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9 16:14:06

박승욱(1997)

박승욱(축구선수)에서 넘어옴

1 윤평국 · 2 어정원 · 3 이동희
VC
· 4 전민광
C
· 5 아스프로 · 6 김종우 · 7 김인성
8 오베르단 · 9 조르지 · 10 백성동 · 11 주닝요 · 12 조재훈 · 13 강민준 · 14 박승욱
15 이규민 · 17 신광훈 · 18 강현제 · 19 이호재 · 20 안재준 · 21 황인재
22 홍지우 · 23 이동협 · 24 한현서 · 25 차준영 · 26 박찬용 · 27 박수빈 · 28 김준호 · 30 백승원
33 조성욱 파일:부상 아이콘.svg · 37 홍윤상 · 40 기성용 · 44 이헌재 · 66 이창우 · 70 황서웅 · 77 완델손 파일:부상 아이콘.svg
80 홍성민 · 88 김동진 · 90 김동민 · 91 권능 · 99 조상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태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성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치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규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이섭 · 파일:브라질 국기.svg 바우지니 · 파일:브라질 국기.svg 하파엘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박승욱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K리그1 로고.svg
}}} ||
파일:박승욱복귀오피셜.jpg
포항 스틸러스 No. 14
박승욱
朴乘煜 | Park Seung-wook
<colbgcolor=#ad0713><colcolor=#ffffff> 출생 1997년 5월 7일 ([age(1997-05-07)]세)
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4cm / 체중 78kg
포지션 라이트백,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ad0713><colcolor=#ffffff> 선수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2019~2021)
포항 스틸러스 (2021~ )
김천 상무 FC (2024~2025 / 군 복무)
국가대표 5경기[1] (대한민국 / 2024~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d0713><colcolor=#fff> 등번호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 6번, 28번(2019)
포항 스틸러스 - 14번, 32번(2021)
김천 상무 FC - 25번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2번
학력 중부초등학교 (전학)
양산초등학교 (졸업)
양산중학교 (졸업)
학성고등학교 (졸업)
동의대학교 (중퇴)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축구 선수. 포항 스틸러스 소속 라이트백.

2. 클럽 경력

2.1. 학창 시절

양산중부초 재학 중, 축구부가 있는 양산초 (현재 양산 유나이티드 FC U12)로 전학을 가며 축구를 시작했고, 양산중학교로 진학했다. 이후 지역 축구 명문 학교인 학성고로 진학했다. 1학년부터 주전으로 나서며 제38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배 전국 고교 축구대회에서 우승, 2014 U-17 베이징컵 국제 축구 대회에 출전하는 한국 고교 연맹팀에 뽑혀 우승을 이끌었다.

역시 지역 명문인 동의대학교 축구부로 진학했고 1학년에 슬럼프를 겪었지만 이를 회복하며 핵심 자원으로 활약했다. 특히 3학년에 등번호 6번을 달고 볼란테 역할을 맡아 상당히 좋은 실력을 보였다.

2.2.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파일:06-박승욱.jpg

2019 시즌 시작 전 동의대 연고 세미프로 구단인 부산교통공사 축구단에 합류해 등번호 28번을 달았다. 새로 부임한 김귀화 감독의 눈에 들어 4월부터 주전으로 나서며 내셔널리그 23경기, 내셔널리그컵 4경기 FA컵 1경기에 출전, 수비형 미드필더를 맡으며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2020 시즌부터 팀은 새로이 개편된 대한민국 3부 축구리그 K3리그에 참가했고, 등번호 6번을 달게 됐다. 리그 21경기와 FA컵 1라운드 1경기, 그리고 K3리그 챔피언십 1라운드 1경기 도합 23경기에 출전했고, 수비형 미드필더만 맡던 지난 해와 달리 센터백과 좌우 풀백을 오가며 팀 수비의 중심 역할을 톡톡히 했다.

2021 시즌 개막부터 역시 주전으로 나섰고, 여러 포지션을 오가며 핵심 역할을 꾸준히 수행하고 있다. 4월 14일자 FA컵 3라운드에서 K리그1 구단인 광주 FC전에서 동점골을 뽑아냈고 팀은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하는 자이언트 킬링을 성공시켰다. 2021년 전반기 출전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포함해 19경기 1골.

