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cenic E-Tech Electric |
1. 개요
프랑스의 자동차 제조사인 르노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이자 르노 세닉의 이름을 이어받은 5세대 차량이다.2. 상세
2.1. 1세대 (HCB, 2023~현재)
====# 출시 전 정보 #====점점 약화되는 MPV 시장 때문에, 에스파스와 함께 7인승 SUV로 포지셔닝될 예정이라고 한다.# 하지만, 후속작 없이 2022년 연말에 에스파스 및 탈리스만과 함께 단종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르노 HCB |
| |
세닉 비전 콘셉트 |
2022년 5월 19일에는 세닉 비전 콘셉트를 공개했다. 2024년에 전기차 전용으로 공개될 것이라고 한다. #
2023년 6월 스파이샷이 포착됐다.#
| |
르노 세닉 위장막 사진 |
2023년 7월 13일에는 공식 위장막 차량 사진이 공개됐으며, 2023년 9월 뮌헨 오토쇼에서 정식 공개될 예정이라고 한다. 차체 크기는 메간 E-테크 일렉트릭보다 조금 큰 4,490mm 정도이며, 닛산 아리야의 파워트레인을 공유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23년 8월 31일, 티저가 공개됐으며 공식 발표일 역시 9월 4일이라는 사실이 알려졌다. #
개발 도중에는 HCC란 코드명의 장축형 파생 모델도 개발 중이었는데 원인 불명의 이유로 인해 취소되었다. 정식 출시되었다면 그랑 세닉의 포지션을 이어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2.1.1. 공개 이후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 |
E-테크 일렉트릭 아이코닉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 |
E-테크 일렉트릭 에스프리(Esprit) 알핀 | |||
세닉 |
we changed everything but the name 이름만 남기고, 모든 것을 새롭게 |
예정대로 2023년 9월 4일, IAA 모빌리티를 통해 공개됐으며, 이번 세대를 기점으로 파워트레인이 완전히 전동화되었다.모터 1카스쿱스 콘셉트 카에서 볼 수 있었던 디자인 요소를 유지하고 있다. 플랫폼은 르노 메간 E-테크 일렉트릭, 닛산 아리야에도 사용된 CMF-EV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크기는 길이 4,470mm, 폭 1,864 mm, 높이 1,571 mm에 휠베이스는 2.78m에 트렁크 공간은 545리터[1]이며, 무게는 1,842kg(상위트림인 세닉 E-테크 트림 기준)다.
기본형(스탠다드)의 경우 최고출력 170마력, 최대토크 280Nm을 내는 전기모터가 차체 앞쪽에 위치하며 60kWh 배터리를 장착해 WLTP 기준 420km의 주행거리를 낸다. DC 고속충전 시스템은 130kW까지 가능하며 0→100km/h 가속시간은 9.3초, 최고속력은 150km다.
상위트림인 세닉 E-테크 트림 (롱 오토노미)의 경우 전기모터는 최고출력 220마력, 최대토크 300 Nm을 내며 87 kWh 배터리팩을 장착해 WLTP 기준 620km의 주행거리를 자랑한다. DC 고속충전 시스템은 150kW까지 가능하여 15%에서 80%까지 38분 만에 충전 가능하며 0→100km/h 가속시간은 8.4초, 최고속력은 170km다.
기본형과 상위트림 모두 AC 충전 시스템(22kW까지)을 갖추고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의 니켈-망간-코발트(NMC) 배터리를 사용한다.
르노에 따르면 배터리팩은 개별적인 모듈로 만들어져 있어서 교환이 쉬우며 수리 역시 개별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르노에 따르면 르노 조에, 르노 메간 E-테크 일렉트릭이 그랬던 것처럼 전자장비, 배터리, 모터에 희토류(稀土類)는 사용되지 않았다고 한다.
르노는 폐기물 관련 재활용 순환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이는 세닉 E-테크의 재활용품 사용 비율에서 드러난다. 대시보드에는 80%의 재활용 재료가 사용되었으며 운전석에는 26%, 카펫에는 97%의 재활용 플라스틱 병, 천장부위에는 99.5%의 재활용 플라스틱 병이 사용되었으며 가죽은 없다고 한다. 불투명 파노라마 유리 지붕 역시 50%의 재활용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철을 함유한 구성품들의 37%도 재활용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후드와 출입문은 40%의 재활용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다.
OpenR Link라는 이름이 붙은 디지털 콕핏은 2개의 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운전석에는 12.3인치 수평 TFT 스크린이, 가운데에는 12인치의 수직 터치스크린이 있는데 그 터치스크린을 통해서는 구글지도 포함 50개 이상의 컨텐츠를 시현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 역시 유선, 무선 어느 방식으로든지 이용할 수 있다.
