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373a3c> 온다람 | |
| |
성별 | <colbgcolor=#ffffff,#191919>남자 |
생일 | 4월 24일 |
별명 | 누나[1], 온달, 다람 |
구독자 수 | 37만명[기준] |
조회수 | 126,440,475회[기준] |
링크 |
1. 개요
게임도 영화나 소설처럼 재밌고 흥미로운 게 많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흥미롭고 재밌는 게임스토리 혹은 감동스럽고 여운이 남는 게임스토리 등
여러 가지 장르의 종합 게임스토리를 다루는 채널, 온다람입니다 :)
게임스토리만 다루는 것이 아닌 게임의 장단점과 게임의 정보를 스토리 설명 후 리뷰하니 게임스토리도 보시고 게임에 대해서도 알아가주시면 좋겠습니다!
저와 함께 매력적인 게임스토리의 세계로 같이 빠져볼까요?
온다람 유튜브 채널 정보란
흥미롭고 재밌는 게임스토리 혹은 감동스럽고 여운이 남는 게임스토리 등
여러 가지 장르의 종합 게임스토리를 다루는 채널, 온다람입니다 :)
게임스토리만 다루는 것이 아닌 게임의 장단점과 게임의 정보를 스토리 설명 후 리뷰하니 게임스토리도 보시고 게임에 대해서도 알아가주시면 좋겠습니다!
저와 함께 매력적인 게임스토리의 세계로 같이 빠져볼까요?
온다람 유튜브 채널 정보란
게임스토리 읽어주는 리뷰, 온다람입니다
게임이 끝난 후의 멘트
게임이 끝난 후의 멘트
게임&게임스토리 리뷰 유튜브 채널. 2019년 7월 7일 날 유튜브에 가입하였고, 2019년 7월 14일 날에 첫 영상을 올렸다.
2. 콘텐츠
업로드 기간은 화요일, 목요일, 금요일 아님 화요일, 금요일에 올라오며, 저녁 9시~10시 사이에 올라온다.[6]2.1. 캐릭터
닉네임을 온다람으로 짓게 된 이유는 이전에 5~6개 정도의 채널을 여러 가지 하였으며, 채널마다의 공통점은 동물 이름이 들어가서 이번 채널엔 다람쥐를 넣어 만들기로 하였으며 채널 만들기 당시에 유튜버 람다람을 좋아하여 이름 맨 끝에 '람'을 넣어 만들기로 하였다. 처음엔 닉네임을 온도람으로 지으려고 하였지만 발음하기 이상하고 자신의 영상 분위기과 안 맞다고 생각하여 온다람으로 지었다고 한다.오너캐는 인간 남자 캐릭터이며, 갈색 파마머리에 흑안, 도토리 귀걸이, 연보라 후드티와 청바지, 흰 운동화를 착용하고 있다.
닉네임과 캐릭터와 관련된 팬애칭은 '다람단'. 투표를 통하여 정해진 애칭으로, 온다람 자신이 생각한 팬애칭이라고 한다. 참고로 다람단 캐릭터는 다람쥐이며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나오는 숯 검댕이들 처럼 작고 동글동글하게 생겼으며 모티브일 것이다.
원래 팬 캐릭터를 도토리로 할 예정이었으나 '누나 날 먹어줘'라는 드립이 생길까봐 다람쥐로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2.2. 리뷰 스타일
게임&게임스토리 리뷰 채널이라는 소개글대로 여러 가지 게임을 하며, 게임의 스토리를 알려주고 게임이 끝나면 게임의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는 채널이다. 나긋나긋한 내레이션과 깔끔한 편집으로 인기가 많다. 게임 리뷰를 마친 후에는 게임의 매력 포인트를 포인트로 집어서 추천하고, 혹 구매하거나 플레이할 시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도 친절하게 소개하는 등 배려도 상당하다. 거의 모든 댓글에 하트를 달아주고 답글도 잘 달아준다. 피드백도 영상에 바로바로 반영되는 편이라 이 점을 호평하는 구독자들이 많다.유튜브 초기에는 비교적 앳된 목소리에 내레이션에 비문의 비중이 많고 문장 구조가 매끄럽지 않았다. 맥락을 벗어난 개그를 넣거나, 내레이션의 시점이 게임 캐릭터와 게임을 리뷰하는 관찰자 시점을 오고갈때가 많다보니 스토리에 몰입하고 이해하는 데 지장이 있는 편이었다. 하지만 점점 영상을 많이 올리면서 노하우가 쌓임에 따라 지금의 중저음의 차분한 목소리로 목소리 톤을 바꿨고, 내레이션의 문장도 훨씬 깔끔해지고 시점도 최대한 일원화되면서 개선되었다. 영상을 올리면 올릴수록 단점은 개선하고 장점은 극대화시키고 있다.
