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8 15:16:13

2

에서 넘어옴
2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666><#000> QWERTY 키보드 글쇠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PC를 통한 열람 권장)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Esc F1 F2 F3 F4 F5 F6 F7 F8 F9 F10 F11 F12 PrtSc
SysRq
ScrLk Pause
Break
~
`
!
1

2
#
3
$
4
%
5
^
6
&
7
*
8
(
9
)
0
_
-
+
=
← Backspace
(Delete)
Ins Home PgUp
⇆ Tab Q W E R T Y U I O P {
[
}
]
[[\\|]]
\
Del End PgDn
⇪ Caps Lock A S D F G H J K L :
;
"
'
Enter ↲
(Return)
Num
⇧ Shift Z X C V B N M <
,
>
.
?
/
⇧ Shift
Ctrl
(fn)
Fn
(^)
파일:Windows_11_Icon_(print).svg파일:Windows_11_Icon_(dark).svg
()
Alt
()
Space Alt
()
파일:Windows_11_Icon_(print).svg파일:Windows_11_Icon_(dark).svg
()
파일:Windows Copilot 로고.svg
(Menu)
Ctrl
}}}}}}}}}

아라비아 숫자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십진수
Decimal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큰 수 작은 수
(/)
(100)
(/)
(101)
(//)
(102)
(//)
(103)
<colbgcolor=#d3d3d3,#000> /분()
(10-1)
<colbgcolor=#d3d3d3,#000> ()
(10-2)
<colbgcolor=#d3d3d3,#000> ()/()
(10-3)
<colbgcolor=#d3d3d3,#000> ()
(10-4)
()
(104)
십만(十萬)
(105)
백만(百萬)
(106)
천만(千萬)
(107)
()
(10-5)
()
(10-6)
()
(10-7)
()
(10-8)
()
(108)
십억(十億)
(109)
백억(百億)
(1010)
천억(千億)
(1011)
()
(10-9)
()
(10-10)
()
(10-11)
()
(10-12)
()
(1012)
()
(1016)
()
(1020)
()
(1024)
모호
(10-13)
준순
(10-14)
수유
(10-15)
순식
(10-16)
(/)
(1028)
()
(1032)
()
(1036)
()
(1040)
탄지
(10-17)
찰나
(10-18)
육덕
(10-19)
허공
(10-20)
()
(1044)
()
(1048)
항하사
(1052)
아승기
(1056)
청정
(10-21)
아라야
(10-22)
아마라
(10-23)
열반적정
(10-24)
나유타
(1060)
불가사의
(1064)
무량대수
(1068)
...
구골
(10100)
구골플렉스
([math(10^{10^{100}})])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
정수
1 2 3

이()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둘"
two
·
· second(서수)
2
<colbgcolor=#F5F5F5,#2E3033> 종류 정수
,
약수 1\
제곱
· 제곱근
, ±√2
, ±
문화권별 숫자 표기
(해당 없음)
{{{#!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block;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Ⅱe; margin: -5px -2px -11px"
<nopad> 로마 숫자
,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Β΄e; margin: -5px -2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그리스 숫자
[ruby(Μ, ruby=)]
Β΄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٢; margin: -5px -2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동부 아라비아 숫자 ٢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貳; margin: -5px -2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갖은자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none; margin: -5px -2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이체자
}}}}}}}}}


1. 개요2. 수학적 특징
2.1. 기타
3. 관념4. 2와 관련된 것
4.1. 2번째인 것들4.2. 스포츠4.3. 교육4.4. 2개4.5. 두 글자4.6. 2로 끝나는 해4.7. 기타
5. 작품 명칭6. 일련번호가 2인 것7. 관련 개념8. 관련 문서

1. 개요

1보다 크고 3보다 작은 자연수로, 자연수의 두 번째 수이다.

