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395> |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괌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 | | | |
동티모르 | 라오스 | 레바논 | 마카오 | |
| | | |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
| | | |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
| | | | |
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
| | | |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 | | |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인도 | |
| | | | |
인도네시아 | 일본 | 중국 | 카타르 | |
| | | |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 | | |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
| | | ||
필리핀 | 호주 | 홍콩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 아세안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미얀마 | |
| | | |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
| | | |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 호주 | }}}}}}}}} |
| |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 | |
Seleção Timorense de Futebol | |
<colbgcolor=#e2001a><colcolor=#ffed00> 정식명칭 | Seleção Timorense de Futebol[1] |
FIFA 코드 | TLS |
FIFA 랭킹 | 194위 (2025년 9월 18일 기준 / #) |
Elo 랭킹 | 223위 (2025년 9월 8일 기준 / #) |
협회 | 동티모르 축구 연맹 (FFTL) |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지역연맹 | 아세안 축구 연맹 (AFF) |
감독 | |
주장 | 주앙 페드로 다 실바 프레이타스 (João Pedro da Silva Freitas) |
최다출장자 | 앙기시우 바르보사 (Anggisiu Barbosa) - 30경기 |
최다득점자 | 루피노 가마 (Rufino Gama) - 7골 |
홈 구장 | 동티모르 국립경기장 (East Timor National Stadium, 13,000석)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VS |
AFF 챔피언십 | 진출: 4회[2] |
별칭 | O Sol Nascente (떠오르는 태양)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상의 | 빨강 | 하양 |
하의 | 검정 | 하양 |
양말 |
1. 개요
동티모르의 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문서.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146위(2015년 6월 4일), 최저 순위는 206위(2012년 10월 3일)이다.2. 상세
축구 못 하는 동남아시아 내에서도 브루나이와 함께 역대 최약체로 분류되는 팀으로 홈 구장은 동티모르 내셔널 스타디움이지만 FIFA가 규정한 경기장 표준 규격 미달로 인해 현재 월드컵 예선 및 아시안컵 예선 등의 국제 대회 홈 경기를 제3국에서 치르고 있다.대표팀의 별칭은 떠오르는 태양(O Sol Nascente)으로 알려져 있으며 2001년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한 후로부터 아직까지 FIFA 월드컵과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동티모르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한국인 김신환 감독이 이끄는 유스팀은 의외로 상당한 모습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A팀은 동남아에서도 무척 손꼽히는 약체이긴 하지만 꽤 발전된 모습을 보이기도 하며 캄보디아와의 2012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에서 거둔 5-1 대승은 현재까지도 동티모르가 최다 점수차로 승리를 거둔 국제 경기로 남아있다.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2004년 대회 첫 출전 이후 현재까지 4번 출전했지만 4번의 대회에서 모두 4전 전패를 당했으며 통산 성적에서도 16전 전패·9득점/68실점에 이 대회에 참가한 11팀 가운데 꼴찌를 고수하면서 현재까지도 동남아시아 축구 최약체이자 변방의 이미지를 굳히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중동의 강호 사우디아라비아와의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A조 8차전 홈 경기에서는 0-10으로 대패를 당하면서 동티모르 축구 역사상 최다 실점 패배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그리고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당시 브라질, 포르투갈, 앙골라 출신 동티모르 국가대표팀 선수 12명의 출생증명서가 위조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2023년 AFC 아시안컵 출전까지 금지당했다.[3]
대한민국에서는 감독을 모델로 한 '맨발의 꿈'이라는 영화로도 조명되었으며 2011년 전남 강진에서 열린 대한민국과의 강진컵 U-15 유소년 대회에서는 0-2로 패했으나 2018년 AFC U-23 아시안컵 예선에서는 현재 중국 을급 리그의 우시 우고 사령탑을 맡고 있는 김봉길 감독이 당시에 이끌었던 대한민국 U-23 대표팀을 상대로 0-0으로 비기며 선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김신환 감독의 유산 덕분인지 동티모르에서 한국인 축구인들이 그 명맥을 이어갔고 특히 김신환 감독과 대한축구협회 P급 지도자 동기인 박순태 전임 동티모르 A대표팀 감독은 대구대 사령탑 시절 2012년 런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자 현 K리그2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 수비수 황석호를 길러냈으며 이후 U-23 대표팀을 맡아 캄보디아에서 열린 필리핀과의 2023년 동남아시안 게임 A조 조별리그 3차전에서 3-0으로 잡아내며 주목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대만과의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서 1·2차전 합계 0-7로 대패하며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로 밀려난 후 동티모르 대표팀 감독직을 내려놓았으며 이후 칠레 출신의 시몬 엘리세체 감독이 후임 사령탑에 선임되며 7년만에 동티모르 대표팀으로 복귀했다.그리고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직전 아시안컵 최종 예선 진출팀인 몽골을 상대로 1차전 중립 홈 경기에서 4-1 대승을 거둔 뒤 2차전 원정 경기에서는 0-2로 패했지만 1·2차전 합산 4-3의 승리를 거두며 동티모르 축구 역사상 첫 아시안컵 최종 예선 진출의 쾌거를 이뤄냈다.
