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문서에서 지칭하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도심공항터미널}}}에 대한 내용은 [[한국도심공항 코엑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한국도심공항 코엑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한국도심공항 코엑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이 문서에서 지칭하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공항버스터미널}}}에 대한 내용은 [[한국도심공항 수락터미널]]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한국도심공항 수락터미널#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한국도심공항 수락터미널#|]]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문서에서 지칭하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도심공항터미널: }}}[[한국도심공항 코엑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한국도심공항 코엑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한국도심공항 코엑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이 문서에서 지칭하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공항버스터미널: }}}[[한국도심공항 수락터미널]]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한국도심공항 수락터미널#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한국도심공항 수락터미널#|]]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colcolor=#ffffff> 한국도심공항 주식회사 韓國都心空港 株式會社 City Airport, Logis & Travel, KOREA | |
| |
<colbgcolor=#165096> 설립일 | 2017년 1월 1일 |
업종 | 항공 운송지원 서비스업 |
대표자 | 김고현 |
주요 주주 | 한국도심공항자산관리: 100% (2022년 12월 31일 기준) |
기업 분류 | 중소기업 |
상장 여부 | 비상장 기업 |
직원 수 | 146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자본금 | 20억원(2022년 기준) |
매출액 | 연결: 356억 3,029만 4,862원(2022년 기준) 별도: 308억 7,495만 3,695원(2022년 기준) |
영업 이익 | 연결: 18억 7,471만 2,086원(2022년 기준) 별도: 6억 1,467만 6,052원(2022년 기준) |
순이익 | 연결: 29억 678만 6,481원(2022년 기준) 별도: 26억 37만 2,376원(2022년 기준) |
자산 총액 | 연결: 1,194억 9,486만 2,029원(2022년 기준) 별도: 1,107억 4,227만 9,905원(2022년 기준) |
부채 총액 | 연결: 272억 8,485만 8,875원(2022년 기준) 별도: 212억 585만 4,846원(2022년 기준) |
부채 비율 | 연결: 29.59%(2022년 기준) 별도: 23.68%(2022년 기준) |
자회사 | 칼트로지스&SKU |
| |
비전 | 고유목적사업인 도심공항 활성화를 통해 공익성을 강화하고, 종합 물류기업으로의 도약을 통해 무역 발전에 기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87길 22 (삼성동) |
웹 사이트 | |
소셜 미디어 | |
대표 전화 | 1588-7946 |
1. 개요
| |
한국도심공항 코엑스 | 한국도심공항 수락터미널 |
| |
6100번 | 6102번 |
한국무역협회가 최대 주주로 인천국제공항 출국 절차 대행과 서울특별시 강남구 면허로 리무진 버스 사업을 하고 있다. 수도권 관내 도심공항터미널 및 도심공항타워의 관리도 맡고 있다. 구 사명은 한국도심공항터미널로 2009년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2. 연혁
- 2001. 03. 26. 인천국제공항 개항과 함께 6100번, 6101번, 6105번이 무번호로 신설되었다.
- 2010. 09. 13. 자사 공항버스 노선에 번호가 부여되었다.
- 2013. 03. 01. 6102번이 6100번에 흡수되었다. (하계역 ~ 인천공항)
- 2016. 03. 22. 6105번이 6101번에 흡수되었다. (김포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
- 2017. 01. 01. 현재의 한국도심공항 법인이 설립되었다.
- 2018. 01. 01. 6104번이 폐선되었다. (도심공항 ~ 김포국제공항)
- 2018. 01. 15. 전 노선이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제2여객터미널까지 연장되었다.
- 2018. 11. 01. 6102번이 신설되었다. (길음.정릉 ~ 인천국제공항)
- 2021. 10. 01. 6105번이 신설되었다. (솔샘역 ~ 김포국제공항)
- 2024. 11. 01. 6104번이 신설되었다. (개포동 ~ 인천국제공항)
- 2025. 02. 01. 6105번이 폐선되었다.
3. 운행 지역
- 공항리무진이 유일하게 진출하지 않은 도봉구에 진출한 유일한 서울 공항버스 업체이다. 이밖에도 중랑구와 노원구, 성북구 일부 지역, 그리고 코엑스가 있는 삼성동의 도심공항터미널, 개포동에서 출발하는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도봉구 내에서는 창동역과 쌍문역을 경유하며, 노원구에서는 6011번이 닿지 않는 7호선 연선의 상계동, 중계동, 하계동과 공릉동을 거치며, 성북구 역시 미아사거리역과 고려대역(종암동) 등 6011번의 미경유 지역 위주로 운행한다. 반대로, 중랑구에서도 6013번이 닿지 않는 망우역과 상봉역, 중화역을 경유한다. 공항리무진과 일부 영업 지역이 중첩되지만, 정작 노선 중첩이 존재하지 않는 셈.
