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6 03:17:39

리드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음악 웹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리드머 아이돌로지 온음
음악취향Y 이즘 하야로비
힙합엘이 힙합플레이야 weiv
overtone 유얼라이브
}}}}}}}}} ||
<colbgcolor=#000><colcolor=#fff> 리드머
RHYTHMER
파일:external/image.rhythmer.net/top_logo.gif
개설 2001년
유형 음악 웹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평점 기준4. 연도별 최고의 앨범
4.1. 국외 힙합4.2. 국외 알앤비/소울4.3. 국내 힙합4.4. 국내 알앤비/소울
5. 2010년대 한국 최고의 앨범
5.1. 힙합5.2. 알앤비/소울
6. 리드머 어워드 (폐지)7. 장점8. 비판
8.1. 모호한 평론 기준8.2. 편파적인 평론?
9. 기타

1. 개요

대한민국의 흑인 음악 매거진.

국내외 랩/힙합, 알앤비/소울 음악을 중심으로 한 장르 음악 비평과 정보 제공에 포커싱된 매거진이다. 본래 강일권 평론가가 편집장으로 있었으나 현재는 편집위원 체제로 재편되었다.

힙합플레이야, 힙합엘이 등과 차별화되는 점은 아무래도 전문 비평. 유저들이 아닌 전문 필진들이 비평, 리뷰를 하기 때문에 사실상 수준 높은 흑인 음악 리뷰 열람이 가능한 거의 유일한 매거진이다.

2. 상세

리드머도 상당히 볼륨이 큰 사이트였다. 힙합플레이야가 국내 소식 전문이었다면 리드머는 국외 소식에 빠삭하다 할 정도로 뉴스가 올라왔다. 힙합플레이야만큼은 아니지만 나름 커뮤니티도 활성화되어 있었고, 아마추어 뮤지션들이 곡을 올리는 '리드머 스튜디오'도 존재했다. 이 리드머 스튜디오를 통해 리믹스 컴페티션(경연)도 자주 열렸을 정도.[1] 거기에 그루브스토어라는 자체 온라인CD샵에서 유저들끼리의 중고 CD 거래도 활발했다.

그러나 2009년 여름에 사이트 전체가 날아가버리는 대형사고가 발생했다. 백업 데이터까지 전부 날아가버린 탓에 이전에 올라와있던 모든 기사, 칼럼, 뮤지션 인터뷰, 앨범 리뷰, 커뮤니티 글 목록 등등이 싸그리 사라졌다. 현재 사이트에 업로드된 2009년 이전의 칼럼이나 인터뷰의 경우 리드머의 필진들이 자신의 글을 개인적으로 보관해뒀던 것들을 활용해 채운 것이라 되찾지 못한 것도 많다.[2]

거기다 커뮤니티도 완전히 리셋된 지라 회원들의 애정이 식었는지 다시 살아난 이후 커뮤니티는 죽은 거나 다름없는 상태였다. 결국 커뮤니티 기능까지 아예 폐쇄하고 비평과 리뷰 쪽으로 아예 노선을 명확하게 잡은 것.

3. 평점 기준

그동안 리드머에서 평점에 대한 기준은 한동안 명백히 정해진 것이 없었으나 2020 리드머 리뷰 R 점수 재조정에서 평점에 기준이 나왔다. 아래의 글은 이 기준을 참고로 작성됐다.

5점: 동시대 작품 중에서 월등한 완성도와 가치를 지닌, 혹은 세월의 흐름을 통해 가치가 더욱 빛을 발하게 된 시대를 아우르는 클래식.
4.5점: 음악적인 완성도가 상당히 높고 힙합/알앤비의 주요 성과를 보여주는 현시대의 클래식.
  • 한국 앨범 중에서는 아래와 같은 앨범들이 4.5점을 받았다.
  • 본토 앨범 중의 4.5점은 다음과 같다.

