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2 14:28:17

돌무지덧널무덤


삼국시대 고분의 형태와 변천 둘러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원삼국시대 삼국시대 통신~남북국
||<|2><tablebgcolor=#000000><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width=8%> 파일:고구려 삼족오.png ||<|2><height=10><bgcolor=#000><width=15%> 1~2세기 ||<-2><bgcolor=#000><width=15%> ~3세기 ||<-3><width=15%> 4세기 ||<-3><width=15%> 5세기 ||<|2><width=15%> 6세기 ||<|2> 7세기~ ||
고구려 <colbgcolor=#ffffff,#191919>무기단식/기단식 적석총
계장식 계단식 적석총
석곽 광실/석실 장군총형
석실 봉토분(벽화분) 발해 고분
생활풍속도 사신도
평양지역 낙랑고구려
전실분, 다실벽화분
→고구려/백제로 영향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8080><tablebgcolor=#008080><width=8%> 파일:백제 진묘수.png ||<|2><height=10><width=15%> 1~2세기 ||<-2><height=5><width=15%> 3세기 ||<-3><width=15%> 4세기 ||<-3><width=15%> 5세기 ||<|2> 6세기 ||<|2> 7세기 ||
백제 <colbgcolor=#ffffff,#191919> 즙석분구묘/방형주구묘 한성기 석실
석촌·가락·방이동
웅진기 석실
송산리형 석실
사비기 석실
능산리형 석실
마한*
호남지역
주구토광묘 옹관고분
전방후원분
||<|2><tablebgcolor=#722d5b><tablebordercolor=#722d5b><tablewidth=100%><width=8%>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2><height=10><width=15%> 1~2세기 ||<-2><height=5><width=15%> 3세기 ||<-3><width=15%> 4세기 ||<-3><width=15%> 5세기 ||<|2><width=15%> 6세기 ||<|2> 7~9세기 ||
신라 목관 목곽 <colbgcolor=#ffffff,#191919> 적석목곽묘경주, 일부 지방 석실
석곽묘지방
단독 형성 고분군의 형성 고총/고총군 형성 고총 둔화
||<|2><tablebgcolor=#4374d9><tablebordercolor=#4374d9><tablewidth=100%><width=8%> 파일:가야의상징이라고칩시다심볼할게없네.png ||<|2><height=10><width=15%> 1~2세기 ||<-2><height=5><width=15%> 3세기 ||<-3><width=15%> 4세기 ||<-3><width=15%> 5세기 ||<|2><width=15%> 6세기 ||<|2> 7세기~ ||
금관가야 <colbgcolor=#ffffff,#191919>
아라가야
대가야
소가야
}}} ||


1. 개요2. 구조
2.1. 도굴 방지 효과
3. 역사
3.1. 등장3.2. 소멸
4. 돌무지덧널무덤 목록5. 관련 문서

1. 개요

돌무지덧널무덤 또는 적석목곽묘()는 대한민국, 특히 경상북도 경주시 일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신라 전기 무덤 양식이다. 주로 4세기 후반~6세기 초에 축조되었는데, 대부분 경주에 밀집되었으므로 신라의 고유한 축조방식임을 알 수 있다. 규모는 소형에서 대형까지 다양하지만 왕릉급의 대형분은 정말 거대하여 고구려의 장군총과 비슷하거나 더 큰 것들도 많다. 경주 시내에 동산이 떡하니 있고, 곳곳에 큰 무덤들이 늘어섰다. 멀리서 봐도 규모가 큰 것들은 대부분 이런 무덤들이다. 고려, 조선시대에는 아에 이런 무덤들을 조산으로 착각하였을 정도였다.[1] 이후에는 신라에 불교가 들어와서 화장을 하기도 하고 부장품도 간소화되어서, 고분 크기는 후대로 갈수록 작아졌다.

2. 구조

축조 순서
파일:적1.jpg 파일:적2.jpg
①사전 정지 작업 ②하부 적석, 성토 및 목곽 설치
파일:적3-1.jpg 파일:적3-2.jpg
③목관 하관(下棺) 및 제례 ④목곽 내부 적석 및 봉납
파일:적4.jpg 파일:적5.jpg
⑤목곽 상부 적석 및 성토 ⑥완성

먼저 무덤을 축조할 자리를 정지(整地)해서 적당한 토대를 만든다. 이후 돌과 흙을 이용하여 쌓아가는데 가장 바깥쪽에는 호석이라고 하여 무덤의 테두리를 그리며[2] 그 안쪽에는 흙을 이용하여 쌓고, 더 안쪽에는 돌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다. 그와 동시에 돌이 쌓여진 즉, 적석(積石: 돌무지)된 부분의 안쪽에 목곽(木槨)을 이중 또는 단일 목곽으로 설치(덧널)하여 매장의 주된 공간을 조성하면서 일정한 높이까지 쌓아 올린다.