현재 동티모르 대표팀의 유니폼 스폰서는 narrow이며 옛날에는 나이키가 동티모르 대표팀 축구화 스폰서를 맡았던 적도 있었다.
현재 동티모르 국대에는 현재 자국 리그인 LFA 프리메이라 디비장 소속 선수들은 물론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 잉글랜드 서던 풋볼 리그, 호주 퀸즐랜드 프리미어 풋볼 리그, 호주 빅토리아 프리미어 리그, 호주 내셔널 프리미어 리그 뉴사우스웨일스, 캄보디아 프리미어 리그, 인도네시아 리가 2 등에서 뛰고 있는 해외파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한 때 리가 포르투갈 2에서 활동했던 선수들도 있었다.
그리고 동티모르는 공용어가 포르투갈어이며 포르투갈과 국가적으로 우호적 관계를 맺고 있기에 포르투갈 축구 리그에 적응하기 쉬운 동티모르 출신 선수들이 포르투갈 하부 리그로 종종 스카우트되곤 하는데 이를 축구 팬들이 동티모르 특별 전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AFC 소속 국가대표팀 중 부탄 대표팀과 더불어 대한민국과는 단 한번도 만난 적이 없는 단 둘 뿐인 국가대표팀이기도 하지만 연령별 대회 혹은 연령별 대회 예선에서는 대한민국과 대결한 적이 있으며(U-23, U-20, U-14) U-23 대표팀간의 경기에서는 한 차례 0-0 무승부만 기록했을 뿐 나머지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을 상대로 한 골도 넣지 못한 채 전패했다.
3. 역대전적
3.1. FIFA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포르투갈령 티모르 | ||||||||||
1930 우루과이 | 독립 이전 (포르투갈령 티모르) | |||||||||
1934 이탈리아 | ||||||||||
1938 프랑스 | ||||||||||
1950 브라질 | ||||||||||
1954 스위스 | ||||||||||
1958 스웨덴 | ||||||||||
1962 칠레 | ||||||||||
1966 잉글랜드 | ||||||||||
1970 멕시코 | ||||||||||
1974 서독 | ||||||||||
※ 인도네시아 점령기 | ||||||||||
1978 아르헨티나 | 독립 이전 (티모르티무르 주) | |||||||||
1982 스페인 | ||||||||||
1986 멕시코 | ||||||||||
1990 이탈리아 | ||||||||||
1994 미국 | ||||||||||
1998 프랑스 | ||||||||||
※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 | ||||||||||
2002 한일 |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2006 독일 | 불참 | |||||||||
2010 남아공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14 브라질 | ||||||||||
2018 러시아 | 예선 도중 실격 | |||||||||
2022 카타르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본선 진출 실패[48개국] | |||||||||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 | ? | ? | ? | ? | |
2034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사상 처음으로 나온 2010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서 홍콩에 1·2차전 합계 3-11로 대패하며 탈락했고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서도 네팔에 1·2차전 합계 1-7로 대패하며 탈락했다.
그리고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서 몽골을 상대로 1·2차전 합계 5-1로 꺾고 사상 처음으로 2차 예선에서 합류한 뒤 말레이시아 원정과 팔레스타인과의 홈경기에서 1-1로 비겨 2차예선에서 승점 2점을 땄으나 브라질 출신 선수 12명의 출생증명서를 위조해 국가대표 자격을 조작한 것이 발각됨에 따라 문제가 된 2015년 6월 11일 경기부터 10월 13일까지의 5경기가 몰수처리되었으며 이후 3경기에서도 전패를 당하면서 결국 8전 전패의 처참한 성적으로 2차 예선을 마감했다.
