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16:29:42

유기(금속)

놋그릇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금속공예 <colbgcolor=#fff,#191919>유기 · 숟가락 · 장도 · 떨잠
도자공예 가야토기 · 신라토기 · 고려청자 · 고려백자 · 분청사기 · 조선백자 (철화백자 · 청화백자 · 달항아리) · 조선청자 · 옹기 · 귀면와 · 청기와 · 잡상 · 토우
목공예 병풍 · 솟대 · 상여 · 꼭두 · 장승 · 나막신 · 채상 · 낙화 · 윤도
석공예 곡옥 · 석탑 · 석등 · 돌하르방
섬유공예 오방낭 · 제웅 · 청사초롱 · 금줄 · 조각보 · 매듭 (노리개 · 선추) · (흑립 · 삿갓) · 망건
종이공예 · 종이 우산 · 접부채(합죽선 · 칠첩선) · 채화
칠공예 나전칠기
종합공예 열쇠패 · 곰방대 }}}}}}}}}

파일:external/img.khan.co.kr/cos_0.jpg

brazen bowl

1. 개요2. 특성3. 항균 효능4. 명칭 분류5. 기타

1. 개요

구리 합금(놋)으로 만드는 기물을 말한다.

좁은 의미로는 구리와 주석의 합금인 청동(유기)[1]으로 각종 기물을 만드는 기술과 그로 만든 기물들을 뜻하는 말로, 넓게는 황동(아연 합금)이나 백동(니켈 합금) 등 구리 합금 전반으로 만들어지는 기물을 뜻하는 말로도 쓰인다. 당연히 구리를 다루는 기술이 필요하기에 청동기 시대부터 만들었다.

2. 특성

한반도에서는 흔히 고급 식기를 만들었으며 이것을 놋그릇이라고 한다. 8세기[2] 신라 때부터 유기를 만드는 국가의 전문기관인 철유전(鐵鍮典)이 있었고, 일본에 전해지기도 했다(정창원 신라 유기그릇, 정창원 신라 유기접시, 정창원 신라 숟가락). 아직 도자기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전이라 사람들은 금속제 그릇을 많이 사용했고 안압지 등에서 유물도 많이 나왔다. 고려 시대에는 그 기술이 더욱더 발전하여 얇고 광택이 아름다운 유기를 만들었다. 그래서 이때의 한국산 유기제품은 외국에 신라동, 고려동이라 해서 귀한 대접을 받았다.

고려시대부터 도자기 기술이 발전하면서 지배계급의 그릇이 청자, 백자 등 자기로 바뀌게 되어 상대적으로 시장 점유율이 떨어졌으나, 조선 후기 광업의 발달로 인해 원자재 공급이 용이해지면서 18세기에 이르러 대세가 되었다. 당시 사대부들이 경기도 안성에 유기를 주문 생산케 하였는데, 안성에서 제작된 유기는 형태나 기능이 월등히 뛰어나 사대부들의 마음을 흡족케 했고, 그로 인해 "안성맞춤" 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유기장 역시 한양보다 갑절 이상 규모가 컸다고 전해진다. 유기 하면 안성유기을 떠올리게 된 것이 이런 이유에서이다. 그 외에도 정주(평북)와 김천·함양은 방짜, 순천(전남)은 방짜와 주물의 중간 형태인 반방짜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었다고 한다. 안성안성주물로도 유명하다.

이후로도 유기장은 전통적인 금속공예기술로서 지역별로 독특한 양상으로 발전하였고, 실용성이 높은 고유의 공예품으로서 그 가치가 인정되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재 방짜 방식으로 경기도 안성의 김수영 선생이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그외 경북 문경의 이봉주 선생, 주물 방식으로는 반방짜 방식으로는 전남 보성윤재덕 선생 등이 기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이렇듯 전통적으로 흔히 사용되던 식기류였지만, 일제강점기 시절 금속공출로 많이 사라졌고[3] 60년대 이후 플라스틱, 양은,[4] 스테인리스 등 새로운 재질이 쏟아져 나오면서 사양길에 접어들었다. 일설에는 연탄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유기는 설 자리를 잃었다고 하는데, 유기그릇이 연탄가스에 산화돼 변색되고 이 스는 바람에 더 이상 버티지 못했던 탓이라 한다. 연탄이 아니라도, 전통식대로 만든 유기는 잘 닦고 밀폐 보관하지 않으면 금세 표면에 산화(녹)가 일어나고 변색되는 게 가장 문제라서, 일상용 식기로 쓰기에는 손이 많이 가는 재질이다. 때문에 집안일할 사람이 적은 현대사회의 핵가족 가정에는 안 맞는 면이 있다.

