 / 3402, mana=0 / 40, ad=80 / 120 / 180, ar=65 / 65, as=0.85, range=1)]
파일:volibear_Q.jpg
어사인의 극의
기본 지속 효과: 4번째 기본 공격마다 대상을 중심으로 반경 1칸에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대상 변경 시 즉시 내려찍어 120%의 피해를 입힙니다.

사용 시: 5초 동안 공격 속도를 99%, 모든 피해 흡혈(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을 얻고 군중 제어 효과에 면역이 됩니다.
내려찍기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25% / 190% / 750% ]
공격 속도:
[ 125% / 125% / 500% ]
흡혈(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0% / 10% / 25% ]
전투로 피가 끓어오르는구나!(구매)
이여어어어어어!(등급 상승)
이런 약해빠진!(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전사.[전사]

일반적으론 이단아와 프로레슬러가 주류 시너지는 아니다보니 브라움을 넣은 벨류덱에 시너지 셔틀용으로 쓰이지만 유물템인 생선대가리가 뜨면 파워업으로 탄성팔을 주어서 패시브 강화평타를 미친듯이 터트리는 미친기물이 탄생해버린다. 여기서 저격수의 집중같은 사거리를 늘려주는 템을 또 얻는다면 탄성팔을 빼고 기습 타격을 주어 재미도 챙기고 성능도 챙기는 괴물이 된다.

그러나 너무 사기적인 모습을 보여줘서인지 기습 타격이 바로 핫픽스 삭제 되어버려 생선대가리가 뜨면 탄성팔을 고정으로 주면 된다. 탄성팔마저 삭제된 후에는 사거리 유물 없이는 극후반부에 힘이 급격히 빠지는 기물이 되었으며 사거리 유물 없이 써야 한다면 회오리칼날, 진심 강타 정도가 고려된다.

이후 4타 내려찍기는 버프되고 타게팅 변경시 내려찍기는 너프를 먹으며 다시 비주류로 전락했지만 프로레슬러가 어디든 들어가도 좋은 국밥시너지인지라 사용처가 없지는 않다.

4.4.4. 뽀삐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뽀삐, champimg=poppy_Starguardian.jpg
, set=15, c1=별 수호자, c2=헤비급, c3=
, hp=1100 / 1980 / 3564 , mana=45 / 105, ad=65 / 98 / 146 , ar=60 / 60 , as=0.6, range=1)]
파일:poppy_R.png
회전 은하 망치
4초 동안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을 얻습니다. 보호막이 파괴되면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를 입히고 대상을 중심으로 반경 1칸 내 다른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대상은 보호막 지속시간에 따라 0.5~2.5초 동안 기절하며, 다른 적은 잠시 기절합니다.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320% / 370% / 900% ] + 10%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250% / 375% / 4000% ]
2차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25% / 200% / 1500% ]
난 할 수 있어요.(구매)
우와!(등급 상승)
개인적인 감정은 없지만, 때려잡을 수밖에 없네요.(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탱커.[탱커]

별수호자 덱의 메인 탱커로, 스킬 사용시 협곡의 궁극기를 충전하는 모션이 생기며, 보호막이 없어지면 이를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보호막에 깡딜이 괜찮은 광역 CC기까지 달고 있다 보니 원본과 유사하게 기본 체급이 몹시 우수한 탱커이며, 탱킹 능력도 최상위권으로 꼽힌다. 특히 '저지 불가' 파워업과의 궁합이 몹시 좋아서, 수호자 증강에 저지불가까지 주고 박스 배치 한가운데에 둘 경우 적진 한가운데로 달려나가 계속해서 스킬을 돌리며 상대 앞라인을 띄워대는 뽀삐를 볼 수 있다. 또한 공격력과 체력 계수 둘 다 괜찮다 보니 스테락과의 궁합이 매우 좋은데, 이 때문에 너도나도 스테락 빌드업을 하는 과정에서 스테락이 국룰 탱템인 워모그보다 탱킹 능력이 좋다는 게 밝혀지기도 했다.

이후, 보호막 탱커에게 있는 파워 업인 '최선의 방어'가 뽀삐와 궁합이 아주 좋다는게 드러나면서 기존의 저지 불가 대신 보호막을 주는 아이템인 수호자의 맹세+크라운가드+스테락의 갑옷을 삼신기로 맞춰 보호막을 계속 얻음으로써 유의미한 피해를 입히는 전략이 발굴되며 단숨에 별수덱을 1티어로 올렸다.[137]

허나 패치로 인해 최선의 방어의 피해량이 너프먹으며 지금은 사기까진 아니더라도 꾸준히 쓰이는 기물이 되었다.

4.4.5. 사미라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사미라, champimg=samira_SoulFighter.jpg
, set=15, c1=소울 파이터, c2=이단아, c3=
, hp=850 / 1530 / 2754 , mana=0 / 15, ad=50 / 75 / 113, ar= 45 / 45, as=0.75, range=4)]
파일:samira_E.png
영혼 사격 / 내면의 무기고 해방
기본 지속 효과: 스킬 사용 후, 스타일을 1, 모든 피해 흡혈을 5% 얻습니다. (최대 4회 중첩) 최대 중첩 시 다음 스킬이 내면의 무기고 해방으로 변경됩니다.

영혼 사격: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히고 짧은 거리를 돌진합니다.

내면의 무기고 해방: 기본 지속 효과의 추가 효과가 두 배가 되고 주변 적 무리로 도약해 반경 2칸 내 모든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스타일이 0으로 초기화됩니다.
영혼 사격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05% / 160% / 650% ]
무기고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230% / 345% / 2200% ]
무기고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50% / 75% / 225% ]
지금은 살아 있지. 곧 죽을 거지만.(구매)
싸우면 싸울수록 더 강해진다.(등급 상승)
제대로 보내버렸지.(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마법사.[마법사]

소울 파이터의 메인 캐리 기물로, 기본적으로 4코 기물이라 체급 자체가 나쁘진 않지만 그놈의 돌진때문에 궁극기만 쓰면 적들한테 포커싱당해 터지기 일쑤라 기본 성능은 다른 4코 기물들에 비해 그리 좋지 못한게 단점. 스킬에 자체 피해 흡혈이 있긴하지만 이것만으론 부족하여 확실하게 극딜템 및 아슬아슬 열매를 줘서 흡혈량 자체를 늘리거나 2이단아 정도는 활성화 시켜줘야 안정적으로 살아남으면서 딜을 할 수 있다. 즉, 적절한 아이템과 조합이 갖춰져야만 비로소 진정한 성능이 해방되는 왕귀형 기물인 셈이다. 따라서 사미라를 메인 캐리 딜러로 삼을 생각이라면 초반부터 사미라에게 맞는 아이템을 미리 빌드업 해두어야 한다.

스킬은 2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본 스킬은 이즈리얼과 비슷하게 물리피해를 주는 투사체를 발사하면서 2칸 정도를 옆으로 도약한다. 또한, 스킬을 쓸 때 마다 본가의 패시브처럼 D~S 등급으로 스타일과 피흡이 중첩되며 스타일이 S에 도달 시 적진 한가운데로 돌진하면서 궁극기를 시전하고 스타일이 초기화된다. 이 마지막 궁극기가 핵심으로 범위가 상당한 광역기인데다 세라핀과 비슷하게 가장 규모가 큰 적진 무리를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운이 좋거나 상대가 원딜 위주 조합일 경우 후방에 있는 상대 딜러진으로 뛰어들어 뒷라인이 먼저 갈려나가기도 한다. 게가다 피흡+상당한 광역딜로 나쁘지 않은 성능을 자랑하기 때문에 흔히 스킬 위주의 공격력 딜러 3신기인 '쇼진의 창 + 무한의 대검 + 타격대의 철퇴'가 코어템으로 꼽힌다.[139]

15.3 패치에서 기본 지속 효과의 흡혈이 궁극기 사용 시 제대로 두 배로 적용되지 않던 버그가 수정되었지만, 대신 기본 피해량이 큰 폭으로 하향되어 사실 상 너프를 맞았다.

4.4.6. 세트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세트, champimg=sett_Soulfighter.jpg
, set=15, c1=소울 파이터, c2=전쟁기계, c3=
, hp=1100 / 1980 / 3564, mana=40 / 100, ad=60 / 90 / 135, ar=60 / 60, as=0.7, range=1)]
파일:sett_W.png
최대 투지 폭주
짧은 시간 동안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하고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히고 대상을 1.7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이후 원뿔 범위에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중앙 일직선에 있는 적은 물리 피해를 더(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입습니다. 피해량은 이번 전투의 체력 회복량에 따라 증가합니다.
체력 회복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260% / 335% / 1500% ] + 12%
난타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40% / 210% / 2000% ]
펀치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120% / 180% / 750% ] + 4%
체력 회복으로 인한 피해량:
10 + 체력 회복량 100당 [ 10 / 15 / 50 ]
지금 나랑 장난하자는 거냐?(구매)
이걸로 끝이다!(등급 상승)
요 면상 봐라? 딱 때려주고 싶게 생겼는데?(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탱커.[탱커]

소울 파이터와 전쟁기계 조합의 메인 탱커. 결투가 조합에서도 탱커로 기용되는 경우가 많다. 툴팁에 "피해량은 이번 전투의 체력 회복량에 따라 증가합니다."에 정확히 표시가 되어있지 않지만 이때문에 회복량과 관여되는 체력이나 AP를 올리면 별도의 AD템을 맞추지 않아도 오히려 딜이 상당히 많이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