2.3. 포항 스틸러스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시절 같은 경상도 지역 팀인 포항 스틸러스와 자주 연습 경기를 가지곤 했는데, 김기동 포항 감독이 그의 잠재력을 발견해 이적을 추진하게 되었다. 박승욱의 플레이를 보며 "도대체 쟤 누구야?"라며 놀랐다고.# #

2021년 7월 6일, K리그1포항 스틸러스에서 영입을 발표하면서 프로 무대로 진출하였다.

2.3.1. 2021 시즌

오범석이 신인 시절 달았던 등번호 32번을 배정받았다.

21라운드 FC 서울와의 홈경기에서 68분에 교체 투입되며 데뷔하였다. 이 경기에서 센터백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빌드업 부분을 맡았는데, 전민광보다 안정적이었다. 팀은 0 : 1 패배하였다.

22라운드 대구 FC 원정 경기에서 라이트백으로 선발출장하였다. 수비 시 대인 마크 빌드업 과정의 롱패스라던가, 공격할 때의 키패스 등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며 첫 풀타임을 뛰었고 포항 팬들한테 눈도장을 찍었다. 팀은 고영준의 동점골로 1 : 1 무승부를 거두었다.

16라운드 순연 경기 성남 FC전에서도 같은 포지션으로 출전하였다. 이전 경기와 마찬가지로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었으며, 팀은 권기표의 데뷔골이자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23라운드 성남 FC 원정 경기에서도 혼자서 고군분투하였지만 팀은 1 : 0으로 패배하였다.

8월 11일 하나은행 FA컵 8강전 전남 드래곤즈 원정경기에서 선발 출장하여 공격이면 공격, 수비면 수비의 좋은 활약을 보여줬지만 팀은 1 : 0 패배하였고 4강 진출에 실패하였다.

25라운드 수원 FC 홈경기에서도 우측 풀백으로 선발출전해 후반 초반 수비 지역에서 터치 실수로 양동현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는 빌미를 제공했다.

26라운드 FC 서울 원정 경기에서 나상호, 고광민에게 고전했으나 분전했고, 팀은 후반 막판 강현무의 PK 선방으로 간신히 2 : 2 무승부를 거두었다. 27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 원정에서도 선발로 나섰고, 송민규를 틀어막는 것은 성공하였지만 팀은 2 : 0 으로 패배하였다.

20라운드 순연 경기 전북 현대 모터스 원정에서는 우측면에서 김진수문선민을 잘 틀어막으면서 포항의 1점차 신승에 기여했다.

29라운드 대구 FC전에서 선발 출장했다. 다른 대구 선수들의 공격을 잘 틀어막았으나 세징야를 상대로 몇번의 미스를 저질렀고 팀은 1:2로 역전패했다.

9월 15일 AFC 챔피언스 리그 16강 단판전 세레소 오사카 원정 경기에서도 역시나 선발. 축구 커뮤니티에서 수비형 차두리라고 불릴 정도로 엄청난 활약을 보이며 정녕 1년 전에 K3리그에서 뛰고 있던 선수가 맞냐는 말이 나올 정도였고, 팀은 이에 힘입어 0:1 승리를 거두며 8강에 진출했다.

31라운드 울산 현대와의 동해안 더비 경기에서 수비적으로 약간 힘들어하는 장면이 포착되었고, 60분에 오범석과 아웃로 아웃되었다. 포항은 1:2로 패배. 이어진 리그 32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도 선발로 출장하였지만 제르소에게 뒷 공간을 많이 내주면서 포항은 홈에서 2:4 대패하였다. 아직까지는 K리그1에서 상대팀들의 발빠른 공격수들에게 고전하는 모습이 자주 포착되었다.

30라운드 순연경기 강원 FC 원정에서도 공수 양면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며 경기를 무실점까지 끌고갔다. 하지만 팀은 황문기의 극장골로 1:0로 패했다.

33라운드 광주 FC와의 경기에서도 수비에서 할만큼 해주었다. 권완규의 호러쇼로 상대에게 2점을 내주었지만 다행히 포항은 이호재의 멀티골로 2:3 역전승을 거두었다.

10월 17일에 중립 개최지인 전주에서 열린 AFC 챔피언스 리그 8강 단판전 나고야 그램퍼스와의 경기에서 나고야의 측면을 단단하게 틀어막으면서 포항의 3:0 무실점 승리를 이끌며 4강행을 함께했다.