4점: 음악적인 완성도가 높아 꼭 한 번 들어볼만한 가치가 있음.
3.5점: 음악적인 강점과 약점이 공존하지만, 장점이 도드라져 추천할만함.
3점: 음악적인 장점과 약점이 공존하며, 추천 여부는 리스너의 판단에 맡김.
2.5점: 음악적인 장점보다는 단점이 도드라져, 추천하기 어려움.
2점: 장르음악의 감흥을 일부 느낄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완성도가 떨어짐.
  • 본토 앨범 중에서 2점은 다음과 같다.

1.5점: 음악적 완성도가 떨어지며, 장르적 가치를 찾기 어려움.
  • 사실상 이 점수가 리드머에서 받을수 있는 최저점이다. 이보다 낮은 1점짜리 앨범은 아예 리뷰할 가치마저도 없는 똥반들이기 때문에 리드머에서도 걸러버린다.

1점: 음악적 완성도가 현저히 떨어지며, 장르적 가치도 찾을 수 없음.
  • 한마디로 음악으로서 낙제점 수준의 앨범들이다. 당연히 리뷰할 가치가 전혀 없기 때문에 정식 리뷰에서 1점을 받은 앨범은 없으며, 과거 국내에서 발매한 앨범들을 짧게 리뷰하는 코너인 '토탈 크리틱'에서 가장 최악으로 평가받는 앨범들이 이 점수를 받았다.[7]
    • 헤이즈HEIZE #
    • 팻두의 한 남자와 두 여자의 일기장#
    • 왓썬더 뷰티풀의 앨범#이 점수대에 속한다.

기본적으로 사운드를 중시하며 앨범의 주제의식이나 가사를 보고 가산점을 주는 편이다.[8] 전작에 비해서 발전이 없어 사실상 똑같은 앨범은 가차없이 평점을 깎는 경향이 크다. 앨범을 평가할때 곡단위의 완성도보단 앨범단위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경향이 커 한 트랙이 앨범의 맥을 끊는다거나 하는 걸 감점요소로 본다.

===# 4점을 받은 국내 앨범들 #===
===# 4.5점을 받은 국내 앨범들 #===
유일하게 B-FREE만 두 번 받았다.

가나다 순 정렬
===# 4.5점을 받은 해외 앨범들 #===
과거에 존재했던 4+ 점수는 현재의 4.5점으로 간주해 넣었다.

===# 5점을 받은 앨범들 #===
5점: 동시대 작품 중에서 월등한 완성도와 가치를 지닌, 혹은 세월의 흐름을 통해 가치가 더욱 빛을 발하게 된 시대를 아우르는 클래식.

아직까지 한국 힙합에서 이 점수를 받은 앨범은 존재하지 않으며, 아래 앨범들을 들어본 적 있으면 기준이 어떤지 알 수 있게 되는데, 주로 본토의 명반 중에서도 힙합 역사에서 기념비적인 명반이라 여겨지는 클래식 앨범에게 붙는 평점이기 때문에, 한국 힙합의 앨범이 다른 아티스트에게도 영향을 받은 사례가 많이 보여져야 5점이라는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그래서 한국 힙합의 앨범이 4.5점이면 사실상 만점이라고 여겨도 된다.

2Pac, OutKast, Gang StarrKendrick Lamar가 두개를 받았다.

4. 연도별 최고의 앨범

리드머는 매년 연말에 그해 최고의 앨범[9] 순위를 매긴다.

4.1. 국외 힙합

2009년: Raekwon - Only Built 4 Cuban Linx… Pt.II[10]
2010년: 순위 없음[11]
2011년: The Roots - Undun
2012년: Kendrick Lamar - good kid, m.A.A.d city
2013년: Kanye West - Yeezus
2014년: Big K.R.I.T. - Cadillactica
2015년: Kendrick Lamar - To Pimp A Butterfly
2016년: A Tribe Called Quest - We got it from Here... Thank You 4 Your service
2017년: Big K.R.I.T. - 4eva Is A Mighty Long Time
2018년: Pusha T - DAYTONA
2019년: N/A
2020년: Westside Gunn - WHO MADE THE SUNSHINE
2021년: Dave - We’re All Alone
2022년: 켄드릭 라마 - Mr. Morale & The Big Steppers 링크
2023년: JPEGMAFIA & Danny Brown - SCARING THE HOES
2024년: Tyler, The Creator - CHROMAKOPIA