리뷰하는 게임 중 공포게임 비중이 높은데, Q&A에 따르면 공포게임을 좋아하고 직접 하는 것도 잘 한다고 밝혔다. 공포영화도 잘 본다고 하며 몇몇 공포게임은 특정 공포 영화나 감독의 풍이라는 소감을 남기기도 한다. 영상을 시청하는 사람들 중에 공포게임을 못하거나 무서워하지만 영상은 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배려해서, 점프 스케어나 공포 요소가 나오기 3초 전에 도토리 모양 이모티콘이 떠서 카운트다운으로 미리 알려준다. 이는 초기 영상에는 없던 것으로, 한 시청자의 아이디어를 수용한 결과다. 공포게임 베테랑들을 위한 도토리 삭제 버전은 댓글로 일부 공개 영상을 따로 올려놓고 있는데, 베테랑과 초심자 모두를 배려한 것이므로 호평할 점이다.
리뷰가 차분한 편이지만 드립력과 유머러스함도 의외로 상당하다. Q&A 영상이나 니드 포 스피드: 히트 1분 요약 영상을 보면 인터넷 밈들도 매우 잘 쓴다. 이버전 영상에서는 어딘가 고장난 것처럼 아무말 대잔치를 하기도 한다. 이런 밝은 화법이 장점으로 드러나서, 꿈도 희망도 없는 어두운 게임을 리뷰하다가 자칫 리뷰가 루즈해질 수 있지만, 어떻게든 텐션을 끌어올려서 리뷰하는 실력이 좋다. 물론 한계가 있어 특정 부분에서는 루즈하게 느껴질 수 있다.
또 하나 특기로는 게임의 연출과 스토리를 관점을 바꾸고 뒤집어서 보는 재해석 능력이 상당하다. 숨막히는 액션에 스토리가 휙휙 진행되는 게임인 My Friend Pedro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실사영화 시리즈 풍의 레트로 뮤직비디오처럼 편집해서 마치 새로운 게임을 창조해낸 것처럼 만든 적이 있고, 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의 여러 연출과 미장센을 현실세계의 인간 군상에 빗대는 등[7] 게임마다 다채로운 해석을 내고, 이를 통해 시청자들도 자기만의 해석을 해보도록 권유하며 영상을 끝낸 뒤에도 몰입도와 여운이 남도록 하는 것이 게임 스토리 유튜버로서의 가장 큰 매력이다.
선택지가 중요한 요소인 게임의 경우 비공개 영상 링크를 달아서[8] 시청자들이 직접 게임을 플레이하는 듯 선택하는 재미를 준다. 모바일에서는 선택지를 고를 수 없으므로 주의. 마치는 멘트는 같고, 엔딩만 달라진다.
3. 리뷰한 게임 목록
가나다 순 정렬, 공포게임에는 ★ 표시.공포게임 리뷰가 워낙 유명하다보니 공포게임 전문 유튜버로 잘못 아는 팬들이 많지만, 실제로는 종합게임과 공포게임을 두루두루 리뷰하고 있다고 한다. 힐링게임 리뷰 영상도 인기가 높다.
리뷰 신청을 언제부턴가 안 받고 있는데, 이미 요청받은 리뷰 게임이 너무 많아서인 모양. 웬만하면 똥겜이라도 리뷰해주지만, 아무래도 플레이타임이 지나치게 긴 것은 시간이 나지 않아 리뷰해주기가 어렵다고 한다.
