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22:25:07

알레산드로 부온조르노


1 메렛 · 3 구티에레스 · 4 부온조르노 · 5 제주스 · 6 길모어 · 7 네리스 · 8 맥토미니 · 9 루카쿠 파일:부상 아이콘.svg
11 더 브라위너 · 13 라흐마니 · 14 콘티니 · 17 M. 올리베라 · 19 호일룬 · 20 엘마스 · 21 폴리타노
22 디 로렌초
C
· 26 베르가라 · 27 루카 · 30 마초키 · 31 뵈케마 · 32 밀린코비치사비치
35 마리아누치 · 37 스피나촐라 · 68 로보트카 · 69 암브로시노 · 70 노아 랑 · 99 앙귀사
파일:UEFA ITA.png 안토니오 콘테 {{{#!folding [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Alessandro Buongiorno(25-26).png
<colbgcolor=#1a90cd><colcolor=#fff> SSC 나폴리 No. 4
알레산드로 부온조르노
Alessandro Buongiorno
출생 1999년 6월 6일 ([age(1999-06-06)]세)
피에몬테주 토리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4cm / 체중 80kg
포지션 센터백
주발 왼발
등번호 이탈리아 대표팀 4
SSC 나폴리
소속 <colbgcolor=#1a90cd><colcolor=#fff> 유스 토리노 FC (2007~2018)
선수 토리노 FC (2018~2024)
카르피 FC 1909 (2018~2019 / 임대)
FC 트라파니 칼초 1905 (2020 / 임대)
SSC 나폴리 (2024~ )
국가대표 10경기 (이탈리아 / 2023~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a90cd><colcolor=#fff> 역대 등번호 이탈리아 대표팀 - 4번, 6번
토리노 FC - 4번, 87번, 99번
카르피 FC 1909 - 6번
FC 트라파니 칼초 1905 - 18번
SSC 나폴리 - 4번
후원사 아디다스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
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

이탈리아 국적의 SSC 나폴리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2. 클럽 경력

2.1. 토리노 FC

토리노에서 태어나 지역팀 토리노 FC 유소년 팀에서 성장해 온 토리노의 성골 유스 출신으로, 2018년 2월 14일에 구단과 프로 계약을 체결한 뒤 4월 4일, FC 크로토네와의 세리에 A 경기에서 후반 37분 교체 출전으로 데뷔전을 가졌다. 그러나 부상으로 6분만에 교체되었다.

이후 2018-19 시즌과 2019-20 시즌은 하부리그 팀으로 임대되어 프로 무대 경험을 쌓았으며, 2020-21 시즌부터는 임대없이 토리노 1군에 남아 경기를 뛰기 시작했다.

그리고 2022-23 시즌부터 팀의 주장으로 임명되었고, 동시에 주전 센터백으로 발돋움하면서 토리노의 후방을 든든히 책임졌다.

2023년 7월 12일, 구단과 재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기간은 2028년 6월 30일까지.#

이후에는 첼시 FC, AC 밀란 등이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한다.

2024년 1월 세리에 A 공신력 탑들인 디 마르지오나 롱고의 보도에 따르면, 밀란이 필리포 테라치아노 영입을 순조롭게 끝마친 이후 진지하게 부온조르노 영입의 온 힘을 쏟아부고 있다고 하였으며, 선수 본인도 1월 16일경 본인의 에이전트랑 함께 밀라노에서 밥을 먹으며 이적에 대한 논의를 했다는 이적뉴스가 나오면서 점점 더 이적설이 불 붙여지고 있다. 아무래도 세제헤탁이 폐지됨에 따라 스쿼드에 논 이탈리아 선수들이 많은 밀란이 희소성 있는 왼발잡이에 이탈리아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신성 수비수 부온조르노를 노리는거라고 많은 전문가들이 예상을 하고 있다.

팬들의 평가는 당연히 환영하는 분위기이지만, 밀란이 이번 겨울이적시장에서 예산으론 부온조르노를 영입하기에는 꽤 벅찬 상황이라 어쩌면 자금을 모아 여름에 영입을 다시 시도하거나, 2옵션으로 부류되고 있는 리그앙 전반기 베스트 수비수 릴리앙 브라시에를 영입을 고려 할 수도 있다고 보도되었다.

