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5 21:57:26

찰 한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중학교
[1]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さむ-い, いや-しい,
さび-しい, まず-しい
표준 중국어
há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寒은 '찰 한'이라는 한자로, '차갑다', '춥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차다
중국어 표준어 hán
광동어 hon4
객가어 hòn
민동어 hàng / gàng
민남어 hân[文]/ kôaⁿ[白]
오어 hhoe (T3)
일본어 음독 カン
훈독 さむ-い, いや-しい,
さび-しい, まず-しい
베트남어 hàn
유니코드에는 U+5BD2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TCY(十廿金卜)로 입력한다.
집의 지붕 모양을 본뜬 (갓머리), 풀의 모양을 본뜬 (풀 초) 네 개(茻), (사람 인), 그리고 (얼음 빙)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금문에서 이 글자는 집(宀) 안에 사람(人)이 있고, 사람 주위를 풀(茻)이 둘러싼 형태로 등장한다. 이는 날씨가 추워 사람이 집 안에서 풀을 깔고 추위를 피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혹은 사람 밑에 발의 형태가 강조가 되어 있으며, 그 아래 자가 그려져 있는 형태도 등장한다. 이 역시 발 아래 얼음을 그려 바닥이 매우 추움을 나타낸다. 이후 소전에서는 二 자가 冫 자로 바뀌어 宀+茻+人+冫의 형태가 살아남았다. 그러다 예서에 이르러 茻+人 부분이 크게 뭉개져 현재의 해서체 자형을 가지게 되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 (따뜻한, 뜨거울 난)
  • (더울 서)
  • (더울 열)
  • (따뜻한, 뜨거울 온)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걷어올릴 건)
  • (떠듬거릴 건)
  • (빼낼 건)
  • (이지러질 건)
  • (절 건)
  • 弿(활 강할 건)
  • (훨훨 날 건)
  • (굿할 새)
  • (변방 새, 막힐 색)
  • (목책 채)
  • (지렁이 한)


[1] 정자와 마지막 점의 방향이 정반대이다.[文] 문독[白] 백독[실명] 도금모[5] 冷은 한국어 단어의 '차갑다'에 가까운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면, 寒은 '(날씨가) 춥다'에 가까운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 또한 寒은 '춥다' 외에도 '가난하다', '황량하다', '무섭다' 따위의 파생된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