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rowcolor=#fffff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 1956 홍콩 | 1960 대한민국 | 1964 이스라엘 | 1968 이란 | 1972 태국 | |
| <rowcolor=#fffff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 1976 이란 | 1980 쿠웨이트 | 1984 싱가포르 | 1988 카타르 | 1992 일본 | |
| <rowcolor=#fffff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 1996 아랍에미리트 | 2000 레바논 | 2004 중국[1] | 2007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 2011 카타르 | |
| <rowcolor=#ffffff>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 2015 호주 | 2019 아랍에미리트[2] | 2023 카타르[3] | 2027 사우디아라비아 | 2031 미정 | |
| [1] 본선 진출 16개국 [2] 본선 진출 24개국 [3] 2024년 개최 | |||||
| 같이 보기: 역대 UEFA 유로, 역대 AFC 아시안컵, 역대 코파 아메리카, 역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CONCACAF 골드컵, 역대 OFC 네이션스컵 | }}}}}}}}} | ||||
|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개최일까지 |
| D[dday(2027-01-07)] |
|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2027[1] | ||
| AFC Asian Cup Saudi Arabia 2027™ كأس آسيا 2027 | ||
| <nopad> | ||
| 대회 기간 | 2027년 1월 7일 ~ 2027년 2월 5일 | |
| 개최국 | | |
| 슬로건 | ||
| 마스코트 | ||
| 공인구 | ||
| 본선 진출팀 | 24개팀 | |
| 대회 결과 | ||
| 우승 | ||
| 준우승 | ||
| 수상 | ||
| MVP | ||
| 득점왕 | ||
| 골든글러브 | ||
| 페어플레이상 | ||
| 이전·이후 대회 | ||
| 2023년 카타르 | <colcolor=#ffffff> 2027년 사우디아라비아 | 2031년 미정 |
1. 개요
AFC 아시안컵의 19번째 대회이자 사우디아라비아가 개최하는 첫 아시안컵이다.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에 이어 3회 연속 서아시아에서 개최하는 대회이다.2. 유치 과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유치 과정#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유치 과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TV 오프닝
4. 엠블럼
5. 마스코트
6. 주제가
7. 경기장
|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경기장 | |||
| 리야드 | |||
| 킹 파드 스포츠 시티 (70,200명) | 리야드 킹덤 아레나 (27,000명) | 킹 사우드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25,000명) | 이맘 무함마드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21,000명) |
| 리야드 | 제다 | 코바르 | |
| 알 샤바브 스타디움 (15,000명)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62,345명) |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살 스포츠 시티 (27,000명) | 아람코 스타디움 (46,096명) |
8. 규정
참가팀은 24개 팀으로, 개최국 사우디아라비아에게만 자동 출전권이 부여된다.이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직전 월드컵 예선인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예선과 연계되어 예선이 진행된다. 따라서 2026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통과국 18개국이 2027 아시안컵 본선 진출권도 확보하고, 나머지 팀들이 진행하는 아시안컵 자체 예선에서 추가 6개[2] 팀이 마지막으로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다.