일단 밀란이 로렌초 콜롬보 + 12m을 제시했지만 바로 빠꾸를 먹었다(...). 토리노가 최소 원하는 금액은 35m ~ 40m. 허나 콜롬보를 포함시키는 딜을 나쁘지 않다고 전하면서, 결국 여기서 밀란이 조금만 돈을 더 보태준다면 영입이 성사 될 수도 있다고 보도되고 있다.

게다가 아탈란타 협상 때랑 다르게 부온조르노는 밀란 협상을 우선시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겨울 이적시장이 닫히고 영입은 없는건이 된듯 하다. 그러나 밀란이 여름 때 제대로 노린다고 하니 지켜봐야할 듯 하다.

겨울 이적시장이 끝난 뒤 어깨 부상을 당하면서 약 한 달 가량 결장했다.

2024년 4월 코리에레 델로 스포르트 등 현지 언론들에 의하면, 선수 본인은 대표팀 동료들에게 인테르 이적을 원한다고 전했다.##

2024년 7월 2일, SSC 나폴리가 부온조르노 영입을 위해 토리노에게 새로운 접촉을 하려고 준비하고 있으며, 금주에 나폴리와 토리노의 새로운 접촉이 있을 것이고 새 입찰의 총 패키지는 약 €35m 가량이 될 것이라고 파브리지오 로마노가 언급했다. 이후 보도에 따르면 나폴리와 토리노 사이 이적료 합의가 완료되었다고 하며, 방출 조항은 없을 것이라고 한다.

최종 이적료는 €38M이라고 한다.

2.2. SSC 나폴리

2024년 7월 13일, SSC 나폴리로 이적했다. 이적료는 €38M이며 계약 기간은 5년.

2.2.1. 2024-25 시즌

2R 볼로냐와의 경기에 선발출장해 좋은 모습으로 무실점 승리를 만들어냈다.

전반기 리그에서 손에 꼽을 퍼포먼스를 보이면서 나폴리의 우승 경쟁을 이끌었다. 하지만 12월 말 훈련 중 부상으로 1월까지 결장하게되는 악재가 생겼다.

3. 국가대표 경력

이탈리아 U-18 팀을 시작으로, 연령대 대표팀을 차례대로 거쳐왔다.

2022-23 시즌 세리에 A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면서 2023년 3월 17일, UEFA 유로 2024 예선 2연전을 앞두고 A매치 명단에 포함되며 A대표팀에 생애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다.

2023년 6월 18일, 네덜란드와의 UEFA 네이션스 리그를 통해 A대표팀에 데뷔했다.

UEFA 유로 2024 최종 26인에 포함되었다. 다만 리카르도 칼라피오리-알레산드로 바스토니 조합으로 인해 한 경기도 출장하지 못했다. 그리고 칼라피오리의 경고누적으로 16강전에서 대신 출장할 센터백이 필요했는데, 부온조르노와 잔루카 만치니, 페데리코 가티 중에서 결국 출장한 것은 만치니였다.[1] 그런데 만치니가 이날 최악의 활약을 펼치자, 많은 축구팬들에게서 왜 부온조르노를 쓰지 않았냐는 말이 나오는 중. 실제로 중계 카메라가 부온조르노를 단독으로 잡아주기도....

4. 플레이 스타일

어린 나이임에도 후방에서의 안정감이 상당히 뛰어난 센터백으로, 상대에게 달라붙는 수비보다는 위치를 잡고 침착하게 공의 경로를 파악해 깔끔하게 끊어내는 수비를 즐긴다. 최후방에서 공을 클리어링해내거나 슈팅을 블락하는 스킬이 상당히 좋고, 공의 경로를 파악하고 끊어내는 인터셉트 능력도 동 나이대의 수비수들에 비해 뛰어나다. 후방에서의 뛰어난 안정감과 왼발잡이 센터백이라는 점에서 이탈리아 현지에서는 프란체스코 아체르비의 후계자로 평가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부온조르노의 최대 장점은 바로 안정적인 수비 리딩이 가능한 센터백이라는 점에 있다. 후방에서의 안정감도 뛰어난데다, 위치를 파악해 라인을 조율하고 수비진들에게 지시와 파이팅을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메리트가 있다. 부온조르노는 경기장 내에서의 판단 능력이 좋다 보니, 공격 시퀀스에서도 감독의 지시를 잘 이행하며, 전진이 필요할 때에는 과감하게 전진을 시도한다.