어쨌든 20곳이 넘던 안성의 유기공방도 현재는 김수영 유기장 보유자(중요무형문화재 제77호)가 운영하는 안성마춤유기공방[5]만 남았다.[6] 그나마 근래에는 부엌에서 연탄의 사용도 거의 없어졌고 유기의 항균 기능이나 미네랄 방출 등이 주목받아 조금씩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 전까지는 해외 시장 개척으로 간신히 명맥만 유지하는 수준이었다.

납청유기(방짜)로는 이봉주 명예보유자 및 그의 아들인 이형근 유기장 보유자(중요무형문화재 제77호)의 공방이 경북 문경에 있으며, 대구 팔공산에 유기박물관을 운영중이다.

'유기'의 예전 한자음은 '투기'였다. 한자 鍮(놋쇠 유)는 반절이 託侯切(광운), 他侯切(운회)로 "투"에 해당된다. 현대 중국어로도 tōu(터우)이다. 훈몽자회에서는 "듀", 정조 대에 출간된 전운옥편에는 "투"로 나온다. 그러나 1918년 간행된 초학요선에는 '놋쇠 유'로 나와 있고 1920년대 이후의 신문자료에서도 '유기'로 표기하여 음이 달라졌다. 이렇게 된 까닭은 형성자의 성부에 해당되는 우측의 兪(유) 때문에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출처. 1933년 기사를 보면 '유기'라는 발음이 현대음으로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글 철자법 신철자편람의 해설
둘째, 현대어음을 주장할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쓰는 실제적 구음과 아주 틀리는 역사적 어음을 쓸 필요가 없다...(중략)... 한자음에 이르러서도 소위 자전에 쓰인대로 쓴다 하여 소(小)를 쇼로, 천(天)을 텬으로, 인쇄(印刷)를 인솰로, 유기(鍮器)를 투기로 쓰는 따위다. 이것이 얼마나 현대어음에 어기어진 것인가.
1933년 4월 4일 동아일보

3. 항균 효능

황동에 미량 들어있는 불순물이 방짜에는 전혀 들어있지 않은 무독성의 재료이기 때문에 식기의 재료로 널리 애용되어 왔다. 거기다 항균 능력이 뛰어나 한여름에 음식을 담아 상온에 보관해도 잘 쉬지 않는다. 실제로 국내에서 실험해본 결과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그릇에 담은 밥은 다 쉬었지만 유기에 담은 밥만은 전혀 쉬지 않았다. 과학잡지 뉴턴 한국판에도 실렸다.

2003년에는 식중독균인 O-157균을 스테인리스, 도자기, 유기로 만든 그릇에 동일하게 배양하고 그 경과를 관찰하는 실험을 하였는데 유기에서만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2008년에는 비브리오균이 있는 수족관에 유기를 넣고 실험했는데 거기서 지낸 어류의 표피나 내장에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살균효과는 구리에 의해 나온다.

4. 명칭 분류

각 성분 비율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구리에 주석을 섞는 비율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기도 한다. 구리와 아연을 합금(황동)하여 만든 그릇을 황동(黃銅)유기라 하며, 노르스름한 빛깔에 은은한 광택이 난다. 구리에 니켈을 합금(백동)한 것은 백동유기라 하며 흰 빛을 띤다. 구리와 주석을 섞은 청동은 향동(響銅)이라고 하는데 방짜유기를 이것으로 만든다.

제작기법에 따라서는 방짜식과 주물, 반방짜 등이 있다. 방짜유기는 평북 정주의 납청유기가 유명하다. 방짜유기는 녹인 쇳물로 바둑알 같이 둥근 놋쇠 덩어리를 만든 후 여러 명이 망치로 쳐서 그릇의 형태로 만든다. 방짜로는 징이나 꽹과리, 식기, 놋대야, 요강 등을 만들 수 있다. 주물유기는 쇳물을 일정한 틀에 붓는 주조로 만드는데, 주로 안성에서 성행하였다. 반방짜는 주물과 방짜 절반씩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 일반적으로는 제작의 어려움, 청동의 사용, 내구성 등으로 인해 방짜유기를 제일 높게 쳤다고 한다.