10월 20일 라이벌 울산 현대와의 ACL 4강 경기에서도 출전했다. 후반전 7분에 나온 윤일록에게의 실점상황 빼고는 전체적으로 터프할 땐 터프하게 잘 해주며 울산의 공격을 막아냈고, 팀은 승부차기 끝에 4:5로 승리하여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이로써 2021년 전반기를 한국 3부 리그이자 세미프로 리그인 K3리그에서 뛰던 축구 선수가 후반기에는 최상위 리그인 K리그1을 넘어 대륙 대회인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무대에 진출해 프리미어 리그, 라리가 출신 선수들이 용병으로 뛰는 알 힐랄 SFC와 맞붙다는,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스토리의 주인공이 되었다. 그걸로 모자라 이후 AFC에서 발표한 ACL 4강 베스트11에 포함되는 경사까지 누렸다. 말 그대로 인생역전의 스토리를 써내려 가고 있다.

24라운드 순연 경기인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도 제 몫을 했으나 그랜트의 자책골로 포항은 패배함과 동시에 하위 스플릿 행을 확정지었다.

34라운드 성남 FC 원정에서 전반 44분 성남의 최지묵에게 헤더로 실점을 내주었으나 그 이전에 권경원의 발차기가 박승욱의 급소를 맞췄는데 심판은 이에 대해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 논란이 되었다.


35라운드 강원 FC와의 홈경기에서는 라이트백이 아닌 중앙 미드필더로 나오면서 신광훈과 중원을 구성했는데, 신형민이 생각날 정도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데다 90분에는 니어 포스트 구석을 노린 중거리 슈팅으로 프로 데뷔골을 성공시키며 팀의 4:0 승리에 기여했다.

36라운드 광주 FC전에서도 중앙 미드필더로 나왔다. 광주의 거센 압박에 고군분투하였고, 팀은 그랜트, 이준의 다이렉트 퇴장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역사상 처음으로 광주에 패배하였다.

11월 23일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 알 힐랄 SFC전에서는 수비에서 최대한 노력해보았으나 팀의 2:0 패배를 막을순 없었다.

38라운드 FC 서울와의 홈경기에서 전반 32분에 오범석과 교체투입되었다. 이 경기는 오범석의 은퇴 경기로, 자신이 후계자라고 볼 수 있는 오범석과 교체 투입되는 멋진 장면이 연출됐다.

2021 시즌 포항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ACL을 합쳐 24경기 출전 1골.

2.3.2. 2022 시즌

은퇴한 오범석의 등번호 14번으로 바꿨다. 지난 시즌 등번호를 봐도 그렇고, 오범석을 연상케 하는 포지션 소화 능력이나 플레이 스타일을 봤을 때 오범석의 대체자로 팀내 입지가 굳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2월 20일 개막전 제주 유나이티드제주월드컵경기장 원정 경기에서 라이트백으로 나왔고 제르소-정우재로 이어지는 제주의 주 공격 루트인 좌측면을 단단하게 수비하면서 팀의 3 : 0 승리에 기여했다.

2라운드 김천 상무 FC 원정 경기에서 제주전과 마찬가지로 라이트백으로 나왔고 상대팀 국대 출신이 많은 김천을 상대로 수비할 때 많이 힘겨워 보였고 후반전 김용환이 들어오면서 중앙 수비로 박찬용이 최전방으로 올리면서 포항은 끝내 동점골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팀은 3 : 2 역전패하였다.

3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 원정 경기에서 라이트백으로 나오면서 전북의 측면 공격을 막아내면서 후반전 73분 정재희에게 찔러줬던 롱패스가 결승골을 어시스트 기록하였고 전 경기와 똑같이 김용환이 교체 투입하면서 중앙 수비로 보직을 바꾸면서 전북의 공격수들을 마크하면서 1 : 0 승리하였다.

4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 원정 경기에서도 인천의 측면을 잘막아내면서 1 : 0 승리에 기여하였다.

5라운드 수원 삼성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오현규를 뒤에서 밀며 페널티킥을 헌납했고 윤평국김건희의 슛을 막아내었지만 코너킥 상황에서 임상협이 이기제의 슛을 왼팔로 쳐내는 파울을 범하며 결국 실점했다.

