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굴 (2020) Collectors | |
<nopad> | |
장르 | |
감독 | 박정배[1] |
각본 | 류선규 |
각색 | 황동혁, 김재환 |
제작 | |
촬영 | 김성안 |
조명 | 박지성 |
미술 | 신유진 |
음악 | |
의상 | 이진영 |
조감독 | 박신웅 |
편집 | 남나영 |
출연 | |
촬영 기간 | |
제작사 | |
배급사 | |
개봉일 | |
화면비 | |
상영 시간 | 114분 |
제작비 | 100억 원 |
월드 박스오피스 | $12,640,113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1,545,281명 (최종) |
스트리밍 | |
상영 등급 |
1. 개요
2020년 11월 4일에 개봉한 이제훈, 조우진, 신혜선, 임원희 주연의 한국 범죄 오락 영화.2. 포스터
| | |
▲ 티저 포스터 3종 |
| | | |
▲ 캐릭터 포스터 4종 |
| |
▲ 메인 포스터 2종 |
| |
▲ 셀카 포스터 | ▲ 리뷰 포스터 |
3. 예고편
▲ 티저 예고편 |
▲ 캐릭터 예고편 |
▲ 메인 예고편 |
4. 시놉시스
“고물인 줄 알았는데 보물이었다?!”
땅 파서 장사하는 도굴꾼들이 온다!
흙 맛만 봐도 보물을 찾아내는 타고난 천재 도굴꾼 강동구(이제훈).
자칭 한국의 '인디아나 존스'로 불리는 고분벽화 도굴 전문가 존스 박사(조우진), 전설의 삽질 달인 삽다리(임원희)를 만나 환상(?)의 팀플레이를 자랑하며 위험천만하고도 짜릿한 도굴의 판을 키운다.
한편, 그의 재능을 알아본 고미술계 엘리트 큐레이터 윤실장(신혜선)은 강동구에게 매력적이면서도 위험한 거래를 제안하는데...!
황영사 금동불상, 고구려 고분벽화 그리고 서울 강남 한복판 선릉까지!
팔수록 판이 커지는 도굴의 세계!
땅 파서 장사하는 도굴꾼들이 온다!
흙 맛만 봐도 보물을 찾아내는 타고난 천재 도굴꾼 강동구(이제훈).
자칭 한국의 '인디아나 존스'로 불리는 고분벽화 도굴 전문가 존스 박사(조우진), 전설의 삽질 달인 삽다리(임원희)를 만나 환상(?)의 팀플레이를 자랑하며 위험천만하고도 짜릿한 도굴의 판을 키운다.
한편, 그의 재능을 알아본 고미술계 엘리트 큐레이터 윤실장(신혜선)은 강동구에게 매력적이면서도 위험한 거래를 제안하는데...!
황영사 금동불상, 고구려 고분벽화 그리고 서울 강남 한복판 선릉까지!
팔수록 판이 커지는 도굴의 세계!
5. 등장인물
5.1. 강동구
<colcolor=#fff><colbgcolor=#000000> 강동구 | |
<nopad> | |
천재 도굴꾼 (이제훈 扮) |
왼손으로 물건주면 오른손으로 현찰 받는게 이 바닥 룰인데...
초코파이 좋아해?
유쾌하고 능글능글한 성격의 천재 도굴꾼.
변장, 잠입에 능하다. 하지만 의외로 과거사는 매우 어둡다.
어린시절 진상길 회장에게 배신당해 아버지와 함께 땅 속에 생매장을 당했다가 본인만 겨우 살아남았던 과거가 있다. 따라서 아버지를 죽인 진상길 회장에 대한 복수심을 품고있다.
사찰에 스님행세를 하며 침입하여 고려시대 불상을 훔친 뒤 골동품 시장에 가격을 물어보며 다니는 등 불상에 대한 소문을 의도적으로 퍼뜨리며 다닌다. 이후 접근한 진 회장의 비서 세희와 거래를 트게되고.. 고구려 벽화를 도굴해오는 등 진회장의 의뢰를 하나둘 수행하며 진회장에게 한걸음 한걸음 다가선다.
5.2. 존스 박사
<colcolor=#fff><colbgcolor=#000000> 존스박사 | |
<nopad> | |
고분벽화 도굴 전문가 (조우진 扮) |
노우 디스카운트 오케이?
자칭 인디아나 존스로 불리는[2] 고분 벽화 도굴 전문가. 세희의 의뢰로 고구려 벽화를 도굴하기 위해 동구가 그를 스카웃 하려고하자 거절하지만 거액의 보수에 합류하기로 한다.
5.3. 윤세희
<colcolor=#fff><colbgcolor=#000000> 윤세희 | |
<nopad> | |
큐레이터, 비서 (신혜선 扮) |
아무리 그래도 간이 너무 부으셨다. 감히 회장님의 물건을...
고미술계 엘리트 큐레이터이자 진 회장의 6년차 비서 실장.
차가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문화재 보는 눈은 탁월한 인물. 겉으로는 충실한 진 회장의 비서처럼 보이나 사실은 진 회장의 뒷통수를 치기 위해 오랜기간 준비하고 있던 인물이다. 금고 수장고를 열기 위한 열쇠와 회장의 지문 등을 몰래 빼돌려 복사품을 준비하고 있다.