방짜유기의 비율은 구리 78%, 주석 22%인데, 현대 금속공학에 따르면 주석 비율이 10%를 넘기는 구리합금은 내구성이 떨어진다. 그런데 한국의 유기는 뛰어난 내구성을 갖고 있어서, 현대 금속공학 법칙을 역행하는 듯이 보인다. 한때 산업화를 위해 현대 금속공학 이론대로 주석의 비율을 줄이자 찐득찐득해져 대량생산에 실패했다. 링크. 금속 현미경 연구결과, 주물 단계에서 분리되었던 구리와 주석 조직들이 망치로 치는 과정에 서로 눌리고 섞여서 조직이 치밀해져 내구성이 올라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5. 기타

유기는 오래 쓸수록 아름답고 은은한 광택이 살아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며, 예전에는 유기의 광택을 내기 위해 기와 빻은 가루를 짚수세미에 묻혀 문질러 닦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7] 요즘에도 바로바로 설거지만 해주면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다.

기본적으로 은수저나 은그릇과 마찬가지로 표면이 산화되어 광이 죽거나 녹이 슬기때문에 자주 사용하면 녹이 슬 틈이 없다. 다만 은제품처럼 물에 푹 담가두고 보관하면 녹이 스니 이것만 주의하면 된다.

유기를 제기로 사용할 경우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녹이 생기므로, 바로 씻어서 물기를 닦아내고 비닐로 밀봉해서 보관하면 오래오래 사용 가능하다.

조선 초기의 외척 권신윤원형은 집에 재산으로 저장하던 이 넘쳐나다 못해 자꾸 썩자, 현대 부자들이 금괴를 모으는 것처럼 이 유기를 사들였다고 한다. 왜 유기인고 하니, 조선초기 명나라의 지나친 금은의 조공 요구를 막기 위해서 국가적으로 광산 개발을 막아 버려서 금은이 국가에 거의 없었다. 조선이 금은을 다시 채굴 하기 시작한 건 화폐 경제가 발달한 후기 들어서다. 상업이 어느 정도 활성화되는 조선 후기 이전까지는 일반 철물도 조선에서는 귀금속이었기 때문에, 일반 못이나 말 편자를 뇌물로 바쳤다는 일화까지 종종 등장한다. 유기도 조선 중기까지는 왕실과 상류층이나 쓸 수 있었던 사치품이었다.

유기()의 '기'가 (그릇 기)이므로, 흔히 쓰는 '유기그릇'이라는 표현은 겹말이다. 그냥 '유기'라고 하거나 '놋그릇'이라는 순우리말을 쓰는 게 바람직하다. 물론 표준국어대사전에 '유기그릇'이 표제어로 실려 있긴 하다.

터키에서도 유기를 만드는 곳이 있다. 주로 가지안테프에서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향동이라고 해서 일반적인 청동보다 주석 비율이 높다고 한다.[2] 참고로 발해제품이 유명했다고 한다.[3] 80대 이상인 노인들은 놋그릇 공출을 기억한다. 다만 1938년~1945년생은 창씨개명과 마찬가지로 어릴 적에 이뤄졌기 때문에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도 소수 있다.[4] 본래 구리에 아연과 니켈이 들어간 합금이지만, 양은냄비라 불리는 냄비는 알루미늄제이다.[5] 맞춤법상 안성맞춤이 맞지만, 상표인지 안성마춤으로 되었다.[6] 안성공단 내에 위치하는데 판매장과 더불어 유기박물관도 같이 있다. 1층은 유기 제작과정을 모형으로 소개하는 체험관, 2~3층은 반상기 등 각종 그릇과 종묘제례이 손을 씻는 관세이를 비롯한 제기 등을 소개하는 전시실이다. 청동기, 도자기 등도 감상할 수 있다.[7] 현대에는 마모제가 섞인 광약이 있어 굳이 힘들여 기와를 깰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