3월 27일 코로나로 연기되었던 6R 울산 현대 원정 경기에서 울산의 측면 공격에 많이 흔들린 모습이보였고 팀은 2 : 0로 패배했다.

4월 6일 수원 FC와의 홈경기에서 우측면을 지배하며 상대 공격을 틀어막는 것은 물론, 빌드업에도 상당 부분 관여하며 맹활약을 펼쳤고, 라운드 베스트 11에 이름을 올렸다.

19라운드 동해안 더비 울산 현대와의 홈경기에서 엄원상의 역습에 대비해 레프트백으로 나왔는데 엄원상은 부상 방지 차원으로 명단에서 제외되고 이 경기에서 울산의 공격을 단단하게 막으면서 팀의 2 : 0 승리에 기여했다

20라운드 성남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후반전 57분 허용준의 동점 해딩골을 택배 크로스로 도움을 기록하였고 팀은 4 : 1 역전승하였다.

7월 7일 토트넘 홋스퍼와의 친선 경기에 팀 K리그 올스타 명단에 뽑히면서 또 한 번 본인의 축구 인생에 이야기를 써내려가고 있다. 경기에서는 손흥민라이언 세세뇽의 공격을 여러 차례 수비 성공하는 등 공수 양면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이다가 김동민과 교체되었다.

2022 시즌 포항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합쳐 32경기 출전 0골 2도움.

2.3.3. 2023 시즌

2라운드 수원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상대의 거친 파울에 당했는데도 헌신적인 플레이로 팀의 2:1 승리를 기여하였다.

3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 원정에서 전반 중반 센터백 하창래가 퇴장 당하자 센터백으로 포지션을 변경해 팀의 무실점에 크게 공헌했다.

4라운드 강원 FC와의 홈경기에서 다시 센터백으로 선발 출전했고 팀이 지고 있던 후반 중반 왼쪽 풀백으로 다시 한 번 포지션을 변경해 팀의 극적인 동점에 기여했다.

6월 1일, 상무 최종 합격이 발표되며 12월 4일에 입대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17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 후반전 92분 프리킥 세트피스 상황에서 역전 헤더골을 만들어내며 팀의 2:1 승리에 기여했다.

하나은행 FA컵 8강 강원 FC와의 홈경기에서 전반 중반 유인수와의 공중볼 경합 중 팔꿈치에 맞아 이마에 출혈이 발생하며 바로 교체 아웃됐다.

20라운드 수원 FC와의 홈경기에 선발 출전하며 바로 복귀했고 이 모두 선발 명단에서 제외되자 대신 주장 완장을 달고 출전했다. 후반전 58분 날린 크로스로 제카의 헤더골을 돕는 어시스트를 만들어내며 팀의 3:1 승리를 이끌었다.

11월 4일, 하나은행 FA컵 결승전 전북 현대와의 홈경기에서 왼쪽 풀백으로 선발 출전했으나 전반 중반부터 오른쪽으로 옮겨 전반 내내 가장 좋은 활약을 보이던 송민규를 꽁꽁 묶으며 팀의 4:2 역전승에 기여했다. 이로써 개인적으로 포항 합류 후 첫 번째 우승에 기여하며 군 복무 전 좋은 마무리를 하게 됐다.

2023 시즌 포항 스틸러스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ACL을 합쳐 41경기 1골 1도움.

2023 K리그1 베스트 XI 우측 수비수 부문 최종 후보 4인에 선정됐으나 설영우에 밀려 수상에는 실패했다.

2.3.4. 김천 상무 FC (군 복무)

2.3.4.1. 2024 시즌
등번호 25번을 달았다.

개막전부터 꾸준히 명단에 들었으나 출전하지 못하다가, 3라운드 전북과의 홈경기에 풀타임을 소화하며 김천 데뷔전을 치렀고 전북이라는 강호를 꺾는 데 기여했다.

5라운드 FC 서울 원정 경기에서 김민준의 추격골을 어시스트하며 김천에서의 첫 번째 공격포인트를 거뒀으나 팀은 1:5 대패를 당했다.

6라운드 광주 FC 원정 경기에서 센터백으로 선발 출전해 전반 6분 자책골을 헌납했으나 풀타임을 소화하며 2:1 역전승에 기여했다.