5.4. 삽다리
<colcolor=#fff><colbgcolor=#000000> 삽다리 | |
<nopad> | |
삽질 달인 (임원희 扮) |
누가 나에 대해 가르쳐 줬죠? 잘못 찾아오셨네요. 저는 더 이상 삽질 안 합니다.
전설의 삽질 달인. 강원도 탄광 갱도를 혼자 다 팠다는 삽의 달인이라고 알려져있다.
5.5. 그 외 인물
- 진상길 회장(송영창): 본작의 메인 빌런이자 최종 보스. 스카이 그룹 회장.
겉으로는 문화재 보존에 힘을 쓰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문화재를 몰래 본인의 금고에 숨겼다가 중국과 일본에 팔고 있었다. 문화재를 숨기는 금고는 최첨단 보안 시스템을 갖춘 공간으로 비밀 유지를 위해 금고를 제작한 기술자도 죽이는 인물이다.
- 만기(주진모) : 생매장 당한 동구를 발견해 살려내고 키워낸다. 고물이 곧 보물이 된다는 신념을 가진 인물.
- 혜리(박세완) : 만기의 딸. 동구와는 남매나 다름없다.
- 오 반장(박진우) : 도굴팀을 끊임없이 추적하는 형사.
- 골동품점 사장(이준혁)
- 박가(윤병희)
- 젊은 상길(김영웅)
- 젊은 상길(조승구)
- 선릉 관리원(이상희)
- 금고 기술자(이황의)
- 골동품 주인 할아버지(홍석연)
- 벽돌집 사장(이동용)
- 김 박사(김세동)
- 김 비서(송형수)
- 민식(정진)
- 어린 동구(기은유)
- 룸싸롱 사장(오경민)
6. 줄거리
한 남자가 땅 아래에서 사람의 울음소리를 듣고 땅을 판다.동구는 스님 행세를 하면서 절에 가서 고려 시대 불상을 몰래 훔쳐서 골동품점에 간다. 골동품점 사장은 오만 원권 수십 장을 내미는데 동구는 파는 거 아니라며 골동품점을 빠져나온다. 대기업 회장인 진상길은 윤세희와 조직의 두목 주광철에게 불상을 찾아오라고 지시를 내리고 여러 골동품점을 다니면서 자기가 불상을 가지고 있다는 소문을 내고 있던 동구와 주광철이 만나게 된다. 주광철은 동구에게 불상을 내놓으라 협박을 해서 동구가 붙잡힐 뻔하지만 혜리의 도움을 받아 빠져나온다. 주광철은 진회장 몰래 불상을 찾아 중국 바이어에게 팔아넘기려고 동구와 만나지만 중국 바이어와 같이 나타난 고미술 큐레이터 윤세희에게 저지당한다.
세희는 중국 바이어에게 가짜 불상이라고 말하고 동구에게는 우리 문화재를 지켜야 한다면서 자기에게 팔라고 명함을 준다. 세희는 자기를 찾아온 동구를 데리고 호텔 카지노에 가서 칩 2억과 불상을 거래한다. 하지만 동구는 그 칩을 올인했다가 한 방에 잃고 세희는 무모한 동구를 지켜보고 같이 일하자고 제의한다. 동구는 무슨 일이냐 묻는데 세희는 그런 동구에게 차 키를 주는데 차 안에는 고구려 벽화 사진이 있었다. 동구는 벽화 동굴을 위해 지금은 손을 씻은 벽화 도굴 전문가 존스 박사를 찾아간다. 상당한 금액의 돈을 제시하자 존스 박스는 같이 일하기로 한다. 그리고 중국 지안이라는 곳으로 원정을 떠난다.
동구의 능력[6]으로 벽화가 있는 고분을 찾고 존스 박사가 벽화를 떼어내는데 이들을 안내해 주던 가이드가 둘을 총으로 위협하면서 벽화를 빼돌리려고 한다. 둘은 몸싸움을 하고 결국 가이드를 제압하는데 주광철의 지시를 받았다는 걸 알게 된다. 동구와 존스 박사는 한국에 도착해서 세희, 주광철, 진회장을 만나 거래를 한다. 동구는 진회장과 악수를 하다가 그의 손목에 있는 상처를 발견한다.
어릴 적 동구는 아빠와 사주를 받아 땅굴에 들어간 적이 있었는데 크기가 작은 곳이라서 동구만 들어갈 수 있는 곳이었다. 동구가 땅굴에 들어갔다가 나오는데 사주한 사람이 배신을 해서 아버지가 죽임을 당하고, 동구에게는 초코파이 하나를 던져주고는 산 채로 묻어버렸다. 그 남자의 손목에는 상처가 있었다.
동구는 강남의 선릉 안에 조선판 엑스칼리버인 전어도가 숨겨져 있다는 말을 세희에게 흘리고 진회장을 만나 물증을 보이며 도굴 계획을 알린다. 진회장은 동구를 데려가서 자기 금고를 보여주는데.. 동구는 어릴 적 땅굴에서 가지고 나온 백자기를 발견한다. 진회장은 동구가 자신에게 고의로 접근한 걸 눈치채고 총을 들이밀면서 전어도를 가져오라 한다.
세희는 동구에게 작업실도 마련해 주면서 둘의 사이는 가까워진다. 동구는 땅굴을 파는데 전문가인 삽다리를 섭외해 밤에 몰래 땅을 파고 선릉석실 뚫는 방법을 찾는다. 하지만 큰 돌이 있어서 폭파를 해야만 한다. 기한을 맞추려고 지상, 지하에서 폭탄을 동시에 같이 터트리기로 하는데 개가 폭발물 쪽으로 가는 걸 보고 동구가 개를 구한다. CCTV에 이것이 찍히자 경찰서에서 오반장이 폭발전에 개를 구한 동구를 의심하기 시작한다.