2. 수학적 특징

  • 가장 작은 소수이며[1] 다음 소수는 3이다. 유일한 짝수 소수이며, 바로 다음 수도 소수인 유일한 소수이다.[2]
  • 연속하는 두 자연수인 1, 2의 곱이다. 이는 계승 2!로 나타낼 수 있다.
  • 두 번째 하샤드 수, 세 번째 피보나치 수, 세 번째 벨 수이다.
  • 2를 제곱할 때마다 일의 자리 수가 2, 4, 8, 6으로 반복된다.[3]
  • 가장 작은 불가촉 수이다.
  • 홀수짝수를 가리지 않고 어떤 숫자에 2를 곱할 시 결과물은 무조건 짝수로 나온다. 따라서 일의 자리가 짝수라면 명실상부 2의 배수이다. 이는 4, 6, 8등 짝수 모두가 가진 특징이다.
  • 세 번째 대칭수이며, 이전 대칭수는 1, 다음 대칭수는 3이다.[4]
  • 완전순열의 세 번째 항이다.
  • 짝수 완전수는 모두 소인수의 개수가 2개이다.
  • [math(2+2)], [math(2\times2)], [math(2^2)] 등 2의 하이퍼연산의 값은 4로 모두 같다. [증명]
  • 헤그너 수다.
  • 2는 파스칼의 삼각형에서 유일하게 딱 한 번만 등장한다.
  • 이항계수의 역수의 합은 처음 네 항을 제외하면 감소하는 양수 수열로서, 2로 수렴한다. 곧, [math(\displaystyle\lim_{n\to\infty}\sum_{k=0}^n\dfrac1{\binom{n}k}= \lim_{n\to\infty}\sum_{k=0}^n\dfrac{k!}{n^{\underline{k}}}=2)]이다.[6]
  • 2는 [math({}_n{\rm H}_r>{}_n{\rm C}_r)]이도록 하는 자연수 [math(r)]의 최솟값이다.[7]
  • 멱집합을 뜻하는 기호에도 쓰이는데, 예를 들어 [math(\Omega)]의 멱집합은 [math(2^\Omega)]로 쓰는 식이다.
  • 파스칼의 삼각형의 [math(n)]번째 가로줄의 이항계수의 역수의 합은 [math(n)]이 한없이 커질 때 [math(2)]로 수렴한다. 즉, [math(\displaystyle\lim_{n\to\infty}\sum_{k=1}^n\dfrac1{\binom nk}=2)]이다. 증명은 이항정리 참고.

2.1. 기타

2 그 자체가 아닌 2와 관련된 특성을 모은다.
  • 소인수가 2 뿐인 수는 모두 진약수가 자신보다 1 작은 부족수다.
  • 대수학에서는 매우 골치 아픈 숫자다. 다른 경우에는 잘 되던 것이 characteristic이 2인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엄청 많아 수학자의 머리를 쥐어뜯게 한다.

3. 관념

  • 2은 이원성[8], 둘의 교체, 차이, 갈등, 의존, 타인(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 정적인 상태, 뿌려박음, 변하여 균형을 유지, 안정, 반영, 대극, 인간의 이원성과 욕망을 뜻하며, 숫자 1이 점(点)을 의미한다면, 2는 길이를 나타내며, 그와 동시에 1에서 출발나 최초의 숫자이자 곧 최초의 선에서 일탈이라는 의미의 죄를 상징한다.[9]
  • 연금술에서는 태양, 왕과 왕비, 유황과 수은 등의 대립물을 나타내며, 그렇기에 처음에는 대립하난 궁극적으로는 융합되는 남녀추니로써의 통일이다. 불교에서는 윤회의 이원성, 남과 여, 이론과 실천, 지혜와 방법을 나타내며, 거기에 서로 도와 길을 찾고 걷는 맹인과 절름발이를 상징한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음(陰), 여성, 뭍(지상), 흉(凶)으 나타내며, 기독교에서는 신성, 인간성을 겸비한 예수를 의미한다.
  • 유대교에서는 생명력, 카발라에서는 지혜와 자기인식을 뜻하며, 힌두교에서는 이원성, 샥티를, 이슬람교에서은 영(靈)을 의미한다.

4. 2와 관련된 것

2와 관련된 잡다한 것들을 모은다.

4.1. 2번째인 것들

  • 프로게이머 홍진호와 연관이 많다. 게임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2 = 홍진호"로 통하며, 언제 어느 곳에서든 두 번째로 존재한다. 이유는 홍진호의 준우승 횟수가 무려 22회이기 때문(...).[10] 본인도 좋아하는 숫자가 2라고 한다. 이 영향때문에 모든 스포츠에서 콩라인을 상징하는 숫자로 여겨진다. 심지어 여기서도 2등

