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NC 다이노스 2025 시즌 투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군 | ||
3 라일리 · 12 로건 · 18 신민혁 · 21 김시훈 · 22 김녹원 · 26 최성영 · 32 김재열 · 40 이준혁 · 41 류진욱 · 46 손주환 · 54 김진호 · 57 전사민 · 61 배재환 | |||
2군 | |||
11 김태경 · 13 임정호 · 15 김태현 · 17 김영규 · 19 김휘건 · 20 목지훈 · 28 임상현 · 43 신영우 · 45 이용찬 · 47 전루건 · 48 최우석 · 50 소이현 · 51 이재학 · 55 한재승 · 56 원종해 · 58 서의태 · 63 김민규 · 67 박주현 · 95 김태훈 · 96 홍재문 · 97 이세민 · 100 강태경 · 104 김민균 · 106 김준원 · 107 김진우 · 110 노재원 · 111 박동수 · 114 박지한 · 115 서동욱 · 123 임지민 · 124 임형원 · 131 최윤혁 · 132 홍유원 · 133 정주영 | |||
최종 편집: 2025년 5월 1일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NC 다이노스 등번호 46번 | ||||
조현진 (2024) | → | 손주환 (2025~) | → | 현역 |
파일:손주환2025프로필.jpg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FFF> NC 다이노스 No.46 | |
손주환 孫周煥 | Son Juhwan | |
출생 | 2002년 1월 5일 ([age(2002-01-05)]세) |
부산광역시 | |
국적 |
|
학력 | 영천초 - 신정중 - 물금고[1] - 동아대[2] |
신체 | 177cm, 85kg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24년 6라운드 (전체 55번, NC) |
소속팀 | NC 다이노스 (2024~) |
연봉 | 3,000만 원 (2024년) |
등장곡 | Epiik (에픽) & Sixthema & Arkins - Terminal Rangers[3] |
|
1. 개요
NC 다이노스 소속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
2023년 6월 6일 제1회 한화이글스배 고교 올스타 대학 올스타경기 대학팀 마무리 투수로 등판하여 9회, 10회 무실점 호투를 펼쳤다.[4]
2024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6라운드 전체 55번으로 NC 다이노스에 지명받았다.
2.2. NC 다이노스
2.2.1. 2024 시즌
|
이후 꾸준히 1이닝씩 소화하며 구원투수로 나서고 있다. 중계방송이 있었던 5월 22일 홈 상무전에선 0-4로 앞선 5회초 등판해 무실점 호투로 데뷔 첫 승리를 챙겼다.
7월 27일 기준 20경기 21⅓이닝을 소화하면서 퓨처스리그 평균자책점 0.00의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5승 1홀드를 챙긴 것은 덤.
9월 6~15일 중국 항저우에서 열리는 제5회 세계야구선수권대회에 참가하기 위한 대한민국 U-23 야구 국가대표팀에 팀 동료 임형원과 함께 발탁되었다. 손주환은 인터뷰를 통해 "아직 실감나지 않는다. 퓨처스 올스타전 때 던진 것처럼 최선을 다하겠다. 국제대회인 만큼 여러 국가 선수들을 상대할 수 있어 정말 좋다. 준비 잘해서 최고의 기량으로 상대 타자들과 맞붙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7월 31일 1군에 콜업되면서 군입대한 배상호가 쓰던 94번으로 등번호를 바꾸었다.
8월 1일 고척 키움전에서 9:13으로 벌어진 2사 만루 상황에서 1군 데뷔전을 가졌다. 첫 공은 슬라이더를 던졌고, 마지막 공도 슬라이더로 헛스윙을 이끌어내며 박수종을 상대로 데뷔 첫 탈삼진을 잡으며 이닝을 끝냈다.
8월 7일 사직 롯데전에서 14:6 으로 지고 있던 상황에서 등판했지만 신윤후에게 헤드샷을 던지며 자동퇴장 당했다.
8월 10일 잠실 LG전에 등판해 세 타자를 깔끔하게 잡았다.
8월 14일 김시훈이 콜업되면서 엔트리 말소되었고, 다시 퓨처스리그에서 등판 중이다. 8월 17일 1⅓이닝 1실점을 제외하곤 계속 실점이 없어 24경기에 등판했지만 ERA는 0.36에 불과했던 등 호투를 이어갔고, 이에 따라 9월 28일 임상현이 말소된 자리에 등록되며 1군으로 복귀하였다.
시즌 막바지 휴식 차 기존선발이 무더기로 내려간 상황에서 9월 30일 광주 KIA전에 선발로 등판했다. 1회말 세 타자를 삼자범퇴하면서 기분 좋게 출발했으나, 2회말 연속 볼넷 후 뜬공으로 1사 상황에서 병살타구를 유도했는데 유격수 김한별이 타구를 더듬으면서 이닝을 마치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이후 연속안타를 허용한 뒤 마운드를 내려오게 되었다. 뒤이어 올라온 김민규가 승계주자를 홈으로 들여보내면서 패전투수가 되었다.