2024년 팀 K리그 대 토트넘 홋스퍼의 리그 올스타전 대비 팀 K리그 멤버를 선발하는 "팬 일레븐"의 후보 44인에 올랐다. 우측 풀백은 물론 센터백을 오가며 김천의 선두 질주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활약을 인정받았다. 팬 투표에서는 선발되지 못했으나 팀 K리그를 이끄는 박태하 감독과 김은중 코치가 직접 선발하는 "픽텐" 10인 명단에 올라 참가가 확정되었다.

김천의 2024 시즌 후반기 부주장으로 선발되었다. 하지만 주장 김민덕이 주전 경쟁에서 밀렸기 때문에 박승욱이 실질적인 주장으로서 김천의 2024 시즌 후반기를 이끌 전망이다.

25라운드 원 소속 구단 포항 스틸러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PK를 두 번 내주었지만 하나는 심판의 오심으로 취소되었다. 결국 박승욱의 실책으로 추격골을 실점하게 되었다.

7월 31일 팀 K리그 대 토트넘 홋스퍼의 리그 올스타전에서 선발 출전했다.

28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과의 홈경기에서 2:0으로 이기고 있던 후반 25분 김승대의 크로스를 걷어낸다는 게 그대로 자책골로 이어졌고 팀은 이후 추가 시간에 동점골을 허용하며 다 잡은 경기를 2:2로 비기고 말았다.

2024 시즌 K리그1 베스트 일레븐 중앙 수비수 부문 최종 후보 6인에 선정되며 2년 연속 K리그1 대상 시상식에 초대받게 됐다. 주장으로서 구단 최고 성적인 리그 3위를 거둔 공로를 인정받았다.
박승욱의 2024 시즌 K리그1 성적
출전 시간 경기(선발) 득점 도움 슈팅(유효) 키패스 경고(퇴장)
2736 32(30) 0 2 6(2) 10 1(0)
2.3.4.2. 2025 시즌
2025 시즌에도 주장 김민덕과 함께 부주장직을 역임하게 되었고 역시 김민덕이 주전 경쟁에서 밀림에 따라 작년 후반기처럼 실질적인 김천의 주장으로서 시즌을 치렀다.

10라운드 울산 HD FC전에 선발 출전하여 팀의 2대0 승리를 만들었다. 10라운드 베스트11 선수에 선정됐다.

11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전에 선발 출전하여 팀의 2 대 1 승리를 만들었다. 11라운드 베스트11 선수에 선정되며 두 번 연속으로 베스트 11 부분에 올라갔다.

13라운드 강원 FC전에 선발 출전하여 팀의 4대0 대승을 만들었다. 13라운드 베스트11 선수에 선정됐다.

17라운드 수원 FC과의 홈경기에 풀타임을 소화하며 전역 전 김천에서의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박승욱 2025시즌 K리그1 성적[2]
출전 시간 경기(선발) 득점 도움
1395 16(15) 0 0

2.3.5. 2025 시즌

6월 17일 자로 상무에서 전역해 원 소속 포항 스틸러스로 복귀했다. 수비수 뎁스가 옅은 포항 입장에선 멀티 포지션 소화가 가능한 박승욱의 복귀가 호재인 셈.

20라운드 제주 SK FC 홈경기에서 선발 명단에 복귀하며 포항 복귀전을 치렀다. 빌드업 시에 정확한 롱패스와 안정적인 수비를 보여 주면서 팀의 2:1 승리에 기여했다. 20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됐다.

21라운드 FC 서울 원정경기에서 전반전 14분 박스안에서 PK를 내주는 파울을 범하면서 김천 상무시절부터 고질적인 PK문제를 포항에서도 이어지면서 린가드에게 PK 실점을 내주면서 팀은 4:1 패배하였다.

여름 이적 시장에서 동유럽 구단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는 얘기가 돌고 있다.

24라운드 대구 FC 원정경기에서 좋은 수비를 보여주며 팀의 1대0 승리에 기여했다. 24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됐다.

27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 홈경기에서 전반 24분 프리킥 세트피스 상황에서 오프사이드 라인을 피하고 팀의 두번째골을 만들어냈으며, 수비에서 전북의 공격을 잘막아내면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팀의 3대1 승리를 이끌었다. 27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됐다.

3. 국가대표 경력

3.1. 김도훈호

2024년 5월 27일, 김도훈 임시 감독 체제의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대표팀 명단에 최초로 발탁되었다. 3부 리그인 K3리그 선수로 출발해 국가대표 무대까지 밟아보는 가파른 성장 곡선을 탔다는 점과 포지션까지 박진섭과 유사하다.

