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NC 다이노스 2026 시즌 투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3 라일리 · 11 김태경 · 12 로건 · 13 임정호 · 15 김태현 · 17 김영규 · 18 신민혁 · 19 임지민 · 20 목지훈 · 22 김녹원 · 26 최성영 · 28 임상현 · 29 하준영 · 32 김재열 · 40 이준혁 · 41 류진욱 · 43 신영우 · 45 이용찬 · 46 손주환 · 47 전루건 · 48 최우석 · 50 소이현 · 51 이재학 · 54 김진호 · 56 원종해 · 57 전사민 · 59 구창모 · 61 배재환 · 63 김민규 · 64 조민석 · 95 김태훈 · 96 홍재문 · 97 이세민 · 100 강태경 · 106 김준원 · 110 노재원 · 111 박동수 · 114 박지한 · 121 정구범 · 131 최윤혁 · 133 정주영 · # 서동욱 · # 김요엘 · # 최요한 · # 정튼튼 · # 윤성환 · # 윤서현 · # 손민서 | ||
최종 편집: 2025년 10월 20일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응원단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NC 다이노스 등번호 97번 | ||||
강태경 (2024) | → | 이세민 (2025~) | → | 현역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fff> NC 다이노스 No.97 | |
이세민 Lee Semin | |
출생 | 2005년 8월 8일 ([age(2005-08-08)]세) |
대구광역시 | |
국적 |
|
학력 | 칠성초 - 경복중 - 대구상원고 |
신체 | 187cm, 100kg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25년 6라운드 (전체 57번, NC) |
소속팀 | NC 다이노스 (2025~) |
연봉 | 2025 / 3,000만 원 |
등장곡 | RIIZE, Arkins - 〈Boom Boom Bass (Arkins Remix)〉 |
1. 개요
NC 다이노스 소속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
3학년 성적은 15경기 38⅔이닝 5승 2패 10자책점 38탈삼진 21사사구 ERA 2.36.
NC 지명 선수 중 신인 드래프트장에 유일하게 참석하여 주목받았다.[1] 드래프트 행사 후 인터뷰에서 이세민은 "NC라는 훌륭한 팀에 뽑혀 기쁘다. 데뷔 첫해 1군 진입을 목표로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자신의 장점으로 높은 타점에서 내리꽂는 속구와 큰 수직각도의 커브를 꼽았다.
NC 스카우트팀은 지명 당시 이세민이 향후 마무리 자원이 될 만한 재목이라며 "이세민은 피지컬이 우수한 불펜 유형의 강속구 자원으로 경상권에서 구위가 가장 우수한 선수 중 한 명이었다. 주무기인 커브로 많은 삼진을 잡아냈으며 직구로도 삼진을 잡아낼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선수다. 슬라이더도 구속이 140km/h 가까이 형성될 정도로 빠르고 각이 날카롭다"고 평가했다. 또 "구단 육성 시스템 내에서 성장한다면 전천후 자원으로 성장할 수 있고 불펜 필승조, 혹은 마무리 자원으로도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해 지명을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2.2. NC 다이노스
2.2.1. 2025 시즌
4월 16일, 2025년 입단한 신인 투수들 중 처음으로 퓨처스 경기에 등판했다. 기록은 3이닝 4피안타 3사사구 1실점으로 나쁘지 않았다. 3회부터 흔들린 것으로 보아 선발로 뛰기 위해서는 스태미너의 개선이 필요할 듯.2.3. 국가대표 경력
2.3.1. 2025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
<rowcolor=#fff> 경기 | 선발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 | 자책점 | 탈삼진 | 볼넷 | ERA |
1 | 1 | 3 | 0 | 0 | 0 | 0 | 0 | 0 | 0 | 0 | 2 | 1 | 0.00 |
3. 수상 경력
| ||
2025 | 2025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동메달 |
4. 플레이 스타일
최고 153km/h, 평균적으로는 140 중반으로 형성되는 묵직한 구위를 가진 구위형 선수다.NC 스카우팅 리포트에선 평균 140km/h 중반의 구속과 준수한 신체조건으로 구속 향상 가능성이 있으며, 우수한 신장과 골격을 갖춰 높은 타점의 포심 패스트볼의 궤적이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또 14km/h에 근접하는 브레이킹이 준수한 슬라이더를 좌/우타자 모두에게 결정구로 활용할 수 있다며 호평하였다.
5. 여담
- 같은 팀 임상현과 대구상원고 동창이자 동갑내기이나, 유급 경력으로 인해 이세민이 1년 늦게 지명받았다.
- 이름이 당나라 황제 태종 이세민과 동명이인이다.
- 드래프트 지명 이후 구단 유튜브 인터뷰에서 휘문고가 명문이냐는 질문에 휘문고는 조금… 이라는 말을 해 박민우가 격분하게 만들었다.[2] 그리고 선수단 상견례 자리에서 휘문고를 사랑하는 대구상원고 투수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6. 관련 문서
[1] 덕분에 엔튜브 드래프트 현장 컨텐츠 촬영지분을 본인 단독 컨텐츠라고 해도 될 수준으로 분량을 거의 독차지했고 당일 치러진 kt전 선발 라인업을 직접 읊어 주기도 하는 등 졸지에 1라운더 대접을 받았다.#[2] 속칭 휘친자로 엄청난 모교 사랑이 밈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