실내는 5명이 탑승할 수 있으며 전기차 전용인 덕분에 완전히 평평한 바닥을 갖추고 있다. 실내 곳곳에는 3.6리터의 수납공간을 갖춘 리어 암레스트 등 다양한 수납공간을 갖추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등을 거치할 수 있는 접이식 스탠드, 2개의 컵홀더, 2개의 C타입 USB 포트를 갖추었다.
능동형 크루즈 컨트롤, 스탑앤고, 차선중앙유지보조기능 포함 30개 이상의 주행 보조, 안전 시스템을 갖췄다. 프랑스 북부 르노 두에(Douai) 공장에서 생산될 예정이며 2024년 초부터 쇼룸에 전시될 예정이다.
2024년 유럽 올해의 차 최종 명단에 포함됐다.
2023년 12월 중반에 올라온 카스쿱스 기사에 따르면 미쓰비시에서 르노 세닉 E-테크의 뱃지 엔지니어링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
향후 2025년에 국내에 수입한다는 루머가 있다.영상 만약 수입된다면 르노 조에 단종 이후 비어진 르노코리아의 친환경차 라인업을 매꿀 차종이 될 것이다.
2024년 4월 3일 르노코리아 간담회를 통해 2025년 국내에 출시될 예정임이 밝혀졌다.
<nopad> |
유럽 올해의 차로 선정된 르노 세닉 E-테크 일렉트릭 |
2024년 유럽 올해의 차에 선정되었다. 초반에는 BMW 5시리즈에게 밀리기 시작했으나, 결국 후반에 역전하면서 승리했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24년 4월 3일 르노 성수에서 개최된 미디어 행사에서 기자들을 대상으로 깜짝 공개되었는데, 일반인 대상 공개는 동년 6월에 개최된 부산모빌리티쇼에서 이루어졌다. 전량 수입 예정이며, 대한민국 판매는 2025년에 시작될 예정이다. 여담으로 미디어 행사 이후, 1:64 스케일의 세닉 모형도 함께 출시되었다. 색상은 4가지로, 회색 차량은 에스프리 알핀 사양이다. 부산모빌리티쇼 때는 흰색, 회색의 2가지 1:43 스케일 모형도 판매되기 시작했다.
2024 유로 NCAP 충돌 테스트에서 별 5개를 획득하였다. #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000>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르노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 | }}} | |||
<rowcolor=#fff> 차급 | 판매 차량 | 단종 차량 | ||||
<colbgcolor=#000><colcolor=#fff> 초소형차 | <colbgcolor=#FFFFFF,#222222> - | <colbgcolor=#FFFFFF,#222222> 트위지[!] | ||||
소형차 | 5[i]출시 예정 | 조에[i] · 클리오[i] | ||||
중형차 | - | SM6 | ||||
소형 SUV | 아르카나(E-테크 하이브리드) | 캡처[i] | ||||
준중형 SUV | 세닉[i]출시 예정 | - | ||||
중형 SUV | QM6 · 그랑 콜레오스 | - | ||||
준대형 SUV | 오로라 2출시 예정 · 오로라 3출시 예정 | - | ||||
패널 밴 | QM6 퀘스트 | - | ||||
LCV | - | 마스터[i] | ||||
|
- [ 알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수상 차량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 | | | |
토요타 야리스 | 기아 EV6 | 지프 어벤저 | 르노 세닉 | 르노 5/알핀 A290 |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
| | | | |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역대 경합 후보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피아트 500 | 르노 메간 E-테크 일렉트릭 | 폭스바겐 ID.버즈 | BMW 5시리즈/i5 | 기아 EV3 | |
쿠프라 포멘토 | 현대 아이오닉 5 | 닛산 아리야 | 푸조 3008/E-3008 | 시트로엥 C3 | |
3위권 외 후보 | |||||
폭스바겐 ID.3 | 푸조 308 | 기아 니로 | 기아 EV9 | 다치아 더스터 | |
스코다 옥타비아 | 스코다 엔야크 iV | 르노 오스트랄 | 볼보 EX30 | 현대 인스터 | |
랜드로버 디펜더 | 포드 머스탱 마하-E | 푸조 408 | BYD 씰 | 쿠프라 테라마 | |
시트로엥 C4 | 쿠프라 본 | 토요타 C-HR | 알파 로메오 주니어 | ||
역대 경합 후보 |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
3위권 외 후보 | |||||
2010년대 | → | 2020년대 | → | 2030년대 | |
|
[1] 뒷좌석을 접었을 경우 1,670리터까지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