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323(-1) | 349 | 356 | |
401[A] | 403 | 405 | 410(-1) | 413 | 425 | |
449 | 503 | 509 | 518 | 518-1 | 523 | |
524 | 527 | 564 | 600[A] | 609 | 618 | |
623 | 649 | 650 | 651 | 653 | 655 | |
706 | 708 | 719 | 724 | 726 | 730 | |
750 | 805 | 808 | 814 | 836 | 840 | |
849(-1)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6번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유통단지회차지)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대곡공원) | ||
종점행 | 첫차 | [평일, 토요일] 05:30 / [공휴일] 05:33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30 | 막차 | [평일] 22:19 / [토요일] 22:13 / [공휴일] 22:04 | ||
평일배차 | 15분(일 85회) | 주말배차 | 공휴일: 18분(일 68회) 토요일: 16분(일 76회) | ||
운수사명 | 관음교통 | 인가대수 | 19대[1] | ||
노선 | 유통단지 - 코스트코 대구점 - 경북대북문 - 동대구시장 - 칠성시장 - 경북대학교병원 - 반월당역 - 영남이공대 - 서부정류장 - 본리초교 - 월성2동행정복지센터 - 월성1동행정복지센터 - 진월초교 - 대곡주공5단지[2] - 대곡고교 - 대곡2지구 - 대곡공원 |
중간 출발 정류소 | |
대곡지구 방향 | 반월당역평일, 토요일,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공휴일, 강남약국평일, 토요일, 복현우체국 |
유통단지 방향 | 대명공연거리, 서부정류장역, 월성2동행정복지센터 |
2. 개요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2동 종합유통단지(3)에서 중구 남산1•2동 반월당역(0)을 거쳐 달서구 대곡동 대곡동공영차고지(6)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8.6km.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12번 시절의 모습.(출처 : KBS 9시 뉴스)[3] |
- 1998년 5월 5일 개편 때 번호가 106번으로 변경되었다. 노선 경로도 동본리네거리[6] 대신 구.남중학교(現 해올고교)로 변경되었다.
- 1998년 9월 4일 개편 때 종점이 월성2동사무소를 거쳐 경신교통 차고지에서 대건중.고교로 연장되었다.
- 2006년 2월 개편 때 서부정류장 - 본리네거리 간 직선화 방안이 검토됐으나 최종안에서는 취소되었다. 이 구간은 신설된 651번이 운행하며 또한 인가대수 12대가 감차되었다.
- 2006년 5월 때 808번 금호방면 출신 차량 2대를 증차했다.
- 2007년 8월 개편 때 월성1동행정복지센터와 진천네거리를 거쳐 대곡동공영차고지로 종점이 연장되었다. 달서1번의 대곡지구와 이마트 월배점 연결 기능을 대체한다.[7] '도원네거리 - 대곡주공6단지 - 대곡중/대구교대부설초교' 구간을 왕복 순환하고 종점으로 들어간다. 증차 없이 연장했으므로 평일 배차간격은 10분에서 13분으로 대폭 늘어났다.[8]
- 2015년 8월 1일 개편 때 518번과 중복도가 높아서 폐지할 예정이었으나 노선 변경으로 계획을 수정해 망우당공원 - 반월당역 구간 대신 305번의 유통단지 - 반월당역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망우당공원 - 반월당역 구간은 518번이 대체한다. 노선 번호도 306번으로 변경되었다.[9] 305번처럼 경북대서문앞 정류장은 무정차한다. 운행 회사는 이전처럼 동일하게 관음교통에서 단독 운행한다.
- 2016년 3월 18일부터 경북대서문앞 정류장도 정차한다.
- 2016년 12월 막차 시간 연장으로 대곡 방향 중간종료들[10]을 추가했다.
- 2017년 1월 21일 개편 때 대곡지구 순환 구간을 기업은행대곡지점 - 대곡주공5단지 - 대구진월초등학교 구간으로 변경하였다.
