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6A5445>역사 | 역사 전반 · 북부여 · 동부여 · 갈사부여 · |
외교 | 고조선 · 고구려 · 백제 | |
국방 | 부여군 · 대소왕의 고구려 침입 시도 · 학반령 전투 · 진펄 전투 · 현도군 전투 · 부여 - 모용선비 전쟁 · 부여 - 전연 전쟁 | |
문화 | 문화 전반 · 백의민족 · 윷놀이 · 상투 · 영고 | |
왕사 | 왕사 전반 · 국성 · | |
사회 | 사회 · 부여어 · 정치 · 경제 | |
기타 | 역사귀속과 계승인식 · 유래한 이름 · 학계에서 | }}}}}}}}} |
고구려의 대외 전쟁·분쟁 | |||
{{{#!wiki style="color: #c5b35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000> 고구려-신 전쟁 ,12 ~ 14, | <colbgcolor=#fff,#191919> 신나라 | ||
고구려-부여 전쟁 ,-, | 대소왕의 고구려 침입 시도 ,6, | 부여 | |
학반령 전투 ,13, | 부여 | ||
진펄 전투 ,22, | 부여 | ||
현도군 전투 ,120 ~ 122, | 부여 | ||
1차 좌원 전투 ,172, | 후한 | ||
고구려-위 전쟁 ,244 ~ 259, | 제1차 양맥 전투 ,244, | 조위 | |
비류수 전투 ,244, | 조위 | ||
제2차 양맥 전투 ,259, | 조위 | ||
신라-왜 전쟁 ,364 ~ 404, | 왜, 백제, 가야 | ||
고구려-백제 전쟁 ,369 ~ 607, | 치양 전투 ,369, | 백제 | |
제1차 평양성 전투 ,371, | 백제 | ||
제2차 평양성 전투 ,377, | 백제 | ||
오곡원 전투 ,529, | 백제 | ||
백합야 전투 ,553, | 백제 | ||
독성산성 전투 ,548, | 신라, 백제 | ||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551 ~ 553, | 신라, 백제 | ||
배산 전투 ,577?, | 북주 | ||
온달산성 전투 ,590, | 신라 | ||
제1차 고구려-수 전쟁 ,598, | 수나라 | ||
북한산성 전투 ,603, | 신라 | ||
제2차 고구려-수 전쟁 ,612, | 살수대첩 ,612, | 수나라 | |
제3차 고구려-수 전쟁 ,613, | 수나라 | ||
제4차 고구려-수 전쟁 ,614, | 수나라 | ||
제1차 칠중성 전투 ,638, | 신라 | ||
제1차 고구려-당 전쟁 ,645, | 주필산 전투 ,645, | 당나라 | |
안시성 전투 ,645, | 당나라 | ||
제2차 고구려-당 전쟁 ,660 ~ 662, | 제2차 칠중성 전투 ,660, | 신라 | |
북한산성 전투 ,661, | 신라 | ||
평양성 전투 ,661 ~ 662, | 신라, 당나라 | ||
제3차 고구려-당 전쟁 ,667 ~ 668, | 평양성 전투 ,668, | 신라, 당나라 | }}}}}}}}} |
1. 개요
부여왕 대소가 고구려를 침입하려한 사건.2. 배경
고구려가 급속히 성장하는 것을 두려워한 부여는 그나마 남은 있는 힘으로 고구려 왕실을 예속시킬 생각을 한다. 이에 고구려로 사신을 파견하여 볼모교환을 요구하게 된다.아직 국력이 약하였던 고구려는 하는 수 없이 태자 도절을 볼모로 보내려고 했다. 하지만, 도절이 부여로 가는 것을 거부하자 일이 터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