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23:44:14

뽀로로

뽀통령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뽀로로"><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캐릭터가 주인공인 만화}}}에 대한 내용은 [[뽀롱뽀롱 뽀로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뽀롱뽀롱 뽀로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뽀롱뽀롱 뽀로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캐릭터가 주인공인 만화: }}}[[뽀롱뽀롱 뽀로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뽀롱뽀롱 뽀로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뽀롱뽀롱 뽀로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뽀롱뽀롱 뽀로로 로고.png
등장인물
뽀뽀&삐삐 통통이
기타 등장인물
<colcolor=#fff> 뽀로로
Pororo|ポロロ
파일:뽀로로 3기 수정.png
현재 모습(3기 이후)
파일:뽀로로 1~2기.png
1~2기 시절의 모습[1]
<colbgcolor=#498cfd> 거주지 뽀롱뽀롱 마을
성별 남성
동거 크롱
상징색 파란색, 주황색, 노란색
종족 펭귄[2]
성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이선(본편, 극장판)
김현지[3](前 뽀로로 tv 제작 프로그램, OVA, 뽀로로 놀이교실)[4]
강은애(現 OVA, 키즈팝, 유튜브 프로그램)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와타나베 쿠미코(후지TV), 모로호시 스미레(디즈니 주니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셸 러프

1. 개요2. 상세3. 인기4. 작중 행적5. 주변 관계6. 여담
6.1. 초안

1. 개요

안녕? 난 뽀로로야!
뽀롱뽀롱 뽀로로주인공.

2. 상세

어린 수컷 펭귄[5]을 의인화한 캐릭터로 세계 대전 기간 조종사들이 쓰고 다녔을 법한 헬멧에 방풍 고글을 쓰고 다니는 시대를 초월한 패션 감각을 가지고 있었다. 3기부터는 의상이 바뀌어서 머리를 감싸는 헬멧에 주황색 넥타이 쫄쫄이로 너프되었다.[6]

밝고 활기찬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호기심과 욕심이 많아서 자주 사고를 치곤 한다. 특히 크롱과는 첫 에피소드부터 같은 집에서 사는 사이지만 둘 다 아직 어리다보니[7] 오히려 지나치게 자주 싸운다. 하지만 크롱을 계속 보살피는 걸 보면 보통 대인배가 아니다.[8]

날지 못하는 새의 클리셰인 "하늘을 날고 싶다"는 꿈도 있다. 꿈을 이루기 위해 여러 방법을 시도했지만 땅에 떨어지며 날지 못했다.[사실] 결국 포비의 조언으로 물 속에서 헤엄치며[10] 대리만족했다.[11] 이후 에디가 2인승 비행기[12]를 만들어서 크롱과 함께 비행기를 타고 하늘을 날게 되어 간접적으로나마 꿈을 이루게 된다.

상기했듯이 초기에는 제1차 세계 대전 때 쓰던 비행모자와 고글만 있는 디자인이었다가 시즌 3부터 모자가 헬멧으로 바뀌고 전신을 가리는 점프수트 쫄쫄이 형태의 옷이 추가되었다. 물론 뽀로로만 옷이 추가된 것은 아니고 대표적으로 포비를 비롯한 이 때 모든 등장인물에게 옷을 입혔다. 이는 제작사가 바뀌면서 캐릭터들을 묘사하는 방식이 변경되었기 때문이다.[13]

같은 펭귄 캐릭터인 패티 못지 않게 운동신경이 뛰어나며, 평소에 스노보드 타는 것이 취미다. 다른 매체에서 나오는 펭귄 캐릭터들이 느리고 둔하게 묘사되는 것과는 전혀 딴판으로, 달리기도 빠르고 축구같은 구기 종목도 잘 한다.