4.4.7. 아칼리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아칼리, champimg=akali_Supremecell.jpg
, set=15, c1=슈프림 셀, c2=처형자, c3=
, hp=1050 / 1890 / 3402 , mana=0 / 40, ad=30 / 45 / 68, ar=65 / 65, as=0.7, range=1)]
파일:akali_R1.png
꿰뚫는 유령검
표식이 없는 4칸 내 가장 멀리 떨어진 적에게 표식을 남기고, 표식이 남은 모든 적에게 차례대로 돌진합니다. 돌진할 때마다 돌진 대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적중한 다른 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타격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95% / 145% / 1000% ]
돌진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75% / 115% / 1500% ]
친구나 사귀려고 온 거 아니야.(구매)
장난은 여기까지야.(등급 상승)
겨우 이 정도였다니.(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전사.[전사]

카타리나와 비슷하게 후방으로 파고드는 암살자 스타일의 기물로 스킬을 사용하면 아예 전장에서 사라져 상대의 공격이나 스킬에 피해를 일절 받지 않는 무적 상태가 되며, 전방 일직선상으로 돌진하며 경로상에 있는 모든 적을 긁고 지나간다. 스킬 사용 시점에서 사거리가 닿는 한 가장 멀리 있는 적까지 순간이동하면서 라인에 있는 다수의 적을 동시에 공격하는 특성 상 뒷라인부터 암살이 가능하다보니 카타리나처럼 배치만 잘하면 뒷라인으로 파고들어 딜러부터 깔끔하게 죽이는 굉장히 성능이 좋은 기물이다. 스킬을 쓰면 단순히 무적이 되는게 아니라 아예 맵에서 사라져 대상 지정 불가가 되며 어그로를 풀어버리는지라 상대가 아칼리에게 아무런 대처를 못하고 일방적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스킬 회전률이 매우 중요한 기물이며 이런 특성 상 대놓고 구인수의 격노검과 대천사의 포옹을 줘서 스킬을 많이 굴리게 하는 템트리가 15.2패치부터 유행하기 시작해, 메타덱이 되었다. 캐리 기물로 사용될때 대천사를 주고, 피흡템이 없이 쓰이다보니 파워 업으로 핏빛 장막을 뽑아 사용하였다.

암살자 기물임에도 무적+순간이동이라는 사기성이 짙은 궁극기를 굉장히 자주 사용해 스택을 쌓아 늘어난 주문력으로 원거리 딜러 중심의 조합을 끝장내다 보니 원성이 자자했고, 결국 15.2c패치로 마나통을 30에서 40으로, 기본 공격 속도를 0.85에서 0.8로, 스킬 사용 시간 감소의 3단 너프1를 받음으로써 구인수+대천사 템 트리의 아칼리 캐리 조합은 사장되었다. 거기에 하필 이에 맞춰 별 수호자, 4멘토 라이즈 등이 버프를 받아 떠오르며 더더욱 쓸모없는 기물이 된 것은 덤이다.

한동안 메타에서 벗어났었지만 변경된 내셔의 메커니즘을 이용한 4슈프림 셀 쌍내셔 아칼리가 발굴되어 유행하고 있다. 라이즈 멘토 효과와 내셔의 치명타 시 추가 마나 회복으로 인해 평평궁이 가능하며, 내셔+내셔+수은 3신기에다가 열매로 핏빛 장막을 주면 혼자서 이리저리 쑤시고 돌아다니면서 적들을 쓸어버리는 무시무시한 캐리력을 보여준다. 특히 마지막 1:1 상황에서 무한 스킬을 시전하면서 일방적으로 난도질을 해대는 미친 아칼리를 볼 수 있게 된다.

4.4.8. 애쉬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애쉬, champimg=ashe_Crystalrose.jpg
, set=15, c1=수정 갬빗, c2=결투가, c3=
, hp=850 / 1530 / 2754 , mana=0 / 80, ad=68 / 102 / 153, ar=35 / 35, as=0.8, range=4)]
파일:ashe_Q.png
게이트 오브 아바로사
다음 기본 공격 8회 동안 추가 화살을 8(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발 발사해 대상 및 2칸 내 무작위 적 최대 2명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나누어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20% / 35% / 15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 / 3% / 15% ]
절대 빗나가지 않아.(구매)
항상 집중해야 해.(등급 상승)
딱 한 방이면 돼.(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원거리 딜러.[원거리딜러]

결투가 및 수정 갬빗 덱의 메인 딜러. 12시즌의 라이즈를 연상케 하는 스킬을 가지고 왔다. 오로지 평타로만 딜을 하는 평타 특화 기물이며 스킬 역시 평타를 강화시키는 메커니즘이라 케일과 비슷하게 공격 속도 능력치가 매우 중요하다. 즉, 아이템으로 구인수의 격노검과 크라켄의 분노가 거의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유물의 밸류를 상당히 잘 받는 기물로, 명멸검, 마법사의 최후, 생선대가리, 저격수의 집중 등의 아이템과 잘 맞는 편이다. 특히 공격속도와 딜을 동시에 올려주는 명멸검과 시너지가 정말 좋다. 실제로 수정갬빗 보상으로 명멸검을 주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보니[143], 시즌 초 7수정갬빗이 사기였던 이유에 큰 지분을 차지했다.

스킬명은 Fate 시리즈게이트 오브 바빌론의 패러디로 스킬 발동 시 애쉬 뒤쪽으로 차원문이 열리며 애쉬의 평타와 함께 추가 화살이 나가서 애쉬의 딜이 엄청나게 뻥튀기된다. 스킬 발동 후 최대 평타 8발 까지 추가 화살이 발사되기 때문에 마나 회복과 공격 속도를 어느 정도 챙기면 전투 내내 쉬지 않고 화살비를 뿌려댈 수 있어서 적들을 녹여버리는 희대의 사기 기물이 된다.

4.4.9. 유미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유미, champimg=yuumi_Battleprincipal.jpg
, set=15, c1=전투사관학교, c2=신동, c3=
, hp=850 / 1530 / 2754, mana=0 / 40 , ad=40 / 60 / 90 , ar=35 / 35, as=0.8, range=4)]
파일:yuumi_R.png
읽거나 죽거나
대상 및 2칸 내 적에게 책 20페이지를 나누어 날려 각각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이후 스킬을 사용할 때마다 페이지를 4장 더 날립니다.

잠재력: 2페이지마다 추가 페이지를 날려 고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페이지당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5% / 38% / 150% ]
잠재 페이지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잠재력당 [ 페이지당 피해량의 20% ]
너한테 머릴 비비는 건, 널 찜했다는 뜻이야. (캬르르르르릉)(구매)
그래, 잘 한다! 때려! 그렇지! (등급 상승)
내가 다 혼내줬지롱! 지롱지롱지롱지롱!(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마법사.[마법사]

신동 조합의 메인 딜러. 스킬 특화 기물로 스킬을 사용하는 순간 책을 펼쳐서 대량의 투사체를 빠르게 날려 기관총 마냥 무지막지한 딜을 때려박는데 잠재력을 얻으면 일정 투사체마다 추가 고정 피해를 주는 파란색 투사체를 하나 씩 더 달려서 더욱 아픈 딜이 나오는지라 자연스럽게 전투사관학교 시너지를 켜 주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투사체가 타겟 유도 방식이라 발사 중에 대상이 죽는 경우 남은 투사체가 바로 다음 타겟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딜로스가 거의 없다는 장점도 있다.

투사체를 많이 발사하며 높은 피해량을 자랑하는 스킬 위주의 메인 딜러이므로 공허의 지팡이, 마법공학 총검이 잘 어울리는 편이다. 그 외 무지막지한 깡딜로 상대 탱커를 녹일 안티 탱커로 운용하기 위해 거인 학살자나 라바돈의 죽음모자를 가거나 치명타를 챙겨 범용적인 킬 결정력을 높히기 위해 보석 건틀릿 등이 추천된다. 15.4 패치 이전에는 주문력을 미친듯이 끌어올려주는 대천사의 지팡이가 코어템으로 취급받았으나 해당 패치에서 대폭 칼질당하면서 현재는 차선책 정도로 입지가 빠졌다. 하지만 우선순위만 밀릴뿐 여전히 궁합이 좋은 아이템인건 변함없어서 일단 쥐여주면 슬롯값은 한다.

파워 업으로는 스킬이 핵심이기 때문에 마나 재생마다 주문력을 올려 주는 초천재, 고정 피해를 주는 투사체 수를 늘리는 탄막 지옥이 가장 선호된다. 혹은 천공 관통으로 마저깎과 극딜을 챙기는 것도 무난하다.

스킬 성능과 메커니즘이 워낙 출중해서 시즌 시작부터 암흑기가 거의 없던 4코 국밥 기물이었으나, 15.4패치에서 유미의 자체 딜 감소, 신동 너프, 코어템인 대천사의 지팡이 너프 등 직간접적으로 3단 너프를 받으며 유미를 메인으로 쓰는 덱들이 모두 사장되었다.

하지만 라이엇에서 너무 과도한 너프로 인지한건지 바로 다음 패치인 15.5 패치로 첫 페이지량을 버프하고 추가 페이지량은 너프하는 밸런스 패치를 진행하였는데, 결과적으로 상향이라 신동 조합이 다시 메인으로 떠올랐다. 결국 암흑기도 매우 짧은 고성능 기물이 된 셈이다.

스킬은 R.O.D의 패러디. 애초에 원본 영문 스킬명이 Read Or Die다.

4.4.10. 자르반 4세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자르반 4세, champimg=jarvanIV_Maskedjustice_tft.jpg
, set=15, c1=거대 메크, c2=책략가, c3=
, hp=1100 / 1980 / 3564, mana=45 / 150, ad=60 / 90 / 135, ar=60 / 60 , as=0.65, range=1)]
파일:jarvanIV_R.png
메가 드릴 크래쉬
4초 동안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을 얻습니다. 이후 적 무리로 돌진해 반경 2칸 내 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고 기절시킵니다.
보호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400% / 450% / 1500% ] + 15%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00% / 150% / 3000% ]
기절 지속시간:
[ 1.5 / 1.75 / 8 ]
도전이라면 환영한다.(구매)
정의의 응징이 내릴 것이다.(등급 상승)
.(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탱커.[탱커]

세트 9 당시의 스킬이었던 협곡의 궁극기를 가지고 돌아왔다. 스킬 사용 시 거대한 드릴로 지면을 내리꽂으며 범위 내의 모든 적을 기절시키는 강력한 스킬을 가진 주문력 탱커. 광역 cc기의 밸류가 높고 거대 메크와 책략가 둘 다 용병으로 자주 불려나가는 시너지라 높은 범용성을 가졌다. 전용 파워업 '마나 폭주'로 전투 시작과 동시에 스킬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메카 파일럿과 드릴의 조합은 천원돌파 그렌라간을 연상시킨다.

