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11:20:55

시내 계에서 넘어옴
시내 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0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3획
중학교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たに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시내 계(溪). '시내', '계곡(溪谷)'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시내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kai1
객가어 hâi
민동어 kă̤
민남어 khoe[1], khe[2]
오어 qi (T1)
일본어 음독 ケイ
훈독 たに
베트남어 khe

유니코드에는 U+6EA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水月女大(EBVK)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어찌 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체자로는 水 대신 石자를 쓰는 磎(U+78CE)와 (골 곡)을 의부(意符)로 가지는 谿(U+8C3F, 창힐수입법 BKCOR)가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역명

역명에 溪가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덕계역(德溪驛)
석계역(石溪驛)
월계역(月溪驛)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범계역(범溪驛)
상계역(上溪驛)
파일:Seoulmetro6_icon.svg 수도권 전철 6호선 석계역(石溪驛)
파일:Seoulmetro7_icon.svg 수도권 전철 7호선 중계역(中溪驛)
하계역(下溪驛)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청계산입구역(淸溪山入口驛)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퇴계원역(退溪院驛)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화계역(華溪驛)
파일:Daegu1.svg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용계역(龍溪驛)
경부선 각계역(覺溪驛)
영동선 도계역(道溪驛)
옥계역(玉溪驛)
역명에 溪가 들어가는 철도역 (북한)
강원선 복계역(福溪驛)
금강산청년선 남계역(南溪驛)
오계역(梧溪驛)
백두산청년선 풍계역(豊溪驛)
청년이천선 신계역(新溪驛)
평부선 청계역(淸溪驛)
역명에 溪가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파일:JRC-CF.svg 츄오 본선 코코케이역(古虎渓駅)
파일:JRE_Wlogo.svg 오후나토선 게이비케이역(猊鼻渓駅)
파일:JRW-R.svg 한와선 야마나카다니역(山中渓駅)
파일:NGWB_SQlogo.png 유토리토 라인 시라사와케이코쿠역(白沢渓谷駅)
파일:KominatoRW_Wlogo.svg 코미나토 철도선 요로케이코쿠역(養老渓谷駅)
역명에 溪가 들어가는 철도역 (대만)
파일:타이베이 첩운 중허신루선 아이콘.svg 타이베이 첩운 중허신루선 딩시역(頂溪站)
파일:타오위안 공항 첩운 로고.svg 타오위안 공항 첩운 라오제시역(老街溪站)
파일:ntmetro.png 신베이 첩운 싼잉선 (공사중) 헝시역(橫溪站)
남화선 룽시역(瀧溪站)
이란선 다시역(大溪站)
솽시역(雙溪站)
자오시역(礁溪站)
핑시선 핑시역(平溪站)
역명에 溪가 들어가는 철도역 (중국)
파일:상하이 지하철 3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3호선 차오시루역(漕溪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10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10호선 룽시루역(龙溪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13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13호선 롄시루역(莲溪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18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18호선 롄시루역(莲溪路站)

3.6.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타이베이 등[2] 가오슝 등[3] (신 혜)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