- 강남구에서는 서울공항리무진의 영향력이 강하지만, 그중에서도 도심공항터미널이 있는 삼성동 출발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도심공항의 특성을 살렸으나, 도심공항터미널 폐쇄 후에도 노선이 여전히 운행되고 있어 주로 삼성동 주변의 호텔이나 오피스 출장 수요가 대부분이다. 이후 개포동을 경유하는 6104번도 추가로 개통하여 운행중이다.
- 서울의 북쪽 끝과 남쪽 끝에서 공항으로 가는지라 운행 경로가 특이하다. 수락산역을 경유하는 6100번과 6101번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하며, 6102번은 내부순환로, 6104번은 강남순환로와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대교를 경유한다. 이 중 6104번은 공항리무진 6004번, 서울공항리무진 6500번과 같이 인천대교를 통해 서울과 인천공항을 오가는 셋 뿐인 노선이다.
4. 요금
- 김포공항행 6101번과 인천공항행 노선은 별개의 요금제를 징수한다.
- 성인 : 18,000원(인천공항) / 9,000원(김포공항)
- 어린이 : 12,000원(인천공항) / 6,000원(김포공항)
- 공항 방향은 교통카드 및 현금 승차가 가능하며, 시내 방향은 공항 내의 매표소에서 티켓 구매 후 이용이 가능하다. 추가로 6101번은 일단차량에 승차 후 수락터미널에서 직원이 매표를 하는 방식이다. 카드 승차시에는 단말기에 태그 후 영수증을 제시하면 되며, 현금 승차시에는 요금 지불 후 티켓을 받는 방식을 사용한다.
- 삼성동 도심공항터미널 출발 노선인 6103번에 한하여 예매를 할 수 있다. 출발 2주 전 ~ 출발 2시간 전 사이에 해당 링크를 통해 예약할 수 있으며, 예매 후 실물 티켓 교환을 하여야 한다.
5. 특징
- 한때 금호그룹이 지분 37.6%를 소유했으나, 2004년 5월 31일 한국무역협회와 현대백화점그룹 산하의 한무쇼핑에게 약 451억 원에 매각했다. 이후 2017년 1월 1일 부로 운수, 여행, 물류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해 한국도심공항 주식회사를 설립했고, 기존의 존속법인은 한국도심공항 주식회사에서 한국도심공항자산관리 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했다.
- 이름에서 오해할 수 있겠지만 공항이 아니다. 그러나 공항은 아니여도 공항 출국 수속을 대신 하는 곳이어서 어느 정도는 공항으로 봐도 무방하다. 또한 공항버스도 운행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 조례 시행 이전에도 이 회사는 커피 등 음식물을 들고 승차하지 못하게 했었는데, 시트 자체가 직물로 되어 있어 세탁하는데 애를 먹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기사와 포터(공항 내 짐을 싣어주는 사람)들이 음식물을 가지고 타는 승객을 발견하면 즉시 제지한다.
- 공항리무진과 같이 용유차량기지 북쪽의 별도의 사업소를 두고 있다. 주로 인천공항에 도착하는 차량들의 정비소로 사용되며, 간혹 비상 주유나 정비 혹은 신차 작업 등을 해당 부지에서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다만 안내방송 문안은 공항리무진과 상당히 유사하다.
- 한국도심공항 수락터미널이 사실상 노선 허브다. 6100번, 6101번이 이 곳을 마지막으로 각 공항까지 무정차 운행을 실시하며, 의정부의 용현교통이 운행하는 의정부01번 마을버스의 회차지로 사용된다. 의정부 지역과의 접근성도 좋은 편.
- 차량 전면에 TV를 설치하며, 공항 방향 마지막 정류장과 공항 도착/출발, 시내 방향 모든 정류장에서 애니메이션과 함께 방송을 송출한다.
6. 차량
- 2010년대 초반까지는 전 차량이 BX212였다. 정확히는 BH115H와 BH120F가 주력이었으나, 모두 BX212로 대차된 것.