4.4.11. 징크스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징크스, champimg=jinx_Starguardian.jpg
, set=15, c1=별 수호자, c2=저격수, c3=
, hp=850 / 1530 / 2754 , mana=10 / 80, ad=70 / 105 / 158, ar=35 / 35 , as=0.75, range=5)]
파일:jinx_R.png
우주 로켓 발사!
기본 지속 효과: 기본 공격 시 공격 속도가 증가(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해 최대 60%(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까지 증가합니다. 치명타 발동 시 대신 공격 속도를 위 수치의 50%만큼 더 부여합니다.

사용 시: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히고 대상을 중심으로 반경 2칸에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나누어 입힙니다.
기본 공격당 공격 속도(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6% / 6% / 30% ]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200% / 300% / 900% ]
나누어 입히는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575% / 875% /4,000% ]
별빛으로 반짝이는 파티, 시작해 볼까?(구매)
내 별빛 공격을 받아라!(등급 상승)
죽으니까 어때? 깜깜하지?(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마법사.[마법사]

별 수호자 조합의 메인 AD 캐리 딜러. 출시 초창기에는 공격 속도 증가가 적용되지 않는 버그와 낮은 스킬딜로 인해 함정 기물 취급을 받았다. 가히 4코스트 최악의 딜러라고 하면 반드시 거론되었을 정도였다. 그러나 15.2 패치로 버그가 수정되고는 조커픽으로 채용할 만한 수준의 기물로 떠올랐고, 15.3 패치에서는 다른 조합들의 너프로 별 수호자 조합이 메인 조합으로 비상한데다가 자체 스킬딜도 버프받아 별 수호자 조합의 메인 딜러로 떠오르게 되었다.

패시브가 과거 구인수의 격노검의 하위호환격 되는 효과라 스킬딜을 강화하는 무한의 대검, 타격대의 철퇴, 죽음의 검 등을 많이 주는 편이다. 다만 구인수의 격노검이 별 수호자 조합의 AD 빌드업 기물인 자야에게 어울리는지라 구인수를 그대로 주는 경우도 꽤 많다. 극단적으로 굳이 쇼진이나 구인수 없이 무대+딜템만 있어도 준수한 딜량을 뽑아낼 수 있다.

힘모으기 파워 업의 힘을 굉장히 잘받아 쇼진+구인수+무대만 쥐어줘도 스킬 딜이 천정부지로 솟아오르는걸 볼 수 있다.

4.4.12. 카르마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카르마, champimg=karma_Maskedjustice_tft.jpg
, set=15, c1=거대 메크, c2=마법사, c3=
, hp=850 / 1530 / 2754, mana=0 / 65, ad=40 / 60 / 90 , ar= 35 / 35, as=0.75, range=4)]
파일:karma_P.png
파괴참
기의 원반을 발사해 대상을 중심으로 반경 1칸에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050% / 1575% / 6500% ]
이제 우리의 용기를 보여줄 때입니다.(구매)
라스리안 오운 비.(등급 상승)
우리가 감내한 고통만큼, 우린 성장했습니다.(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마법사.

마법사 조합의 핵심 딜러. TFT 오리지널 스킬을 가지게 되면서 밸런스가 까다로워진 케이스로, 약 4칸정도 동그라미 범위에 광역 도트 피해를 가하는데 계수가 조금만 높아도 아이템 못받은 앞라인을 싸그리 녹여 버리는데다 파괴참이 돌아가는 와중에도 마나는 회복되고, 파괴참의 대상이 죽으면 빠른 속도로 다음 대상으로 옮겨가기까지 하기 때문에 스킬의 효율 자체가 극도로 높아서 시든 초임에도 딜 너프를 자주 당한다.

출시 초기에는 스킬 대미지가 주문력의 1050% / 1575% / 6500%였으나 3성을 제외하면 성능이 너무 좋지 않아 15.1b패치로 1125% / 1700% / 6500%로 버프되었다. 버프 이후에는 마법사 조합이 메인에서 내려온 적이 없을 정도로 괜찮은 기물로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15.3 패치로 원상복구되면서 픽률 및 평균 등수가 눈에 띄게 낮아졌다. 유저들 사이에서는 '왜 너프했냐'는 반응이 절대 다수이다.

결국 처참한 통계로 인해 15.4b 패치로 소모 마나량이 70에서 65로 버프를 받았는데, 지속적으로 버프를 받아오던 거대메크와 겹쳐서 단숨에 7거대메크 덱의 메인딜러로 떠오르며 다시금 예전의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

스킬은 기원참의 패러디이다.

4.4.13. 크산테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4
, champname=크산테, champimg=ksante_Empyrean.jpg
, set=15, c1=악령, c2=봉쇄자, c3=
, hp=950 / 1710 / 3078, mana=30 / 90, ad=60 / 90 / 135, ar=60 / 60, as=0.7, range=1)]
파일:Ksante_R2.png
위력 분출
기본 지속 효과 (총공세): 처음 사망할 시 체력을 최대로 회복하고, 공격 속도가 125% 증가하며,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의 50%가 공격력으로 전환됩니다. 또한 30의 최대 마나를 갖습니다. 이후 대상을 관통해 돌진하며 적을 잠시 기절시킵니다. 총공세 상태에서 매초 체력의 6%를 잃고 처치 시 체력을 회복(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합니다.

사용 시: 3초 동안 내구력(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을 얻고 얻고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사용 시 (총공세):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내구력(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45% / 50% / 85% ]
피해량(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 120% / 180% / 800% ] + [ 120% / 180% / 800% ]
피해량 (총공세)(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350% / 525% / 3000% ]
처치 시 체력 회복량 (총공세):
체력의 30%
넌 무엇을 위해 싸우지?(구매)
이게 내 전투방식이다!(등급 상승)
그래! 난 차원이 다른 존재거든.(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탱커.[탱커]

탱커로 분류됨에도 기본 체급이 정말 좋은 기물이다. 스킬은 무기를 크게 휘둘러 한방딜을 넣는 액티브와 패시브 모두 있는 스킬인데 사실상 패시브 스킬이 핵심이다.

사망하면 1회에 한해 부활하며 체력을 가득 채우고 시한부 브루저로 변신하는데 변신하는 동안 무적 판정이라 어그로를 전환시킬 수 있고 변신 후에는 빠른 기동성과 공격속도로 어지간한 앞라인 기물 부럽지 않은 딜량을 뽐낸다. 어떤 경우에는 부활시간동안 상대 앞라인이 딜러진을 물러가는 사이에 부활하자마자 상대 딜러진한테 달려가서 뒷라인을 썰기도 한다. 그렇다고 브루저템을 주기보단 변신 시 공격력 전환이 방마저에 비례해서 상승하기 때문에 순수 탱템을 몰아주는 것이 더 좋다. 기물의 성능 자체도 좋은데 시너지도 좋다보니 너프를 두번이나 당했는데 그럼에도 악령, 봉쇄자, 멘토, 고밸류덱 등에서 허구헌날 가져다쓴다.

파워업 '탱커 괴수'와 궁합이 정말 좋다. 15초 이상 살아있을 경우 맵 전체 1.5초 기절을 날리는데 부활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부활 후 시간도 살아있는 시간으로 판정되기 때문에, 15초 안에 두번 녹는게 아니라면 사실상 확정으로 효과를 발동한다.

전용 파워업인 ‘총공세’를 먹고 딜템을 몰아주면 크산테를 메인 캐리기물로 쓸 수도 있다. 총공세 파워는 이름대로 처음부터 크산테를 브루저 모드로 변신시켜 탱킹 능력을 희생하는 대신 극딜을 뽑아내는 파워이다. 시즌 극초반에는 총공세 크산테를 메인으로 사용하는 조합이 주류에 속하기도 했지만 총공세 자체가 너프를 먹음과 동시에 원하는 열매를 얻고자 할 때 열매의 선택지가 한 번 나오면 다시 안 나온다는 점을 이용하여 역할군이 같은 다른 기물에게 열매를 장착했다가 빼서 선택지를 줄이는 '열매작'이 막히고 나서는 그리 선호되지 않는 편이다.

행운의 장갑 증강을 획득한 상태에서 도적의 장갑 아이템을 장착할 시, 대기 라운드에서는 랜덤 아이템으로 탱커 아이템을 가지고 오는데, 한 번 죽고 부활하면 브루저 아이템으로 변경된다.

4.5. 5단계

롤체 전통적으로 최고 단계 기물인만큼 1성에서도 3코 2성 수준의 위력을 보이며 2성부터는 메인 캐리 기물로 쓸 수도 있을 만큼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특히 5단계 기물의 진가는 3성에서 드러나는데 3성을 찍는 순간 사실상 승리가 확정된 것이나 다름 없을 정도로 파격적인 끝판왕 성능으로 변신한다. 일단 툴팁에서 보이는 스킬 계수만해도 9999%, 666%, 8000% 같은 정신나간 수치로 점철되어 있으며 단순히 능력치 계수만 올라가는게 아니라 아예 스킬 효과 자체가 판이하게 달라진다. 사실상 5코 3성 하나만 있어도 같은 5코 3성이나 프리즘 시너지가 아닌 이상 상대조차 되지 않는 수준이다.