6월 6일, 싱가포르 원정에서 황재원과의 교체로 투입되며 A대표팀 데뷔 경기를 가졌다. 그리고 79분 배준호에게 좋은 패스를 찔러주면서 A매치 데뷔전에서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이후로도 위치 선정을 정확하게 하며 질 좋은 패스를 뿌리는 등 공수 양면에서 언터처블한 활약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경기력이 계속된다면 주전 라이트백이 될 가능성도 있다.

좋은 활약을 바탕으로 다음 중국과의 경기에서 선발로 출전했다.

3.2. 홍명보호 2기

2025년 3월 10일, 북중미 월드컵 3차(사실상 최종) 예선 2연전을 앞두고 명단에 이름을 올리면서 1년 만에 다시 A대표팀에 발탁되었다. 그러나 오만, 요르단과의 2연전에서 라이트백은 설영우, 센터백은 권경원조유민이 뛰며 출전은 불발되었다.

2025년 6월 3차 예선 마지막 2연전을 앞두고 재차 발탁됐다. 마지막 경기였던 쿠웨이트전에서 교체 출전해 라이트백과 3백의 오른쪽 센터백을 오가며 멀티 플레이어로서의 강점을 유감없이 보여 주었다.

2025년 7월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 명단을 올렸다.
1차전 중국전에서 3백의 오른쪽 수비수로 선발 출장 하였고 풀타임을 소화 하였다. 중국의 공격력이 무뎠던 탓에 큰 위기 없이 팀의 클린시트를 이끌었다. 첫번째 골 장면에선 전방으로 침투해들어가는 김문환을 보고 롱패스를 보내고 김문환이 이를 잡아 이동경에게 패스하고 이동경이 왼발 감아차기로 골을 넣으며, 박승욱이 골 기점 역할을 했고 세번째 골 장면에선 이동경의 코너킥을 헤더로 연결했고 중국 골키퍼가 막아냈지만 김주성이 밀어넣으며 골에 간접적인 도움을 주게 됐다.

3차전 일본전에서도 오른쪽 스토퍼로 선발 출장하였으나 감독의 단조로운 전술과 단점인 느린 패스로 인해 현대적인 3백으로서의 유기적인 모습은 보이지 못하였고 팀의 0:1 패배를 막지 못하였다.

4. 플레이 스타일

경기장 반대로 전환하는 킥의 능력과 탄도가 낮아 공의 스피드가 빠른 것이 장점이다. 또한 볼키핑 능력이 우수하다. 원래 수비형 미드필더였다가 측면 수비수 - 센터백으로 전환한 만큼 3포지션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유틸리티 플레이어이라는 것 또한 큰 장점인데, 덕분에 당시 포항 감독이었던 김기동은 경기 당일 부상자 상황과 필요에 따라 센터백, 풀백, 수미 돌아가면서 박승욱을 잘 써먹었다.

단점은 측면 수비수치곤 많이 부족한 순발력. 전진 패스 및 크로스는 단점이긴 하지만 K리그 내에서는 단점이 아닐 정도로 많이 향상되었다. 다만 국제전에서는 많이 부족한 편.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여담

  • 초등학생 때는 센터 포워드, 중학생 때는 사이드백을 봤는데 중학교 3학년 시기의 감독이 포지션을 변경한 것을 기점으로 현재까지 수비형 미드필더를 보고 있다고 한다. #
  • 잘생긴 외모와는 별개로 목소리는 의외로 하이톤에 가깝다.
  • 포항 스틸러스 팬 커뮤니티 강철전사에서 박승욱의 어머니가 포항 원정 팬들의 전주 원정길에서 간식을 챙겼다는 미담이 나와 여론이 더 긍정적으로 변하기도 했다.
  • 과거 동의대 재학 중 진행했던 인터뷰를 통해 K리그에서 FC 서울을 가장 좋아한다고 밝혔다. #