- 2015년 10월에는 처음으로 현대 뉴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6대를 구입했다. 그와 동시에 차량 도색도 빨간색으로 변경했다. 이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현대자동차그룹으로 전향하여 출고하게 되었고, 이때를 제외하면 모두 기아버스만 출고하는 중이다.
- 2016년 11월에는 오랜만에 기아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실크로드를 16대 출고했다. 이후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남아있는 BX212를 모두 대차하면서 현재 유니버스 6대를 제외한 49대가 모두 그랜버드로 운행중이다.
- 현재 운용중인 전 차량이 31인승 우등이며, 전 차량에 항상 대향형 수평 와이퍼 옵션을 적용해서 뽑는다. K-리무진과 더불어 각 차종의 최상위 트림인 HD급만 출고하는 업체 중 하나다.[1]
- 서울의 4대 공항버스 업체 중 유일하게 차량 외부에 차량번호를 표기하지 않는다. 또한, 차량 내부의 맨 앞에 짐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별도로 없으니 유의하면 좋다.[3]
7. 노선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6100 | 망우역 | (→ 상봉역 →) - 중화역 - 태릉입구역 - 하계역 - 노원역 - (→ 수락터미널 →/← 수락산역 ←)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공항T1 | 인천공항T2 | 15~40 |
6101 | 창동역 | 노원구청 - 마들역 - 노일/노원초등학교 - (→ 수락터미널 →/← 수락산역 ←)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김포국제공항 | 1일 10회 |
6102 | 도봉등기소 | 쌍문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숭례초교,고려대역 - 길음역 - 정릉2동주민센터 - 내부순환로 - 강북대로 - 자유로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공항T1 | 인천공항T2 | 15~40 |
6103 | 코엑스도심공항 | (← 삼성역 ←) - 올림픽대로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공항T1 | 인천공항T2 | 25~40 |
6104 | 개포4단지5단지 | 디에이치아너힐즈 - 래미안블레스티지 -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 (→ 개포래미안포레스트 → 구룡사 →) - 강남순환로 - 제2경인고속도로 - 인천대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공항T1 | 인천공항T2 | 1일 6회 |
7.1. 과거 운행 노선
- 6104번(도심공항터미널 - 김포공항) : 도심공항터미널 - 올림픽대로 - 김포공항(국내선) - 김포국제공항, 2018년 1월 폐선
- 6105번(1기)(김포공항 - 인천공항) : 2016년 3월 폐선 및 6101번과 통합
- 6105번(솔샘역 - 김포공항) : 2025년 2월 폐선
8. 면허 체계
9. 현재 보유 차량
6101번에서 운행중인 신도색 차량. 현행 도색은 약간 어두운 빨간색 단색이다.
9.1. 현대자동차
9.2. 기아
10. 과거 보유 차량
2014년 12월 당시 6100번의 모습. 전부 신도색으로 바뀌어서 사진 속 도색은 볼 수 없다.[4]
10.1. 자일대우버스
10.2. 기아
11. 지배 구조
2021년 12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100.00% |
12. 관련 문서
13. 둘러보기
수도권의 대중교통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ee,#191919> | 서울특별시 | 인천광역시 | 경기도 |
항공 | 김포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 | (없음) | |
항만 선박 | 한강버스 |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 | 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 | |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 | ||||
철도 | 역 목록 | 역 목록 | 역 목록 | |
서울 지하철 | 인천 도시철도 | 경기 도시철도 | ||
수도권 전철 | ||||
버스 | 터미널 목록 | 터미널 목록 | 터미널 목록 | |
시내버스 | 시내버스 | 시내버스 | ||
마을버스 | 공영버스 | 마을버스 | ||
공항버스 | 강화군내버스 | 맞춤형버스 | ||
광역급행버스 | ||||
교통카드 | 티머니 | 이동의즐거움 | ||
이즐(구.캐시비) | ||||
수도권 통합 요금제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시내버스 | 도선여객 | 정평운수[a] | ||
공항리무진 | 도심공항리무진 | ||||
마을버스 | 계현운수[a] | 개포운수 | 스마일버스 | 신흥기업 | |
일원교통 | 은곡운수 | 포이운수 | |||
사라진 버스 회사 | |||||
시내버스 | 남산운수 | 서울여객 | 신진운수 | 금진교통 | |
마을버스 | 구룡교통 | 새롬교통 | |||
[a] 강남구 이외 지역에 면허를 둔 업체 | |||||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