3.1. 숫자 ~ 영문
- 103★
- 30일
- _dive★[9]
- ABZÛ
- Alisa
- Amanda the Adventurer★
- Among the Sleep★
- Anji - Implication-★
- Aperture Desk Job
- ARAYA★
- Arctic Eggs
- A Short Hike
- Barbotine★
- Benny Bash★
- Buckshot Roulette★
- Burger & Frights★
- Bulb Boy★
- Butcher Valley★
- Choo-Choo Charles★
- Creepy Tale★
- Cult of the Lamb
- Dad n' me
- DARQ★
- DEADLIGHT
- Decimate Drive★
- DEEMO
- Deepest Sword[10]
- Deliver Us The Moon
- disconnected★
- Donut County
- Dread Flats★
- DreadOut★
- Dreams Universe[11]
- Elevator Hitch
- Emily Wants To Play 시리즈★
- Evil Nun: The Broken Mask★
- Exhibit of Sorrows★
- Fears to Fathom - Home Alone★
- FeedVid★
- Figment 2: Creed Valley
- Finding Frankie★
- Fragile★
- Freaked Fleapit
- Gnarled Hag
- GO HOME★
- Green Hell★
- GRIS
- Grimm's Hollow
- Happy's Humble Burger Farm★
- Have a Nice Death
- Hide and Seek with Noah★
- Hopefield: Tales of Halloween
- House
- I am Bread★
- Ib★
- In Stars And Time
- Indigo Park★
- It's Paper Guy!
- Journey
- JUSTICE SUCKS: Tactical Vacuum Action
- KEEP OUT★
- Kitty Kart 64★
- Last Light★
- Later Alligator
- Let's Find Larry!★
- Leftovers★
- Life is Strange 시리즈
- Lily's Well★
- LIMBO★
- Little Inferno
- Little Misfortune★
- Lucius★
- MAD RAT DEAD
- MIND CORRIDORS: Paroniria★
- MINDHACK
- MINDWAVE
- Ministry of Broadcast
- Minit
- Mouthwashing★
- Mr. Hopp's Playhouse 시리즈
- MULLET MAD JACK
- Murder
- Murdered: Soul Suspect
- Mutant Year Zero: Road to Eden
- My Friend Pedro
- My Friendly Neighborhood
- My Memory of Us
- Neversong
- NIGHT OF THE CONSUMERS
- NO STRAIGHT ROADS
- Notebook Entries Vol. 1★
- Observer★
- Okaeri★
- OMORI★
- Orderly Havoc★
- Ori 시리즈
- Perfect Vermin
- Pet Rock Duty★
- Pizza Ghest
- Plants vs. Zombies GOTY Edition
- POD
- Pony Island★
- Poppy Playtime★
- Portal with RTX
- Precipice★
- Project Kat - Paper Lily Prologue★
- Purrfect Apawcalypse 시리즈
- Purrfect Apawcalypse: Love at Furst Bite★[12]
- Purrfect Apawcalypse: Purrgatory Furever★
Purrfect Apawcalypse: Patches' Infurno★(예정)[13]- Rage in Peace
- Rising Up
- Rule of Rose★
- Rusty Lake: Roots
- Rusty Lake Hotel★
- Rusty Lake Paradise
- Saiko no Sutoka★
- SCP-087: Recovered Document★
- Scratchin' Melodii
- Seasons after Fall
- Shadow Corridor★
- Shady Part of Me
- silkbulb test★
- Siren Head★
- Slender: The Arrival★
- Slide in the woods★
- Smile For Me
- Spooky's Jump Scare Mansion★
- Still Wakes the Deep★
- Still Wakes the Deep: Siren's Rest★
- Squirrel with a Gun
- SUPERHOT★
- Swallow the Sea★
- Symmetry★
- Tattletail★
- Teke Teke: Moonlit Dread★
- Ten Bells★
- Thank Goodness You're Here!