  • 2021년 11월 4일에 MBC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 2024년 6월에 생애 첫 축구 대표팀 발탁 이후 롤 모델은 김민재라고 말했으며 당시 김민재가 부상으로 함께하지 못하자 아쉬워했다.
  • 피파 공식 SNS에 사진이 올라왔다.
  • A대표팀 데뷔 이후 주장 손흥민 선수와 인스타그램 맞팔을 했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2025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신체 조건 입단 연도 비고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윤평국 YOON Pyeongguk 1992년 2월 8일 189cm, 88kg 2022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어정원 EO Jeongwon 1999년 7월 8일 175cm, 68kg 2024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이동희 LEE Donghee 2000년 2월 7일 186cm, 83kg 2024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전민광 JEON Mingwang 1993년 1월 17일 187cm, 73kg 2019[a] 주장
5 파일:호주 국기.svg DF 아스프로 Jonathan Aspropotamitis 1996년 6월 7일 188cm, 76kg 2024
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김종우 KIM Jongwoo 1993년 10월 1일 181cm, 70kg 2023
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김인성 KIM Insung 1989년 9월 9일 180cm, 74kg 2023
8 파일:브라질 국기.svg MF 오베르단 Oberdan Alionço DE LIMA 1995년 7월 30일 175cm, 70kg 2023
9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조르지 Jorge Luiz Barbosa Teixeira 1999년 6월 21일 192cm, 84kg 2024
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백성동 BAEK Sungdong 1991년 8월 13일 167cm, 66kg 2023
11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주닝요 Juninho 1997년 11월 5일 174cm, 65kg 2025
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조재훈 CHO Jaehun 2003년 6월 29일 180cm, 71kg 2021
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강민준 KANG Minjun 2003년 4월 8일 172cm, 67kg 2025
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박승욱 Park Seungwook 1997년 5월 7일 184cm, 78kg 2021
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이규민 Lee Kyumin 2005년 9월 28일 178cm, 67kg 2024
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신광훈 SHIN Kwanghoon 1987년 3월 18일 178cm, 73kg 2021[c]
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강현제 KANG Hyeonje 2002년 8월 31일 183cm, 75kg 2023
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이호재 LEE Hojae 2000년 10월 14일 192cm, 84kg 2021
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안재준 AN Jae-Jun 2001년 4월 3일 180cm, 71kg 2024
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황인재 HWANG Injae 1994년 4월 22일 188cm, 80kg 2020[a]
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홍지우 HONG Jiwoo 2003년 4월 17일 181cm, 74kg 2025
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이동협 LEE Donghyeop 2003년 3월 12일 173cm, 68kg 2024
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한현서 HAN Hyeonseo 2004년 1월 2일 186cm, 76kg 2025
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차준영 CHA Junyeong 2004년 5월 10일 188cm, 80kg 2025
2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박수빈 PARK Subeen 2005년 8월 27일 176cm, 69kg 2024
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백승원 BAEK Seungwon 2006년 2월 15일 171cm, 68kg 2025
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조성욱 JO Sungwook 1995년 3월 22일 184cm, 84kg 2025
3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홍윤상 HONG Yunsang 2002년 3월 19일 178cm, 68kg 2021
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기성용 Ki Sungyueng 1989년 1월 24일 189cm, 75kg 2025
4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이헌재 LEE Heonjae 2006년 3월 23일 175cm, 66kg 2025
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이창우 LEE Changwoo 2006년 3월 12일 178cm, 70kg 2025
7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황서웅 HWANG Seowoong 2005년 1월 22일 177cm, 74kg 2024
77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완델손 WANDERSON[d] 1989년 03월 31일 172cm, 60kg 2022
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홍성민 HONG Seongmin 2006년 9월 29일 184cm, 84kg 2024
8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김동진 KIM Dongjin 2003년 7월 30일 181cm, 71kg 2024
9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김동민 KIM Dongmin 2005년 2월 22일 173cm, 71kg 2024
9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권능 KWON Neung 2005년 10월 13일 188cm, 79kg 2024
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조상혁 CHO Sanghyeok 2004년 1월 23일 189cm, 88kg 2025
<colbgcolor=#ad181d> 구단 정보
대표이사: 최인석 / 감독: 박태하 / 홈구장: 포항스틸야드
출처: 포항 스틸러스 웹사이트

[a] 도중 군복무[c] 유스 출신으로 2006년 포항에서 프로데뷔[a] [d] 풀네임은 완데르송 카르발류 지올리베이라

}}}}}}}}} ||

[1] 2025년 7월 15일 기준[2] 김천 상무에서의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