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8 00:48:22

대니 브라운

대니 브라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warp_rad.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소속 아티스트
!!! Aphex Twin Autechre Battles
Bibio Boards of Canada Broadcast Clarissa Connelly
Daniel Rossen Danny Brown Darkstar Evian Christ
Flying Lotus Gonjasufi Hudson Mohawke James Ellis Ford
Kassa Overall Kelela Kelly Moran KWES.
Leila LFO  LoneLady Lorenzo Senni
Mark Pritchard Mira Calix Mount Kimbie Nala Sinephro
Nightmares on Wax Oli XL Oneohtrix Point Never Plaid
Rustie Seefeel Slauson Malone 1 Squarepusher
Squid Stereolab TNGHT Wu-Lu
Yves Tumor
}}}}}}}}} ||

파일:XXL Logo.jpg
2012 XXL Freshman Class
Future Kid Ink Danny Brown French Montana Macklemore
Don Trip Machine Gun Kelly Hopsin Iggy Azalea Roscoe Dash
''''
''''
''''


<colbgcolor=#000><colcolor=#fff> 대니 브라운
Danny Brown
파일:대니브라운.jpg
본명 대니얼 드원 시웰
Daniel Dewan Sewell
출생 1981년 3월 16일 ([age(1981-03-16)]세)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0cm[1]
장르 얼터너티브 힙합, 프로그레시브 랩, 익스페리멘탈 힙합
직업 래퍼, 싱어송라이터
소속 워프 레코즈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음악적인 성향4. 디스코그래피
4.1. 1집 The Hybrid (2010)4.2. 2집 XXX (2011)4.3. 3집 Old (2013)4.4. 4집 Atrocity Exhibition (2016)4.5. 5집 uknowhatimsayin¿ (2019)4.6. 6집 Quaranta (2023)4.7. SCARING THE HOES (with JPEGMAFIA) (2023)4.8. 7집 Stardust (2025)
5. 여담

1. 개요

미국래퍼.

익스페리멘탈 힙합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이자 디트로이트를 상징하는 래퍼 중 하나로 꼽힌다.

2. 생애

1981년 디트로이트에서 필리핀 혼혈로 태어난 대니 브라운은 어렸을 때부터 래퍼로서의 재능을 스스로 알았다고 한다. 부모님 역시 음악을 직업으로 삼았기에 아들의 음악 커리어에 크게 반대하지 않았다고.

10~20대까지는 가난 때문에 랩 커리어에 집중하지 않고 마약을 팔았고 이 때문에 교도소 생활을 하기도 했다.

2003년 친한 친구들인 Chip$와 Dopehead와 같이 Rese'vor Dogs라는 힙합 그룹을 결성 하면서 힙합 커리어가 시작됐다.

2008년에 낸 Hot Soup도 나름 호평을 받았고, 이후 2010년 50 센트와 토니 야요 등 G-Unit 쪽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면서 토니 야요와 같이 낸 믹스테잎 Hawaiian Snow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같은 해 익스페리멘탈 성향의 데뷔 앨범 The Hybrid를 내면서 독특한 래핑과 잘 짜여진 구성 등으로 호평을 받는다.

3. 음악적인 성향

피처링으로 참여해도 어지간한 래퍼는 톤만으로 잡아먹힌다는 소리를 들을만큼 굉장히 독특한 톤을 가지고 있다. 소위 코맹맹이 소리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톤이 낮은 것도 아니고 엄청나게 역동적으로 랩을 하기 때문에 존재감이 어마어마하다. Detroit vs everybody에 처음 그를 알게된 사람들은 저 래퍼는 누군데 에미넴 바로 앞에서 랩을 했는데도 묻히질 않냐는 소리를 했을 정도. 한때 산발을 하고 치아교정도 안하고 라이브를 하고 다녔을 때는 정말 짐승처럼 랩한다는 말이 딱 맞는 래퍼였다. 평범하고 멀쩡하게 선보이는 랩과 톤을 바꾸면서 광기넘치는 랩의 갭으로 만드는 변화가 굉장히 큰 래퍼인데, 그가 주로 선보이는 익스페리멘탈 힙합에 이게 아주 잘 맞아서 평가가 굉장히 좋다.

2집 XXX부터 점점 더 익페 장르로 가기 시작하고, 현재 익스페리멘탈 힙합 장르를 상징하는 래퍼 중 하나가 되었다.