단, 부온조르노는 공격 전개에 있어서는 다소 아쉽다. 현대 축구에서 귀히 여기는 왼발잡이 센터백으로서 후방 빌드업 상황에서 좋은 옵션을 가져다줄 수는 있지만, 부온조르노에게 빌드업을 주도적으로 맡기기에는 그의 발밑 능력이 여타 볼 플레잉 센터백들에 비해 다소 떨어진다. 때문에, 간혹 공을 운반하는 플레이를 시도하다가 공을 뺏기기도 하며, 패스를 할 때에도 전진패스보다는 후방의 동료들에게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보내주는 짧은 패스를 지향한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6. 여담

  • 본인의 성인 부온조르노(본 조르노)는 이탈리아어로 "안녕하세요"라는 뜻이다.
  • 2023년 2월, 페가소 텔레매틱스 대학에서 3년제 경영경제학 학위를 취득했으며, 토리노의 마케팅 모델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 같은 이탈리아 국대 동료인 알레산드로 바스토니와 이름과 나이가 같다.[2] 그로 인해 알레산드로 수비 듀오를 볼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주발도 같은 왼발이다

7. 같이 보기

파일:SSC 나폴리 로고_white.svg
SSC 나폴리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SSC 나폴리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Alex Meret(25-26).png
파일:Miguel Gutiérrez(25-26).png
파일:Alessandro Buongiorno(25-26).png
파일:Juan Jesus(25-26).png
파일:Billy Gilmour(25-26).png
1 3 4 5 6
알렉스 메렛
Alex Meret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1997.03.22
2019~2027
미겔 구티에레스
Miguel Gutiérrez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2001.07.27
2025~2030
알레산드로 부온조르노
Alessandro Buongiorn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1999.06.06
2024~2029
주앙 제주스
Juan Jesus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1991.06.10
2021~2026
빌리 길모어
Billy Gilmour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MF
2001.06.11
2024~2029
파일:David Neres(25-26).png
파일:Scott McTominay(25-26).png
파일:Romelu Lukaku(25-26).png
파일:Kevin De Bruyne(25-26).png
파일:Amir Rrahmani(25-26).png
7 8 9 11 13
다비드 네리스
David Neres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97.03.03
2024~2029
스콧 맥토미니
Scott Mctominay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MF
1996.12.08
2024~2028
로멜루 루카쿠
Romelu Lukaku

파일:벨기에 국기.svg | FW
1993.05.13
2024~2028
케빈 더 브라위너
Kevin De Bruyne

파일:벨기에 국기.svg | MF
1991.06.28
2025~2027
아미르 라흐마니
Amir Rrahmani

파일:코소보 국기.svg | DF
1994.02.24
2020~2027
파일:Nikita Contini(25-26).png
파일:Mathí­as Olivera(25-26).png
파일:Rasmus Højlund(25-26).png
파일:Eljif Elmas(25-26).png
파일:Matteo Politano(25-26).png
14 17 19 20 21
니키타 콘티니
Nikita Contin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1996.05.21
2015~2026
마티아스 올리베라
Mathí­as Olivera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DF
1997.10.31
2022~2027
라스무스 호일룬
Rasmus Højlund

파일:덴마크 국기.svg | FW
2003.02.04
2025~2026[1]
엘리프 엘마스
Eljif Elmas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 FW
1999.09.24
2025~2026[2]
마테오 폴리타노
Matteo Politan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1993.08.03
2021~2027
파일:Giovanni Di Lorenzo(25-26).png
파일:Lorenzo Lucca(25-26).png
파일:Pasquale Mazzocchi(25-26).png
파일:Sam Beukema(25-26).png
'''2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26 27 30 31
조반니 디 로렌초
Giovanni Di Lorenz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1993.08.04
2019~2028
안토니오 베르가라
Antonio Vergar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2003.01.16
2022~2027
로렌초 루카
Lorenzo Lucc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2000.09.10
2025~2026[3]
파스콸레 마초키
Pasquale Mazzocch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1995.07.27
2024~2028
샘 뵈케마
Sam Beukema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8.11.17
2025~2030
파일:Vanja Milinković-Savić(25-26).png
파일:Luca Marianucci(25-26).png
파일:Leonardo Spinazzola(25-26).png
파일:Stanislav Lobotka(25-26).png
파일:Giuseppe Ambrosino(25-26).png
32 35 37 68 69
바냐 밀린코비치사비치
Vanja Milinković-Savić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GK
1997.02.20
2025~2026[4]
루카 마리아누치
Luca Marianucc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2004.07.23
2025~2030
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
Leonardo Spinazzol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1993.03.25
2024~2026
스타니슬라프 로보트카
Stanislav Lobotka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 MF
1994.11.25
2020~2027
주세페 암브로시노
Giuseppe Ambrosin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2003.09.10
2022~2026
파일:Noa Lang(25-26).png
파일:André-Frank Zambo Anguissa(25-26).png
70 99
노아 랑
Noa Lan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FW
1999.06.17
2025~2030
앙드레프랑크 잠보 앙귀사
André-Franck Zambo Anguissa