- 2018년 5월 4일 개편 때 대곡주공6단지 - 교대부설초등학교 - 대곡주공8단지 구간 대신 대곡고교 - 대곡2지구3단지 - 대곡공원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종점 정류장은 대곡주공9단지 서쪽에 신설된 대곡공원 정류장이다. 평일 배차간격은 14분에서 15분으로 늘어났다. 대곡주공5단지 중간종료도 추가했다.
- 2023년 2월 18일부터 대곡공원 방면 막차의 유통단지 출발 시간이 22시 45분에서 22시 30분으로 변경되었으며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4. 특징
- 한때는 월성지구에서 동성로로 가는 둘뿐인 노선이었다. 306번으로 개편된 이후에는 반월당역에서 동성로 대신 경북대학교병원을 경유하게 되면서 해당되지 않는다.
- 노선 역사와 승객 이용 패턴은 크게 세 부분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는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연장했던 '대곡지구 - 월성지구 - 본리네거리' 구간이다. 굴곡 구간이므로 단거리 수요가 대부분이며, 학생 수요가 제법 많다.[13] 두 번째는 구 12번 시절부터 꾸준히 운행하는 '본리네거리 - 반월당역' 구간이다. 이 구간 내에서 서부정류장역 환승 수요와 시내를 오가는 수요가 많다. 세 번째는 舊 305번이 운행했던 '반월당역 - 종합유통단지' 구간이다. 舊 305번 승객들이 넘어온 정도다.
- 舊 305번 시절과 비교하면 경북대생 수요는 조금 줄어들었는데 舊 305번은 경북대~반월당 수요뿐만 아니라 성서 거주 경북대생 수요도 많았기 때문. 306번이 되면서 월배 지역과 경북대학교를 이어 주지만 월배 지역 거주 경북대생들에게 존재감이 없다. 배차간격이 길고[14] 신월성과 본리초등학교 굴곡이 있으므로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15] 다만 경북대를 반바퀴 끼고 도는 것에 더해 건재한 지하철 환승수요와 긴 배차간격이 어우러져 등하교 시간 반월당~경북대 구간은 여전히 복잡하다.
- 장기 정차는 유통단지에서 한다.
- 관음교통이 단독 배차하므로 대곡 방향 종료 차량 공차거리가 상당하다. 특히 306번은 649번과 더불어 기점 출발-기점 종료, 종점 출발-종점 종료 순번이 대부분이므로 6권역 업체가 필히 참여해야 한다.
- 706번의 구 번호가 306번이었기 때문에 이 노선을 간혹 706번으로 오해하는 사람들도 있다.
- 대곡2지구에 가장 먼저 진입한 노선이다.[16] 단점은 굴곡도가 심화된 것이다. 106번 때부터 지선 성격이 강한 간선이었는데 갈수록 지선화가 심해지고 있다. 기존 남도버스 종점에서 대곡2지구를 거쳐 유통단지로 가는데 큰 도로가 아닌 왕복2차로 한실로6길을 거쳐 제일풍경채에 정차한다.[17]
- 왕복 길이가 48.6km이지만 노선 길이에 비해 운행시간이 제법 길게 나온다. 시간표상으로 2시간에서 2시간 20분 정도인데, 왕복 길이가 비슷한 북구3번은 운행시간이 시간표상으로 1시간 30분에서 1시간 40분 정도이며, 왕복 길이가 62.9km인 649번은 운행시간이 시간표상 2시간 정도다. 다른 노선들에 비해 경북대, 경대병원, 월성동, 진천역 등의 정체구간을 유독 많이 거치고, 좌우회전 신호를 많이 받고, 굴곡도가 높기 때문이며, 전술하다시피 대곡공원~월성지구~본리네거리 구간은 사실상 지선버스의 선형에 가까운데 이 구간 때문에 306번의 평균 운행시간이 왕복 길이에 비해 많이 나오는 듯 하다. 대곡공원~서부정류장 구간의 운행시간이 시간표상으로 1시간에 육박한다.