한편, 진회장에게 접근한 세희는 금고의 마지막 열쇠를 복제한다. 그리고 금고 기술자에게서 진회장의 금고를 열 홍채 정보를 받는다.[7]
땅굴을 파지만 물이 들어차 실패를 하자 진회장은 다시 동구에게 총을 들이민다. 동구는 선릉 보존팀으로 위장하고 들어가 중장비로 선릉을 파고 관을 끌어낸다. 진회장이 관을 열어 보지만 관은 비어있었다. 진회장이 총을 들이밀자 동구는 과거 죽은 아버지와 자기 얘기를 한다. 한편 세희는 금고에 진입해 금고를 열어보지만 이미 비어있다.
동구는 진회장이 전어도에 정신이 팔린 사이 금고와 선릉 쪽 땅을 파 금고의 문화재를 모두 빼돌렸다. 사실을 안 진회장은 동구에게 총을 쏘고 동구는 어차피 자신은 보너스로 인생을 산 거라면서 여기서 당신이랑 같이 죽을 생각이라 말한다. 동굴에서 이어진 유일한 사다리가 위로 올라간다. 동구는 진회장을 제압하고 크레인을 타고 위로 올라가고 진회장이 자기에게 한 것처럼 초코파이를 던지고 매장시킨다.
이후 진회장 금고에 있던 문화재를 실은 화물차는 문화재청 앞에 서 있다.
동구가 사실 오반장을 만난 이유는 문화재를 넘기는 조건을 걸고 주광철을 위협할 녹음을 받아내기 위해서였다. 삽다리와 존스 박사는 문화재를 모두 넘겨 남는 게 없다고 생각하지만 동구는 현찰이 든 상자를 보여준다.
선릉 복원작업이 시작되자 죽기 직전의 진회장이 발견되어 병원에 이송된다. 동구는 문화재 돌려준 걸 세희가 한 거라 언론에 흘린다. 세희는 인터뷰로 진회장이 불법적인 방법으로 문화재를 사들인 걸 이제 알았다고 한다. 인터뷰를 마친 세희에게 동구가 전화를 해 일본으로 간다며 일제 강점기 때의 조선 문화재가 전시되어 있는 일본 박물관에서 문화재를 되찾아 올 거라며 세희에게도 오라고 한다.
7.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f6c700,#f6c700><tablebordercolor=#f6c700,#f6c700><tablebgcolor=#fff,#1c1d1f> [[IMDb|
]]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display:114356"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14356;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14356|{{{#!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 기자·평론가 4.5 / 10 | 관람객 8.46 / 10 | 네티즌 7.06 / 1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4.5 / 10 | 관람객 8.46 / 10 | 네티즌 7.06 / 10 |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2d2f34><tablebgcolor=#fff,#191919>
||
평점 7.4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
지수 92% |
클리셰의 재발굴
박평식(★★)
박평식(★★)
<타짜>라는 거대한 산에 도전하다
오진우(★★★☆)
오진우(★★★☆)
도둑질을 입으로 하나
이용철(★★)
이용철(★★)
서사와 스케일의 아쉬움을 배우들이 커버하는 안타까움
이주현(★★☆)
각본의 서사, 개연성의 단점, 캐릭터 설정, 스토리 전개가 너무 클리셰적인 부분이 단점으로 꼽히는 반면, 고증과 창작력으로 영화의 전개를 이끌었다는 평이다. 전문가와 평론가들 사이에선 대체로 혹평을 받았다.[8]이주현(★★☆)
주요 평점에서 볼 수 있듯이 혹평 일색이다. 인터넷 상에는 개봉 당일부터 한국 영화의 고질적인 대사 '선수 입장'식 대사가 나온다고 소문이 나서 부정적 평가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 나오는 대사는 '주연 배우들 무대 위로 올라갑니다.'인데, 이 영화를 재미있게 본 걸 부정당해서 기분이 나쁜 일부 관람객들이 무턱대고 그런 연출은 없다고 잡아떼는 모습이 네티즌들 사이에서 반감을 불러왔다. '선수 입장'이라는 말 자체가 영화에 나오지 않은 건 사실이지만, 박평식 평론가를 비롯한 다수가 이 영화의 클리셰를 지적하는데, 대사가 선수에서 주연 배우들로 바뀌었다고 클리셰 답습이 달라진 건 없기 때문이다. 이 대사를 넣지 않았으면 이 영화가 작위적인 연기[9]와 개연성으로 까이긴 해도, 킬링 타임용 범죄 영화로는 손색이 없었을 거라는 점에서 이 영화를 괜찮게 봤던 관객들 사이에서 굳이 구식 클리셰를 넣어서 매를 번 점이 아쉬움을 사고 있다.
그러면서도 반전을 노린 것인지 윤세희와 강동구 사이의 통수에 통수를 치는 전개가 주요 전개인데, 이 문서 내의 포스터만 봐도 알겠지만 홍보는 4명이 힘을 합쳐서 도굴하는 오락 무비로 되어 있다. 팝콘 무비로 기대하고 봤는데 윤실장이 홍보 포스터처럼 유쾌한 면은 하나도 없고 행보가 이상해서 당황했다는 평도 여럿 있는 편.