9. 예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예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예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대회 전
10.1. 본선 진출팀
| 국가명 | 진출 자격 | 진출 자격 획득일 | 진출횟수 | 최근 출전 | 최고성적 | FIFA 랭킹[3] | |
| | 사우디아라비아 | 개최국 | 2023년 2월 1일 | 12회 | 2023 | <colcolor=#000> 우승 [KSA] | |
| | 카타르 | 2차예선 A조 1위 | 2024년 3월 26일 | 12회 | 2023 | 우승 [QAT] | |
| | 일본 | 2차예선 B조 1위 | 2024년 3월 24일 | 11회 | 2023 | 우승 [JPN] | |
| | 대한민국 | 2차예선 C조 1위 | 2024년 6월 6일 | 16회 | 2023 | 우승 [KOR] | |
| | 오만 | 2차예선 D조 1위 | 2024년 6월 6일 | 6회 | 2023 | 16강 [OMA] | |
| | 이란 | 2차예선 E조 1위 | 2024년 3월 26일 | 16회 | 2023 | 우승 [IRN] | |
| | 이라크 | 2차예선 F조 1위 | 2024년 3월 26일 | 11회 | 2023 | 우승 [IRQ] | |
| | 요르단 | 2차예선 G조 1위 | 2024년 6월 6일 | 6회 | 2023 | 준우승 [JOR] | |
| | 아랍에미리트 | 2차예선 H조 1위 | 2024년 3월 26일 | 12회 | 2023 | 준우승 [UAE] | |
| | 호주 | 2차예선 I조 1위 | 2024년 3월 26일 | 6회 | 2023 | 우승 [AUS] | |
| | 쿠웨이트 | 2차예선 A조 2위 | 2024년 6월 12일 | 11회 | 2015 | 우승 [KUW] | |
| | 북한 | 2차예선 B조 2위 | 2024년 6월 11일 | 6회 | 2019 | 4위 [PRK] | |
| | 중국 | 2차예선 C조 2위 | 2024년 6월 11일 | 14회 | 2023 | 준우승 [CHN] | |
| | 키르기스스탄 | 2차예선 D조 2위 | 2024년 6월 12일 | 3회 | 2023 | 16강 [KGZ] | |
| | 우즈베키스탄 | 2차예선 E조 2위 | 2024년 3월 26일 | 9회 | 2023 | 4위 [UZB] | |
| | 인도네시아 | 2차예선 F조 2위 | 2024년 6월 11일 | 6회 | 2023 | 16강 [IDN] | |
| | 바레인 | 2차예선 H조 2위 | 2024년 6월 6일 | 8회 | 2023 | 4위 [BHR] | |
| | 팔레스타인 | 2차예선 I조 2위 | 2024년 6월 6일 | 4회 | 2023 | 16강 [PLE] | |
| | 축구 국가대표팀 | 3차예선 A조 1위 | 년 월 일 | 회 | |||
| | 축구 국가대표팀 | 3차예선 B조 1위 | 년 월 일 | 회 | |||
| | 싱가포르 | 3차예선 C조 1위 | 2025년 11월 18일 | 2회 | 1984 | 조별리그[SGP] | |
| | 축구 국가대표팀 | 3차예선 D조 1위 | 년 월 일 | 회 | |||
| | 시리아 | 3차예선 E조 1위 | 2025년 10월 14일 | 8회 | 2023 | 16강 [SYR] | |
| | 축구 국가대표팀 | 3차예선 F조 1위 | 년 월 일 | 회 | |||
| 지역별 진출 현황 | ||||
| 서아시아(WAFF) | 중앙아시아(CAFA) | 남아시아(SAFF) | 동남아시아(AFF) | 동아시아(EAFF) |
| 10팀[24] | 3개팀[25] | 0개팀 | 3개팀[26] | 4개팀[27] |
10.2. 조 추첨
대회 시기로 보아 2026년 5월 경에 할 것으로 추정된다.10.2.1. 포트 배정
| <rowcolor=#fff> 1포트 | 2포트 | 3포트 | 4포트 |
| 사우디아라비아 - 위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대표팀 - 위 |
10.2.2. 조 편성표
| <rowcolor=#fff>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 사우디아라비아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대표팀 |
11. 본선
11.1. 조별리그
- 2027년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A조
- 2027년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B조
- 2027년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C조
- 2027년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D조
- 2027년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E조
- 2027년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F조
| <rowcolor=#fff> 조 | 1등 (토너먼트 진출) | 2등 (토너먼트 진출) | 3등 (상위 4팀 토너먼트 진출) | 4등 (탈락) |