특히 가장 잘하는 종목은 당연히 수영. 실력은 적어도 1기 원년 멤버 중에서는 단연 최고이며, 특히 해변에서 공놀이를 하다가 공이 멀리 날아가서 바다에 빠질 때는 다들 지켜보기만 할 때 늘 뽀로로가 나서서 갖고 온다. 이 외에도 수영을 못하는 에디를 구해주는 것 역시 항상 뽀로로이며, 썰매와 비행기 운전도 잘 한다는 묘사가 나오고, 심지어 극장판 컴퓨터 왕국에서는 해리의 대사로 게임을 잘 한다고 한다. 또한 1기 10화 '말썽꾸러기 크롱' 편에서 자꾸 장난을 치는 크롱을 문 밖으로 던져버리고, 2기 21화 '나도 할 수 있어' 편에서 땔깜을 가장 많이 가져온 모습, 물에 빠진 에디를 한 손으로 들고 물 위로 올라가는 것을 보면 포비나 로디만큼은 아니더라도 힘도 센 편인 것 같다.

3. 인기

국내에서 꼬마버스 타요[14], 번개맨, 터닝메카드 등 각종 만화와 어린이 프로그램들이 지속적으로 수 차례 도전해 왔지만 끝내 어느 누구도 넘지 못한 넘사벽이며, 단시간에 대한민국에서 방송되었던 어린이 프로그램의 초대 대통령을 이은 2대 대통령을 퇴출시킨 캐릭터이다. 더 나아가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에 한 획을 그은 캐릭터이기도 하다.

뽀로로의 국내 인기는 어마어마하며, 해외에서도 제법 인기가 있다.[15] 아예 팬들이 붙인 별명도 뽀통령, 뽀느님, 뽀수 그리스도, 뽀이돌이라고 불릴 정도로 둘리와 더불어 한국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끝판왕이다. 사실 유아기의 어린이를 키우는 부모님 입장에서 뽀로로는 매우 고마운 존재다. 일단 틀어놓으면 아이들은 일시정지 상태로 울지도 않고 뽀로로에만 집중할 정도로 퀄리티가 높고, 그동안 밀린 집안일을 처리할 수 있어서 뽀로로는 이미 젊은 부모 세대들에게 필수요소로 자리잡았을 정도다. 어린 아이를 데리고 외출할 때 스마트폰에 뽀로로 영상을 다운로드해 놓고 다니는 부모님들도 흔히 볼 수 있다. 작품성도 좋기에 모든 연령층에게 사랑받는 캐릭터다.

파일:external/cf209408ab3595b6cbbfac3055e39e9603b630de9ce05db7b4fa7404127dec50.jpg
뽀통령이 준비한 최고의 선물!
2013년 1월 24일 개봉한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 포스터. 제작사 오콘에서도 뽀통령이라는 말이 자주 쓰이는 것을 의식했는지 이제는 대놓고 뽀통령이라고 쓰고 있다.

허나 2014년의 5기 이후 제작 주기 사이의 공백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주 유아 시청자층은 타 애니메이션으로 유동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간신히 뽀통령이라는 자리를 지키고 있는 상황이다. 그것을 틈타 유력한 4대 대통령 후보 핑크퐁신비아파트 시리즈가 인기를 모으면서 어린이들의 대통령 자리를 위협받고 있다. 2020년에는 같은 EBS 후배 겸 팽귄 캐릭터인 새로운 라이벌 펭수도 개입하며 위협이 점점 커지고 있다.[16] 요즘엔 오히려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인기가 더 많은 편이고 뽀로로는 상대적으로 인기가 적다.[17]

그러다 2021년 8월 13일 뽀로로의 소실이라는 합성물이 제작됨에 따라 유튜브 알고리즘을 통해 뽀로로가 다시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2024년 이후에는 새로운 대통령 후보인 하츄핑이 나오면서 뽀로로의 자리가 지켜질지가 주목되고 있다.[18]

하지만 다른 애니메이션에게 인기를 빼앗겼다고 해서 뽀롱뽀롱 뽀로로 시리즈와 뽀로로라는 캐릭터의 수명이 끝난 것은 절대 아니며, 여전히 병맛 더빙과 같은 각종 2차 창작이 제작되고 있다.

4.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뽀로로/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뽀로로/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뽀로로/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애니메이션 제목이 뽀롱뽀롱 뽀로로인 만큼 말할 것도 없이 이 시리즈의 주인공이며, 그만큼 비중이 있기에 한 화당 적어도 약 3~40% 정도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작중 포지션은 리더 & 분위기 & 트러블 메이커다.