4.2. 스포츠

  • 농구에서의 득점은 2점슛이 대부분이다. 3점슛은 나오기가 어렵고 1점슛은 자유투로만 얻을 수 있다. 단 3대3 농구는 외곽 득점이 2점이다.
  • 야구에서 한 타자가 친 공으로 아웃카운트 2개를 잡으면 병살타라고 한다.
  • 야구에서 2 스트라이크 이후에 치는 파울은 스트라이크가 되지 않아 삼진아웃되지 않는다. 번트타구의 파울이나 파울 팁은 제외되어 그대로 삼진아웃이다.
  • 골프에서는 홀의 규정타수(파)보다 2타수 많이 쳐서 홀인하면 더블 보기로 +2점을 얻고, 2타수 적게 치면 이글로 -2점을 얻는다. 또한 홀인원은 주로 파3 홀이 거리가 짧다보니 파3 홀에서 자주 나오기 때문에 -2점짜리 홀인원이 가장 많이 나온다.
  • 바둑에서는 집을 지을 때 한 집을 둘로 나눌 수 있으면[12] 산다. 왜냐하면 상대가 지어놓은 집을 먹으려면 외부를 둘러싸고 안의 빈 공간을 채워야 하는데 빈 공간이 둘로 나뉘면 둘을 동시에 채우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이다.[13]
  • 한국 장기에서 졸(卒), 병(兵)의 기물 점수는 2점이다.

4.3. 교육

  • 대학의 평점 C는 2점대로 책정된다.
  • 모의고사, 수능 문제에서 배점 표기가 없는 문제는 전부 2점짜리다. [15]
  • 제2 외국어로 중국어를 선택했다면 二(er)과 两(liang)의 구별때문에 은근히 골 때리는 수로 '이'와 '둘'에 가깝긴 하지만 열두시(十二点)라던가 이천(两千)같은 예외도 많아서. 구분법을 쉽게 말하자면 二(er)은 번호 같은 것들, 两(liang)은 양(量)이나 세는 것에 쓴다고 보면 된다.[16]

4.4. 2개

  • 자석에는 N극과 S극, 2개의 극이 존재한다. 또한 전기장도 (-)극과 (+) 극으로 이루어진다.

4.5. 두 글자

  • 한국 불교에서 스님은 대개 2글자 법명을 받고[17], 재가불자인 남자에게 주는 법명은 대개 2글자다.[18] 여자에게는 주로 3글자 법명을 준다.[19] 다만, 여자도 남자와 같이 2글자 법명을 받는 경우도 있다. 또한 대한불교조계종에서는 두 번까지만 법명을 바꿀 수 있다.
  • 한국어의 약칭은 2글자로 된 것이 많다.

4.6. 2로 끝나는 해

  • 대한민국에서 2로 끝나는 해에 태어난 사람들은 초중고 12년간 3개의 연대를 거치게 된다. [20]
  • 2로 끝나는 해에는 선거가 항상 2번씩 있다. [21]

4.7. 기타

  • 영어권에선 to가 2(Two)와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to가 2로 된 문장을 많이 볼 수 있다.[예시] 한국판 제목이긴 하나 씽2게더도 이를 활용한 것이다.
  • 컴퓨터 등의 매체에서는 주로 2진법으로 번역하여 프로그램을 읽는다. 이 이유는 컴퓨터에 들어가는 메모리가 각 콘덴서(=커패시터)의 ON/OFF 상태로 데이터를 '기억'하기 때문이다. 이는 컴퓨터가 기본적으로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이며, 전기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분류법이 On/Off 인 0과 1이기 때문.[23] 그러므로, 만약 양자컴퓨터가 발명되어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가 등장하면 2진법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렇듯 컴퓨터2진법을 채택한 만큼 2의 거듭제곱도 엄청나게 많이 나온다. 이 때문에 컴퓨터에서 쓰이는 숫자들은 십중팔구 2a나 a2b[24] 꼴로 표현되므로 다른 건 몰라도 2의 거듭제곱은 저절로 외워진다.
  • TOEFLIELTS 라이팅은 달랑 2문제 밖에 없다.
  • 일본의 원작 애니메이션 세계관 달링 인 더 프랑키스 중, 제로투 댄스로 유명한 제로투의 생체 코드가 002이다.
  • 1900년 ~ 1999년까지 태어난 여자의 주민등록번호의 일곱 번째 자리는 2이다. 즉, ○○○○○○ - 2○○○○○○의 형태인 것.
  • 일본 스타더스트 소속의 아이돌 밧텐소녀대의 멤버 세타 사쿠라는 2002년 2월 2일생이며 마이너시절부터 쭉 트윈테일을 고수한다.
  • Yee가 유행했을 당시 숫자 2를 Yee라고 바꿔 표현하기도 했다.
  • 애코와 친구들의 망고의 모티브.(숫자 2 + 고양이) 귀의 모양이 숫자 2이다.
  • FREEDOM DiVE - BPM, 연주 시간, 채보를 보면 2가 무수히 많이 들어간다.