캐릭터 톤을 지나칠 정도로 가볍게 설정한 것도 전체적인 전개가 유치하게 보이는 역효과를 낳았다. 스토리를 이끄는 주인공인 강동구의 동인이 끔찍한 어린 날의 사건에 대한 복수인데 이를 표현하는 캐릭터가 괴상할 정도로 깨발랄해 관객들이 인지부조화를 느낄 정도였다. 오션스 일레븐처럼 가벼운 하이스트 무비를 의도한 연출자의 의도라고 보여지는데 문제는 앞서 지적된 클리셰와 유치한 대사들까지 덧붙여지면서 극중 캐릭터 모두가 개그캐로 극의 몰입을 방해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포스터 등 프로모션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가벼워도 너무 가볍다는 평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아쉬운 영화의 내러티브와는 별도로 공들인 흔적이 역력한 미술팀의 소품 및 세트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
8. 흥행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2020년 44주차 | → | 2020년 45주차 | → | 2020년 46주차 |
삼진그룹 영어토익반 | 도굴 | 도굴 | ||
2020년 45주차 | → | 2020년 46주차 | → | 2020년 47주차 |
도굴 | 도굴 | 도굴 | ||
2020년 46주차 | → | 2020년 47주차 | → | 2020년 48주차 |
도굴 | 도굴 | 이웃사촌 | ||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rowcolor=#ffffff,#ffffff>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개봉 전 | 6,660명 | 6,660명 | 미집계 | 61,748,000원 | 61,748,000원 | |
1주차 | 2020-11-04. 1일차(수) | 73,064명 | 649,164명 | 1위 | 639,864,680원 | 6,006,499,820원 |
2020-11-05. 2일차(목) | 62,170명 | 1위 | 544,400,960원 | |||
2020-11-06. 3일차(금) | 77,190명 | 1위 | 729,126,960원 | |||
2020-11-07. 4일차(토) | 178,547명 | 1위 | 1,700,379,550원 | |||
2020-11-08. 5일차(일) | 167,846명 | 1위 | 1,595,949,930원 | |||
2020-11-09. 6일차(월) | 46,712명 | 1위 | 414,329,310원 | |||
2020-11-10. 7일차(화) | 43,635명 | 1위 | 382,448,430원 | |||
2주차 | 2020-11-11. 8일차(수) | 47,775명 | 404,389명 | 1위 | 422,168,850원 | 3,723,129,990원 |
2020-11-12. 9일차(목) | 34,615명 | 1위 | 305,837,930원 | |||
2020-11-13. 10일차(금) | 49,214명 | 1위 | 459,538,410원 | |||
2020-11-14. 11일차(토) | 110,464명 | 1위 | 1,046,948,460원 | |||
2020-11-15. 12일차(일) | 103,328명 | 1위 | 974,067,550원 | |||
2020-11-16. 13일차(월) | 30,418명 | 1위 | 267,534,530원 | |||
2020-11-17. 14일차(화) | 28,575명 | 1위 | 247,034,260원 | |||
3주차 | 2020-11-18. 15일차(수) | 30,540명 | 246,448명 | 1위 | 262,945,660원 | 2,235,368,580원 |
2020-11-19. 16일차(목) | 29,473명 | 1위 | 255,348,410원 | |||
2020-11-20. 17일차(금) | 31,060명 | 1위 | 287,347,880원 | |||
2020-11-21. 18일차(토) | 62,209명 | 1위 | 583,383,090원 | |||
2020-11-22. 19일차(일) | 63,118명 | 1위 | 592,074,370원 | |||
2020-11-23. 20일차(월) | 16,777명 | 1위 | 142,001,790원 | |||
2020-11-24. 21일차(화) | 13,271명 | 1위 | 112,267,380원 | |||
4주차 | 2020-11-25. 22일차(수) | 12,870명 | 79,496명 | 2위 | 83,259,530원 | 650,236,090원 |
2020-11-26. 23일차(목) | 7,203명 | 2위 | 60,224,870원 | |||
2020-11-27. 24일차(금) | 8,219명 | 3위 | 72,265,280원 | |||
2020-11-28. 25일차(토) | 16,270명 | 2위 | 145,277,650원 | |||
2020-11-29. 26일차(일) | 18,336명 | 2위 | 159,294,730원 | |||
2020-11-30. 27일차(월) | 10,376명 | 2위 | 79,685,160원 | |||
2020-12-01. 28일차(화) | 6,213명 | 2위 | 50,167,870원 | |||
5주차 | 2020-12-02. 29일차(수) | 5,251명 | 44,036명 | 2위 | 44,790,700원 | 384,786,620원 |
2020-12-03. 30일차(목) | 5,427명 | 2위 | 45,419,050원 | |||
2020-12-04. 31일차(금) | 6,025명 | 2위 | 53,381,470원 | |||