5코 기물은 가뜩이나 확률이 매우 낮아 2성작도 쉽지 않은 마당에 3성을 찍는 것은 거의 로또나 다름없는 극악의 확률로 달성할 수 있는 초월의 영역인만큼 이런 강력한 능력치로 배정한 것이다.

4.5.1. 그웬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5
, champname=그웬, champimg=gwen_Soulfighter.jpg
, set=15, c1=소울 파이터, c2=마법사, c3=
, hp= 1150/ 2070 / 3726, mana= 0 / 40, ad= 20/ 30 / 45, ar= 60 / 60 , as= 0.85, range=2)]
파일:gwen_P.png
영혼 바느질 / 실 뜯기
기본 지속 효과: 기본 공격 시 대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고, 원뿔 범위 내 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스킬을 3번 사용할 때마다 실 뜯기를 사용합니다.

영혼 바느질: 전장의 바늘을 3개 발사해 적중한 적에게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고 실을 남깁니다.

실 뜯기: 모든 적에게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나누어 입히고 각각 추가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하나 이상의 실 주변에 있는 적은 10% 더 많은 피해를 입습니다.
기본 공격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0% / 15% / 400% ]
나누어 입히는 원뿔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40% / 60% / 1000% ]

바늘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35% / 55% / 1000% ]

나누어 입히는 실의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320% / 450% / 9999% ]

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80% / 120% / 9001% ]
싸우기 딱 좋은 날이네.(구매)
난 이 가위랑 한 몸이라고.(등급 상승)
바늘로 꽁꽁! / 바늘 출동! / 저리 비켜!(스킬 사용)
또 처치했어! 점점 잘 하잖아?(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전사.[전사]

마법사 및 소울 파이터 덱의 최종 기물. 원작의 궁극기와 비슷한 스킬을 사용하며, 원작과 유사하게 세 번째 스킬이 가장 강하다. 9.5시즌의 닐라처럼 사거리에 비례해서 기본 공격 범위가 늘어나기에, 사거리 증가 효과를 가진 아이템들과 궁합이 매우 좋다.

스킬 범위가 매우 넓으며, 특히 3타는 모든 적을 공격하기에 공허의 지팡이, 모렐로노미콘 등의 아이템을 주어 최대한 많은 적에게 디버프를 묻히는 것이 정석이다. 또한 3타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밤의 끝자락도 필수적으로 채용된다.

유물 아이템인 저격수의 집중은 거의 그웬 전용템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궁합이 좋은 편이다. 만약 혼돈의 부름을 선택했는데 저격수의 집중을 3개 준다면 그냥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그웬을 뽑아서 3개 다 주자. 맵 전체에 가위질을 해대서 뒷라인이 사라지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이를 의식한건지 15.2 패치에 그웬의 가위질이 범위 내 적들에게 피해량이 분산되어 들어가는 재조정이 이루어져 이전같은 가위질만으로 적들을 써는 드라마틱한 광경을 보긴 어려우나 누적딜 자체는 쏠쏠하다. 또한 저격수의 집중은 스킬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가위질이 아니더라도 후방에 바느질 경로에 서있는 상대 기물이 실뜯기 한번에 터지는 경우도 볼 수 있다.

3성이 되면 맵 전체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바늘을 무한정 발사해서 모든 적들을 동시에 녹여버린다.

4.5.2. 리 신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5
, champname=리 신, champimg=leeSin_Dragonfist.jpg
, set=15, c1=태세의 대가, c2=, c3=
, hp=1200 / 2160 / 3888, mana=0 / 100, ad=70 / 105 / 158, ar=70 / 70, as=1.00, range=1)]
파일:leeSin_W1.png
기술 시범
리 신을 배치하고 태세를 선택하세요. 각 태세는 고유 스킬이 있으며, 리 신에게 추가 특성을 부여합니다.
누가 더 뛰어난지 가릴 시간이오.(구매)
싸우시오.(등급 상승)
견디시오.(스킬 사용)
오늘 당신에게 승산은 없소.(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전사.[전사]

전용 시너지 '태세의 대가'로 배치할 때 전쟁기계, 결투가, 처형자 중 하나의 시너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시너지마다 스킬이 모두 다르다. 다양한 시너지를 소화할 수 있기에 용병으로 자주 채용된다. 다만 순수 결투가 조합이 사양세가 되고 15.6 패치에서 전쟁기계 태세가 대폭 상향된 이후로는 일부 덱을 제외하면 거의 전쟁기계 태세로만 사용되고 있다.
=====# 스킬 목록 #=====
파일:leeSin_W1.png
전쟁기계 태세:빅뱅 펀치
잠시 내구력을 60% 얻습니다. 이후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대상 뒤의 모든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반경 2칸 내 다른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대상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750% / 1125% / 50000% ] + [ 50% / 75% / 999%]

대상 뒤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200% / 300% / 9001% ]

전장 전체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50% / 225% / 1000% ]
전쟁기계가 내구력 관련 시너지인 만큼 내구력 증가가 상당히 큰 탱킹형 스킬. 순간적으로 내구력 60%라는 엄청난 수치로 매우 단단해지고 펀치 동작과 함께 전방으로 충격파를 날려 범위 내 모든 적에게 물리 피해를 준다.

유일한 단점이 단단하지만 공격능력이 좋지 않은거였는데 시즌 중후반에 스킬 데미지가 거의 절반이 뻥튀기되는 미친버프를 받은뒤로 전쟁기계 리신 고벨류 수정겜빗 고벨류등 덱이 쏟아지며 고벨류시대를 열었다.

3성에서는 펀치의 충격파 범위가 엄청나게 거대해지고 명중한 상대 기물들을 아예 맵 바깥으로 날려버려서 일격에 처형한다. 펀치 한방에 상대 진영 절반이 깔끔하게 사라지는 위엄을 보여준다. 다만, 후술할 다른 테세들에 비해서는 범위가 좁고 딜레이가 있어서 그 사이에 역으로 당할 위험이 있는 관계로 3성 리신의 스킬들 중에서는 가장 약한 스킬로 취급되는 편.
파일:leeSin_W1.png
결투가 태세:10,000 주먹 난타
기본 지속 효과: 기본 공격 시 주변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사용 시: 빠르게 타격해 가장 가까운 적 2명에게 잔상 11개를 보냅니다. 각 잔상은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히고 방어력을 감소시킵니다.
기본 지속 효과 분신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40% / 60% / 300% ]

가장 가까운 적 수:
[ 2 / 2 / 15 ]

분신 수:
[ 10 / 10 / 1500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50%당 1개

사용 시 분신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65% / 100% / 500% ]

방어력 감소:
[ 5% / 5% / 50% ]
기본적으로 평타를 넣을 때 마다 주변 2칸 이내의 적에게 분신을 보내 스플뎀을 먹이며 스킬 발동 시 다수의 분신을 소환해 가장 가까이 있는 적 2명에게 오라오라를 날리며 동시에 공격한다. 스킬 계수에 공격속도가 붙어 있고, 방깎 계수엔 주문력이 있어 주로 사용하는 아이템인 정손 피바 밤끝 같은 템을 착용하면 스킬 횟수당 70 언저리의 방어력을 깎을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2성을 찍고 아이템을 몰아주면 데미지도 높아 결투가 덱에서 서브 딜러로 채용하기도 한다.

3성에서는 스킬 발동 시 무수히 많은 분신들을 소환해 모든 적을 동시에 죽을 때 까지 두들겨패서 녹여버린다. 다만, 일격 처형 판정인 다른 두 태세와 달리 물리 피해로 우직하게 두들겨패는 메커니즘이라 무적이나 10수정 갬빗 같이 내구력 99%인 경우 역으로 당할 수도 있으니 주의.
파일:leeSin_W1.png
처형자 태세:운석 낙하 발치기
3칸 내 체력이 가장 낮은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히고 1.5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반경 1칸 내 다른 적에게는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이 스킬로 3명을 처치하면 모든 적이 즉시 물리 피해를 입고 1.5초 동안 기절합니다.
주 대상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95% / 445% / 8000% ]+[ 50% / 75% / 4000%]

광역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30% / 195% / 4000% ]

전장 전체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80% / 270% / 8000% ]
공중으로 높이 뛰어오른 후 잠시 후 착지하면서 주변 적에게 피해를 주고 기절시킨다. 다른 스킬과 달리 조건부 효과가 붙어 있지만, 그만큼 고점은 가장 높다.

3성에서는 점프한 뒤 정중앙으로 내려찍으면서 맵 전체에 엄청난 충격파를 일으켜 피아구분 없이 자신을 제외한 모든 기물을 맵 밖으로 날려버린다. 일격에 모든 적을 삭제시켜버리기 때문에 처형자 리 신은 5코 3성 중에서 가장 강력한 능력을 자랑한다. 다만, 리 신이 내려찍는 순간에 스킬이나 아이템 효과로 무적이 되는 경우 날라가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4.5.3. 바루스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5
, champname=바루스, champimg=varus_Empyrean.jpg
, set=15, c1=악령, c2=저격수, c3=
, hp=900 / 1620 / 2916, mana= 10/85 , ad= 60/ 90 / 135, ar= 40/40 , as=0.8, range=5)]
파일:varus_E.png
0레벨:100발의 악마
기본 지속 효과: 유닛이 사망하면 마나를 얻습니다. 적은 5, 아군은 3만큼 부여합니다.