2.2.2. 2025 시즌
개막전 엔트리에 포함되었고, 3월 23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 중 2사 3루의 위기상황에서 등판하여 나성범을 3루수 파울플라이로 잡아내고 이닝을 마무리하여 데뷔 첫 홀드를 기록했다.3월 27일 대구 삼성전에 김민규 다음 투수로 등판해 6회말을 깔끔하게 정리했으며 이후 승리요건이 갖춰진 7회에도 이병헌까지 잘 잡아놓고 김지찬에게 볼넷을 허용해 교체되고 말았다. 이후 등판한 김진호가 불안불안하다 무실점하며 1.1이닝 1사사구 무실점을 기록, 데뷔 첫 승도 수확했다.
3월 29일, 14:4로 뒤진 9회초, 1이닝을 삼자범퇴로 깔끔하게 지웠다.
4월 6일, 9회말 8:2로 앞선 상황에 등판에 삼진 하나를 곁들여 삼자범퇴 이닝을 만들어 팀의 승리를 지켜냈다.
4월 10일 9회 말 7:0으로 앞선 상황에 등판했다. 유격수 실책으로 주자가 출루하긴 했지만 안타나 볼넷 허용 없이 1이닝을 깔끔하게 막았다. 4경기 연속 무피안타 무실점을 기록 중이다.
4월 11일 사직 홈경기에서 5회 1사 상황에 최성영 다음으로 등판해 나승엽을 깔끔하게 잡고 레이예스에서 2루타를 맞고 강판되었다. 이후 큰 일 없이 이닝이 마무리되며 0.1이닝 1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했다.
4월 13일에는 팀이 6:5로 역전한 3회초 등판했으며 3회에는 2사 잡고 안타를 맞았지만 이닝을 정리했고, 시즌 처음으로 멀티이닝을 막기 위해 등판한 4회에는 2사를 잡고 볼넷을 허용하고도 이닝을 정리했다. 감독이 신뢰해서 한 회 더 등판했는데, 5회에는 삼자범퇴 하며 3이닝 1피안타 1사사구 무실점했다. 구원등판해 3회를 막아세워 시즌 2승째를 거두며 단순히 1이닝만 막아주는 게 아니라 팀의 믿을맨이 되고 있다.
4월 19일 대전 한화전에 오래간만에 등판했는데, 최성영이 3회에 3점 홈런을 뚜드려 맞은 2사 상황에 등판해 이닝을 마무리했다.
4월 20일에도 등판했는데, 7:0으로 뒤쳐진 5회 1사 1,3루 상황에서 팀의 호수비를 앞세워 직선타-1루주자 아웃, 6-3 병살타로 아웃카운트를 정리했으며 6회에는 2사를 잡고 이상혁에게 안타를 허용했지만, 김형준의 도루저지능력을 앞세워 이상혁을 도루자로 만들어 이닝을 깔끔하게 마무리했다. 1.2이닝 1피안타 무실점. 전사민과 김진호가 다소 주춤하는 상황에서 코칭스태프가 믿고 맡길 수 있는 유일한 투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4월 22일 잠실 LG전, 6회말 2사 상황에 106구를 던지고 나간 신민혁 다음으로 등판해 이닝을 마무리했다. 0.1이닝 무실점으로 시즌 2호 홀드를 기록했다.
4월 23일 1:0으로 선취점을 내준 5회 1사 1,3루 상황에 등판해 삼진 하나를 곁들여 이닝을 정리했으며 6회에도 등판해 송찬의를 볼넷 출루했으나, 범타로 남은 아웃카운트를 챙기며 무실점을 기록했다. 1.2이닝 1사사구 1K.
현재까지 11경기 등판 12이닝 ERA 0을 기록하고 있다. 작년의 김재열이 생각 날 정도로 뛰어난 활약을 보이는 중이다.
4월 25일 대구 삼성전, 1.3이닝 1사사구 2피안타 2실점 1K이라는 부진한 성적을 보여줬다. 평균자책점은 2.08로 올라갔으며 시즌 첫 패전을 기록하게 됐다.
3. 플레이 스타일
|
슬라이더[5] |
4. 연도별 성적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2024 | NC | 4 | 0 | 1 | 0 | 0 | 3⅔ | 9.82 | 2 | 0 | 2 | 1 | 4 | 1.09 | 204.18 | -0.04 |
KBO 통산 (1시즌) | 4 | 0 | 1 | 0 | 0 | 3⅔ | 9.82 | 2 | 0 | 2 | 1 | 4 | 1.09 | 204.18 | -0.04 |
5. 여담
- 물금고 졸업 당시와 수성대 졸업 당시에 연거푸 지명을 받지 못하고 육성선수 테스트에서도 떨어져 선수 생활을 포기하려고 했지만 아버지의 권유로 동아대로 편입 후 기량이 급상승해서 NC의 지명을 받은 드래프트 삼수생이다. SBS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을 일으켜 세워준 아버지에 대한 애틋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손주환의 이전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C 다이노스 등번호 104번 | ||||
정주영 (2023) | → | <colbgcolor=#af917b><colcolor=#00275a> 손주환 (2024~2024.7.30) | → | 김정호 (2024.9.8.~2024) | |
NC 다이노스 등번호 94번 | |||||
배상호 (2024~2024.7.28.) | → | 손주환 (2024.7.31.~2024) | → | 윤형준 (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