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3:53:57

북한산성 전투

술천성 전투에서 넘어옴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4a2d5b,#0e0f37>전쟁·정벌우군세력교전세력
신라-가야 전쟁 <colbgcolor=#4a2d5b,#0e0f37> ,황산진구 전투,
,77,
- 가야
,마두성 전투,
,94,
- 가야
,황산하 전투,
,115,
- 가야
,포상팔국 전쟁,
,209,
안라국 포상팔국 연맹
신라-왜 전쟁
,(신라의 일본침공사례),
,364 ~ 404
(291 ~ 720)
,
고구려 가야, 백제, 왜국
신라-우산국 전투
,512,
- 우산국
이와이의 난
,527,
규슈 긴키
독성산성 전투
,548,
백제 고구려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551,
백제, 가야 고구려
관산성 전투
,554,
- 백제, 가야, 왜국
가야멸망전
,562,
- 가야, 백제, 왜국
아막성 전투
,602,
- 백제
북한산성 전투
,603,
- 고구려
가잠성 전투
,611,
- 백제
가잠성 전투
,618,
- 백제
가잠성 전투
,628,
- 백제
칠중성 전투
,638,
- 고구려
대야성 전투
,642,
- 백제
황산벌 전투
,660,
- 백제
백제멸망전
,660,
당나라 백제
칠중성 전투
,660,
- 고구려
북한산성 전투
,661,
- 고구려, 말갈
과천 전투
,662,
- 고구려
백강 전투
,663,
당나라 백제 부흥군, 왜국
사천 전투
,668,
- 고구려
평양성 전투
,668,
당나라 고구려
나당 전쟁
,670 ~ 676,
석문 전투
,673,
고구려 부흥군 당나라
호로와 왕봉 전투
,673,
- 당나라
칠중성 전투
,675,
- 당나라
매소성 전투
,675,
- 당나라
기벌포 전투
,676,
- 당나라
발해-당 전쟁
,732~733,
당나라 발해
김헌창의 난
,822,
- 장안국
달벌대전
,839,
- 청해진, 김우징
신라구의 일본 침입
,811 ~ 936,
- 일본
후삼국 통일 전쟁
,889 ~ 936 ,
원종ㆍ애노의 난
,889,
- 원종애노
대야성 전투
,901,
- 후백제
대야성 전투
,916,
- 후백제
대야성 전투
,920,
- 후백제
서라벌 기습
,927,
고려 후백제
고창전투
,930,
후백제 고려
운주성 전투
,934,
고려 후백제
}}}}}}}}}||


고구려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c5b35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0> 고구려-신 전쟁
,12 ~ 14,
<colbgcolor=#fff,#191919> 신나라
1차 좌원 전투
,172,
후한
고구려-위 전쟁
,244 ~ 259,
제1차 양맥 전투
,244,
조위
비류수 전투
,244,
조위
제2차 양맥 전투
,259,
조위
신라-왜 전쟁
,364 ~ 404,
백제 가야
고구려-백제 전쟁
,369 ~ 607,
치양 전투
,369,
백제
제1차 평양성 전투
,371,
백제
제2차 평양성 전투
,377,
백제
오곡원 전투
,529,
백제
백합야 전투
,553,
백제
독성산성 전투
,548,
신라 백제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551 ~ 553,
신라 백제
배산 전투
,577?,
북주
온달산성 전투
,590,
신라
제1차 고구려-수 전쟁
,598,
수나라
북한산성 전투
,603,
신라
제2차 고구려-수 전쟁
,612,
살수대첩
,612,
수나라
제3차 고구려-수 전쟁
,613,
수나라
제4차 고구려-수 전쟁
,614,
수나라
제1차 칠중성 전투
,638,
신라
제1차 고구려-당 전쟁
,645,
주필산 전투
,645,
당나라
안시성 전투
,645,
당나라
제2차 고구려-당 전쟁
,660 ~ 662,
제2차 칠중성 전투
,660,
신라
북한산성 전투
,661,
신라
평양성 전투
,661 ~ 662,
신라 당나라
제3차 고구려-당 전쟁
,667 ~ 668,
평양성 전투
,668,
신라 당나라 }}}}}}}}}