| <colbgcolor=#238e4c> A조 | 사우디아라비아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 B조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 C조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 D조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 E조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 F조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대표팀 (-승 -패 / -점) |
11.2. 결선 토너먼트 대진표
- 【3위 진출 조합에 따른 16강 대진표 (눌러서 펼치기 · 접기)】
- || 조 3위 추가 진출 || A1 상대 || B1 상대 || C1 상대 || D1 상대 ||
A B C D C3 D3 A3 B3 A B C E C3 A3 B3 E3 A B C F C3 A3 B3 F3 A B D E D3 A3 B3 E3 A B D F D3 A3 B3 F3 A B E F E3 A3 B3 F3 A C D E C3 D3 A3 E3 A C D F C3 D3 A3 F3 A C E F C3 A3 F3 E3 A D E F D3 A3 F3 E3 B C D E C3 D3 B3 E3 B C D F C3 D3 B3 F3 B C E F E3 C3 B3 F3 B D E F E3 D3 B3 F3 C D E F C3 D3 F3 E3
11.3. 토너먼트
대진표는 다음과 같이 작성된다. A조~F조 1위 팀들은 조 3위 추가 진출 팀이 어느 팀이 되느냐에 따라 상대가 바뀔 수 있다.- 2027년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16강
- 2027년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8강
- 2027년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4강
- 2027년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결승
| <rowcolor=#fff> 대진표 | 대진표 | 대진표 | 대진표 | ||||
| A | 16강 1경기 A조 2위 VS C조 2위 | I | 8강 1경기 A승자 VS B승자 | M | 4강 1경기 I승자 VS J승자 | O | 결승 M승자 VS N승자 |
| B | 16강 2경기 D조 1위 VS B/E/F조 3위 | ||||||
| C | 16강 3경기 B조 1위 VS A/C/D조 3위 | J | 8강 2경기 C승자 VS D승자 | ||||
| D | 16강 4경기 F조 1위 VS E조 2위 | ||||||
| E | 16강 5경기 C조 1위 VS A/B/F조 3위 | K | 8강 3경기 E승자 VS F승자 | N | 4강 2경기 K승자 VS L승자 | ||
| F | 16강 6경기 E조 1위 VS D조 2위 | ||||||
| G | 16강 7경기 A조 1위 VS C/D/E조 3위 | L | 8강 4경기 G승자 VS H승자 | ||||
| H | 16강 8경기 B조 2위 VS F조 2위 | ||||||
12. 우승
|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우승 |
| |
| 국가 |
| #번째 우승 |
13. 최종 순위
| 최종 순위 | ||||||||||
| <rowcolor=#ffffff>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 7 | ? | 우승 | ||||||
| 2 | | 7 | ? | 준우승 | ||||||
| 3 | | 6 | ? | 4강 | ||||||
| 4 | | 6 | ? | |||||||
| 5 | | 5 | ? | 8강 | ||||||
| 6 | | 5 | ? | |||||||
| 7 | | 5 | ? | |||||||
| 8 | | 5 | ? | |||||||
| 9 | | 4 | ? | 16강 | ||||||
| 10 | | 4 | ? | |||||||
| 11 | | 4 | ? | |||||||
| 12 | | 4 | ? | |||||||
| 13 | | 4 | ? | |||||||
| 14 | | 4 | ? | |||||||
| 15 | | 4 | ? | |||||||
| 16 | | 4 | ? | |||||||
| 17 | | 3 | ? | 1라운드 | ||||||
| 18 | | 3 | ? | |||||||
| 19 | | 3 | ? | |||||||
| 20 | | 3 | ? | |||||||
| 21 | | 3 | ? | |||||||
| 22 | | 3 | ? | |||||||
| 23 | | 3 | ? | |||||||
| 24 | | 3 | ? | |||||||
14. 기록
15. 중계
이미 아시아 축구 연맹과의 독점 계약을 체결한 쿠팡플레이가 지난 대회에 이어 중계방송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TV 중계는 재판매를 통해 2015년 호주 대회 이후로 12년 만에 다시 지상파 3사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16. 평가
16.1. 대회 전
16.1.1. 국가별 상황
16.2. 대회 후
16.2.1. 대회
16.2.2. 국가별 리뷰
17. 스폰서십
17.1. 공식 스폰서
17.2. 공식 서포터
18. 여담
- 이번 대회 개최국 사우디아라비아는 2034 FIFA 월드컵까지 단독으로 개최를 확정지으면서 대륙컵-월드컵을 연달아 개최하게 되었다.[28][29]
- 역대 아시안컵에서 3회 우승과 5회 연속 결승 진출이란 걸출한 족적을 남긴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전까지 단 한 번도 아시안컵을 개최한 적이 없었다.[30] 명분과 자금력에서 부족함이 전혀 없던 걸 생각하면 상당히 의외인 셈.