2020-12-05. 32일차(토) | 10,793명 | 2위 | 96,624,920원 | |||
2020-12-06. 33일차(일) | 10,040명 | 2위 | 90,157,840원 | |||
2020-12-07. 34일차(월) | 3,520명 | 2위 | 29,096,490원 | |||
2020-12-08. 35일차(화) | 2,980명 | 3위 | 25,316,150원 | |||
6주차 | 2020-12-09. 36일차(수) | 3,230명 | 28,007명 | 2위 | 27,864,420원 | 221,530,450원 |
2020-12-10. 37일차(목) | 3,736명 | 2위 | 26,807,650원 | |||
2020-12-11. 38일차(금) | 4,096명 | 3위 | 31,191,690원 | |||
2020-12-12. 39일차(토) | 5,398명 | 3위 | 45,543,880원 | |||
2020-12-13. 40일차(일) | 5,523명 | 3위 | 46,433,140원 | |||
2020-12-14. 41일차(월) | 3,032명 | 3위 | 22,095,940원 | |||
2020-12-15. 42일차(화) | 2,992명 | 2위 | 21,593,730원 | |||
7주차 | 2020-12-16. 43일차(수) | 3,282명 | 28,558명 | 2위 | 24,000,510원 | 218,910,730원 |
2020-12-17. 44일차(목) | 3,387명 | 2위 | 24,074,250원 | |||
2020-12-18. 45일차(금) | 4,025명 | 2위 | 29,945,800원 | |||
2020-12-19. 46일차(토) | 6,494명 | 2위 | 52,256,740원 | |||
2020-12-20. 47일차(일) | 5,972명 | 3위 | 49,374,980원 | |||
2020-12-21. 48일차(월) | 2,640명 | 2위 | 19,189,870원 | |||
2020-12-22. 49일차(화) | 2,758명 | 2위 | 20,049,580원 | |||
8주차 | 2020-12-23. 50일차(수) | 2,696명 | 30,230명 | 3위 | 17,935,080원 | 214,207,030원 |
2020-12-24. 51일차(목) | 4,087명 | 3위 | 26,365,520원 | |||
2020-12-25. 52일차(금) | 7,389명 | 3위 | 56,867,620원 | |||
2020-12-26. 53일차(토) | 5,187명 | 2위 | 36,679,750원 | |||
2020-12-27. 54일차(일) | 5,457명 | 2위 | 38,665,280원 | |||
2020-12-28. 55일차(월) | 2,536명 | 3위 | 17,366,970원 | |||
2020-12-29. 56일차(화) | 2,878명 | 3위 | 20,326,810원 | |||
9주차 | 2020-12-30. 57일차(수) | 2,682명 | 25,562명 | 6위 | 18,181,790원 | 186,901,890원 |
2020-12-31. 51일차(목) | 3,844명 | 5위 | 30,081,310원 | |||
2021-01-01. 52일차(금) | 2,978명 | 5위 | 25,599,980원 | |||
2021-01-02. 53일차(토) | 5,187명 | 5위 | 36,679,750원 | |||
2021-01-03. 54일차(일) | 5,457명 | 5위 | 38,665,280원 | |||
2021-01-04. 55일차(월) | 2,536명 | 5위 | 17,366,970원 | |||
2021-01-05. 56일차(화) | 2,878명 | 6위 | 20,326,810원 | |||
합계 | 누적관객수 1,538,336명, 누적매출액 13,897,616,520원[10] |
9. 여담
- 도심 한복판에 위치한 선릉을 주요 배경으로 설정한 만큼 세트장은 실제 선릉 크기의 80%에 달하는 스케일을 갖춘 것은 물론, 제작진이 리얼리티를 위해 5톤 트럭 100대 가량의 흙을 사용하여 실제로도 좁고 어두운 땅굴 세트를 직접 만들어 활용했다.
- 땅굴의 흙먼지는 콩가루 등 먹거나 흡입하여도 무해한 재료들로 만들었고, 강동구가 맛보는 흙은 돼지바의 겉면에 묻혀진 분쇄된 쿠키를 사용하였다.
- 도굴팀의 첫 시작을 알리는 황영사 9층 석탑[11]과 금동 불상은 기존 사찰에 있는 유물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업하고 고구려 고분 벽화는 실제 고구려 시대의 고분 벽화를 참고해 새로운 유물을 탄생시켰다. 여기에 현존하지 않는 문화재는 유물을 복원하는 전문가들과 함께 작업해 당시 시대상을 바탕으로 재해석했다. 예를 들어 회장의 개인 수장고를 둘러보는 장면에서는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과 비슷하게 생긴 또다른 유물, 실제로는 소실된 세종대왕의 어진 등이 재해석을 거쳐 연출되었다.
- 영화 속 주인공들이 부르는 노래는 원래 시크릿의 '별빛달빛'이 아닌 솔리드의 '이 밤의 끝을 잡고'였다. 사람들이 조금 많이 알고있으면서 쉽고, 재미있었으면 하기위해서 '별빛달빛'으로 바뀌었다.
- 유물을 소재로 한 영화인만큼 의미있는 영화 홍보를 위해 이제훈, 조우진, 임원희는 TV쇼 진품명품에 출연했다. 영상(1) 영상(2) 영상(3) 영상(4)
- 선릉은 항목에서도 나오듯 성종과 정현왕후가 같이 묻혔던 곳으로 현실에서는 임진왜란 때 이미 도굴당한 전력이 있는 능묘다. 같이 도굴당한 중종의 정릉처럼 왜군에 의해 묘소가 불태워지는 바람에 시신마저 유실되고 말았다. 나중에 조선 조정이 묘소를 수습할 때 빈 능침을 그대로 둘 수 없어 새로 지어 올린 의복을 선릉과 정릉에 묻었다고 한다.