5. 작품 명칭

6. 일련번호가 2인 것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목록#|]][[2/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관련 개념

개별 문서인 것을 모으며, 작품인 것은 위 문단에 정리한다.

8. 관련 문서


[1] 그래서 로그 적분 함수 [math(\displaystyle \mathrm{li}\left(x\right) = \int_0^x \frac{{\rm d}t}{\ln t})]에서 적분범위를 [math([0, x])] 대신 [math([2, x])]로 잡기도 한다.[2] 다른 소수들에 비해서 유별난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the oddest prime이라고도 부른다.[3] 예시: 21=2, 22=4, 23=8, 24=16, 25=32.[4] 0을 포함한 한 자리 수는 모두 대칭수이다.[증명] 거듭제곱, 곱셈, 덧셈의 정의에 따라 [math(2^2 = 2\times2 = 2+2)]이며, 하이퍼 연산에서도 항상 [math(\displaystyle 2\uparrow^{n+1}2 = 2\uparrow^n2)]이다. 따라서 [math(2\uparrow^{n}2)]는 [math(n)]의 값이 어찌하든지 관계없이 항상 2+2=4와 같다.[6] [math(n^{\underline{k}})]는 하강 계승(= 순열)이다.[7] [math(r\geq2)]이면 무조건 성립하며, 0과 1일 때는 양변이 같다.[8] 이원성으로 현현하는 것은 모두 서로 대립되는 쌍을 이룬다.[9] 이는 순간적으로 타락을 뜻한다.[10] 그래서 나무위키 내에서는 보통 가나다순 기재가 원칙임에도 홍진호와 관련되면 위에서 2번째로 기재되어 이 원칙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11] 다만 Wi-Fi 수신률이 저조하고 6.0 마시멜로 업데이트를 받지 못했다는 단점이 있다.[12] 즉, 한 집을 떨어진 두 집으로 만들 수 있으면.[13] 그러나 두 집 중 하나가 옥집일 경우 연결시키지 않으면 살 수 없으며, 두 집을 나누는 포인트에 돌을 놓아(치중) 상대방의 돌을 따낸다.[14] 일부 3년제 커리큘럼으로 운영하는 학과나 4년제와 동일한 과정으로 운영하는 간호학과 제외. 전문대 간호학과 졸업생은 4년제 종합대학 졸업생과 동등한 학사 학위를 받는다.[15] 수학 영역은 모든 문항에 배점 표기가 있다. 제2외국어 영역은 1점, 다른 영역은 3점짜리에만 배점 표기가 있다.[16] 같은 원리(?)로 一(yi)와 一(yao)도 있다. 다만 이건 한자가 같다. yao는 번호에만 쓰이고 나머지는 yi를 쓴다.[17] 물론 무진장 큰스님과 같은 예외가 있다.[18] 성철 스님, 법정 스님, 혜민 스님 등.[19] 박근혜의 불교 법명은 선덕화(善德華)였다.[20] 2012년생 기준 2010년대(2019년), 2020년대, 2030년대(2030년)[21] 2로 끝나는 평년에는 대통령 선거와 지방 선거, 윤년에는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가 있다.[예시] Pay 2 Win은 원래 Pay to Win이나 Pay 2 Win이나 줄임말로 P2W라 불린다.[23] 물론 0/교류/직류 혹은 0V/0.33V/0.66V/1V 등으로 3, 4진법 사용도 가능하다. 실제로 SSD같은 것은 전압 레벨을 4단계/8단계 등으로 나눠 인식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안정성이 떨어져 (특히 고속으로 계산하는 CPU같은 경우, SSD는 데이터 저장장치라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다)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커지며, 3진법이나 4진법은 CPU를 설계할 때(특히 산술 연산) 매우 부적합하다.[24] 여기서 a와 b는 자연수. 특히 a2b 형태는 보글보글 시리즈에서 많이 보인다.[25] '2'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