크롱과 함께 몇 편당 한 번꼴로 사고를 치지만 요즘은 많이 줄었다.[19] 는... 아무래도 주인공이다 보니 사고, 위험, 재난, 마법 등의 모든 병크가 뽀로로에게 향하지만 뽀로로는 끽해야 반창고 몇 장으로 만사 OK다.

5. 주변 관계

  • 크롱: 함께 사는 동거인이자 베스트 프렌드. 자주 티격태격거리곤 하지만, 결국에는 화해하고 관계가 틀어지는 일 없이 계속 좋은 친구로서 지내며, 그 누구보다도 크롱을 동생처럼 사랑하고 아낌없이 대해준다. 크롱 역시 뽀로로를 소중한 친구로 아끼며 1기 27화에서 뽀로로가 바다에 너무 멀리 가버리자 그를 만나지 못할까봐 슬프게 울었고, 뽀로로가 돌아오자 껴안았다.
  • 에디: 악우이자 라이벌 관계. 둘은 대비되는 점이 꽤 많은데, 이미지 컬러가 파란색과 노란색으로 서로 보색이며, 뽀로로는 수영을 잘하지만 에디는 못하고 뽀로로는 발명에 별 소질이 없지만 에디는 잘 한다. 또,에디는 더운 환경에 사는 사막여우지만 뽀로로는 추운 곳에서 서식하는 펭귄이다.크롱 다음으로 엄청 싸우는데, 3기에서 로디가 등장한 후부터는 싸우는 일이 더 늘었다. 하지만 서로 도와주는 에피소드도 상당하며, 서로 도와주는 편에서는 의외로 일이 쉽게 풀리는 경우가 많다.
  • 루피: 가끔 뽀로로가 루피의 그림이나 요리를 망치거나 놀려서[20] 루피를 화나게 하거나 기분을 상하게 하기도 한다. 그래도 이성끼리라서 그런지 크롱이나 에디와는 다르게 싸우지 않고 오히려 뽀로로 쪽이 먼저 사과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 포비: 원래 포비가 싸움이나 심한 장난을 선호하지 않는 평화주의자이기도 하고, 화를 잘 안내고 참는 편이라 실수를 해도 적반하장으로 화내거나 어영부영 넘어가려는 뽀로로도 포비 앞에서 실수를 하면 바로 사과한다. 그리고 포비가 어느정도의 요리 실력도 갖추고 있고, 통통이를 제외한 주연 중에서는 가장 덩치가 크다보니 도움도 많이 받는다. 여러모로 동네의 친한 형같은 존재
  • 패티: 서로 같은 펭귄이고, 서로에게 호감을 느끼는 관계. 패티가 첫 등장한 2기 1화부터 현재까지도 뽀로로가 패티를 좋아하고 있다는 묘사가 종종 나온다.[21] 패티가 뽀로로를 좋아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6기 18화에서 패티의 이야기에서 뽀로로가 패티 공주를 좋아한다고 나온 것으로 보아, 뽀로로에게 호감이 있는 듯하다.[22] 하지만, 5기 6화에서는 뽀로로가 패티한테 승부를 신청하는 모습을 보면 일단 자신에게 승부욕이 생기면 그 상대가 자신의 호감의 대상이라 할 지라도 이기려는 면모도 있는 듯하다.
  • 해리: 접점이 적은 편이지만 가끔 서로를 골탕먹이려 하는 장면이 종종 나오며, 둘 다 기가 센 성격이다 보니 한번 마찰이 생기면 바로 싸운다.
  • 로디: 역시 접점이 적은 편이지만 5기 1화부터 접점이 늘어났는데, 뽀로로가 다른 친구들한테는 화를 내도 로디에게는 화를 내지 않는다.[23]

6. 여담

  • '뽀로로'라는 이름은 '종종걸음으로 재게 움직이는 모양'이라는 뜻을 가진 우리말이라 한다. 다만 우리말샘에는 실려있지 않고 대신 '자그마한 것이 부리나케 달려가거나 쫓아가는 모양'의 '뽀르르', '작은 발걸음을 재게 움직여 걷거나 따라다니는 모양'의 '조로로(→조르르)'가 실려 있다. 아마 이 두 단어를 합친게 뽀로로로 보인다.
  • 4기 엔딩에서 묘사된 장래희망은 비행사다. 그 전에 스핀오프 작품인 뽀로로와 노래해요에서도 비행사가 장래희망이라고 나왔었다.