사용 시: 바루스가 마나를 다 소모할 때까지 무작위 적에게 꿰뚫는 화살을 초당 3발(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발사합니다. 각 화살은 마나를 12 소모하며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적중할 때마다 피해량이 35% 감소합니다.
초당 화살 수(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3 + 공격 속도 50%당 1개

화살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85% / 130% / 666% ] + [ 10% / 15% / 666% ]
고통이 곧 나의 힘!(구매)
파괴와 몰락!(등급 상승)
불꽃 하나가 더 꺼졌을 뿐...(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마법사.[마법사]

악령과 저격수 덱의 최종 딜러. 스킬이 적을 관통하고 무작위 적을 대상으로 삼기에 상대의 뒷라인을 저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아이템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 노템 상태에서는 활약하기 힘들지만, 2성작이 되고 공격력과 마나 재생 아이템이 갖춰지면 5코 기물 중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주요 시너지인 악령 덱은 물론이고, 각종 밸류덱이나 악령 및 저격수 시너지가 들어가는 덱에서 후반 뒷심을 받쳐주거나 메인 딜러로 자주 채용된다.

3성이 되면 적이 죽을 때까지 미친 듯이 스킬을 난사하고 이 스킬에 의해 적 챔피언이 죽을 때 마다 악령 괴물을 소환한다. 그래서 다죽이고나면 전장이 악령 괴물들로 가득차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스킬 한방에 쓸어버리는 다른 5코 3성들에 비해서는 파괴력이 약한 편이라 5코 3성 중에서는 특수 기물인 에코와 트위스티드 페이트 다음으로 최약체에 속한다.

4.5.4. 브라움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5
, champname=브라움, champimg=braum_Eltigre.jpg
, set=15, c1=레슬링 챔피언, c2=프로레슬러, c3=요새
, hp=1200 / 2160 / 3888, mana=0 / 60, ad=80 / 120 / 180, ar=70 / 70, as=0.80, range=1)]
파일:braum_W.png
타이거 토네이도
1.5초 동안 대상을 기절 및 회전시켜 대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반경 2칸 내 다른 적에게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이후 대상을 전방으로 던져 대상 주변 1칸에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대상의 체력이 18%(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아래로 떨어질 경우, 대신 전장 밖으로 던집니다.
대상 기절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575% / 865% / 9001% ]

반경 2칸 내 다른 적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310% / 465% / 4501% ]

던지기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00% / 150% / 2000% ]

처형 기준값(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8% / 18% / 18% ]
붙어 보시겠다? 그렇게 해 드리지.(구매)
설마, 겨우 그거야?(등급 상승)
그렇게는 안 되지! / 주먹 맛을 봐라! / 브라움이 나선다!(스킬 사용)
오늘은 서로 싸우지만 언젠가 같은 편으로 만나기도 할 거야.(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전사.[전사]

스킬 사용 시 바로 앞에 있는 기물을 잡고 자이언트 스윙을 시전해 맵 반대쪽으로 날려버린다.

상대방 탱커를 집어 던져 전투 구도를 바꿔 유리한 싸움을 하게 만들어 주는 강력한 변수 창출용 스킬로, 5코스트에 걸맞은 스탯과 전투 구도를 뒤흔드는 사기적인 스킬로 프로레슬러 덱이나 3성작 이후 업을 친 리롤덱, 고밸류 덱등 수많은 덱에서 인기 있는 기물이다. 용병으로 쓰기에도 괜찮고, 전용 시너지인 '레슬링 챔피언'의 보험 덕분에 최종 조합에 브라움이 들어가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 상점에 뜨면 너도나도 집고 보는 기물.

심지어 스킬로 기물을 집어던지는 순간에 대상의 체력이 18% 이하일 경우 아예 맵밖으로 날려버려서 처형시키는데 완전 처형 판정이라 남은 체력, 방마저 내구력 같은거를 깡그리 무시하고 일격사시키며 크산테나 핵폭발급 등 죽을 때 발동하는 모든 효과도 씹어버리는 명실상부 롤체 최강의 제압기다. 이런 스킬을 1성부터 기본적으로 쓸 수 있기 때문에 5코 챔피언 중에 가장 고평가를 받고 있다.

요새 시너지에 여태껏 항상 탱커 기물로 등장해서 이번에도 탱커 기물로 착각하기 쉽지만 엄연한 공격력 전사 역할군이며, 탱커가 아닌지라 피격시 마나 수급이 없다. 이 때문에 빠르게 상대방 탱커를 구석으로 날려 버리고 싶으면 수호자의 맹세나 정의의 손길, 정령의 형상 같은 여신의 눈물 계열 아이템을 장착하는 것이 좋다.

주의할 점으로 사거리가 늘어난다고 스킬 범위가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저격수 상징이나 생선대가리 등 사거리 증가 아이템과는 매우 궁합이 좋지 않다.#

3성을 달성할 경우, 스킬을 사용하는 동안 기물 잡기 여부와 관계없이 거대한 회오리가 발생하며 접촉하는 모든 챔피언을 체력 상관없이 즉시 맵 바깥으로 날려 즉사시킨다. 스치기만해도 체력이고 내구도고 방마저고 싸그리 무시하고 그냥 한방에 즉살당하며 같은 5코 3성도 예외없이 잡히는대로 날려버리기 때문에 5코 3성 중에서는 한방에 전장을 초토화시키는 처형자 리 신 다음으로 강력하다. 심지어 리 신 조차도 아이템으로 스킬 발동 시점을 앞당겨주지 않으면 얄짤없이 잡혀서 날라간다.

4.5.5. 세라핀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5
, champname=세라핀, champimg=seraphine_Starguardian_PCver.jpg
, set=15, c1=별 수호자, c2=신동, c3=
, hp=900 / 1620 / 2916, mana=0 / 140, ad=50 / 75 / 113, ar=40 / 40, as=0.8, range=4)]
파일:eraphine_E.png
유대옥
기본 지속 효과: 유대옥 피해량은 전체 아군 추가 능력치(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파일:롤아이콘-치명타확률.png, 파일:롤아이콘-치명타피해량.png,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를 기반으로 하는 우정의 힘에 따라 달라집니다. 세라핀의 능력치는 더 많이 반영됩니다.

사용 시: 4칸 내 가장 큰 적 무리를 향해 우정 폭탄을 발사하여 반경 2칸에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35% / 205% / 2468% ]×우정의 힘
내 목소릴 따라와~(구매)
하, 대박인데?(등급 상승)
눈부시게! / 키스로! / 빛날 시간이야!(스킬 사용)
.(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마법사.[마법사]

신동 및 별 수호자 덱의 최종 기물. 드래곤볼원기옥을 연상시키는 스킬을 들고 있고, 아군의 능력치가 투사체의 피해량에 반영된다.

스킬 사용에 필요한 마나가 굉장히 많고, 선딜레이도 매우 길어서 기물 자체의 평가는 좋지 않다. 능력치를 추가로 획득하는 별 수호자 덱에서는 일단 스킬을 사용하면 상대의 뒷라인을 폭사시킬 정도의 데미지가 나오지만, 스킬 사용이 너무 느려서 쇼진의 창 등의 마나 재생 아이템이 필수적이다. 반대로 신동 덱에서는 마나 재생이 높아져 스킬 사용 타이밍 자체는 빠르지만, 데미지가 형편없어서 시너지 셔틀 외에는 유의미한 역할을 하기 어렵다.

시즌 초 워낙 성능이 나쁜 탓에 채용률이 저조하자, 스킬 캐스팅이 되기만 한다면 본체가 죽어도 스킬이 나가게끔 패치가 되었고, 동시에 데미지도 늘어나서 확실히 별 수호자 덱에서 1~2성 세라핀이 동급 아리에게 밀리는 상황은 없어졌다. 다만 신동 덱에서는 말자하가 마깎 및 치감 디버프를 묻히는 성능이 우수하기에 여전히 입지가 낮다.

특이하게도 스킬의 데미지가 아군의 능력치에 영향을 받기에, 구인수나 대천사 등 전투 시간에 비례해 능력치를 올려주는 아이템과 궁합이 좋다. 꼭 세라핀 본인이 아이템을 쓰지 않더라도, 아군에 해당 아이템을 장착한 기물이 있으면 세라핀의 파괴력도 유의미하게 증가한다. 구인수, 크라켄을 고정적으로 채용하는 징크스가 있는 별 수호자 덱에서 세라핀이 활약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3성에서는 스킬의 범위가 거의 맵 전체를 뒤덮을만큼 엄청나게 거대해지며 어지간해서는 한방에 보낼 정도로 막강한 딜을 먹인다. 게다가 이걸로 죽은 적 기물을 아군 기물로 바꿔서 전투에 참여시킨다. 사실상 발동에 성공만 하면 무조건 이긴다고 보면 된다. 다만, 선딜이 상당히 긴 편이라 같은 5코 3성 대결에서는 순식간에 맵 전체를 초토화시키는 브라움과 리 신한테 밀린다.

4.5.6. 요네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5
, champname=요네, champimg=yone_Maskedjustice.jpg
, set=15, c1=거대 메크, c2=이단아, c3=
, hp=1300 / 2340 / 4212, mana=80 / 180, ad=40 / 60 / 90, ar=70 / 70, as=1.00, range=1)]
파일:yone_P.jpg
쌍검술: 내면의 반향
기본 지속 효과: 기본 공격 시 공격 속도 및 이동 속도를 4% 얻습니다. 이 효과는 중첩됩니다. 또한 추가 고정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와 추가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번갈아 입힙니다.

사용 시: 가장 멀리 있는 적 2명을 향해 메아리를 보내 적중한 적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히고 잠시 기절시킵니다.
공격 속도 증가량:
[ 4% / 4% / 25% ]

고정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25% / 40% / 400% ]

마법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90% / 135% / 999% ]

타격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120% / 180% / 9999% ]
내 검을 받을 가치도 없군.(구매)
카세톤!(등급 상승)
사적인 감정은 없다!/내 검으로 네 이름을 밝혀주마!(스킬 사용)
누구나 가면을 쓰지..!(전투 종료)
역할군은 공격력 전사.[전사]

원작의 궁극기를 사용하며, 직접 사용하지 않고 두 명의 분신을 가장 멀리 있는 적에게 보내 각각 스킬을 사용한다. 범위가 꽤 넓고 기절이 붙어있기 때문에 상대 후방 딜러들의 행동을 묶는데 제격이다.