- The Classrooms★
- The Complex
- The Complex: Expedition★
- The Elevator★
- The Heilwald Loophole★
- The Hungry Fly★
- The MISSING: J.J. Macfield and the Island of Memories
- The Normal Thing
- The Path
- The Rainman★
- The Supper
- The WereCleaner
- These Darker Tides★
- This War of Mine
- TimeOut
- To the Moon
- Ugly
- Unforgiving - A Northern Hymn★
- Uninvited Guest
- un pas fragile[14]
- Visage★[15]
- We Become What We Behold
- We Happy Few★
- We Went Back
- Who's Lila?★
- Wrong Floor★
- Wolves in the Walls[16]
- WORLD OF HORROR★
- You are GROUNDED
- Your amazing T-Gotchi!★
- Zoochosis★
3.2. 한글
- 거짓말쟁이 공주와 눈먼 왕자
- 고리: 귀여운 학살자
- 괴이증후군★
- 그들은 숨쉰다[17]
- 그레고리 호러쇼★
- 그레텔과 헨젤★
- 나의 운동
- 나쁜 왕과 훌륭한 용사
- 너의 장난감
- 니드 포 스피드: 히트[18]
- 노 모어 히어로즈 3[19]
- 노바디 세이브 더 월드
- 니디 걸 오버도즈: NEEDY GIRL OVERDOSE★
- 더 라스트 가디언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리즈
- 더 롱 다크 - 에피소드별로 나뉘어 3개의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 더 벙커
- 더 하우스★
- 덕 시즌★
- 던전 청소부
- 데드 라이징 시리즈
- 데드 아일랜드
- 두근두근 문예부![스포일러]
- 드래곤을 죽여라
- 도시전설 해체센터
- 디스트레인트 1, 2편★
- 라이즈: 선 오브 롬
- 레이어스 오브 피어 1 ★
- 레프트 얼론★
- 렘넌트: 프롬 디 애쉬즈
- 로스트 플래닛: 익스트림 컨디션
- 롤리팝 체인소
- 루이너
- 루카노르 백작★
- 리마더드: 토멘티드 파더스★
- 리버스: 1999
- 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
- 리틀 호프★
- 마력 척결관: 리그 오브 레전드 이야기
- 매니스★
- 매드파더★
- 매직 캣 아카데미
- 맨이터
- 머더 하우스★
- 모두 다 죽어야 해★
- 모태솔로(데모)
- 미노리아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반교 -Detention-★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1: 진흙과 피를 뚫고
- 배틀필드 하드라인
- 배틀필드 V 에피소드 4 - 최후의 티거 전차
- 불리
- 불안감과 함께하는 모험
- 브램블: 산속의 왕★
- 블레어 위치[21]★
- 블루 웬즈데이
- 비욘드 아이즈
- 빨간 망토 다크사이드
- 살육의 천사
- 상담★
- 소년기의 끝
- 소드 오브 콘발라리아
- 슈퍼리미널
- 슈퍼 미트 보이 시리즈
- 슈퍼 미트 보이
- 슈퍼 미트 보이 포에버
- 닥터 피터스 민 미트 머신
- 스커의 하녀[22]★
- 스탠리 패러블
- 스테퍼 케이스: 초능력 추리 어드벤처
- 스펙 옵스: 더 라인
- 신의 지하실★
- 아바리아
- 아수라의 분노
- 아웃라스트 트라이얼★
- 아이 엠 얼라이브
- 아이리스 폴
- 아이작의 번제: 리버스
- 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
- 안개 탐정
- 암이라는 이름의 용
- 앨버트 크루거 박사의 심리 테라피★
- 앨런 웨이크★
- 앤디의 사과농장(데모)★
- 앨리스: 매드니스 리턴즈★
- 야근사건★
- 어둠 속의 나나
-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