- 직전 대회에서도 끝내 우승에 실패한 대한민국과 이란은 이 대회에서 다시 우승을 노리게 되었는데, 특히 대한민국은 무려 67년 만에 우승에 도전하고[31] 이란은 51년 만에 우승에 도전하게 된다.[32] 또한 현 기준으로 한국 대표팀의 평균 연령이 높아진 상황이라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이후 오랜 기간 자리를 꿰찼던 베테랑들이 대거 국가대표에서 물러나고 2023년 이후 주전 자리를 꿰찬 신예들이 대거 포함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 대회 시점에서 34세로 노장이 될 현 대표팀 주장 손흥민이 본인의 국가대표 찐 라스트 대회로 출전할지도 큰 관심사다.[33][34]
- 예상대로 중동 지역의 기후 여건으로 인해 이번 대회도 1월에 대회가 개최된다. 직접 대회인 카타르 아시안컵과 비슷하게 유럽파 선수가 많은 국가는 유럽 축구 리그가 한창 진행되는 중에 차출되는 부분에 대한 불만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유럽파가 많은 일본의 경우 선수들이 아시안컵 차출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는데, 아시안컵 종료 후 복귀했더니 기존에 입지가 좋았던 선수들도 컨디션 조절에 어려움을 겪거나 겨울 이적 시장이 같이 열리기 때문에 복귀하고 나니 새로 영입된 선수에게 주전을 내주게 되는 걱정을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35]
- 대한민국의 마지막 아시안컵 우승은 1960년 아시안컵이고 해당 우승 멤버 18인 중 2019년 기준 이은성과 김선휘, 박경화 3명이 생존해 있었다. # 그러다가 4년 뒤인 2023년 박경화도 고인이 되면서 # 2025년 기준 대한민국의 마지막 아시안컵 우승 당시 생존자는 이은성과 김선휘 단 2명뿐인데, 만일 이 2명이 대한민국의 아시안컵 우승을 다시 볼 수 있을지도 하나의 포인트다.
19. 둘러보기
| 세계 축구 대륙별 최상위 남성 대회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df>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 남미 축구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 ||||||
| 최상위 대회 | | | | | | | |||||||
| 최근 대회 | 2023 AFC 아시안컵 2024년 1월 12일 ~ 2월 10일 | UEFA 유로 2024 2024년 6월 14일 ~ 7월 14일 |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24년 1월 13일 ~ 2월 11일 | 2024 코파 아메리카 2024년 6월 20일 ~ 7월 14일 | 2025 CONCACAF 골드컵 2025년 6월 15일 ~ 7월 7일 | 2024 OFC 네이션스컵 2024년 6월 15일 ~ 6월 30일 | |||||||
| 차기 대회 | 2027 AFC 아시안컵 | UEFA 유로 2028 |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미정 | 미정 | 미정 | |||||||
| 역대 대륙별 최상위 남성 대회: AFC 아시안컵, UEFA 유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파 아메리카, CONCACAF 골드컵, OFC 네이션스컵, FIFA 월드컵 | |||||||||||||
| 아시아 축구 지역 연맹별 최상위 남성 대회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df> 연맹 | 아랍 축구 연맹 | 아랍 걸프컵 축구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 |||||||||||||
| 서아시아 축구 연맹 |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 | 남아시아 축구 연맹 | 아세안 축구 연맹 | 동아시아 축구 연맹 | 아시아 | ||||||||||||