목곽이 완성되고 목관을 하관(下棺)[3]을 할 수 있을 만큼 공정이 진행되면 이 때 시신과 화려한 부장품들을 같이 묻고 관련된 제사를 지낸다. 이런 의례가 끝나면 목관과 목곽 사이를 다시 비교적 작은 돌들로 채워넣고[4] 목곽을 다시 봉납한다. 이후 다시 목곽의 상부에 적석과 성토를 시행하면서 무덤을 쌓아 올려 마무리한다.
파일:attachment/800px-Tomb_of_the_General_1.jpg 파일:external/www.heritage.go.kr/contn_img_PER030108_01.jpg
장군총(돌방돌무지무덤) 황남대총(돌무지덧널무덤)

흔히 돌무지무덤과 헷갈리는데, 이름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돌무지무덤은 초기 백제고구려 초, 중기의 무덤 양식으로 오늘날 자주 보는 흙 봉분 대신 돌로 봉분을 쌓거나 계단식으로 쌓아올린 것이다. 대표적으로 서울 석촌동 돌무지무덤이 있다. 이름이 비슷해서 일반인들이 헷갈리지만, 돌무지무덤과 돌무지덧널무덤은 문외한이 봐도 생김새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보면 헷갈릴 일이 없다. 대체로 돌무지무덤은 겉으로 보기에 계단식 피라미드처럼 생겼고 돌무지덧널무덤은 거대한 언덕처럼 보인다.

구조적으로 전혀 다른 형태로써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묘)는 기본적으로 흙을 사용하는 형태이고 돌무지무덤(적석총)은 사실상 아예 돌로만 쌓는다. 적석목곽묘를 한글식으로 굳이 엄밀히 구분하자면 돌무지덧널흙무덤이 정확하다. 돌무지덧널무덤은 시신을 어떻게 안치하였느냐(매장 주체부)에 따라 구분된 명칭이고 돌무지무덤은 무덤을 어떤 방식으로 쌓았는가(봉토)에 초점을 둔 명칭이다. 아래의 사진과 함께 보면 굳이 이만큼 설명할 필요가 있나 싶을 만큼 다르게 생겼다.

그러나 고구려 돌무지무덤도 초기형태는 둥근 원형의 무기단식 돌무지무덤이라 신라의 무덤형태와 같다. 신라의 돌무지무덤은 외부에 흙으로 덮은것이 다른점이라고 다들 알고 있지만,고구려 무덤도 흙으로 덮은 무덤이 많이 있으며 실제로 통구 고분군이라고 불리는 중국 집안시 고구려 무덤들을 보면 흙으로 덮힌 무덤이 꽤나 있으며 북한의 안악 3호분, 한왕묘 고분도 흙으로 덮힌 고분이다
그도 당연한것이 고구려의 무덤이나 신라의 무덤이나 그 출발은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파지리크 흉노, 선비 기마민족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2.1. 도굴 방지 효과

오늘날 신라 유물들이 고구려, 백제보다 훨씬 많이, 다양하게 발굴되어 전시된다. 물론 고구려, 백제가 멸망하여 유물이 멸실되었다고 할 수도 있지만, 무덤 발굴 과정에서 유물들이 쏟아져 나온 경우는 (기적적 사례인 무령왕릉을 제외하면) 사실상 신라밖에 없기 때문. 고구려는 일찍이 중국의 돌방(石室)무덤 형식을 받아들여 장군총, 안악 3호분 등 알려진 무덤들이 전부 돌방무덤이다. 그리고 백제도 중국 양나라와 교류하는 과정에서 돌방무덤을 받아들여 무령왕릉 등 대부분 무덤을 개방형 무덤들로 축조하였다.

반면에 신라는 중국과 교류시기가 두 나라에 비해 늦었고, 자연적 위치 때문에 돌방무덤 형태가 쉽게 전파되지 못했다. 물론 후기에 돌방무덤을 채용했지만, 고구려가 4세기 후반, 백제도 비슷한 시기에 받은 반면에 신라는 6세기 초에 수용하였다. 그 공백기간 동안 돌무지덧널무덤이 형성되고 크기가 거대해지는 등 전성기를 맞았다.

돌무지덧널무덤은 도굴에 아주 강한 구조이다. 굴식 돌방무덤왕릉이고 뭐고 걸리면 다 도굴당했지만 왕릉급 돌무지덧널무덤은 도굴이 불가능하다. 크기가 워낙 크고 신라 금성 근처에 있어 도굴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었고, 무엇보다 도굴을 한다 치더라도 2중-3중 보호장치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근대 이후의 발달한 도굴기술로도 상당히 무리였다.