4.2. 국외 알앤비/소울

2016년: Beyoncé - Lemonade
2020년: Lianne La Havas - Lianne La Havas
2021년: Joy Crookes - Skin
2022년: Beyoncé - Renaissance

4.3. 국내 힙합

2009년부터 2013년까지는 리드머 어워드라는 자체적인 시상식을 열어 선정하였다. 2009년에는 단지 웹진에 선정작을 정리해놓는 것에 불과했지만 2010년부터는 어워드라는 이름에 걸맞게 수상자들에게 트로피까지 시상을 했다.

2009년: 드렁큰 타이거 - Feel gHood Muzik: The 8th Wonder
2010년: 가리온 - Garion 2
2011년: 스윙스 - Upgrade II
2012년: 노이즈맙 - M.O.B
2013년: 팔로알토 - Chief Life
2014년: 화지 - EAT
2015년: E SENS - The Anecdote
2016년: 화지 - ZISSOU
2017년: 비앙X쿤디판다 - 재건축
2018년: Jclef - flaw, flaw
2019년: C JAMM -
2020년: B-FREE - FREE THE BEAST
2021년: 창모 - UNDERGROUND ROCKSTAR
2022년: 넉살 X 까데호 - 당신께
2023년: 빈지노 - NOWITZKI
2024년: 비프리 X Hukky Shibaseki - Free Hukky Shibaseki & the God Sun Symphony Group : Odyssey.1

4.4. 국내 알앤비/소울

2015년: 서사무엘 - Framework
2016년: 서사무엘 - Ego Expand (100%)
2017년: 히피는 집시였다나무
2018년: SUMIN - Your Home
2019년: 소금 - Sobrightttttttt
2020년: 추다혜차지스 - 오늘밤 당산나무 아래서
2021년: THAMA - DON'T DIE COLORS
2022년: 라드 뮤지엄 - RAD
2023년: 저드 - BOMM
2024년: SUMIN, 슬롬 - MINISERIES 2

5. 2010년대 한국 최고의 앨범

5.1. 힙합

1위: 화지 - EAT
2위: E SENS - The Anecdote
3위: 가리온 - 가리온2
4위: Jclef - flaw, flaw
5위: B-Free - Korean Dream
6위: 와비사비룸 - 물질보단정신
7위: 화지 - ZISSOU
8위: Justhis - 2 many home 4 1 kid
9위: C JAMM - 킁
10위: 스윙스 - Upgrade 2

5.2. 알앤비/소울

파일:external/image.rhythmer.net/top_logo.gif
리드머 선정 2010년대
한국 알앤비 앨범 베스트 10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위 2위 3위 4위 5위
파일:SUMIN Your Home.jpg
파일:ego expand.jpg
파일:FE4A7961-30CB-42B6-84E9-A2408C8F50CF.jpg
파일:히피는집시였다나무.jpg
파일:external/image.melon.co.kr/2150856_org.jpg
Your Home Ego Expand (100%) Afterwork 나무 Principle Of My Soul
SUMIN 서사무엘 Jinbo 히피는 집시였다 나얼
6위 7위 8위 9위 10위
파일:ep1_sofedup.jpg
파일:Sobrightttttttt.jpg
파일:Zion.T_Red Light.jpg
파일:METROCITY.jpg
파일:CrushOnYou.jpg
so fed up Sobrightttttttt Red Light Metrocity Crush On You
지바노프 sogumm Zion.T 호림 크러쉬
}}}}}}}}} ||

6. 리드머 어워드 (폐지)