| 최근 대회 | 2021 FIFA 아랍컵 카타르 | 제26회 아라비안 걸프컵 쿠웨이트 | 2026년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2025 CAFA 네이션스컵 | 2026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2024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 |||||||||
| 차기 대회 | 2025 FIFA 아랍컵 카타르 | 제27회 아라비안 걸프컵 사우디아라비아 | 미정 | 미정 | 미정 | 2026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2028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2027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 |||||||||
[1] AFC가 사용하는 공식 대회 명칭은 "AFC Asian Cup Saudi Arabia 2027™"이다. # "2027 AFC Asian Cup Saudi Arabia"와 같은 명칭은 사용되지 않는다.[2] 당초 5개 팀이지만, 개최국 사우디아라비아가 2026 월드컵 2차 예선을 확보했기 때문에 출전권이 중복되어 1장 더 이양되었다.[3] 2027년 ?월 FIFA 랭킹[KSA] 1984, 1988, 1996[QAT] 2019, 2023[JPN] 1992, 2000, 2004, 2011[KOR] 1956, 1960[OMA] 2019[IRN] 1968, 1972, 1976[IRQ] 2007[JOR] 2023[UAE] 1996[AUS] 2015[KUW] 1980[PRK] 1980[CHN] 1984, 2004[KGZ] 2019[UZB] 2011[IDN] 2023[BHR] 2004[PLE] 2023[SGP] 1984[SYR] 2023[24] 카타르, 오만, 이라크, 요르단,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팔레스타인, 시리아[25] 이란,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26] 호주, 인도네시아, 싱가포르[27] 대한민국, 북한, 일본, 중국[28] 참고로 같은 중동 국가인 카타르와 비슷한데, 카타르도 이전 2022 월드컵에 이어 2023 아시안컵까지 연달아 개최했다.[29] 다만 차이점은 카타르는 월드컵을 먼저 개최하였고 1년 뒤 바로 아시안컵을 연달아 개최하였지만, 사우디아라비아는 반대로 아시안컵을 먼저 개최하고 7년 뒤 월드컵을 개최한다.[30] 사우디아라비아 이외에 아시안컵에서 2회 이상 우승한 일본, 이란, 대한민국, 카타르는 모두 최소 한 번씩 개최국으로서의 이점을 누리며 우승한 적이 있다. 특히 이란은 3회 연속 우승 중에서 두 번이나 개최국이었다.[31] 만일 이번 대회에서도 우승하지 못한다면 차기 대회인 2031 아시안컵에서 71년 만에 다시 우승에 도전하게 된다.[32] 그래서 이 두 나라 중 어디가 먼저 아시안컵 우승을 하냐는 떡밥들도 상당히 많을 것으로 보이며, 게다가 사실상 양국 팬 모두 "과연 내가 죽기 전에 아시안컵을 우승하는 것을 보고 죽을 수 있을까?" 하는 떡밥들도 상당히 많을 것이다.[33] 사실 손흥민 입장에서는 본 대회가 마지막 아시안컵, 더 나아가 국가대표에서 물러나기 직전에 참가하는 마지막 메이저 대회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손흥민과 같은 아시아의 프로축구 선수가 국가대표로써 참가할 수 있는 메이저 대회의 경우, 본 대회의 페막일 기준으로 약 3년 뒤에 열리는 2030 FIFA 월드컵과 해당 월드컵의 폐막일로부터 약 6개월 뒤에 열리는 2031 AFC 아시안컵이다. 1992년 7월 8일 출생자인 손흥민은 2030년과 2031년까지 두 대회의 개막일 기준으로 각각 만 37세 11개월과 약 38세 5개월이다. 