시즌 초반 모든 덱에서 용병으로 쓰일 정도로 말도 안되는 성능을 보였으나 이후 너프를 무진장 먹고 세라핀과 같이 5코 폐급 듀오 취급을 받게 되었다. 이후 다시금 소폭 상향을 받고 성능 자체는 무난한 수준으로 올라왔지만, 시너지가 비주류에 속하는데다 템빨을 많이 받는 탓에 채용률은 낮다.

3성을 달성할 시 스킬을 사용하면 요네의 분신들이 원형으로 도열 후 화면이 암전되고 캐릭터들이 하얀색 실루엣으로 보이며, 요네가 실루엣으로 모든 상대 기물들을 하나하나 베어버리는 연출과 함께 빨간색이 된 기물들을 처형한다.[154][155] 연출이 워낙 임팩트 있어서 간지하나는 최강이지만 스킬을 사용 중에도 요네가 무적은 아닌데다 단순히 일정량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이 피해로 죽게되는 기물을 차례대로 처형하는 메커니즘이라 체력이 많은 경우 한방에 죽지 않고 버티는 경우가 종종 나오기도 하며, 스킬 한 방에 초토화시키는 다른 5코 3성에 비해서는 파괴력이 약한 편이라 5코 3성 대결에서는 밀리는 편이다.

4.5.7. 자이라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5
, champname=자이라, champimg=2021_Crystal Rose.jpg
, set=15, c1=수정 갬빗, c2=장미 어머니, c3=
, hp=750 / 1350 / 2430, mana=40 / 100, ad=60 / 90 / 135, ar=30 / 30, as=0.75, range=4)]
파일:zyra_R.png
수정 가시 전개
대상으로 지정할 수 없는 가시 발사 꽃을 4개 소환합니다. 가시 발사 꽃은 4회 공격하며 공격당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식물이 아닌 아군이 공격 속도(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얻습니다. 공격 속도는 4초에 걸쳐 점차 사라집니다.
식물 수:
[ 4 / 4 / 20 ]

식물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80% / 120% / 999% ]

공격 속도(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15%+[ 40% / 60% / 999% ]
각오해.(구매)
내 손아귀를 피할 자, 누구냐?(등급 상승)
운명의 장난 같네. 내가 흥하면 넌 망하니까.(전투 종료)
역할군은 주문력 마법사.[마법사]

전용 시너지로 별도로 배치할 수 있는 식물을 소환하여 싸우고, 스킬 사용 시 대상 지정이 불가능한 여러 개의 꽃이 추가로 공격한다. 식물은 전방 2열에 배치 시 체력과 방마저가 높은 탱킹형 스탯을, 후방 2열에 배치할 시에는 주문력이 높은 원거리 딜러형의 스탯을 가진다. 일반적으로는 전방 2열에 두는 것이 선호되는 편으로, 2성 자이라 기준 체력 2천이 넘고 방어력이 90이 넘는 꽃이 자이라 스킬 사용마다 체력이 회복되거나 부활한다는 점이 대부분의 상황에서 후열 2열 배치보다 좋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아군 서포트 및 식물을 통한 유틸리티가 핵심인 기물로, 어느 덱에서나 용병으로 쓸 수 있는 높은 인기와 범용성을 자랑한다. 다만 유틸성 기물이 여태까지 그래왔든 캐리력은 낮은 편이다. 또한 스킬 사용에 필요한 마나가 많은 편이기에, 여유가 된다면 2개 이상의 마나템을 장착하는 것이 좋다. 나머지 한칸은 공허의 지팡이나 모렐로노미콘, 레드 같은 서포트 아이템을 많이 장착하는 편.

7수정 갬빗 활성화를 위한 수문장 역할로, 갬빗 상징이 없는 상태에선 아예 7갬빗을 활성화시킬 수 없고, 상징이 하나뿐인 수정 갬빗 덱은 얼마나 자이라를 빨리 찾느냐에 따라 등수가 결정된다. 4라운드 초반이나 초밥에서 자이라를 찾는다면 시너지를 활성화하여 덱을 완성하고 보상을 타먹으며 등수를 높일 수 있지만, 자이라를 찾지 못하면 허약한 덱으로 버티다가 고꾸라지기 쉽다.

3성 달성 시 전투가 시작하자마자 맵 전체를 수많은 꽃으로 뒤덮어 모든 적을 동시에 공격하는데, 꽃 하나하나의 대미지가 무지막지해서 결투가 리 신의 스킬 마냥 적들이 순식간에 녹아버린다.

4.5.8. 트위스티드 페이트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5
, champname=트위스티드 페이트, champimg=twistedFate_Odyssey.jpg
, set=15, c1=해적 선장, c2=크루, c3=
, hp=900 / 1620 / 2916, mana=40 / 120, ad=30 / 45 / 68, ar=40 / 40, as=0.85, range=4)]
파일:twistedFate_E.png
카드 52장의 재앙
기본 지속 효과: 기본 공격이 적 3명 사이를 튕기며 추가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히고 적중한 적에게 표식을 남깁니다. 기본 공격이 적중할 때마다 피해량이 30% 감소합니다.

사용 시: 가장 가까운 적 4명에게 물리 피해(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를 입히고 표식을 터뜨려 각각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기본 지속 효과 피해량:
[ 35% / 55% / 999% ]

스킬 대상 수:
[ 4 / 4 / 20 ]

스킬 피해량(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200% / 300% / 9999% ]

표식당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15% / 25% / 500% ]
어때, 멋지지?(구매)
싸울 운명이 아니야.(등급 상승)
조커는 두 장밖에 없는 줄 알았는데, 너라는 패도 있군.(전투 종료)
역할군은 혼합 원거리 딜러.[원거리딜러]

크루 덱의 최종 기물이다. 크루 함선을 업그레이드하여 미사일의 피해량 일부를 고정 피해로 바꾸는 강력한 효과를 가졌기에, 완성된 크루 덱에 최우선으로 채용된다. 미미한 스킬 이펙트때문에 약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자체 성능도 강력해서 딜러로도 충분히 활약할 수 있으며, 매 턴 보상을 제공하는 특성 때문에 밸류덱에서 빈 자리에 채용되기도 한다. 평타가 4명에게 적중하는 특성상 레드나 모렐로, 마법사의 최후 같은 아이템, 평타시 일정 확률로 적을 기절시키는 얼어붙은 손길 같은 파워업과는 찰떡 궁합이었다. 단 얼어붙은 손길은 지나치게 궁합이 좋아서 15.1a패치로 파워 업 자체가 비활성화되었다. 유독성 함정 파워업의 추가 이후로 유독성 함정이 주력 열매가 되었다. 이외에도 쌍계수 챔피언 특성상 웬만한 딜템은 잘 어울리나 구인수 하나 정도는 필수로 장착되는 편이다.

3성을 찍으면 스킬 발동 시 대기석에 트페의 분신들이 가득 소환되어 카드를 무차별 난사한다. 문제는 스킬이 단일 대상 목표방식이라 하나하나 제거하기 때문에 바루스와 비슷하게 스킬 한방에 초토화시키는 다른 5코 3성들에 비하면 파괴력이 약해서 5코 3성 대결에서는 밀리는 편. 하지만 트페를 3성 찍는 경우는 보통 크루 시너지를 가는 경우이기 때문에 어지간해서는 트페 3성을 찍는 순간 크루 프리즘을 켜서 게임이 바로 끝나는 상황이 오는지라 별로 상관이 없다.

자체 시너지인 '해적 선장' 효과로 플레이어 대상 전투마다 보상이 더 좋아지기 때문에 빨리 뽑았다면 전장에 넣는 것이 좋다.보상표

4.6. 증강 전용 기물

4.6.1. 에코

[include(틀:전략적 팀 전투/챔피언5
, champname=에코, champimg=2015_Academy_2.jpg
, set=15, c1=책략가, c2=마법사, c3=신동
, hp=1100 / 1980 / 3564, mana=50 / 100, ad=40 / 60 / 90, ar=70 / 70, as=0.85, range=1)]
파일:ekko_R.png
멈춰버린 세계
이세계 증강으로 인해 다른 세계에서 에코가 끌려 나왔습니다.

모든 유닛을 멈추고 가장 가까운 적 4명을 총 7회 기본 공격합니다. 기본 공격마다 추가 마법 피해(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를 입힙니다.
추가 피해량(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200% / 300% / 600% ]
역할군은 주문력 전사.[전사]

프리즘 증강인 이세계 증강에서만 등장하는 기물로 위 3개 시너지 중 하나를 보유한 채로 등장한다. 또한 시너지에 관계없이 증강에서 정의의 손길을 확정적으로 제공했었지만 너프 이후로 제공하지 않는다. 스킬은 세트3 시절과 같이 사용하면 시간이 정지하고, 4명의 적을 각각 7회 타격한다. 아군까지 정지시키는 점 역시 동일하다.

시간을 정지시키는 류의 기물들이 늘 그래왔듯, 에코가 있을 때엔 대천사의 지팡이같은 전투 시간이 길 때 좋은 아이템이나 전투증강, 시너지가 잘 어울린다.

상점에서 구매할 수 없는 대신 스테이지에 따라 별 레벨이 자동으로 강화되는데 5스테이지에서 2성, 8스테이지에서 3성으로 업그레이드된다. 또한 상점에서 구입할 수 없지만 실질적으로는 5코스트 기물로 취급되고 있다.

8라운드까지 가면 3성을 찍을 수 있으나 그전에 게임이 끝나는 경우가 많아 보기가 매우 힘들고, 다른 5코 3성에 비해 성능도 떨어진다. 사실상 높은 저점으로 순방을 확보하는데 특화된 기물.

