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EAL |
BYD Seal / BYD Atto 4[1] BYD 海豹 BYD 씰 중국 공식 홈페이지 BYD 씰 한국 공식 홈페이지 |
1. 개요
중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BYD에서 생산하는 패스트백 형태의 세단형 중형 순수 전기 세단이다.BYD의 서브브랜드인 海洋[2] 시리즈에 속하는 차량이다.
2. 상세
2.1. EV
2.1.1. 1세대(2022. 5 ~ 현재)
| <nopad> |
<rowcolor=#ffffff> 전면부 | 후면부 |
| |
<rowcolor=#ffffff> 실내 |
BYD, SEAL력으로 답하다
BYD의 '오션 시리즈'로 알려진 플러그인 전기차 라인업의 일종으로 BYD 돌핀에 이어 2번째로 출시된 차량이다. 2021년 9월에 공개된 BYD 오션-X 컨셉트카의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였다. 세아트 이비자, 알파 로메오 166과 같은 차량들을 디자인한 볼프강 에거가 디자인을 담당하였다. 차량의 가격은 212,800위안[3]~289,800위안[4] 사이에서 형성되었다. 유로 NCAP에서 최고 등급인 별 5개를 받았다.
차량의 섀시는 신형 800V 차량 전용 플랫폼인 e-플랫폼 3.0이 적용되었다. 차량의 최고 속도는 180km/h까지 낼 수 있으며 제로백은 듀얼 모터 기준 3.8초[5] 정도로 알려져 있다. 사양은 201마력의 출력과 310Nm의 토크를 내는 싱글 모터 후륜구동, 310마력의 출력과 360Nm의 토크를 내는 싱글 모터 RWD, 215마력+310마력의 출력과 670Nm의 토크를 내는 듀얼 모터 4륜구동 3가지로 구성되었다. 해당 차량에는 V2G가 적용되었으며 중국 내 판매 사양의 주행거리를 550km~700km[6]라고 소개한 바 있다. 파워트레인으로는 61.4kWh~82.5kWh[7]의 배터리와 1단 기어가 적용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800mm, 전폭은 1,875mm, 전고는 1,460mm, 휠베이스는 2,920mm, 공차중량은 1,885kg~2,150kg이다. 최대 150㎾로 25분 만에 10~80%까지 충전할 수 있다. WLTP기준 주행거리는 520km를 인증받았다.
전면부에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후면부에는 5링크 서스펜션이 적용되며, 전후면에 모두 V디스크가 탑재된다. 225/50R18형 알루미늄 알로이 휠과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타이어 수리 키트가 제공된다.
중국제 차량으로서는 최초로 2024년 유럽 올해의 차 후보로 올랐으며, 토요타 C-HR보다 3표를 더 얻으며 꼴찌에서 탈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포르쉐 타이칸과 현대 아이오닉 6의 전면부를 닮았다.
2025년 1월 16일 BYD Auto의 대한민국 론칭과 함께 언론을 통해 공개되었으며, 제15회 서울모빌리티쇼를 통해 일반 대상 공개하고 사전계약에 돌입했다.
2.1.1.1. 판매량
BYD 씰 판매량 | |
연도 | 중국 시장 판매량 |
<colbgcolor=#e91b21> 2022년 | <colbgcolor=#fff> 51,200대 |
2.2. DM-i[8]
2.2.1. 1세대 (2023. 9 ~ 현재)
'씰'이라는 네이밍은 공통으로 쓰지만 DM-i 모델은 원래 BYD Quzhujian 07로 나오려다가 계획이 수정되어 씰 시리즈에 편입된 것이므로 기존 씰 모델과는 다른 부분이 많아 별도 문서로 분리하였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YD 씰 DM-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YD 씰 DM-i#|]][[BYD 씰 DM-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nopad> |
<rowcolor=#ffffff> BYD Seal 06 DM-i |
또한 중형차 버전으로 씰 06 DM-i 역시 존재한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YD 씰 06 DM-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YD 씰 06 DM-i#|]][[BYD 씰 06 DM-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nopad> |
<rowcolor=#ffffff> BYD Seal 05 DM-i |
준중형차인 BYD 디스트로이어 05의 파생형으로 나온 05 DM-i 역시 2025년 1월부터 판매되기 시작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YD 씰 05 DM-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YD 씰 05 DM-i#|]][[BYD 씰 05 DM-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제원
SEAL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생산지 |
|
코드네임 | EK |
차량형태 | 4도어 세단 |
승차인원 | 5명 |
전장 | 4,800mm |
전폭 | 1,875mm |
전고 | 1,460mm |
축거 | 2,920mm |
윤거(전) | 1,620mm |
윤거(후) | 1,625mm |
공차중량 | 2,100kg |
배터리 용량 | 82kWh |
타이어 크기 | 235/45R19 |
플랫폼 | BYD e-플랫폼 3.0 |
구동방식 | 뒷 모터-뒷바퀴굴림(RR) 양 모터-네바퀴굴림(AWD) |
전륜 현가장치 |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
후륜 현가장치 | 더블 위시본 기반 멀티링크 서스펜션 |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24.7 일본시장용 기준 |
4. 참고자료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2D2F34><tablealign=center>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경차 | 시걸 | F0 · 플라이어 | |
소형차 | 돌핀 · e2 | F3 · e5 · F3DM · e3 | |
준중형차 | 친 · 디스트로이어 05 | L3 · G3 | |
중형차 | 씰/아토 4 | F5 슈리 · G5 · G6 · F6 · F6DM | |
준대형차 | 한 · 씰 DM-i | - | |
스포츠카 | - | S8 | |
소형 SUV | 위안 플러스/아토 3 | 위안 | |
준중형 SUV | 송/씰 U | S6 · S7 | |
중형 SUV | 탕 · 송 L · 프리깃 07 | - | |
중형 픽업트럭 | 샤크 | ||
MPV | 송 맥스 · D1 · M3 | M6 · e6 | |
LCV | T3 · 샹 | - | |
버스 | K6 · K7 · K8 · K9(eBus-12) · K10 · K11 · C6(eBus-7) · B10(eBus9) · B12(eBus11) · C8 · C9 · C10 · J6 | - | |
트럭 | T4K · T5 · T7 · T8 · T9 · Q1M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수상 차량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 | | | |
토요타 야리스 | 기아 EV6 | 지프 어벤저 | 르노 세닉 | 르노 5/알핀 A290 |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
| | | | |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역대 경합 후보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피아트 500 | 르노 메간 E-테크 일렉트릭 | 폭스바겐 ID.버즈 | BMW 5시리즈/i5 | 기아 EV3 | |
쿠프라 포멘토 | 현대 아이오닉 5 | 닛산 아리야 | 푸조 3008/E-3008 | 시트로엥 C3 | |
3위권 외 후보 | |||||
폭스바겐 ID.3 | 푸조 308 | 기아 니로 | 기아 EV9 | 다치아 더스터 | |
스코다 옥타비아 | 스코다 엔야크 iV | 르노 오스트랄 | 볼보 EX30 | 현대 인스터 | |
랜드로버 디펜더 | 포드 머스탱 마하-E | 푸조 408 | BYD 씰 | 쿠프라 테라마 | |
시트로엥 C4 | 쿠프라 본 | 토요타 C-HR | 알파 로메오 주니어 | ||
역대 경합 후보 |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
3위권 외 후보 | |||||
2010년대 | → | 2020년대 | → | 2030년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