파일:안경 벗은 뽀로로.jpg
  • 사실 안경빨이고 고글을 벗으면 별로라는 이야기가 있다. 참고영상 황현희불편한 진실 첫회에서 했는데, 여기서는 고글을 벗긴 것으로도 모자라 모자까지 벗기면서 M자 탈모가 있다고 주장했다. 물방울 노치. 그리고 왕뚜껑 표지에는 아예 얼굴을 공개했다. 뽀로로 시즌 8 14화에는 안경빨은 아니지만 헬멧을 벗은 뽀로로가 나온다.[24] 덤으로 안경 때문에 잘 느껴지진 않지만 안경을 벗은 뽀로로는 같은 펭귄인 패티나 눈을 뜬 에디, 루피, 포비처럼 점눈캐임을 알 수 있다.
    뽀알(뽀로로의 그것을 알려줄까)에서 엄청 잘생긴 것으로 나왔다.[25]

    한 왕뚜껑 상품에서 뽀로로가 사춘기가 되었다는 컨셉으로 모자와 고글을 벗고 비대칭 앞머리에 치렁치렁한 장발을 가진 만사 귀찮은 표정의 뽀로로 그림이 들어가 있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러다 뽀롱뽀롱 뽀로로 20주년을 맞아 EBS 특집 다큐에서 초기 버전에서처럼 오랜만에 알몸 상태로 나온 것과 더불어 드디어 헬멧과 고글을 완전히 벗은 모습이 공개되었는데, 3D 그래픽이 아닌 그림으로 그려져서 세간에서 알려진 것과는 별개로 그렇게까지 어색하지는 않고 상당히 귀여운 모습이다.
  • SNL 코리아 3화에 의하면 뽀로로는 사실 주몽을 형상화한 것이고, 단군의 한자를 원래 상형문자식으로 풀어보면 뽀로로의 앞모습과 옆모습이 나오기에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정서가 담긴 뽀로로라는 개드립이 나왔다.
  • 루피포비만큼은 아니어도, 어느 정도 요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베이킹 실력은 루피 못지 않은 듯하다. 음식 파티 등을 할 때마다 빵이나 쿠키를 직접 만들어서 가져가는 묘사가 있다. 근데 어쩔 때는 요리실력이 개판으로 나왔는데도 전혀 의식하지 않을 때가 있는데, 사실 이런 경우는 크롱이랑 합작으로 요리를 해서 그런 것이다.
  • 크롱이 집에 낙서를 하거나, 장난감을 어질러놓거나, 나갔다 들어온 다음에 씻지 않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약간의 결벽증이 있는 듯 하다.
  • 파일:external/shop.ncdinos.com/photo_1459601143_0c28e4b8899556abb7cdc41e134c71ed20160402214530.jpg
    2016년 4월 2일 친구인 크롱에 이어 NC 다이노스의 마스코트로 영입되었다. 앞으로 뽀로로를 활용한 콜라보레이션 상품으로 팬들에게 다가갈 예정이다. 또한 2016년 기준 민원24의 마스코트 캐릭터로도 선정되어 있다. 2017 시즌이 끝나고 NC 다이노스의 마케팅팀에서 퇴사했다. 덧붙여 크롱은 팀과 FA 협상 결렬로 팀을 나오게 되었다.
  • 파일:1000002550.jpg
    2024년 4월 17일 성남 FC 홍보대사로 영입되었다. 등번호는 12번을 달 예정이며, 5월 5일 어린이날 수원 삼성 블루윙즈를 상대로 진행되는 하나은행 K리그2 2024 홈경기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홈경기 홍보 및 콜라보 컨텐츠를 진행할 계획이다.
    • 이후 2025년 3월 3일 성남의 K리그2 2R 충북 청주 FC전에서 마스코트로서의 고별전을 치를 예정이다.
  • 뽀로로 담당 성우 이선은 코미디언 김지선과 대학동기로 친분이 있다. 이에 김지선의 장남이 밥투정을 했을 때 이선에게 연락해 뽀로로 목소리로 아들과 통화하여 밥투정을 고쳐달라고 의뢰했고, 이는 효과를 봤다.
  • 조응천 개혁신당 최고위원이 이 캐릭터를 닮았다. 그래서 본인도 뽀응천이라고 불러달라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 아무리 봐도 키가 작아보이지만 실재로는 꽤나 장신인 듯하다. 펭귄은 다리가 몹시 짧아보이지만 스펀지 프로그램에서 나왔듯이 나머지 부위는 몸 안에 숨겨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다리가 길다. 작중에서도 포비, 통통이, 로디 다음으로 키가 크다.[27]