그리고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서는 다시 1차 예선부터 시작하여 지난 2차 예선에서 같은 조였던 말레이시아를 만나 무늬만 홈 & 어웨이일 뿐 사실상의 원정 2경기에서 합계 2-12로 대패를 당하며 일찌깜치 탈락했다.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서도 대만을 상대로 0-7로 대패하며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로 밀려났다.
3.2. AFC 아시안컵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포르투갈령 티모르 | |||||||||
1956 홍콩 | 독립 이전 (포르투갈령 티모르) | ||||||||
1960 대한민국 | |||||||||
1964 이스라엘 | |||||||||
1968 이란 | |||||||||
1972 태국 | |||||||||
※ 인도네시아 점령기 | |||||||||
1976 이란 | 독립 이전 (티모르티무르 주) | ||||||||
1980 쿠웨이트 | |||||||||
1984 싱가포르 | |||||||||
1988 카타르 | |||||||||
1992 일본 | |||||||||
1996 UAE | |||||||||
※ 유엔 동티모르 임시행정부 | |||||||||
2000 레바논 | 독립 이전 | ||||||||
※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 | |||||||||
2004 중국 | 예선 탈락 | ||||||||
2007 아세안 | 불참 | ||||||||
2011 카타르 | |||||||||
2015 호주 | |||||||||
2019 UAE | 예선 탈락 | ||||||||
2023 카타르 | 출전 금지[7] | ||||||||
2027 사우디 | 예선 탈락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통해 독립 이후 사상 첫 국제 대회 무대에 나섰으나 스리랑카에게 2-3, 대만에게 0-3으로 패하며 탈락했고 이후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몽골을 1·2차전 합산 4-3으로 꺾고 사상 첫 아시안컵 최종 예선 진출의 기적을 만들었다.
3.3.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싱가포르 1996 | 독립 이전(인도네시아의 지배) | ||||||||
베트남 1998 | |||||||||
태국 2000 | |||||||||
인도네시아&싱가포르 2002 | 불참 | ||||||||
<rowcolor=#373a3c> 말레이시아&베트남 2004 | 조별리그 | 9위 | 0 | 4 | 0 | 0 | 4 | 2 | 18 |
싱가포르&태국 2007 | 예선 탈락 | ||||||||
인도네시아&태국 2008 | |||||||||
인도네시아&베트남 2010 | |||||||||
말레이시아&태국 2012 | |||||||||
싱가포르&베트남 2014 | |||||||||
미얀마&필리핀 2016 | |||||||||
<rowcolor=#373a3c> 홈&어웨이 2018 | 조별리그 | 10위 | 0 | 4 | 0 | 0 | 4 | 4 | 19 |
<rowcolor=#373a3c> 싱가포르 2020 | 조별리그 | 10위 | 0 | 4 | 0 | 0 | 4 | 0 | 13 |
홈&어웨이 2022 | 예선 탈락 | ||||||||
<rowcolor=#373a3c> 홈&어웨이 2024 | 조별리그 | 10위 | 0 | 4 | 0 | 0 | 4 | 3 | 18 |
합계 | 본선진출 4회[8] | 16 | 0 | 0 | 0 | 16 | 9 | 68 |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는 2004년 대회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4번 참가했지만 4번의 대회에서 모두 4전 전패를 기록했고 통산 성적에서도 16전 전패·참가 11팀 가운데 꼴찌를 고수하며 아시아 전체는 물론 동남아시아 내에서도 여전히 축구 변방에 머무르고 있다. 다만 U-23 대표팀의 경우 아직도 단 1승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성인대표팀과는 반대로 2022년 아세안 U-23 챔피언십에서 4강에 오르는 성과를 거두었고 과거 2011년 동남아시안 게임에서는 비록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브루나이와 필리핀을 잡아내는 저력을 발휘했다.