영문 스킬명은 The World Stands Still로 DIO의 패러디. 한글 스킬명으로는 알아 차리기 힘든 아쉬운 번역이다.
[1] 당장 이번시즌 핵심 기믹인 파워업 시스템 부터가 악마의 열매 패러디이며, 그 외에도 애쉬의 스킬 '게이트 오브 아바로사', 골드 증강체 '나 혼자 레벨 업', 파워 업 '9,000 초과'등이 있다.[2] 15.4 패치로 흡혈이 사라지고 성장형 공격속도 부여로 변경[3] 15.4 패치로 역할군 삭제[별수호자] 마나 18500 소모[소울파이터] 플레이어 대상 전투 10회 승리[전투사관학교] 전투 종료 시 장착한 완성 아이템의 갯수만큼 점수 획득, 160점 획득 시 졸업[7] 단 시너지가 4~6이 최대인 프로레슬러, 슈프림 쉘, 멘토, 크루, 악령은 프리즘 시너지가 존재하지 않는다.[8] 정확히 말하자면, 크루는 모든 크루 3성을 달성시 5크루 시너지가 프리즘 색깔로 변한다. 그 이후 자신을 제외한 모든 전설이를 처형한다.[거대메카] 2-1에서 '나는 머리' 증강 획득 후 별 레벨 합계 14 이상의 거대 메크 기물 7명을 배치하고 10레벨에 도달[수정] 갬빗 수정 갬빗 시너지를 보유한 기물 10개 이상 배치. 기본적으로 수정 갬빗 시너지를 가진 기물은 신드라, 바이, 잔나, 스웨인, 애쉬, 자이라 6개 기물만 있기에 다르게 보자면 수정 갬빗 상징 4개 이상 사용으로도 볼 수 있다.[11] 해당 게임에서 등장하는 3개의 증강이 모두 골드 증강으로 고정된다. 프리즘 증강이 없어 많은 유저들이 싫어한다.[12] 각 플레이어의 결투장에 전략가가 상호작용을 하여 튕겨낼 수 있는 비치볼 기물이 생긴다. 다만, 비치볼을 튕기면서 놀 수 있다는 것 이외 아무 능력이 없는지라 단순히 예능용인 관계로 이게 걸리면 사실상 아무런 조우자 효과가 없는 판인 셈이다.[13] 몬스터 라운드의 적 유닛이 바위 게로 고정되며 처치 시 추가 보상을 준다.[14] 상위 4위 안에 들어 순방에 성공한 시점에서 획득하는 것이라 사실상 4위 확정 이전까지는 아무 능력이 없는 셈이다.[15] 공동 선택에서 등장하는 챔피언의 수가 무려 2배로 늘어나 총 16명의 챔피언 중 선택하게 된다. 선택지가 늘어나기 때문에 원하는 보상을 얻을 기회가 늘어나는 셈이지만, 그만큼 회전하는 챔피언들 사이의 간격이 훨씬 좁아져서 컨트롤이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노리는 챔피언이 아닌 옆에 있는 다른 챔피언을 잘못 픽업하기가 쉬워져서 주의가 필요하다.[16] 증강이 등장하는 라운드가 1라운드씩 앞당겨진다.[17] 3번째 마지막 증강이 무조건 프리즘 증강으로 고정된다.[18] 자이라의 프리즘 대단원과는 정반대의 효과로 맨 처음 등장하는 첫 번째 증강이 프리즘 증강으로 고정된다.[19] 게임 시작 시 무작위 상징 3개가 장착된 골렘이 배치된 상태로 게임을 시작한다. 골렘은 거대 메크 특성 활성화 시 등장하는 거대 메크 기물과 유사한 판정으로 인원 수를 차지하지 않지만, 체력과 공격력이 있어서 훈련용 봇과 다르게 전투 시작 시 함께 전투에 참여하여 아군을 보조해주며, 소환사 레벨에 따라 성급이 진화하며 체력과 공격력이 점차 증가한다. 또한, 아군 챔피언 중 하나로 취급되기에 챔피언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상호작용 효과와 상징 효과까지 그대로 공유받을 수도 있고 나머지 아군이 다 사망하고 골렘 혼자만 살아남아도 승리로 취급된다. 단, 위치를 자유롭게 옮길 수는 있지만 판매 하거나 대기석으로 빼는 것은 불가능하며, 자석 제거기나 재조합기로 상징만 빼내는 것도 불가능하다. 시작 시 무작위로 부여된 상징 3개가 끝날 때 까지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것.[20] 야스오의 골드 향연의 상위 호환으로 3개의 모든 증강이 프리즘 증강으로 고정된다. 프리즘 증강은 하나하나의 효과가 매우 막강하기에 게임이 굉장히 파격적으로 진행되는 특성을 보이지만, 조우자 효과는 모두가 공통적으로 공유하기에 내가 강해지는 만큼 적들도 빠르게 강해지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모든 팀의 전력 강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기에 보다 신경써야 할 것이 많아지는지라 초보자들이 걸리면 어려운 판이 된다.[21] 기본적으로 유미의 바위 게 웅덩이와 거의 동일하지만 5라운드 이후 등장하는 개체가 보스 개체인 광란 바위 게로 변화되는 것이 차이점. 광란 바위 게의 경우 덩치가 엄청나게 커지고 그만큼 체력도 단단해지며, 지속적으로 맵 전체의 범위로 광역 공격을 해대서 미리 충분히 아군 전력을 키워두지 않으면 제대로 파밍하지도 못하고 그대로 몰살당하는 엔딩을 맞을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물론, 어지간해서는 5라운드까지가면 팀 전력이 어느 정도 강해지기 때문에 잡는게 그리 어려운 편은 아니다. 문제는 후반 뒷심을 본다고 전력에 투자를 하지 않고 계속 골드를 모으는 전략을 하는 경우인데, 이 조우자가 걸린 판에서는 적어도 4-1부터 아낌없이 투자해서 팀 전력 증강을 최우선적으로 해줘야 안정적으로 광란 게를 잡아낼 수 있다.[22] 현재 조우자 목록에는 있으나 게임에 등장하지 않도록 비활성화 되어 있다.[23] 최대 2스테이지까지만 선택지 중 하나로 제시될 수 있음[24] 상승하는 능력치는 완전히 무작위는 아니고, 역할군에 따라 어울리는 스탯이 붙을 확률이 더 높으며 케일처럼 마나가 없는 기물에는 마나 스탯은 붙지 않는다. 원래는 크립 라운드에도 쌓이는 대신 상승치가 지금의 80%가량이어서 첫 크립 라운드인 1-2, 늦어도 1-3정도에 뽑아야 제값을 하는 파워업이었으나, 이후 크립 라운드에 쌓이지 않는 대신 상승량이 25%버프되어 현재는 2스테이지 초중반까지만 집으면 왕귀가 보장되는 준수한 키우기 파워업이 되었다.[25] 조건: 최소 3스테이지까지 진행되었고, 플레이어 레벨이 6 이상일 때 선택지 중 하나로 제시될 수 있음[26] 4스테이지에만 등장[27] 스테이지 4에서 전략가 체력이 75 이상일 때만 등장 가능[28] 레벨 5 이하일 때만 등장[29] 2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30] 2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31] 2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32] 4스테이지 이후에만 등장[33] 스테이지 3 이후에만 등장[34] 2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35] 2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36] 2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37] 3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38] 3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39] 3스테이지 이전이면서 레벨이 5 이하일 때만 등장[40] 3스테이지 이후에만 등장[41] 4스테이지 이후에만 등장[42] 3스테이지 이후에만 등장[43] 2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44] 2스테이지 이전이면서 레벨 6 이하일 경우에만 등장[45] 2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46] 2스테이지 이전이면서 레벨 6 이하일 때만 등장[47] 2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48] 스테이지 3 이후에만 등장[49] 3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50] 3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51] 2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52] 2스테이지 이전에만 등장[53] 룰루 및 괴물은 예외로 22개이다.[54] 특수 기물이 으래 그렇듯 엄연히 아군 기물 판정이라 다른 아군이 다 죽고 거대 메크 로봇만 살아남아도 즉시 패배 처리되지 않으며 거대 메크 로봇이 홀로 활약하여 기적적으로 이기는 경우가 종종 나온다.[55] 모두 골드 증강으로 각각 나는 다리, 나는 팔, 나는 머리. 이 중 나는 머리 증강은 프리즘에 하나 더 존재한다.[56] 즉, 처음에 골드 등급의 증강으로 나는 다리를 먹어도 두번째 증강의 희귀도가 실버나 프리즘이면 등장하지 못 한다는 것. 근데 세번째 증강의 희귀도가 골드면 나는 다리를 골랐으니 다음 증강인 나는 팔이 확정적으로 등장한다. 누구 놀리는 것도 아니고[57] 골드 - 골드 - 골드, 골드 - 골드 - 프리즘[58] 거대 메크 기물은 총 7명이므로 사실상 전부 2성작을 하라는 의미이다. 