    • 이렇다 보니 인형탈에 기반하여 뽀로로 키가 184 cm라는 루머가 인터넷 커뮤니티에 돌고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 #2 #3[28]
  • 극지연구소 이원영 연구원이 뽀로로가 펭귄이 아닐 수도 있다는 가설을 제기했다.[29] #
  • 종족이 펭귄이라서 그런지 겨울을 가장 좋아한다.
  • 코골이가 심한 편이다. 1기에서는 뽀로로의 코골이 때문에 크롱이 잠을 이루지 못하는 에피소드가 있다.
  • 걷거나 뛸 때마다 특유의 소리가 난다. 힇 햏 힇 햏
  • 좋아하는 색은 본인의 털색과 이미지 컬러에 걸맞은 파란색이라고 한다.
  • 2차 창작에서는 같이 사는 의동생이나 다름없는 크롱, 같은 펭귄인 패티와 많이 엮인다.

6.1. 초안

파일:뽀로로 초안.jpg
제작 초기에는 평범하게 데포르메된 펭귄, 어벙한 얼굴의 펭귄, 닌자로도 기획한 적도 있었다. 비행사 설정은 제작 중간에 생긴 것으로, 현행 디자인에 비해 조금 사실적인 디자인의 비행 시도 그림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다른 캐릭터들의 초안도 볼 수 있는데, 1기 DVD에서 볼 수 있다.