이는 30대 중후반부터 본격적인 은퇴를 시작하는 프로축구 선수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해당 시점에서 손흥민은 대표팀 은퇴가 문제가 아니라 이미 선수 경력 자체를 끝낸다는 결정을 해도 당연한 상황이다. 또한 손흥민은 30대에 접어든 이후에도 여전히 클럽과 대표팀 양쪽에서 건재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나이 문제 등으로 인하여 전성기에는 못 미치고 있는데다 잦아지고 있는 중대한 부상 문제와 그가 추구하고 있는 플레이 스타일의 특성상 급격한 기량 저하라는 우려를 항상 품고 있다. 물론 손흥민 정도의 실력을 보여주는 선수가 1~2년 안에 갑작스럽게 폼이 저하될 가능성은 크지 않으나, 반대로 30대에 중반에 접어들고 있는 선수가 30대 후반이 되었을 때도 당시의 폼을 유지할 가능성도 낮다. 거기다 손흥민이 속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운영을 담당하는 대한축구협회는 막장 운영으로 유명한데다 2023년 1월 말에 협회에서 파울루 벤투의 후임 감독으로 선임한 위르겐 클린스만 체제 이후에는 모든 측면에서 밑도 끝도 없는 내리막을 걷고 있으며, 정몽규를 필두로 한 축협 수뇌부의 무능에도 불구하고 그를 대체할 수 있는 큰손의 부재와 초저출산 현상으로 인한 선수 수급 문제 등으로 인해 반등할 가능성도 거의 없다. 이러한 상황을 대표팀에서 10년 넘게 뛰어온 데다 수 년째 주장을 맡고 있는 손흥민이 모를 리 없다. 따라서 국가대표로 뛸 동안 이룰 수 있는 것들은 대부분 이룬 손흥민이 대표팀을 떠날 수 있는 적기는 (극적인 반등이 없을 경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맞이할 기약 없는 쇠락이 본격화되지 않은 2026 FIFA 월드컵이나 2027 AFC 아시안컵 종료일 이후 뿐이다.[34] 비단 손흥민 뿐 아니라,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의 중흥기인 2018년 6월 27일부터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 뛴 선수들 가운데 고참급에 해당되는 이재성, 김승규, 조현우, 김영권, 정우영(이 두 명은 2024년 10월 이후로 대표팀에 뽑힌 적이 없으나, 공식적으로 은퇴하지 않았기 때문에 2027 아시안컵 이전에 재발탁될 여지가 있다. 실제로 2023 아시안컵 본선에서 장기 부상을 당한 김승규 역시 세간의 예상을 깨고 국대로 돌아온 전례가 있다.) 역시 해당 대회가 마지막 아시안컵, 더 나아가 마지막 정규 대회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여기서 제일 어린 이재성조차 1992년생인데다 나머지 4명 역시 1989년~1991년 출생자인 만큼 2027 아시안컵이 끝나면 나이 문제로 인하여 차기 월드컵이나 아시안컵에 출전하는 것은 무리이기 때문. 따라서 2027 아시안컵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고참들의 진정한 라스트 댄스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만큼 국대를 떠날 이들을 대체할 신예 선수들을 발굴해서 수급해야만 하는 과제가 생기게 되었다.[35] 2011년 대회부터 5회 연속으로 1월에 열리고 있어서 아예 대회가 열리는 시기가 1월로 고정되어있는 걸로 알고 있는 팬들이 많은데, 아시안컵은 개최국에 따라 대회가 열리는 시기가 계속 변경된다. 주로 서아시아 지역이나 호주에서 개최될 경우 1월 개최로(그나마 호주는 남반구 국가라서 서아시아와 달리 1월이 여름이긴 하나 아시아 국가들의 여름 기후에 비하면 그나마 낫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개최될 경우 6~7월 개최로 열린다. 2007년 ASEAN 4개국 연합으로 공동 개최를 했을 당시엔 6~7월에 대회가 진행되었지만 당시 동남아시아의 여름 더위에 많은 선수들이 힘들어했던 사례가 있다. 때문에 훗날 동남아시아 쪽에서 개최가 될 경우엔 개최 시기가 조정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