다만, 5코인 요네 2성이 생각보다 어렵기 때문에 아트록스나 루시안 등 저코 기물을 3성작을 했다면 요네는 하나만 뽑아도 프리즘 달성은 가능하다.[59] 신드라 제외. 신드라는 프레스티지 별 수호자 스킨으로 나왔다.[60] 시즌 초기에는 4라운드[61] 예를 들어 300스택 보상은 완성 아이템 모루 3개 / 전략가의 왕관 + 15골드 / 유물 모루 + 1코 3성 2개 + 4골드 의 3가지로 이뤄져있는데, 이를 받기 위해서는 2-2부터 갬빗을 켜고 기물을 한두마리씩 잡으며 연패하다 4-1에 보상을 받거나, 3-3에 갬빗을 켜고 4-5에 보상을 받는 식으로 운영한다. 전자는 평범한 연패 시너지 운영법과 비슷하지만, 수정 갬빗은 후자처럼 늦게 켜도 스테이지에 따라 얻는 스택이 늘어나는 수정 갬빗의 특성상 높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특히 300보상 3가지 모두 이번 시즌 3코스트 리롤덱들과 궁합이 좋아, 3-3 전까지 최대한 피관리 후 필연적으로 약해지는 3-3부터 갬빗을 켜고 연패하다가 4-5에 반등하는 운영법이 천상계에서 애용되고 있다.[62] 내구력은 고정 피해를 제외하고 받는 최종 피해량 자체를 비율제로 줄이는지라 내구력 99%는 어떤 공격을 받아도 고작 1%의 피해만 받는다는 의미이므로 사실 상 무적 상태라고 볼 수 있다.[63] 번개는 대상이 2개 이하로 남으면 피해량이 중첩된다[64] 이런 특성 때문에 나왔던 덱이 바로 6전쟁기계 케일 덱. 앞라인에 6전쟁기계와 악령 탱커 기물인 자크를 앞세우고 케일에게 혼자 딜을 맡기는 것인데 케일이 전형적인 왕귀 기물인만큼 아이템을 맞추고 레벨이 오를수록 캐리력이 증폭되고 승리도 보장된다. 다만 15.4 기준으로는 승률이 6악령에 비해 근소하게 낮다.[65] 유물과 찬란한 아이템도 완성 아이템으로 취급되서 점수에 누적되긴한다. 단, 상징은 제외.[66] 이론상 상대방이 시즌 13의 6코 3성을 가지고 있더라도 이길 수 있다. 6코스트 3성도 플레이어 처형 효과를 탑재하고는 있지만 전투에 돌입해서 스킬을 써야 발동하는 데 비해 프리즘 크루는 달성하는 즉시 전투도 안치르고 바로 모든 플레이어를 동시에 처형하기 때문이다.[67] 다만, 5코 3성 기물을 따위로 만들 정도로 강력한 효과와 행성 파괴자라는 거장한 이름치고는 연출이 꽤나 초라해서 빈축을 사고 있다. 모든 플레이어의 화면을 핵미사일 카운트 다운으로 가리고 3초 후 공동 선택 구역에 강제로 불러온 뒤 함선이 나타나 공동 구역에 모인 모든 전설이에게 999의 데미지를 입혀서 즉시 처치하는 연출인데 여기까지는 꽤 임팩트있어보이지만 처치하는 방식이 어지간한 전설이보다 작은 콩알탄 하나 찍(...) 날려서 죽이는게 끝이다. 심지어 이걸로 처형하는 경우 신화급 전설이의 처형 연출도 발동하지 않아서 그냥 그대로 승리/패배 화면만 나온다. PBE에서는 콩알탄을 날리며 전설이에게 하늘에서 레이저를 발사하는 꽤나 임팩트있는 처형 모션이였으나, 어찌된 일인지 본섭에 넘어오면서 갑작스럽게 삭제되어 이런 단순한 처형모션만 남은 것.[68] 가장 흔한 경우가 볼리베어를 캐리로 쓰는 경우이다.[탱커] 탱커는 공격당 마나를 5 획득합니다. 피해를 받을 때도 마나를 획득합니다. 적에게 대상으로 지정될 확률이 더 높습니다.[70] 후딜레이는 여전히 존재한다.[원거리딜러] 원거리 딜러는 공격당 마나를 10 획득합니다.[72] 공격 85회마다 2골드를 얻으며, 반복할 때마다 얻는 골드가 1씩 증가해 85회마다 2-3-4...순으로 골드가 늘어난다.[73] 동일한 아이템을 가진 분신 1개 소환. 분신은 낮은 피해량과 낮은 체력을 가진다.[전사] 전사는 공격당 마나를 10 획득합니다. 5~30%(스테이지에 비례)만큼 공격 속도를 얻습니다.[탱커] [마법사] 마법사는 공격당 마나를 7 획득합니다. 초당 2 마나를 재생합니다.[탱커] [78] 다만 마법 저항력은 증가하지 않기에 이론상 용발의 효율이 좋으나, 통계상으로 오히려 가시 갑옷을 주는 쪽이 자주 선택된다.[마법사] [마법사] [탱커] [82] 캐릭터를 중심으로 주변 6칸까지 총 7칸에 사교계 필드를 깔고 필드 내 아군에게 피증 12%와 체력 150을 부여하는데, 이게 5턴이나 지속돼서 매턴 사교계 유닛의 배치를 바꿔주는 수고만 감수하면 매 턴마다 아군의 모든 유닛에게 사교계를 확정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마법사] [탱커] [85] 다만 가장 낮은 체력의 아군을 회복시키는 악령 시너지 특성상, 총공세 크산테 같은 덱에서는 쓸데없이 힐을 잡아먹는 자크를 죽여야 해 탬 없이 1성인 상태로 상대의 집중 포화를 맞는 구간에 배치해야 한다.[마법사] [탱커] [전문가] 전문가는 특별한 방식으로 자원을 생성합니다.[89] 단, 이 파동은 시스템 상 스킬 투사체로 취급되서 기본적으로는 치명타가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석 건틀릿 등으로 스킬에 치명타를 주면 효율이 상당히 좋아진다.[90] 다만, 해당 파워는 3스테이지 이전에서만 등장하므로 초반부터 미리 먹어둬야 하는데 7레벨 달성 전 까지는 아무 능력도 없는 셈이라 초반에 비교적 힘이 빠지는 단점이 있다.[전사] [탱커] [마법사] [94] 다만 이쪽은 킬 결정력이 훨씬 높고 시너지도 완전히 동일한 루시안을 쓰는 경우가 더 많다.[탱커] [탱커] [탱커] [탱커] [마법사] [전문가] [101] 구인수가 너프되며 효율이 떨어진 것도 있고, 올 앞라인에 진이 솔로캐리를 담당하던 전쟁기계 진과 달리 진말파는 앞라인은 4봉쇄자 정도로 끝내고 저격수 시너지를 늘리는 덱이라 구인수 스택으로 충분히 딜이 나올 만큼의 시간이 끌리지 않기 때문이다.[원거리딜러] [전사] [104] 15.4 패치 전에는 암살자였으나 변경되었다.[105] 갱플랭크, 라칸, 카타리나[106] 4 멘토 활성화 시 스킬명이 '대지 분쇄'로 변경된다.[탱커] [탱커] [전사] [110] 선택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만 출력된다.[111] 람머스, 스몰더, 코그모 중 어떤 것을 선택해도 전투 종료 대사는 선택한 기물의 대사 출력 후 룰루의 대사가 반드시 출력된다.[탱커] [마법사] [원거리딜러] [마법사] [116] 필드 전체 치감인 태양불꽃판이 골드 증강이라는걸 생각하면, 거기에 방마깎까지 달아준 유독성 함정은 프리즘급 성능이나 마찬가지. 게다가 말자하는 뒷라인에도 스킬을 묻히는 특성상 다른 기물에게 공허의 지팡이나 이온 충격기를 줘서 마깎을 담당하게 하기 어렵고 본인이 공허의 지팡이를 코어템으로 삼아야 했는데, 유독성 함정의 등장으로 공허의 지팡이 대신 더 강력한 아이템을 쓸 수 있게 되었다.게다가 이번 시즌 파워 업에는 이미 치감을 묻히는 '태양 숨결', 파쇄+파열을 부여하는 '천공 관통'이 따로 존재하는데, 사실상 유독성 함정은 이 두 파워 업을 합쳐놓은 말도 안되는 성능이라는 것이다.[전사] [마법사] [탱커] [120] 워모그의 갑옷, 정령의 형상, 가고일 돌갑옷[마법사] [122] 4 멘토 활성화 시 스킬명이 '1,000개의 칼날 폭풍'으로 변경된다.[전사] [124] 4멘토를 맞출 때 강화되는 스킬의 CC기는 코부코도 할 수 있고, 코부코는 후방 라인까지 CC기를 넣을 수 있는데다 추가로 받는 피해 감소도 있어 더더욱 쓰이지 않는다.[125] 4 멘토 활성화 시 스킬명이 '초고열 지옥불'로 변경된다.[126] 4 멘토 적용 시 180% / 230% / 320%[탱커] [전사] [원거리딜러] [마법사] [131] 4 멘토 활성화 시 스킬명이 '물의 심판'으로 변경된다.[마법사] [133] 사실 딜적인 측면에서 성능이 좋지 않아 순수한 시너시 셔틀용이긴 했다. 심지어 마법사 덱에서는 마법사 상징이 있는게 아닌 이상 2성을 절대 찍지 않고, 부실한 앞라인에 그냥 고기방패용으로 세워 놓는게 랭커들의 팁이였다! 깨알같은 책략가 실드 덕분에 정말로 고기방패로 써도 어느 정도 효율이 나왔던 것은 덤.[탱커] [전사] [탱커] [137] 크라운가드의 시작 보호막, 스테락의 60% 이하 보호막, 수맹의 40% 이하 보호막, 뽀삐 스킬의 자체 보호막으로 최소 4번의 보호막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 끝없는 절망으로 보호막 흡수량을 되돌려주기까지 하면 무지개반사 뽀삐를 볼 수 있다.[마법사] [139] 쇼진으로 스킬 회전률을, 무대와 타격대로 스킬의 딜량과 킬 결정력을 챙기는 식으로 스킬에 몰빵한 세팅이다.[탱커] [전사] [원거리딜러] [143] 수정 갬빗 조합의 너프 이전에는 무려 5수정갬빗 보상으로 명멸검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너무 사기적이라는 지적이 있어 결국 15.2 패치로 5수정갬빗 조합에서는 명멸검을 획득할 수 없도록 조정되었다.[마법사] [탱커] [마법사] [탱커] [전사] [전사] [마법사] [전사] [마법사] [전사] [154] 완전 처형 판정으로, 크산테의 부활 또한 무시한다.[155] 마지막에 요네가 절묘하게 검집에 칼을 넣으며 스킬이 마무리된다.[마법사] [원거리딜러] [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