- 작중에서 시대, 왕조별 무덤 형태 차이 및 거기에 따른 도굴 난이도에 대해 설명, 묘사하였다. 실제로 고구려왕릉, 백제왕릉은 내부에 방이 있고 지상에 '출입구'가 있기 때문에 그 입구를 찾아서 들어가면 되므로 도굴 난이도가 낮았으며, 결국 무령왕릉이란 단 하나의 예외만 빼고는 전부 도굴당했다.[12] 작중에서도 고구려 왕릉 도굴은 후반부의 선릉 도굴에 비해 아주 쉽게 진행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13]
- 반면 신라왕릉과 조선왕릉은 도굴을 어렵게 하는 구조적 장치가 있어서 현실 역사에서도 다른 왕조의 왕릉과 다르게 도굴 피해를 크게 입지 않은 편이다. 신라왕릉은 출입구나 내부의 석실 없이 어마어마한 양의 돌무더기와 봉토로 도굴을 방지했고, 영화상에서 자세히 묘사된 조선왕릉은 석회를 단단히 두른 회곽묘 형식을 비롯 매우 견고한 구조를 택했기에 이를 제거하는 데에 대규모 인력과 장비가 필요하여 도굴 난이도 또한 매우 높았다. 거기에 더해 조선왕릉의 경우 영화상에서 지나가는 대사로 나왔듯 검약을 매우 중시하는 유교 윤리에 따르다 보니 도굴의 최우선 목표인 부장품 자체가 부실해서 도굴꾼이 공격할 동기 자체가 부족하기도 했고, 거기다 왕조 자체가 500년이나 유지되었고 이후 일제강점기나 대한민국 시절에도 왕릉들은 중요 관리 대상이었기에 도굴 시도 자체가 거의 없었던 편. 역사적으로 유명한 도굴 시도인 흥선대원군 집권기의 오페르트 도굴 사건도 순수하게 부장품을 노린 도굴이라기보다는 남연군의 시신으로 흥선대원군을 협박하려던 목적이었는데 무려 1미터에 육박하는 단단한 석회벽에 막혀 실패하고 말았다. 유일하게 성공한 도굴 시도는 윗 단락에서 언급된 임진왜란 당시 왜군이 선릉과 정릉을 파헤치고 불태운 사건이다. 이는 조선 정부 자체가 피난을 가버리고 일본군이 서울을 무력으로 정복한 상황이라 왕릉 도굴에 다수의 인력과 장비를 긴 시간에 걸쳐 얼마든지 동원할 수 있는 극히 드문 상황이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21세기에도 명종의 원자인 순회세자의 묘인 서오릉 순창원의 도굴 시도나 광해군의 어머니인 공빈 김씨의 묘인 성묘(成墓)의 도굴 흔적 등, 왕릉은 아니라도 일부 조선 왕실 묘역에 대한 도굴 시도는 있었지만 모두 무덤의 튼튼한 구조를 뚫지 못하고 실패했다.
- 중간에 나오는 교회처럼 보이는 집이 인천 강화군에 위치한 폐건물인 구 교동교회와 많이 흡사하다. 실제로 로드뷰를 보면 똑같이 생겼다.
- 엔딩에는 주인공 일행이 영화 초반부에 나온 오구라 컬렉션을 노린다는 장면이 나와 후속편을 염두에 둘 수 있게 해두었다.
- 이제훈과 조우진은 비밀의 문 이후 '도굴'로 재회했고, 이제훈과 신혜선은 2018 SBS 연기대상 MC로 호흡한 뒤 작품에서 만나자는 얘기를 나누고 우연히 당해에 '도굴'에서 다시 만나게 되었다.
- 베트남에서는 2020년 12월 4일에 개봉했으며 도굴이라는 범죄를 소재로 한 영화라서 그런지 16세 관람가로 설정되었다. 베트남에서 직접 관람한 영화 감상 후기는 이곳에서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 작중 시간은 2019년 3월 14일~7월 1일이다. 그리고 등장인물들이 사용하는 핸드폰은 2018년 출시된 갤럭시 S9이다.
- 진상길 역의 송영창은 다른 많은 드라마나 영화에서 '가지각색의 방법으로 죽는 장면을 연출'하고 있어서 이른바 사망 전문 배우 기믹을 가지고 있었다. 이번 작품에서도 그 기믹을 의식했는지, 이번에는 생매장 씬이 연출되었다. 그러나 영화 마지막에 죽지는 않고 살아나서, 일종의 클리셰 파괴가 되었다. 이 장면이 골때리는데 옛날 수십년 전에 진상길은 자신을 위해서 도굴해준 강동구의 아버지를 강동구와 같이 생매장하는데 이때 진상길이 강동구에게 초코파이 하나를 던져주고 생매장했다.[14] 그런데 여기서 강동구는 살아남는다. 이후 이걸 강동구가 그대로 따라한다. 즉, 진상길을 생매장 하면서 똑같이 초코파이를 던져준다. 강동구가 "살인은 내 장르가 아니라"라는 말에서 진상길의 생사에 대해 암시하는 말을 한다. 마지막에 선릉 보수 과정에서 굶어죽기 일보직전의 진상길이 초코파이 빈 껍질과 함께 발견되어 구조되었다.
- 작중 시간대 중 2019년 7월 1일이 나오는데, 마침 본작의 촬영 시작일이 2019년 7월 1일이다. 이를 노린 것이거나 우연의 일치인 것으로 보인다.