만약 어떤 도굴꾼이 왕릉급 돌무지덧널무덤을 털기로 마음 먹었다고 해보자.
  • 몰래 땅굴을 파서 훔치기 - 지하에서 굴을 파면 흙은 막는다 치더라도 돌무더기를 막을 수 없었다. 중간쯤 파들어가면 냇돌 수천 개가 바로 도굴꾼들 머리 위로 떨어져 끔살 확정. 그리고 무덤이 워낙 커서 봉토도 무시할 수 없다.
  • 그러면 지상에서 파기 - 이거야말로 더 답이 없다. 무덤의 크기가 돌방무덤의 최소 2~3배는 돼서, 봉토를 엄청나게 파야 된다. 게다가 봉토층을 다 파내려가면 이번에는 냇돌 수만 개가 도굴꾼들을 맞이한다. 밤에 몰래 판다고 하더라도 돌을 다 치우긴커녕 흙이라도 다 치울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리고 밤새서 신라군에게 잡혀 사형 확정. 신라 시대 이후에도 무덤 주위에 살던 경주 주민들에게 발각당하는 건 당연한 일. 그리고 무덤 도굴은 고려조선이고 일제강점기고 간에 과거에는 중범죄로 간주하여 거의 사형에 처했다.[5]
  • 신라군이 없는 사이 파는 데 성공 - 위협요소가 없다고 치고, 무덤 중심부까지 도착했다고 해보자. 근데 그 중심부엔 부장품이 안 보인다. 그 이유는 목곽이 썩으면서 그 틈으로 돌이 쏟아져 메워버렸기 때문. 돌무지덧널무덤 구조 사진을 보면 중심부에 덧널(木槨)이 있는데, 세월이 지나면 덧널이 썩어 무너지는 구조였다. 그 과정에서 장식품들도 다 돌 밑에 깔려버리기 때문에 돌을 다 치우기 전에는 도저히 안의 부장품을 꺼낼 수가 없다. 현대에도 고고학자들과 발굴팀들도 돌무지덧널무덤을 파려고 엄청나게 고생했다.인력으로 돌 나르기가 힘들어 당시 공장에선만 쓰던 컨베이어 벨트를 발굴현장에 쓸정도였으니....[6]
천마총 전시관 내부. 지상이든 지하든 옛날에 저 돌들을 도굴꾼들이 '몰래' 치우기는 절대 불가능하다.

하지만 돌무지덧널무덤이라고 하더라도 세부적으로는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여기서 도굴이 어렵다고 표현하는 돌무지덧널무덤, 즉 적석목곽묘들은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에 위치하는 지름 40m 이상인 왕릉급들의 이야기이다. 돌을 사용했기 때문에 도굴이 힘든 게 아니라, '무덤도 너무 크고 왕경이라 들키기도 쉬운데, 돌도 너무 많아서 안쪽으로 들어갈 수가 없다.'는 설명이 맞는다.

왕릉급의 적석목곽묘들이야 헤아릴 수 있을 정도지만, 비교적 작은 만만한 적석목곽묘들 또한 매우 많다. 경주 말고도 경상북도 경산시임당동 고분군, 부적리 고분군, 조영동 고분군과 의성군금성산 고분군, 울산광역시중산리 고분군 등등 비교적 대중적으로 마이너하게 알려진 고분군에서도 아주 많이 존재하고 경산시 부적리 고분군 B4호분이나 임당동 고분군 1호처럼 도굴당한 사례가 전혀 없지는 않다. 경주시의 여러 고분들도 도굴 미수까진 당한 적은 여러 번 있다.

3. 역사

3.1. 등장

파일:적석목곽묘 변천도, 이성주.jpg

4세기를 기점으로 신라와 여러 가야들이 점차 구분되면서 각 국마다의 문화적인 특징을 형성했다. 원삼국시대 이래로 목관묘에서 목곽묘로의 변화 과정을 거치던 신라는 가야, 특히 금관국과는 구분되는 형태로 발전했다. 소위 동혈주부곽식 목곽묘라는 것으로 주곽[7]과 부곽[8]을 따로 구분하여 만드는 형태의 목곽묘를 사용하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이후 신라는 4세기 중후엽에 접어들면서 경주시울산, 포항[9] 등지를 중심으로 조금씩 돌을 사용하여 주부곽식의 목곽묘를 사용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적석목곽묘의 형태로 점차 발전하였다.
고구려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는 외래영향설도 있다. 광개토대왕릉비나 영남지역에서 발견되는 고고자료를 보아 신라와 고구려 사이의 교류가 있었던 것이 분명한데 앞서 언듭된 고구려의 장군총과 같은 적석총을 모방하여 적석목곽묘가 성립되었다는 것이다. 특히 앞선 시기에서는 보이지 않고 적석목곽묘와 동시에 등장한 호석[10]이나 목곽 상부를 돌로 봉납하는 상부 적석 등이 동시에 일괄적으로 출현한다는 점에서 누진적인 발전단계를 거쳤다고 보기 힘들다는 이들도 있다.