연도별 국내 힙합 주요 수상/선정작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fff> KHA[1]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랩/힙합 음반[2] 리드머 선정[3] 온음 총결산
2001 ?[A] -[5] ?[6] -[7]
2002 #
Welcome To The Infected Area
2003 파일:MapOfTheHumanSoul.jpg 파일:Lesson4ThePeople.jpg
Map of the Human Soul Lesson 4 The People
2004 파일:8000279.jpg #
Taxi Driver Beats Within My Soul
2005 파일:8012852.jpg 파일:8012852.jpg
Double Dynamite Double Dynamite
2006[8] ?[A] 파일:The Quiett Q Train.jpg
# Q Train
More Than Music
2007 파일:external/imgs.ototoy.jp/00031284.1369143195.3885orig.jpg 파일:external/imgs.ototoy.jp/00031284.1369143195.3885orig.jpg
Remapping The Human Soul Remapping The Human Soul
2008 -[10] 파일:external/board.rhythmer.net/20110221225805.jpg
누명
2009 파일:Feel gHood Muzik : The 8th Wonder.jpg 파일:Feel gHood Muzik : The 8th Wonder.jpg 파일:Feel gHood Muzik : The 8th Wonder.jpg
Feel gHood Muzik: The 8th Wonder Feel gHood Muzik: The 8th Wonder Feel gHood Muzik: The 8th Wonder
2010 파일:garion2.jpg 파일:garion2.jpg 파일:garion2.jpg
Garion 2 Garion 2[올해의음반] Garion 2
2011 파일:external/images.rapgenius.com/6413f75d3134253acc313fe70c298a4a.920x920x1.jpg 파일:SIMO&MOODSCHULA.jpg 파일:SwingsU2.jpg
열꽃 Mood Schula Upgrade II
2012 파일:external/img.maniadb.com/718778_1_f.jpg # #
Primary And The Messengers LP 소리헤다 2 M.O.B
2013 파일:hi-life.jpg 파일:ChiefLife.jpg 파일:ChiefLife.jpg
Hi-Life Chief Life Chief Life
2014 파일:external/hiphopplaya.com/20140613_140262870608.jpg 파일:2015_Hwaji.jpg 파일:2015_Hwaji.jpg
파급효과 (Ripple Effect) EAT EAT
2015 파일:external/ilyricsbuzz.com/E-SENS-The-Anecdote.jpg 파일:external/ilyricsbuzz.com/E-SENS-The-Anecdote.jpg 파일:external/ilyricsbuzz.com/E-SENS-The-Anecdote.jpg
The Anecdote The Anecdote[올해의음반] The Anecdote
2016 파일:작은 것들의 신.jpg 파일:2016_Hwaji_Zissou.jpg 파일:2016_Hwaji_Zissou.jpg
작은 것들의 신 ZISSOU ZISSOU
2017 파일:3집_Junk Drunk Love.jpg 파일:재건축 VIANN X KHUNDI PANDA.jpg 파일:재건축 VIANN X KHUNDI PANDA.jpg
Junk Drunk Love 재건축 재건축
2018 파일:XXXLANGUAGE.jpg 파일:tang_a.jpg 파일:jclef-flaw-flaw.jpg 파일:XXXLANGUAGE.jpg
LANGUAGE 탕아 flaw, flaw[13] LANGUAGE
2019 파일:3270810.jpg 파일:3270810.jpg 파일:3270810.jpg 파일:XXXSECONDLANGUAGE.jpg
SECOND LANGUAGE[올해의음반]
2020 파일:BSDETOX.jpg 파일:가로사옥.jpg 파일:FREE THE BEAST.jpg 파일:garlic album.jpg
DETOX 가로사옥 FREE THE BEAST Garlic
2021 파일:UGRS_albumart.jpg 파일:독립음악.jpg 파일:UGRS_albumart.jpg 파일:Cliché.jpg
UNDERGROUND ROCKSTAR 독립음악 UNDERGROUND ROCKSTAR Cliché
2022 파일:Lil Moshpit AAA.jpg 파일:넉살 까데호 당신께.jpg 파일:넉살 까데호 당신께.jpg 파일:LILCHERRYGOLDBUDDASPACETALK.jpg
AAA 당신께 당신께 SPACE TALK
2023 파일:노비츠키.png 파일:노비츠키.png 파일:노비츠키.png 파일:노비츠키.png
NOWITZKI NOWITZKI[올해의음반] NOWITZKI NOWITZKI
2024 파일:Free_Hukky_Shibaseki.jpg 파일:Free_Hukky_Shibaseki.jpg 파일:Free_Hukky_Shibaseki.jpg 파일:SkreetKnowledge.jpg
Free Hukky Shibaseki & the God Sun Symphony Group : Odyssey.1 Free Hukky Shibaseki & the God Sun Symphony Group : Odyssey.1 Free Hukky Shibaseki & the God Sun Symphony Group : Odyssey.1 Skreet Knowledge