10. 둘러보기
2020년 대한민국 주간·주말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rowcolor=#fff,#000> 주 차 | 주간·주말 | 제목 | 제작국 | 누적 관객 수 | 누적 매출액 | |
1주 차 (12/30~01/05) | 주간 | 백두산 | 대한민국 | 7,479,389명 | 63,308,870,470원 | |
주말 | ||||||
2주 차 (01/06~01/12) | 주간 | 닥터 두리틀 | 미국 | 929,622명 | 7,903,394,520원 | |
주말 | ||||||
3주 차 (01/13~01/19) | 주간 | 해치지 않아 | 대한민국 | 813,395명 | 6,902,650,780원 | |
주말 | ||||||
4주 차 (01/20~01/26) | 주간 | 남산의 부장들 | 대한민국 | 2,604,649명 | 23,256,827,690원 | |
주말 | ||||||
5주 차 (01/27~02/02) | 주간 | 4,251,592명 | 36,998,119,620원 | |||
주말 | ||||||
6주 차 (02/03~02/09) | 주간 | 클로젯 | 대한민국 | 682,559명 | 5,977,670,980원 | |
주말 | ||||||
7주 차 (02/10~02/16) | 주간 | 정직한 후보 | 대한민국 | 911,455명 | 7,744,626,290원 | |
주말 | ||||||
8주 차 (02/17~02/23) | 주간 | 1,351,511명 | 11,410,794,660원 | |||
주말 |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 대한민국 | 370,653명 | 3,246,895,450원 | ||
9주 차 (02/24~03/01) | 주간 | 인비저블맨 | 미국 | 155,956명 | 1,341,408,740원 | |
주말 | ||||||
10주 차 (03/02~03/08) | 주간 | 316,020명 | 2,752,012,700원 | |||
주말 | ||||||
11주 차 (03/09~03/15) | 주간 | 420,320명 | 3,675,126,300원 | |||
주말 | ||||||
12주 차 (03/16~03/22) | 주간 | 493,249명 | 4,316,368,600원 | |||
주말 | ||||||
13주 차 (03/23~03/29) | 주간 | 535,995명 | 4,674,859,200원 | |||
주말 | 주디 | 영국 | 40,929명 | 329,859,320원 | ||
14주 차 (03/30~04/05) | 주간 | 엽문 4: 더 파이널 | 중국 홍콩 | 31,108명 | 268,572,100원 | |
주말 | ||||||
15주 차 (04/06~04/12) | 주간 | 1917 | 미국 | 759,393명 | 6,910,203,620원 | |
주말 | ||||||
16주 차 (04/13~04/19) | 주간 | 785,040명 | 7,136,581,760원 | |||
주말 | 라라랜드재개봉 | 미국 | 3,662,420명 | 30,445,989,068원 | ||
17주 차 (04/20~04/26) | 주간 | 3,689,715명 | 30,586,494,168원 | |||
주말 | ||||||
18주 차 (04/27~05/03) | 주간 | 트롤: 월드 투어 | 미국 | 57,115명 | 435,292,000원 | |
주말 | ||||||
19주 차 (05/04~05/10) | 주간 | 118,771명 | 914,453,520원 | |||
주말 | 레이니 데이 인 뉴욕 | 미국 | 46,728명 | 419,833,060원 | ||
20주 차 (05/11~05/17) | 주간 | 프리즌 이스케이프 | 영국 호주 | 67,815명 | 593,931,000원 | |
주말 | ||||||
21주 차 (05/18~05/24) | 주간 | 126,975명 | 1,110,240,120원 | |||
주말 | 위대한 쇼맨재개봉 | 미국 | 1,449,682명 | 11,804,468,320원 | ||
22주 차 (05/25~05/31) | 주간 | 1,514,465명 | 12,206,272,700원 | |||
주말 | 언더워터 | 미국 | 58,251명 | 488,702,980원 | ||
23주 차 (06/01~06/07) | 주간 | 침입자 | 대한민국 | 288,925명 | 2,678,792,220원 | |
주말 | ||||||
24주 차 (06/08~06/14) | 주간 | 결백 | 대한민국 | 314,864명 | 2,891,030,280원 | |
주말 | ||||||
25주 차 (06/15~06/21) | 주간 | 558,204명 | 5,056,621,240원 | |||
주말 | ||||||
26주 차 (06/22~06/28) | 주간 | #살아있다 | 대한민국 | 1,060,001명 | 8,855,344,340원 | |
주말 | ||||||
27주 차 (06/29~07/05) | 주간 | 1,546,929명 | 13,057,144,940원 | |||
주말 | ||||||
28주 차 (07/06~07/12) | 주간 | 1,782,928명 | 15,113,437,300원 | |||
주말 | ||||||
29주 차 (07/13~07/19) | 주간 | 반도 | 대한민국 | 1,803,970명 | 15,881,451,600원 | |
주말 | ||||||
30주 차 (07/20~07/26) | 주간 | 2,862,835명 | 25,134,223,700원 | |||
주말 | ||||||
31주 차 (07/27~08/02) | 주간 | 강철비2: 정상회담 | 대한민국 | 1,019,937명 | 8,390,205,560원 | |
주말 | ||||||
32주 차 (08/03~08/09) | 주간 |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 대한민국 | 2,025,071명 | 17,797,226,740원 | |