- 언더월드 오피스
- 언틸 던★
- 엠파이어 오브 신
- 여귀교: 구원으로 가는 길★
- 여피 사이코★
- 예외배달★
- 와치독 시리즈
- 완다와 거상
- 웬즈데이
- 요마와리: 떠도는 밤★
- 유메닛키
- 이누나키 터널★
- 이리스 증후군!★
- 이은날 시리즈★
- 이은날: 해질녘 속 나란히 달려가는 전차★
- 이은날: 속삭이는 장난감의 집★
- 이은날: 쇼와에서 부르는 소리★
- 이은날 3★
- 이은날 1, 2★
- 이은날: 고양이의 날 괴담★
- 인사이드
- 인형 가게★
- 이버전★
- 저글러 테일
- 지금 우리 학교는★
- 지옥전탕 RE:
- 청구야담: 팔도견문록
- 카에리미치★
- 칼리스토 프로토콜★
- 캐리온★
- 캐서린 클래식★
- 컵헤드
- 케인
- 콘크리트 지니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크라이시스 시리즈
- 클레아★
- 타이탄폴 2
- 판다: 반복되는 남자[23]★
- 팔미라 보육원★
- 팻 듀드 시뮬레이터
- 포트 솔리스★
- 폴아웃 3 - 앤데일 스토리
- 프랜 보우★
- 프로토타입
- 플래닛 오브 라나
- 플로렌스
- 해피힐즈 호미사이드
- 헤일로 시리즈
- 헤비 레인
- 헨젤과 그레텔 다크사이드
- 헬로 네이버
- 헬테이커
- 헬블레이드: 세누아의 희생
- 홍콩실록★
- 화이트데이 2: 거짓말하는 꽃★
- 환원 -Devotion-★
- 힘내라 파트너
4. 여담
| | |
첫번째 프로필 | 두번째 프로필 | 세번째 프로필 |
- 유튜브 프로필을 세번 바뀌었고 첫번째는 오너캐 머리위에 팬덤 캐릭터인 다람단이 올라간 프로필 이었고 두번째는 새로운 디자인의 오너캐의 얼굴이 나오는 프로필 이었으며 세번째는 새로운 디자인의 다람단이 나오는 프로필 이었다가 다시 첫번째 프로필로 바뀌었다.
- 아웃트로 노래는 kanic clasio - burning on feat. rosendale/Soulero & Ahxello - Hanging On (ft. Aloma Steele)/Martell - Take Me Home ft. Johnning 음악을 자주 사용한다.
- 2020년 2월 23일, 온다람이 '웬즈데이' 펀딩 소식을 소개해 후원이 이틀 만에 200%를 달성했다며 GamBridzy에서 온다람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
- 이과이며 공대생이고, 군필이다.
- B형이다.
- mbti는 INFP, 잔다르크 형이다.
- 애니메이션 중에서는 짱구는 못말려를, 게임 중에서는 헤일로 시리즈를 가장 좋아한다. 아이돌 중에서는 Red Velvet의 슬기를 좋아한다.
- 시청하고 있는 다른 유튜버들은 마뫄, 수탉(인터넷 방송인), GCL, 지존조세, 메탈킴, 양아지, 주다사, 선바, 덕양소, 더빙레이디, 플레임TV, 아뽀키, 청원이, 연두(인터넷 방송인), 연두부(인터넷 방송인), 악녀(인터넷 방송인), 강지, 김일오15KIM, 방앗간 비둘기, 망개, 풍월량, 에틀릭 Etlic, 강차, 소련여자, 표림, 코브, 탬탬버린, 듀리의 스팀게임 라디오, G식백과, 블레이드위버, 이라온 등이 있다.
- 2020년 3월 10일 처음으로 최초공개 기능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그 후 투표를 한 결과 최초공개 기능은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 학생 시절 직접 쯔꾸르 게임을 만든 적이 있으며, 해당 게임을 2020년 4월 24일에 리뷰했다. 스토리 완성도가 높지는 않다며 수줍어하는 모습이 드문드문 보이는 점이 포인트.#
- 목소리에서 알 수 있다시피 비흡연자이다.
- 2020년 5월 18일 구독자 10만명을 달성하였다.
- 7월 25일에 구독자 10만명 돌파 이벤트로 온다람 팬아트 공모전을 열었으며 8월 8일 날에 커뮤니티로 당첨자를 발표하였다.
- 원래 니드 포 스피드: 히트를 리뷰하려 했으나 게임과 스토리가 달라 리뷰 영상을 따로 만들기 보다 인상깊게 플레이한 플래시 게임 We Become What We Behold를 대신 리뷰하고 니드 포 스피드: 히트는 영상 끝에 1분으로 내용을 요약했다.