4. 연령별 대표팀
4.1. U-23 대표팀
4.1.1. AFC U-23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U-23 챔피언십 대회 | |||||||||||
2014 오만 | 예선 탈락 | ||||||||||
2016 카타르 | |||||||||||
2018 중국 | |||||||||||
2020 태국 | |||||||||||
AFC U-23 아시안컵 [9] | |||||||||||
2022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2024 카타르 | |||||||||||
2026 사우디아라비아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2. U-20 대표팀
4.2.1. AFC U-20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59 말레이시아 | 독립 이전(포르투갈의 일부) | ||||||||||
1960 말레이시아 | |||||||||||
1961 태국 | |||||||||||
1962 태국 | |||||||||||
1963 말레이시아 | |||||||||||
1964 남베트남 | |||||||||||
1965 일본 | |||||||||||
1966 필리핀 | |||||||||||
1967 태국 | |||||||||||
1968 대한민국 | |||||||||||
1969 태국 | |||||||||||
1970 필리핀 | |||||||||||
1971 일본 | |||||||||||
1972 태국 | |||||||||||
1973 이란 | |||||||||||
1974 태국 | |||||||||||
1975 쿠웨이트 | |||||||||||
1976 태국 | 독립 이전(티모르티무르 주) | ||||||||||
1977 이란 | |||||||||||
1978 방글라데시 | |||||||||||
1980 태국 | |||||||||||
1982 태국 | |||||||||||
1985 UAE | |||||||||||
1986 사우디 | |||||||||||
1988 카타르 | |||||||||||
1990 인도네시아 | |||||||||||
1992 UAE | |||||||||||
1994 인도네시아 | |||||||||||
1996 대한민국 | |||||||||||
1998 태국 | |||||||||||
2000 이란 | |||||||||||
2002 카타르 | |||||||||||
2004 말레이시아 | 비회원국 | ||||||||||
2006 인도 | 불참 | ||||||||||
AFC U-19 챔피언십 대회 | |||||||||||
2008 사우디[10] | 실격 | ||||||||||
2010 중국 | 불참 | ||||||||||
2012 UAE | |||||||||||
2014 미얀마 | |||||||||||
2016 바레인 | 예선 탈락 | ||||||||||
2018 인도네시아 | |||||||||||
AFC U-20 아시안컵 | |||||||||||
2023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2025 중국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3. U-17 대표팀
4.3.1. AFC U-17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U-16 Championship | |||||||||||
1985 카타르 | 독립 이전(티모르티무르 주) | ||||||||||
1986 카타르 | |||||||||||
1988 태국 | |||||||||||
1990 아랍에미리트 | |||||||||||
1992 사우디아라비아 | |||||||||||
1994 카타르 | |||||||||||
1996 태국 | |||||||||||
1998 카타르 | |||||||||||
2000 베트남 | |||||||||||
AFC U-17 Championship | |||||||||||
2002 아랍에미리트 | 독립 이전(티모르티무르 주) | ||||||||||
2004 일본 | 기권 | ||||||||||
2006 싱가포르 | 불참 | ||||||||||
AFC U-16 Championship | |||||||||||
2008 우즈베키스탄 | 기권 | ||||||||||
2010 우즈베키스탄 | 조별리그 | 16위 | 0 | 3 | 0 | 0 | 3 | 1 | 9 | ||
2012 이란 | 예선 탈락 | ||||||||||
2014 태국 | 불참 | ||||||||||
2016 인도 | 예선 탈락 | ||||||||||
2018 말레이시아 | |||||||||||
AFC U-17 아시안컵 | |||||||||||
2023 태국 | 기권 | ||||||||||
2025 사우디 | 불참 | ||||||||||
2026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2027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2028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2029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1회 / 조별리그 (1회) | 0 | 3 | 0 | 0 | 3 | 1 | 9 |
5. 국가별 전적
5.1. 대한민국과 전적
<rowcolor=#ffffff> | |||||||
<rowcolor=#ffffff>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최다 득점자 |
A매치 전적 없음 | |||||||
| |||||||
3 | 2 | 1 | 0 | 9 | 0 | +9 | 박정인(3) |
| |||||||
1 | 1 | 0 | 0 | 4 | 0 | +4 | 조영욱(2) |
[1] 포르투갈어[2] 2004, 2018, 2020, 2024[3] 여기에는 K리그에 활약했던 선수들이 일부 있어서 더욱 충격이 되고 있다. 2014년 대전 하나 시티즌(당시 대전 시티즌)과 강원 FC에서 짧게나마 몸 담았던 지오구 산투스 한제우(Diogo Santos Rangel), 2017년 대구 FC에서 활동했던 호드리구 소자 시우바(Rodrigo Souza Silva) 등이 있는데 호드리고의 경우는 이 사건을 계기로 대구와 계약이 강제 해지되기도 하였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48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7] 국대 선수 일부가 국적 위조를 한 것이 적발되어 AFC 측에게 동티모르 국적 박탈 및 동티모르 축구 국대의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의 출전을 금지당했다.[8] 최고순위 9위(2004 말레이시아&베트남)[9] 2028 대회 부터는 4년 주기로 변경 (올림픽 예선)[10] 이 대회부터 3.4위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