파일:카메룬 국기.svg | MF
1995.11.16
2022~2027
SSC 나폴리 2025-26 시즌 임대 명단
파일:RAFA-MARIN(24-25).png
파일:SIMEONE(24-25).png
파일:NGONGE(24-25).png
파일:제르빈2425.webp
파일:카쥐스트2324.webp
4 18 26 7 12
라파 마린
Rafa Marin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2002.05.19
비야레알 CF 임대
2026.06.30 복귀
지오바니 시메오네
Giovanni Simeone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FW
1995.07.05
토리노 FC 임대
2026.06.30 복귀
시릴 은곤게
Cyril Ngonge

파일:벨기에 국기.svg | FW
2000.05.26
토리노 FC 임대
2026.06.30 복귀
알레시오 제르빈
Alessio Zerbin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1999.03.03
US 크레모네세 임대
2026.06.30 복귀
옌스 카쥐스트
Jens Cajuste

파일:스웨덴 국기.svg | MF
1999.08.10
입스위치 타운 FC 임대
2026.06.30 복귀
파일:린스트뤔2324.webp
파일:zanoli2021.png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파일:FOLORUNSHO(24-25).png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19 59 9 90 5
예스페르 린스트룀
Jesper Lindstrøm

파일:덴마크 국기.svg | FW
2000.02.29
VfL 볼프스부르크 임대
2026.06.30 복귀
알레산드로 자놀리
Alessandro Zanol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2000.10.03
우디네세 칼초 임대
2026.06.30 복귀
왈리드 셰디라
Walid Cheddira

파일:모로코 국기.svg | FW
1998.01.22
US 사수올로 칼초 임대
2026.06.30 복귀
마이클 폴로룬쇼
Michael Folorunsh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1998.02.07
칼리아리 칼초 임대
2026.06.30 복귀
에드워드 오바레틴
Edward Obaretin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2003.01.26
엠폴리 FC 임대
2026.06.30 복귀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파일:루소2324.webp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파일:TURI(24-25).png
94 70 24 70 55
콜리 사코
Coli Saco