- 대명공연거리 - 월성e-편한세상 구간은 651번과 겹치는 구간이다. 다만, 651번은 서부정류장-본리네거리 구간을 직선으로 잇지만 306번은 북쪽으로 많이 돌아가니 해당 구간을 지나게 된다면 651번이 10분가량 더 빠르다.
306번 651번
- 개편 전 스티커 행선판은(106번) 망우당공원 ← 한일극장 → 대곡지구, 망우당공원 - 국채보상공원 - 반월당 - 대곡지구 였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106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9,751명 | - |
2015년 | 8,747명 | ▽ 1,004 |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6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6년 | 9,161명 | △ 414 |
2017년 | 8,793명 | ▽ 368 |
2018년 | 7,956명 | ▽ 837 |
2019년 | 7,925명 | ▽ 31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6,290명 | ▽ 1,635 |
2022년 | 6,676명 | △ 386 |
2023년 | 7,322명 | △ 646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칠성시장역, 반월당역, 명덕역, 현충로역[18], 안지랑역, 대명역, 서부정류장역, 진천역[19]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경대병원역[20], 반월당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명덕역, 남산역[21]
6. 둘러보기
대구 월배 연계 버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고령 | 606 |
경북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산격캠퍼스 | ||||
정문 동문 | 410-1 | 503 | 937 | 동구2 | |
북구2 | |||||
북문 제2북문 | 급행6[정차] | 300 | 306 | 410-1 | |
523 | 706 | 719 | |||
서문 | 급행6 | 순환2-1 | 300 | 304 | |
306 | 323-1 | 403 | 410-1 | ||
523 | 623 | 706 | 719 | ||
체육관 | 300 | 306 | 323-1 | 410-1 | |
523 | 706 | 719 | |||
쪽문 | 순환2-1 | 306 | 403 | 503 | |
동구2 | |||||
테크노문 | 순환3-1 | 323-1 | 410-1 | 413 | |
719 | 836 | 937 | 북구1 | ||
북구2 | |||||
상주캠퍼스 | |||||
시내버스 | 500번대 | 610번 | |||
시외버스 | 김천 ↔ 안동 | 대구북부 ↔ 점촌 | 동대구 ↔ 점촌 | 청주 ↔ 안동[미정차] | |
[정차] : 북문만 정차, 제2북문 미정차 [미정차] : 상주종합버스터미널 미정차 |
영남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산캠퍼스 | ||||
정문 | 309 | 449 | 509[동문] | 609 | |
649 | 719 | 840 | 909 | ||
980 | |||||
100[가지1] | 109 | 399[가지2] | 803 | ||
809 | 911 | 918 | 990[가지3] | ||
991 | 경산1-1 | 경산3 | 압량1 | ||
동문 | 309 | 509 | 609 | 719 | |
980 | 991 | ||||
후문 | 509[소라] | 100 | 109 | 990 | |
경산1-1 | 경산2-1 | 남산1 | 남산2[정평역] | ||
용성1[정평역] | |||||
시외버스 | 경산 ↔ 포항 | 경산 ↔ 울산 | |||
대구캠퍼스 | |||||
대구고등학교 | 349 | 405 | 410-1 | 503 | |
649 | |||||
영대병원역 | 564 | 남구1-1 | 순환3-1 | ||