[1] 전신이었던 힙합플레이야 어워드 포함.[2] 힙합/댄스 음반 → 힙합 음반 → 랩/힙합 음반[3] 2009년부터 2013년까지는 리드머 어워드라는 자체적인 시상식을 열어 선정하였다. 2009년에는 단지 웹진에 선정작을 정리해놓는 것에 불과했지만 2010년부터는 어워드라는 이름에 걸맞게 수상자들에게 트로피까지 시상을 했다.[A] 선정 결과를 찾을 수 없음.[5] 2003년 첫 시상.[6] 2009년 여름에 사이트 전체가 날라가는 사고가 일어나 선정 여부 확인 불가.[7] 2018년 첫 선정.[8] 힙플어워즈는 상반기, 하반기 나눠 2차례 선정.[A] [10] 2008년에는 힙플어워즈를 진행하지 않았다.[올해의음반] 올해의 음반 수상/선정[올해의음반] [13] 다른 곳에서는 모두 알앤비라고 분류를 하나, 리드머에서만 이걸 힙합으로 분류한다.[올해의음반] [올해의음반]
}}}}}}}}}

2011년(2010년 작품)부터 2014년(2013년)까지 진행됐던 시상식.

1회: #
2회: #
3회: #
4회: #

7. 장점

리드머의 힙합 평론은 다른 음악 평론지의 힙합 평론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편이다.[12] 이상한 잣대로 평점을 깎는 경우는 있어도 좋지 않은 앨범을 좋다고 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리드머의 4점 이상 앨범들은 대부분의 커뮤니티에서 인정하는 명반일 확률이 높다. 또한 년마다 그 해의 최고 앨범을 선정하는 베스트 10도 이견이 갈릴수는 있지만 대체로 신뢰도가 좋은 편이다. 즉 쉽게 말하자면 억까는 있을 수 있으나 억빠는 적고, 적어도 평점이 높은 경우는 신뢰할만하다. 낮은 평점은 무시하는 게 낫다.

또한 국외 리뷰, 통칭 외국 힙합 리뷰 활동이 활발한 편이기에 해외 곡들을 디깅하는 리스너라면 참고하기 좋다.

사이트의 서버 문제인지 로딩이 느린 경우가 종종 있으나 페이지 디자인 자체는 izm이나 온음에 비하여 가독성이 매우 뛰어난 편이다.

8. 비판

필요 없어 니들의 쓰레기 feedback
블랙넛[13][14]

8.1. 모호한 평론 기준

일부 뮤지션과 크루, 레이블에서 발매된 앨범을 리뷰할 때 유독 평가가 박해 논란을 빚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브랜뉴뮤직, 일리네어 레코즈, 에픽하이에 유난히 날이 서있는 모습을 보여주곤 한다. 대표적으로 더콰이엇의 9번째 정규앨범 glow forever와 에픽하이의 9집 WE’VE DONE SOMETHING WONDERFUL[15] 10집 파트1 Epik High Is Here 上에 2.5점이라는 낮은 점수를 줬고 슈가의 믹스테잎은 3점을 주는 괴상한 점수 기준으로 논란이 되었다.이 세 앨범의 평점 차이가 한동안 밈으로 여겨질 정도.