주말 | ||||||
33주 차 (08/10~08/16) | 주간 | 3,543,185명 | 31,450,494,470원 | |||
주말 | ||||||
34주 차 (08/17~08/23) | 주간 | 4,106,131명 | 36,462,040,930원 | |||
주말 | ||||||
35주 차 (08/24~08/30) | 주간 | 테넷 | 영국 | 660,405명 | 6,018,063,040원 | |
주말 | ||||||
36주 차 (08/31~09/06) | 주간 | 1,059,797명 | 9,700,895,860원 | |||
주말 | ||||||
37주 차 (09/07~09/13) | 주간 | 1,335,224명 | 12,273,393,850원 | |||
주말 | ||||||
38주 차 (09/14~09/20) | 주간 | 1,536,369명 | 14,155,933,150원 | |||
주말 | ||||||
39주 차 (09/21~09/27) | 주간 | 1,683,350명 | 15,500,525,670원 | |||
주말 | ||||||
40주 차 (09/28~10/04) | 주간 | 담보 | 대한민국 | 821,459명 | 7,093,228,600원 | |
주말 | ||||||
41주 차 (10/05~10/11) | 주간 | 1,241,304명 | 10,743,084,250원 | |||
주말 | ||||||
42주 차 (10/12~10/18) | 주간 | 소리도 없이 | 대한민국 | 220,433명 | 1,975,248,760원 | |
주말 | ||||||
43주 차 (10/19~10/25) | 주간 | 삼진그룹 영어토익반 | 대한민국 | 358,705명 | 3,077,658,880원 | |
주말 | ||||||
44주 차 (10/26~11/01) | 주간 | 931,740명 | 8,183,047,880원 | |||
주말 | ||||||
45주 차 (11/02~11/08) | 주간 | 도굴 | 대한민국 | 565,477명 | 5,271,470,080원 | |
주말 | ||||||
46주 차 (11/09~11/15) | 주간 | 1,001,220명 | 9,276,809,020원 | |||
주말 | ||||||
47주 차 (11/16~11/22) | 주간 | 1,276,613명 | 11,772,477,220원 | |||
주말 | ||||||
48주 차 (11/23~11/29) | 주간 | 이웃사촌 | 대한민국 | 200,280명 | 1,712,105,580원 | |
주말 | ||||||
49주 차 (11/30~12/06) | 주간 | 326,651명 | 2,811,197,820원 | |||
주말 | ||||||
50주 차 (12/07~12/13) | 주간 | 조제 | 대한민국 | 78,846명 | 712,418,720원 | |
주말 | ||||||
51주 차 (12/14~12/20) | 주간 | 139,430명 | 1,263,522,550원 | |||
주말 | ||||||
52주 차 (12/21~12/27) | 주간 | 원더우먼 1984 | 미국 | 303,839명 | 2,763,788,970원 | |
주말 | ||||||
53주 차 (12/28~01/03) | 주간 | 461,430명 | 4,145,067,430원 | |||
주말 | ||||||
본 자료는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의 주간/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자료를 출처로 하고 있으며, 관객 수와 매출액은 주마다 갱신된 총 수를 기준으로 한다. | }}}}}}}}} |
[1] 마이 파더, 수상한 그녀, 도가니 등 황동혁 감독 연출작들의 조감독 출신.[2] 그래서 이름도 '존스 박사'이다. 작중 실명은 공개되지 않았다.[특별출연] [4] 범죄도시의 독사를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일종의 배우 개그.[특별출연] [6] 흙의 맛을 판별하여 유적이 있는지 없는지 분별할 수 있다.[7] 진회장의 지시를 받은 주광철이 금고 기술자를 물에 빠뜨려 죽이려고 했으나 세희가 죽기 직전 몰래 빼돌려서 숨겨 두었다.[8] 이제훈의 전 출연작인 사냥의 시간과 동일하게 배우의 매력에 너무 의존하는 점, 연출만으로 각본의 개연성이나 단점을 덮으려 한 부분이 지적되었으며, 이 부분은 일부 관객 역시 공감하는 모양새.[9] 안 좋은 의미로 스피드왜건을 방불케하는 주인공 여동생 연기가 제일 지적을 많이 받는다. 존스 박사의 배경 설정 등 설명으로만 나오면 안 될 부분을 여동생의 설명과 오버스러운 연기만으로 넘기려는 안일한 장면이 여럿 보인다.[10] ~ 2021/01/11 기준[11] 이름은 황룡사 9층 목탑에서 따 온 것으로 추정된다.[12] 무령왕릉은 고분이 작아서 무덤인줄 몰랐기 때문에 화를 면할수 있었다. 특히 가루베 지온이 발견도굴했던 송산리 6호분에 바로 붙어있었고 그걸 무령왕릉으로 추측했다고 한다.[13] 그런데 작중의 고구려 왕릉 역시 무덤 바닥에 딱히 관이나 부장품이라 할 만한 게 없는 텅 빈 방과 같은 상태였다. 이미 역사를 거치며 도굴되고 고분벽화만 남아있던 것. 실제로 고구려 벽화분 도굴은 조선시대나 고려시대에도 계속 벌어졌기 때문에 이것도 어찌보면 고증이다. 애초에 영화에서 고구려 고분의 도굴 목적은 다른 부장품은 아예 기대도 하지 않고, 단지 허접한 도굴꾼이 챙겨가기 어려워 유일하게 남겨져있던 벽화를 뜯어내기 위함이었다.[14] 이건 강동구의 아버지의 잘못이 큰데 또 다른 도굴 작업 도중 사고가 나 강동구의 부친이 흙더미에 깔려 죽어가는 진상길의 두 동생을 내버려두고 도망가버렸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