영남이공대학교 | 300 | 306 | 518 | 651 | |
달서4-1 | |||||
[동문]: 영남대 동문 방면 [가지1]: 윤성A-삼주A 가지 노선 한정 [가지2]: 자인~마곡 가지 노선 한정 [가지3]: 가일~서문시장~자인 가지 노선 한정 [소라]: 소라아파트 방면 [정평역]: 정평역 지원 운행 한정 |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효성캠퍼스 | 급행5 | 518-1 | 708 | 808 |
814 | 840 | ||||
803 | 809 | 818 | 818-1 | ||
911 | 진량1 | 진량2 | 하양-와촌1 | ||
하양2 | 와촌2 | ||||
55 | 555 | ||||
동대구-포항(국도)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루가캠퍼스 | 급행6 | 순환3-1 | 503 | 609 | |
618 | 623 | 650 | 706 | ||
805 | 836 | 남구1-1 | 서구1-1 | ||
606 | |||||
유스티노캠퍼스 | 순환2-1 | 204 | 300 | 304 | |
306 | 349 | 405 | 410-1 | ||
503 | 509 | 518 | 609 | ||
649 | 650 | 651 | 706 | ||
805 | 808 | 836 | 남구1-1 | ||
동구2 | |||||
606 |
[1] 토요일 17대 / 공휴일 15대 운행[2] 밑줄 친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3] 사진 차량은 관음교통 소속 대구 5 자 3401호 1990년식 BS105. 여담으로 지금 3401호도 306번에서 운행중이다.[4] 지금 이 자리는 달서유림노르웨이숲이 들어섰다.[5] 1980년대 고정 배차 당시 12번 노선은 우진교통, 경신교통, 대경교통이 운행했다. 비슷한 좌석버스는 518번의 전신인 구 312번이었다.[6] 12번 시절에는 현 518번처럼 서부정류장에서 동본리네거리까지 와서 우회전한 후 성당주공아파트(현 성당래미안아파트)와 대구본리초등학교를 거쳐서 본리동 종점으로 갔다.[7] 달서1번은 연장 이후에도 이마트 월배점 구간을 경유하기는 하지만, 비둘기아파트로 멀리 돌아간다. 차라리 걸어가는 게 더 빠르다.[8] 관음교통에서 감차할 만한 노선이 없었다. 719번은 관음교통 참여 노선 중 가장 수요가 많았고, 금호행 808번 인가대수는 당시에 대구대행 인가대수보다 적었다.[9] 1998년 개편 직후 101번과 111번 폐지로 17년만에 본리네거리~칠성시장 직통 노선이 부활한 셈이다.[10] 대구시설공단, 대명공연거리(당시 정류장 이름은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이었다.)[11] 이 노선이 다니는 본리네거리 근처 덕인초교나 달서구치매안심센터 정류장은 교통 오지 지역이다. 달서4(-1)번마저 노선 개편으로 현대백조아파트와 감천네거리로 돌려서 306번과 성서2번만 남았으나 급행8번이 서대구역까지 연장되며 달서구치매안심센터 정류장에 정차한다.[12] 그 외에 진천로를 경유하는 노선은 이마트 월배점에 정차하는 609번과 623번, 진천네거리에서 진천남네거리로 편도 운행하는 성서1(-1)번과 공차회송으로 다니는 급행8-1번뿐이다.[13] 대곡고, 월서중, 학산중 등등[14] 305번 시절에 비해 6분가량 늘었다.[15] 이들은 급행6번이나 706번, 또는 지하철을 탄 뒤 버스로 환승하거나 신천역에서 내려서 스쿨버스를 탄다.[16] 306번 대곡2지구 진입 배경은 두드리소 답변 내용에 따르면 대곡지구 노선들 가운데 대곡지구 수요가 가장 적었다는 이유로 변경했다.[17] 대곡2지구는 신도시이지만 버스가 손님들을 택시처럼 아주 모시러 가는 수준으로 경로를 짜놨다. 정류소 위치를 북동쪽으로 이설해도 문제 없다. 좁은 도로에 간선버스를 넣은 것이 문제인 것이다.[18] 대구교통방송 정류장[19] 이마트월배점 또는 진천청구타운 정류장[20] 경북대학교치과병원/경대사대부설고등학교 정류장[21] 대명공연거리(대곡방면), 남산역(프린스호텔)(유통단지방면)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