유독 한영혼용에 대해서 비판적인 시각을 고수하는데 이에 대해서 말이 많은 편이다. 무분별하고 알아듣기 힘든 혼용에 대한 비판은 이해하나, 한영혼용 가사를 썼다는 이유만으로 아티스트에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며 혹평하는 것이 이해가 안 간다는 의견이 존재한다. 다만, 한영혼용과 별개로 음악의 완성도가 뛰어나다면 점수를 높게 주는 편이며, 당장 리드머에서 4점 이상을 받은 국내 앨범중에서도 한영혼용 가사가 들어간 앨범들이 다수 존재한다. 가사의 의미나 표현의 개성에 기여하는 바 없이, 단지 라임과 플로우에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혼용을 비판하는 것에 가까우며, 10년이 넘게 이어져오는 이 기조를 두고 일관성은 있다고 인정하는 의견과 시대착오적이라는 의견이 동시에 존재한다.

리드머에서 평가가 박한 뮤지션들의 앨범 리뷰 패턴을 비꼬는 글

여성 아티스트와 그들의 작업물에 호의적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한 예로 Jclef의 flaw, flaw 앨범은 리드머 선정 2010년대 한국 힙합 앨범 베스트 10에서 JUSTHIS의 2 MANY HOMES 4 1 KID, 화지의 ZISSOU, 비프리의 Korean Dream을 제치고 4위를 차지했다. 리스트 그러나 여성 아티스트라 해서 무조건 호의적인 것은 아니며, 제시의 Un2verse와 NUNA 앨범, 애쉬비 앨범을 혹평하기도 하였고Un2verse 리뷰 NUNA 리뷰, 재키와이의 Enchanted Propaganda와 MOLLAK 앨범도 좋은 평을 받지는 못했다. 링크 당장 리드머 최하위 별점인 1점을 받은 아티스트는 헤이즈팻두, 그리고 왓썬더 뷰티풀[16] 뿐이다.

이외에도 웹사이트의 관리가 부실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컨텐츠의 업데이트나 열람에는 문제가 없으나 구시대적인 UI, https 미지원, 긴 로딩 등의 요소가 접근성을 해친다.

8.2. 편파적인 평론?

평론가 모임 a.k.a. 딸딸이 동호회 rhythmer
페미니스트의 왕 언니 강일권
남의 이름 팔아 관심 받는 것은 너나 나나 똑같지
대신 난 100이라는 명곡을 냈고 넌 그냥
좀 더 자랐지 좆같은 콧수염만
일권아 미안한데 난 안 할래 착한 힙합은
너가 싫어하니 대중음악좆목질상은
평생 못 받겠네, 올해도 아마 화지가?
블랙넛 - 제리케이 디스전 中 블랙넛 가사
너네한테 상준 평론가들
화씨 녹음실에 따라가던데
절대 아니라던 강씨는
얼마 전에도 회사 사무실 출근하던데
릴러말즈, TOIL - FUXX THAT SHXX! (Feat. lIlBOI, TakeOne) 中 TakeOne 가사

타블로 역시도 리드머라 언급을 하진 않았지만 이에 대한 간접적인 언급을 남겼다. 어쩌다 만나서 이야기를 나눴을때, 평론이 절대적이지 않으며, 듣고 싶은거 들으면 된다는 의견을 내비쳤더니 그 이후 에픽하이 음악에 대한 평가가 낮아졌다고 한다.#