[1] 극장판에서는 오콘이 제작하기 때문에 여전히 쓰인다. 다만, 평상시에만 이 모습이고 영화가 진행될 때마다 이를 기반으로 별개의 의상을 착용한다.[2] 정확한 종은 언급되지 않았으나, 이름이나 외형상 쇠푸른펭귄으로 추정.[3] 2019년 이후로 뽀롱뽀롱 뽀로로 시리즈에 참여를 하지 않고 있다.[4] 당연하지만 한국 한정으로 아래의 다른 나라 성우들은 그대로 맡는다.[5] 털색 배치를 보면 쇠푸른펭귄에 가깝다. 참고로 쇠푸른펭귄의 영어명인 'Little penguin'은 다름아닌 뽀로로의 영문판 제목이다.[6] 뽀로로의 고글에는 렌즈가 없으며, 간혹 여름 관련 콘텐츠에서는 고글에 검은색 렌즈를 달고 나오기도 한다.[7] 뽀로로는 정확히 나이가 묘사되지 않았지만 크롱은 작중에서는 아직 태어난지 1년도 채 안된 아기이다.[8] 물론 옴니버스 형식의 아동 애니메이션 특성상 에피소드 끝으로 가면 결국 화해한다.[사실] 2기 11화에서 날기는 했는데, 엄밀히 말하면 설산에서 떨어지며 에디가 만든 보드를 팔과 몸에 끼우고 활공한 것이다.[10] 포비가 뽀로로한테 "바다와 이어져 있는 절벽에서 점프해 봐" 라고 해서 정말로 점프했는데, 당연히 날진 못했고 그대로 물에 빠졌지만 뽀로로는 물 속을 행복하게 헤엄쳤다. 뽀로로가 이번에도 하늘을 날지 못해 걱정했던 에디, 루피와 달리 뽀로로가 헤엄칠 걸 알고 "뽀로로는 괜찮아."라고 말하는 포비의 모습도 꽤 감동적이다.[11] 이 에피소드는 1기 최고의 감동 에피소드로 불린다.[12] 배기구의 모양을 봤을 때 4기통 성형엔진으로 보인다.[13] 2기까지는 오콘이 제작하고 있다가 3기부터는 스튜디오 게일에서 제작한다.[14] 꼬마버스 타요도 뽀롱뽀롱 뽀로로와 같은 제작사인 아이코닉스와 자회사인 스튜디오 게일에서 제작되었다. 그 때문인지 2차 창작에서 뽀로로와 엮이기도 하며 공식적으로 엮이는 경우도 많다. 아예 시즌 8 2화에서는 찬조 출연까지 했다.[15] 특히 프랑스, 미국, 영국에는 인기가 하늘에 찌른다.[16] 다만 펭수와 뽀로로는 겨냥한 시청층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펭귄 캐릭터라 해도 인기가 떨어졌다고 말하기에는 애매하다.[17] 다만 유아 대상인 뽀로로와 달리 신비아파트의 주요 타겟은 초등학생들이다.[18] 티니핑 시리즈는 주로 여아에 타겟이 맞춰져있다는 점에서 뽀로로와 사뭇 다르고 성인층에도 마니아가 건재하다는 점에서 과거의 펭수와 비슷하기도 하다. 티니핑 또한 여러 상품들이 불같이 빠른 속도로 판매되며 전성기 시절 뽀로로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게다가 티니핑 시리즈도 극장판이 나오고 대히트를 치기까지 하며 사실상 뽀로로의 대통령 자리를 대체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티니핑 시리즈는 현재 유아 및 아동 애니메이션의 선두 주자는 맞지만 시청 나이대 사이에서 당시의 뽀로로만큼 잘 통하지 않을 뿐더러 여자 유아를 노린듯한 디자인과 스토리, 뽀로로와는 다르게 어른들도 등장하며 공감대 형성 불가능 등 다양한 이유로 해당 시리즈에 반감을 가지는 여론도 꽤 있다. 그리고 일본중국을 제외한 해외에서는 뽀로로가 하츄핑보다 인기가 더 많다. 특히 프랑스, 미국, 영국은 더더욱 그렇다.[19] 의외로 에디도 사고를 칠 때가 많다.[20] 크롱이나 에디가 그러는 경우도 많다.[21] 정확하게는 다른 남캐들도 초기에는 패티를 좋아하고 있다는 묘사가 나오긴 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그런 묘사가 나오는 캐릭터는 뽀로로가 유일하다. 또한, 카카오톡 뽀로로 공식 이모티콘 중 하나인 '동화 속 뽀로로'에서 뽀로로와 패티가 입맞춤하는 이모티콘이 있다. 참고로 이 이모티콘에서는 패티가 공주(신데렐라, 백설공주) 역할이고 뽀로로가 왕자 역할이다. 뽀로로 극장판 공식 인스타그램에도 둘을 중심으로 한 릴스가 올라왔다.# 여러모로 공식에서도 이 둘을 이어주는 분위기.[22] 참고로 3기 11화에서 뽀로로와 루피가 결혼하는 결말이 나오는 이야기가 나온 적이 있는데, 뽀로로는 루피의 이야기를 끊으면서 "나는 예쁜 패티와 결혼하고 싶은데..."라고 말했었다. 그런데, 앞에서 대놓고 저런 말을 들었음에도 신경 1도 쓰지 않는 패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패티가 뽀로로에게 호감이 생긴 건 이후의 일인 듯하다.[23] 다만 4기 23화에서 로디가 다른 친구들과 함께 뽀로로에게 화를 낸 적은 있다.[24] 심지어 사람들이 생각했던 뽀로로의 얼굴과 똑같다.[25] 세일러문에 나올 법한 눈으로 나온다.[26] 해리는 다른 남캐들과 엮이거나 여성인 패티가 자신을 좋아한다고 말하고, 연주회에서 정장을 입는 등 남성에 가깝게 묘사되었지만 공식의 언급에 따르면 일단은 여성이다.[27] 에디는 귀 때문에 커보이는 것이고, 귀를 빼면 뽀로로보다 작다. 다만 둥근 두상의 뽀로로와는 달리 에디는 가로로 넓은 얼굴형이라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그리고 루피, 패티와 비교해도 살짝 더 크며, 크롱과도 키 차이가 꽤 나는 편이다. 당연히 해리와는 몸통 하나 차이.[28] 아마도 머리가 커서 그럴수 있다. 실제로는 100cm이다. 후배 펭수도 210cm이다.[29] 다만, 소속사 측에서는 옷을 입고 있어서 꼬리와 털이 보이지 않는 것이라고 반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