파일:말리 국기.svg | MF
2002.05.05
이베르동 스포르 FC 임대
2026.06.30 복귀
루이스 하사
Luis Has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2004.01.06
카라레세 칼초 1908 임대
2026.06.30 복귀
로렌초 루소
Lorenzo Russ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2005.04.19
구이도니아 몬테첼리오 FC 임대
2026.06.30 복귀
안토니오 초피
Antonio Cioff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2002.12.19
US 리보르노 1915 임대
2026.06.30 복귀
클라우디오 투리
Claudio Tur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2005.05.06
팀 알타무라 임대
2026.06.30 복귀
구단 정보
회장: 아우렐리오 데 라우렌티스 / 감독: 안토니오 콘테 / 홈구장: 스타디오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
출처: SSC 나폴리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16일
※ 주의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간략 틀을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간략 틀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에서 임대[2] RB 라이프치히에서 임대[3] 우디네세 칼초에서 임대[4] 토리노 FC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655ba>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홈).svg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ddd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 GK 1 잔루이지 돈나룸마 파일:주장 아이콘.svg
(Gianluigi Donnarumma)
1999년 2월 25일 ([age(1999-02-25)]세) 76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12 알렉스 메렛
(Alex Meret)
1997년 3월 22일 ([age(1997-03-22)]세) 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14 굴리엘모 비카리오
(Guglielmo Vicario)
1996년 10월 7일 ([age(1996-10-07)]세) 4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 마르코 카르네세키
(Marco Carnesecchi)
2000년 7월 1일 ([age(2000-07-01)]세) 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DF 2 라울 벨라노바
(Raoul Bellanova)
2000년 5월 17일 ([age(2000-05-17)]세) 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3 페데리코 디마르코
(Federico Dimarco)
1997년 11월 10일 ([age(1997-11-10)]세) 32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4 페데리코 가티
(Federico Gatti)
1998년 6월 24일 ([age(1998-06-24)]세) 6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13 리카르도 칼라피오리
(Riccardo Calafiori)
2002년 5월 19일 ([age(2002-05-19)]세) 1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19 안드레아 캄비아소
(Andrea Cambiaso)
2000년 2월 20일 ([age(2000-02-20)]세) 16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21 알레산드로 바스토니
(Alessandro Bastoni)
1999년 4월 13일 ([age(1999-04-13)]세) 39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2 조반니 디 로렌초
(Giovanni Di Lorenzo)
1993년 8월 4일 ([age(1993-08-04)]세) 50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23 잔루카 만치니
(Gianluca Mancini)
1996년 4월 17일 ([age(1996-04-17)]세) 1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로마
- 조반니 레오니
(Giovanni Leoni)
2006년 12월 21일 ([age(2006-12-21)]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MF 5 마누엘 로카텔리
(Manuel Locatelli)
1998년 1월 8일 ([age(1998-01-08)]세) 32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6 니콜로 로벨라
(Nicolò Rovella)
2001년 12월 4일 ([age(2001-12-04)]세) 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8 산드로 토날리
(Sandro Tonali)
2000년 5월 8일 ([age(2000-05-08)]세) 27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16 다비데 프라테시
(Davide Frattesi)
1999년 9월 22일 ([age(1999-09-22)]세) 30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8 니콜로 바렐라
(Nicolò Barella)
1997년 2월 7일 ([age(1997-02-07)]세) 65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조반니 파비안
(Giovanni Fabbian)
2003년 1월 14일 ([age(2003-01-14)]세) 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1909
FW 7 마테오 폴리타노
(Mateo Politano)
1993년 8월 3일 ([age(1993-08-03)]세) 16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9 마테오 레테기
(Mateo Retegui)
1999년 4월 29일 ([age(1999-04-29)]세) 22 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카디시야 FC
10 자코모 라스파도리
(Giacomo Raspadori)
2000년 2월 18일 ([age(2000-02-18)]세) 42 11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1 모이스 킨
(Moise Kean)
2000년 2월 28일 ([age(2000-02-28)]세) 23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F 피오렌티나
15 프란체스코 피오 에스포지토
(Francesco Pio Esposito)
2005년 6월 28일 ([age(2005-06-28)]세) 1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7 리카르도 오르솔리니
(Riccardo Orsolini)
1997년 1월 24일 ([age(1997-01-24)]세) 11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20 다니엘 말디니
(Daniel Maldini)
2001년 10월 11일 ([age(2001-10-11)]세) 6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 마티아 자카니
(Mattia Zaccagni)
1995년 6월 16일 ([age(1995-06-16)]세) 11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6일(토)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2025년 9월 9일(화) 원정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

1 돈나룸마 · 2 디 로렌초 · 3 디마르코 · 4 부온조르노 · 5 칼라피오리 · 6 가티 · 7 프라테시 · 8 조르지뉴 · 9 스카마카
10 펠레그리니 · 11 라스파도리 · 12 비카리오 · 13 다르미안 · 14 키에사 · 15 벨라노바 · 16 크리스탄테 · 17 만치니
18 바렐라 · 19 레테기 · 20 자카니 · 21 파지올리 · 22 엘샤라위 · 23 바스토니 · 24 캄비아소 · 25 폴로룬쇼 · 26 메렛
파일:UEFA EURO ITA.png 루치아노 스팔레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ITA.png 마르코 도메니치니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ITA.png 마르코 사보라니

[1] 가티는 소속팀에서 폼이 좋지 않았기에 안정감 있는 부온조르노와 공격적인 성향의 만치니가 유력한 후보였다. 그리고 원래 선발로 나오던 칼라피오리가 전진성 있고 적극적인 수비를 하는 성향이기에 만치니가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 높기는 했었다.[2] 사실 알레산드로라는 이름은 흔한편이다. 대표적인 예가 이탈리아 전설의 축구선수들인 네스타, 델피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