9. 기타

  • 매년 리드머 어워드라는 이름으로 한 해 동안 음악적으로 가장 좋은 성과를 보인 뮤지션에게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힙합플레이야 어워드는 100% 유저들의 투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지도가 높은 뮤지션에게 표가 쏠리는 현상이 있는 데 비해, 리드머 어워드는 리드머 필진들 내부의 투표로 수상자를 선정하기 때문에 음악적 완성도 측면에 좀 더 방점이 찍혀 있다.[17] 처음에는 필진들끼리 하는 연말 결산 같은 느낌이었으나 2010년부터 정식으로 1회 리드머 어워드라는 이름으로 실제 수상자에게 제작한 트로피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탈바꿈하였다.
  • 간혹 직설적인 비평으로 인해 뮤지션들과 마찰이 빚어지기도 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프라이머리피타입. 프라이머리의 경우 리드머에서 마르코의 2집 앨범에 무려 1.5점이라는 역대급 점수를 주며 혹평한 것에# 대해 트위터를 통해 분노를 토했다. 과거 마르코와 프라이머리는 빅딜레코즈에서 함께 음악을 하던 오랜 동료였기에 마르코가 열심히 만든 음악을 불편한 말투로 혹평한 것에 발끈했던 듯. 피타입의 경우도 언프리티 랩스타에서의 MC몽 출연과 관련하여 리드머에 상당히 날이 서있고 처음부터 끝까지 비꼼으로 쓰여진 글이 게재되자 정도가 지나치다고 생각했는지 트위터를 통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적이 있다.
  • 마일드 비츠같은 경우 2005년 1집 발매 당시, 타이틀곡 뮤직비디오를 보고 리드머에 해당 앨범 리뷰에서 이를 언급했던 평론가 김봉현에 의해 '갱스터 힙합을 흉내내려 한다.'는 이미지가 씌워져서 마일드 비츠를 포함한 빅딜레코즈 전체가 한동안 "우리는 갱스터 힙합이 아니라 하드코어 힙합을 하는 것이다."라며 해명하고 다녀야 했다.[18] 그러나 이후로는 마일드 비츠의 음원 유통을 리드머의 모회사인 인플래닛이 맡고 꾸준히 홍보를 해주는 등 사이가 매우 좋아졌다.
  • 리드머의 前 편집장인 강일권은 PC주의와 페미니즘에 연관한 주장을 하기도 하였다. 메갈리아가 촉발시킨 아이유 논란에는 논란을 촉발시킨 메갈리아의 편을 드는 듯한 태도를 보여 주었다. 자세한 내용은 CHAT-SHIRE/논란 문서를 참조할 것.
  • 매년 연말 결산 개념으로 그 해에 발매된 R&B와 힙합 앨범의 순위를 자체적으로 매긴다.[19] 리드머에서 따로 별점을 매기지 않은 앨범들도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 야민정음으로는 긘드대라고 불린다.
  • 리드머도 뉴미디어 열풍을 따라서 리드머TV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기 시작했는데, 싱글 트랙 리뷰와 CD 앨범 언박싱은 대체적으로 호평이나 힙합 관련 이슈를 다루는 리드머 뷰는 리드머 필진들의 주관적 의견이 많이 반영된데다 리스너들이 이해하기 힘든 주장을 자주 하는 바람에 악평이 많은 편이다.[20] 결국은 리스너들의 비난과 매우 적은 조회수 때문인지 리드머TV의 모든 영상은 비공개로 전환되었고, 현재 리드머TV 채널을 접속하면 존재하지 않는 채널이라고 뜬다.
  • 사실상 한국에서 유일한 블랙 뮤직 전문 웹진이지만 필진들은 리드머 소속이 아닌 아닌 자유기고 형식이고 또 리드머 자체적으로 수익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몇몇 화제작들은 다루지 않고 묻히는 경우가 더러 있다. 리드머에서도 이를 인지하는지 다루지 못했던 앨범들을 칼럼 형식으로 한꺼번에 언급하기도 한다.