북한산성 전투
北漢山城 戰鬪
<colbgcolor=#C00D45,#600823><colcolor=white> 시기 661년 (보장왕 20년) 5월 9일
장소

술천성(여주시), 북한산성[1]
원인 신라백제를 멸망시킨 것에 대한 고구려의 보복
(백제부흥운동 지원, 신라 견제)
교전국 고구려-말갈 연합
(공세)
<rowcolor=black> 신라
(수세)
주요 인물
지휘관

파일:고구려 군기.svg 뇌음신
[[말갈|
靺鞨
]] 생해 (生偕)
지휘관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동타천 (冬陁川)
병력 병력 규모 불명 신라: 2,800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신라의 승리
영향 고구려의 한강 유역 수복 실패
1. 개요2. 배경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지금의 경기도 여주시 술천성, 그리고 북한산성에서 고구려신라 간에 있었던 전투. 다만 이 북한산성은 지금의 서울 북부 북한산성이 아닌, 광진구에 있는 아차산성이다.

2. 배경

신라당나라나당동맹에 대항해 백제와 고구려는 여제동맹 관계에 있었다고 보고 있다. 여제동맹이 실질적인 동맹관계가 과연 맞는지 이의를 제기하는 경우도 있지만, 660년 8월 백제의 멸망은 나당연합군을 견제할 수 있는 세력 하나가 줄어드는 것이고 고구려의 안보에도 나쁜 소식이었다. 그러나 백제 멸망 직후 옛 백제 땅에서는 귀실복신 등이 일어나 백제부흥운동이 진행되었고, 고구려는 백제 멸망의 보복으로 신라 북측을 공격해 백제 전선에 있던 신라의 관심을 분산시키고 나아가 과거 신라에 빼앗겼던 한강 유역까지 조금씩 되찾으려 했다.

660년 10월에 있었던 칠중성 전투에서 고구려군은 칠중성 점령에 성공했고, 여전히 신라의 정예군이 백제부흥운동 진압에 쏠려있는 것을 본 고구려는 지금이 신라의 나라 안이 비어있어 공격할 기회라 보고 뇌음신 장군과 말갈인 장군 생해(生偕)에게 명해 수륙으로 동시에 진격해 내려갔다. 먼저 공격한 것은 여주시 술천성이었지만 이기지 못하자 군사를 돌려 북한산성을 포위했다.

고구려는 그 서쪽에 진영을 두고 말갈은 그 동쪽에 주둔하면서 열흘 동안 공격했다. 뇌음신의 고구려군은 투석기를 설치해 돌을 날려 공격했는데, 북한산성 성주 동타천(冬陁川)은 마름쇠[2]를 바닥에 깔아서 적의 침입을 막고 망루와 노포를 설치하는가 하면 성안의 주민 남녀 2,800여명을 모두 동원하여 적과 싸우게 하는 등 격렬하게 저항하였다. 어린이와 노약자까지 격려하여 20여 일을 버텼다고 한다.

북한산성은 점차 식량이 떨어져 곧 뇌음신에 의해 함락될 것 처럼 보였으나 때마침 고구려군의 진영을 향해 큰 별이 떨어지고 천둥과 비가 내리자 고구려군 역시 사기가 떨어져 싸움을 멈추고 돌아갔다. 이런 재난이 일어난 것에 대해 삼국사기 신라본기에서는 북한산성 성주 동타천이 하늘에 빌었기 때문에, 삼국유사 태종춘추공조와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서는 김유신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 일어난 일이라고 하고 있다. 꼭 누구 기도 때문이 아니라도 미신적 믿음이 중요시되던 고대라 기상현상에 사기를 고려해 퇴각했을 수도 있고, 악천후로 공성전 지속이 힘들다고 합리적으로 판단했을 수도 있다. 이 전투가 있던 음력 5~6월경은 딱 초여름 장마철 시즌이다. 동서고금 장마철은 쳐들어가기 좋지 않은 계절이지만 고구려 입장에선 백제 흡수에 신라군이 시선이 쏠린 타이밍을 노린 빈집털이였으므로 감수하고 군사를 일으킨 것인데 동타천이 생각보다 잘 버텨 결국 큰 비에 좌절한 것이다.

3. 관련 문서


[1] 지금의 아차산성[2]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땅에 깔아놓는 큼지막한 쇳바늘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