4. 디스코그래피

4.1. 1집 The Hybrid (201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Hybrid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Hybri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Hybri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51l1-sa0TCL._SS500.jpg.

1. Greatest Rapper Ever
2. Need Another Drink
3. New Era
4. Exotic (Feat. Dopehead)
5. I'm Out
6. Re-Up
7. Nowhere 2 Go
8. Shootin' Moves
9. The Nana Song
10. Guitar Solo
11. White Stripes
12. Juno
13. Thank God
14. Drinks on Me
15. Generation Rx
16. S.O.S
보너스 트랙
17. Cartier
18. Great Granddad
19. Lincoln Continental

4.2. 2집 XXX (2011)

파일:external/hw-img.datpiff.com/Danny_Brown_Xxx-front-large.jpg

1. XXX
2. Die Like a Rockstar
3. Pac Blood
4. Radio Song
5. Lie4
6. I Will
7. Bruiser Brigade (Feat. Dopehead)
8. Detroit 187 (Feat. Chips)
9. Monopoly
10. Blunt After Blunt
11. Outer Space
12. Adderall Admiral
13. DNA
14. Nosebleeds
15. Party All the Time
16. EWNESW
17. Fields
18. Scrap or Die
19. 30
iTunes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트랙
20. Baseline
21. Witit
22. Shouldn't of

4.3. 3집 Old (201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Old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Ol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Ol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4집 Atrocity Exhibition (201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trocity Exhibition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trocity Exhibition#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trocity Exhibition#|]]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5집 uknowhatimsayin¿ (2019)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uknowhatimsayin¿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uknowhatimsayin¿#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uknowhatimsayin¿#|]]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uknowhatimsayin¿.jpg

1. Change Up
2. Theme Song
3. Dirty Laundry
4. 3 Tearz f. Run the Jewels
5. Belly of the Beast f. Obongjayar
6. Savage Nomad
7. Best Life
8. uknowhatimsayin¿
9. Negro Spiritual f. JPEGMAFIA
10. Shine f. Blood Orange
11. Combat

4.6. 6집 Quaranta (202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Quaranta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Quaranta#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Quaranta#|]]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F8_ulgzW4AEWCrm.jpg

1. Quaranta
2. Tantor
3. Ain't My Concern
4. Dark Sword Angel
5. Y.B.P. feat. Bruiser Wolf
6. Jenn’s Terrific Vacation f. Kassa Overall
7. Down Wit It
8. Celibate f. MIKE
9. Shakedown
10. Hanami
11. Bass Jam

4.7. SCARING THE HOES (with JPEGMAFIA) (202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CARING THE HOES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CARING THE HOE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CARING THE HOE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 7집 Stardust (2025)

2025년 11월 발매 예정.

5. 여담

  • 지저분한 헤어스타일과 깨진 앞니가 그의 트레이드 마크였을 정도로 지저분한 인상을 가지고 있었으나, 5집 이후로 머리도 밀고 앞니도 매꾸는 등 굉장히 깔끔해진 모습으로 변했다.
  • KFC를 싫어하는 듯하다. 앞니가 깨졌던 이유도 KFC에서 사고가 터지는 바람에 그랬다고.
  • 요즘 래퍼들은 작사와 프로듀싱에 공들이지 않고, 무엇보다 정규 앨범 단위로 음악을 성의 있게 만들지 않는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 매우 오랜 무명 생활을 겪었기에 평균 래퍼에 비해 30대라는 매우 늦은 나이에 유명세를 얻은 케이스. 본인 역시 이에 콤플렉스가 심하다고 고백했다. 하지만 동시에 음악적 연륜이 깊어진 시기에 주목 받았기에 지금의 자신이 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커리어는 매우 늦게 시작한 반면, 40대 중반의 나이에 벌써 할아버지가 되었다!!
  • Baauer와 Channel Tres와 협업한 READY TO GO가 발매되었다. GTA 5에서 DJ를 맡은 라디오 채널인 iFruit Radio 채널에서 들을 수 있다.
  • X에서 한국인 아티스트 Effie를 샤라웃했다.

[1] 구글 프로필 기준. 래퍼들 중에서도 키가 상위권으로 큰 편이며, 더 큰 래퍼로는 Future, G-Eazy, 2 Chainz, 스눕 독, 위즈 칼리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