[1] 리드머와 함께 리믹스 컴페티션을 진행한 아티스트로는 다이나믹 듀오, 버벌진트(누명 Disc 2에 수록된 리믹스 곡들이 이 때의 컴페티션에서 입상한 작품들.)), 가리온, 심지어 소녀시대(!)도 있었다. 'Kissing you' 리믹스 컴페티션을 당시 SM엔터테인먼트와 협업으로 진행했고 입상자들의 리믹스 곡이 온라인 음원으로 정식 발매되기도 했다.[2] 대표적으로 다이나믹 듀오의 2집 발매 당시 인터뷰, 버벌진트의 명반 누명의 리뷰, 오버클래스 크루의 2008년 인터뷰 등이 사라졌다. 물론 기획 기사나 리뷰, 매주 진행했던 앨범 한줄평 등은 타격이 더 크다.[3] 앨범나온 당시에는 4점이었으나 6년이 지난후 리드머의 별점수정작업으로 4.5로 올랐다[4] 해당 앨범은 본토 내에서도 상당히 평가가 갈리는 앨범이기에 4.5점까지는 아니라는 의견이 있다. 비슷하게 4.5점을 받은 스눕 독의 'Doggumentary'도 의견의 갈리는 반응을 보였다.[5] 이에 대해서는 리드머가 여성 아티스트에게만 너무 관대한 것이 아닌가 하는 논란이 있다.[6] 리뷰[7] 소위 발라드랩, 가요랩 같은 대중성 위주의 앨범들은 대개 2점에서 3점대 점수를 받는편이며, 토탈 크리틱에서 다룬 아마추어급 앨범들도 대부분 낮게 받아도 1.5점이 최저점이다.[8] 가사가 아무리 좋아도 기본적인 사운드가 구리다면 평점을 대차게 깎지만 사운드가 된다면 가사가 구려도 평점을 크게 깎아내리진 않는다, 특히 트랩 장르를 평론할때에 더더욱 그런데 가사라고 볼게 하나도 없다시피한 스타렉스 크루의 앨범이나 언에듀케이티드 키드의 앨범을 좋은 평가를 주기도 했다. (다만 2020년대 이전에는 가사가 별로면 점수를 깍는 추세였다. Green Club이나 Enchanted Propaganda이 이러한 이유로 점수가 까였다.[9] 국외 알앤비/소울TOP 10, 국내 알앤비/소울 TOP 10, 국외 랩/힙합 TOP 20, 국내 랩/힙합 TOP 10[10] 실제로 이 앨범은 그해의 앨범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이 아닌, ‘리드머 어워드’의 올해의 앨범 수상작이었다[11] 2010년에 나온 힙합 앨범 20개를 순위 없이 선정했다.[12] 특히 izm과 비교했을때 더욱 그렇다.[13] 블랙넛 - 제리케이 디스전 中 나온 가사다.[14] 하지만 블랙넛은 데뷔 15년 이상 동안 솔로 정규 앨범을 내겠다고 했었으나 솔로 정규 앨범이 한 장도 없으며 참여곡, 그룹으로서의 앨범 정도만 존재하고 있다. 나중에 리드머가 블랙넛의 정규가 나오는지 궁금하다고 깠을 정도.#[15] 심지어 2.5점이였는데 2020년에 2점으로 점수가 내려갔다.[16] 인디 힙합 듀오로, 2013년에 한장의 앨범을 발매했는데, 아마추어만도 못한 형편없는 수준의 실력으로 욕을 먹고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17]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리드머 필진들이 한국대중음악상 심사위원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잦아서 한대음 힙합 부문이나 R&B부문과 수상자과 꽤 겹친다.[18] 김봉현은 리드머 필진을 관둔 지 꽤 되었다.[19] 12월에 발매된 앨범의 경우 다음 해로 넘긴다.[20] 비프리의 킹치메인 폭력사건은 각각 가해자와 피해자의 입장인데도 불구하고 이를 대결 구도로 몰아가는 우를 범했고, Black Lives Matter 운동에 대해서 한국 힙합이 미국에 문화적 수혜를 받았음에도 침묵한다고 비난하는 바람에 댓글로 항의하는 리스너들이 많다. 실제로는 레이블 자체에서 BLM 지지를 표명한 하이어뮤직을 비롯해 상당수 유명 힙합 뮤지션들이 BLM에 지지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