- 실기와 수능 후 대학 면접을 앞둔 구독자를 응원한 댓글을 보면 면접을 보고 대학에 입학한 듯 하다.
- OGN의 프로그램 히치하이커[25]에 온다람의 리뷰 영상도 방영됐다. 히치하이커는 보통 생방송을 주력으로 진행하는 스트리머들의 게임 실황을 위주로 재방송하는 프로그램인데, 이례적으로 게임 리뷰 영상을 올리는 온다람의 영상도 방영되었다.
[1] Q&A 영상 질문 중 '형은 남자야 여자야?'라는 질문에 '누나라고 불러'라고 답하여 그때부터 누나라고 하는 사람이 많이 생겼다.[기준] 2024년 9월 23일[기준] [4] 2020년 9월 9일에 만들었다.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채널이라고 뜬다.[5] 유튜브 채널에 집중하기 위해 트위치 방송은 잠시 쉬어가기로 했다.[6] 하지만 늦게 올리는 경우가 꽤 있다. 아무래도 혼자서 영상 찍고 녹음에 편집까지 하기에 늦으면 11시 쯤에 영상이 올라오기도 한다.[7] 특히 2편은 연예인과 시청자, 방송에 장악된 세상 등으로 해석했다. 물론 당연히 이를 공식 설정으로 추측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모호한 설명을 통해 오히려 유저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리나메 시리즈 제작진들의 성향을 유저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본인만의 해석을 예시로 든 것이다.[8] 이런 시스템으로 호평받은 대표적인 게임 유튜브로 GCL 지씨엘이 있다.[9] 도토리 표시는 없지만 목소리 변조로 인한 편집으로 그만의 공포성을 조성했다.[10] 음성 없이 음악으로 진행했다. 한국어 미지원 게임인지라 한국어 커버를 넣었다.[11] 게임 중 영화 이레이저 헤드를 게임화한 것을 소개했다.[12] 플레이할 당시에는 1편만 한글 지원이 됐으나 현재는 모두 한글 패치가 완료 되었다.(이후 공식 한글화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여담으로 플레이 당시에는 문서가 없었으나 며칠 뒤 문서가 만들어졌다.[13] 공식 한글패치가 이루어진 후에 플레이 하겠다고 밝혔다.[14] 한국어 발음으로 엉 파즈 프레즐, 프랑스어로 '불확실한 첫 걸음'을 의미한다.[15] 챕터 1(루시의 챕터) 플레이.[16] 닐 게이먼 작가가 출판한 2003년 동화책인 "벽 속에 늑대가 있어(Wolves in the Walls)"를 원작으로 한 게임[17] 해석에 따라 공포게임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8] 원래 리뷰를 하려 했으나 스토리가 너무 재미 없어서(...) We Become What We Behold를 대신 리뷰한 후, 리뷰 영상의 끝에 약을 잔뜩 빤 듯한 그림체로 스토리를 1분으로 요약했다.[19] 병맛 게임인데도 침착하게 해설했다. 자기는 이 세계관에 너무 정신 나가서 그냥 받아들였다고...[스포일러] ★[21] 동명의 영화를 원작으로 2019년에 만들어진 게임이다.[22] 원 제목인 'Maid of Sker'에서의 Maid는 옛 문어체로, 아가씨라고 번역하는 게 맞다. 그러므로 정확한 제목은 스커의 아가씨지만 스커의 하녀라고 소개했다.[23] 온다람이 고등학생 시절에 직접 만든 RPG 게임이다.[24] 다만 네 채널에서 주로 다루는 게임이 다르고(GCL은 중/장편 혹은 AAA 게임, 대타맨은 인디 공포게임, 뻔튜브는 시리즈물, 온다람은 인디 전반), 영상 자체의 스타일도 차이점이 크다. 실제로 가끔 다루는 게임이 겹쳐도 주요 내용을 제외하면 편집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25] 스트리머, 유튜버들의 생방송이나 영상을 재방송하는 편성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