돌무지덧널무덤의 기원과 형성과정에 대해서는 완전히 정론이다 할 정도의 근거자료가 있는 것은 아니고, 위 도면에서처럼 소위 위석식(圍石式) 돌을 둘러친 형태까지만 확인되기 때문에, 완전한 적석목곽묘와는 약간의 괴리가 있다. 다만 이 위석식 적석목곽묘는 일반적인 적석목곽묘에 비해서 다종다양하고 넓게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였다.

돌무지덧널무덤은 대략 내물 마립간 시기에 형성되었는데, 이 시기는 신라가 중앙집권화를 완성하고 주변 소국을 완전 합병하는 정책을 펼쳤을 때이다. 그 과정에서 신라가 주변 소국보다 강하고 우월하다는 인식을 심어줘야 했는데, 고대 이집트피라미드처럼, 신라도 일부러 무덤을 크게 키워 주변 소국에게 자신들의 힘을 과시했다고 추정한다.

3.2. 소멸

6세기 초부터 돌방무덤 형식을 주로 사용하면서 돌무지덧널무덤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삼국 모두 대형 왕릉을 축조하며 노동력 동원 문제로 공통적으로 골머리를 앓았다. 왕릉 축조에 필요한 자재의 조달과 운반은 국가에 과도한 부담을 줬고, 축조 이후에도 관리를 위한 수묘인이 필요해 지속적인 비용이 들어갔다.

삼국에서도 가장 규모가 컸던 돌무지덧널무덤을 축조한 신라 역시 부담이 컸을 것으로 보인다. 왕과 왕비, 고위귀족 등을 위한 무덤 공사에 노동력이 엄청나게 필요했다. 돌무지덧널무덤의 핵심 자재인 냇돌 구하기도 큰 문제가 되었다. 냇돌은 셰일이나 사암 같은 박리성 암석은 겉모습이 흉해 기피되었고, 둥글둥글하면서 볼 만한 강 근처 냇돌을 갖다 썼다. 이러한 냇돌은 빠르게 고갈되어 1세기만에 냇돌이 부족해져 무덤 축조에 차질이 생겼다.

6세기 초 신라는 대내적으로는 강화된 왕권이 안정화되었고, 대외적으로는 원삼국시대의 수많은 소국들이 사라지면서 왕권과 국력을 과시할 필요가 줄어들었다. 마침 6세기에 왕실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불교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화장(火葬)[11]과 돌방무덤이 전래되었다. 돌무지덧널무덤은 점차 그 수와 크기가 감소하다가 성덕왕 때 완전히 사라졌다. 서악동 고분군을 돌방무덤과 돌무지덧널무덤의 과도기 단계로 추측하는데, 아직 발굴되지 않아 확실히 설명하기 어렵다.

4. 돌무지덧널무덤 목록

5. 관련 문서


[1] 사실 1960년대까지도 무덤이라는 사실이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아서 무덤 옆에 집까지 있을 정도였다. 무덤의 겉모습이 자연물과 비슷하고 무덤이라는 사실조차 잊어버릴 정도로 까마득한 세월이 지난 것이 오히려 도굴 방지에 도움이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2] 동시에 하중을 어느 정도 받는 역할도 수행한다.[3] 목관도 내부에서 설치하는 형태로 조성되었을 수 있다. 어찌되었건 이 설명에서의 하관이라 함은 시신을 안치하는 행위 전반을 잠정적으로 표현한다.[4] 완전히 안 채웠을 수도 있다는 견해도 있다.[5]조선총독부도 무덤 도굴은 무덤 주인이 누구인지에 관계없이 잡아다가 처벌했다.[6] 천마총 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돌무지덧널무덤을 발굴할 때는 위에서 봉토를 없애고 냇돌을 다 치우는 작업을 했다.[7] 시신을 안치하는 공간[8] 부장품을 추가적으로 매납하는 공간[9] 모두 초기 신라의 형성과정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곳이다.[10] 무덤 주위에 돌을 두르는 풍습은 청동기시대까지 올라가지만 이는 묘역을 표시하는 용도이며, 적석목곽묘의 호석은 묘역을 표시함과 동시에 봉분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막는 목적이 있어 좀 더 튼튼하게 지어진다.[11] 실제로 신라의 몇몇 왕들은 화장을 하였다. 대표적인 사례가 문무왕대왕암.[12] 완전 적석목곽묘는 아니고 위석식'석곽묘'라는 것으로 적석목곽묘와 관련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