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03:23:06

기성역

기성신호장에서 넘어옴
기성역
부전 방면
평 해
← 7.4 ㎞
강릉 방면
울 진
22.1 ㎞ →
동대구 방면
영 덕
← 43.6 ㎞
동대구 방면
평 해
← 7.4 ㎞
강릉 방면
매 화
10.9 ㎞ →
역명 표기
동해선 기성
Giseong
箕城 / [ruby(箕城, ruby=キソン)]
주소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 535-3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607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울진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운영 기관
동해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동해선 2025년 1월 1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파일:누리로 백색 로고.png
승강장 구조
1면 3선 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동해선
기 성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4. 연계 버스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기성역사.jpg
기성역사
동해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 535-3 소재.

2. 역 정보

초기에 1면 3선에 지상 1층 규모로 건설되며, 차후 2면 5선까지 확장되는데, 적정수요에 따라 주차장을 추가로 확보할만한 공간까지 조성을 해뒀다.

진입로는 두 곳으로, 북측은 정명리 656-14번지에 새로 만들어지는 교차로에서, 남측은 기성교차로에서 새로이 만들어져 진출입할 수 있다.

2025년 1월 1일 동해선 영덕-삼척 구간이 개통하면서 영업을 개시하였다.

이 역이 개통하면서 종전까지 대한민국 최동단역이던 영일만항역을 제치고 남한 최동단 철도역 타이틀을 가져왔다.[1] 여담으로 경도평해역과 겨우 0.02 차이가 나며, 거리로 환산 시 평해역보다 150m 동쪽으로 치우쳐있다. 따라서 평해역은 기성역 다음으로 최동단에 위치한 역이다.

2.1. 승강장

평해
1 2
매화
1·2 동해선 파일:ITX-마음 BI.svg 강릉·동해·부전 방면
파일:누리로 BI.svg 강릉·동해·동대구 방면

3. 역 주변 정보

가까운 곳에 울진비행훈련원(옛 울진공항)이 있다.

4. 연계 버스

기성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노선
정명리 (3720696)
평해→이평
[2]
이평→평해
[3]
평해→기성
평해→울진
정명리 (3720697)
평해→이평
[4]
정명리 (3720698)
평해→이평
[5]
정명리 (3702699)
이평→평해
[6]
기성→평해
울진→평해
근거리에 정명리 버스정류소가 있지만 역과 정류소 사이를 7번 국도(동해대로)가 가로막고 있어 북쪽으로 10분 정도 돌아가야 한다.
실제 푯말이나 벤치 등 시설이 있는 정류소는 3720696과 3720699 두 개이며, 나머지 두 개는 삼거리에서 정식 정류소에 도달하기 전에 좌/우회전해야 하는 이평리 경유 노선들을 위한 보조 정류소이다.

5. 둘러보기

동해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여객영업 X,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동해선 광역전철만 정차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최극단 철도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실효통치지역 미수복지역 포함
최북단 제진역[1]
백마고지역[2]
세선역
최남단 여수엑스포역[3]
최동단 기성역 두만강역
최서단 목포역 룡암포역
최고점 추전역 북계수역
최저점 여의나루역[4]
김포공항역(서해선)[5]
영광역[6]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선로가 북쪽으로만 나 있어 영업중지 상태이나 2027년 남쪽으로의 동해선 철도가 완공 예정이다.[2] DMZ-train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2025년 8월까지 실질 운행역 기준으로는 연천역이다. 단, 13번 버스로 접근은 가능하고 2025년 8월 무궁화호 투입 예정이다. 경원선 복원 시 월정리역이 최북단 역이 되겠으나 남북관계가 극도로 나빠져 사업 진척이 아예 없어 제진역이 먼저 될 가능성이 높고 위도도 제진역이 훨씬 높다.[3] 2025년 6월 남해선 개통 시 강진역이 최남단 역이 된다.[4] 해발고도 기준이다. 2029년 서울 7호선 청라국제도시역 개통 시 청라국제도시역이 최저점 역이 된다.[5] 지표면 기준이다.[6] 단 북한 정권에서 공식적으로 이 역의 깊이를 발표한 적은 없다.
}}}}}}}}} ||


파일:울진군 CI.svg 울진군 교통체계
<colbgcolor=#223e99> 철도 동해선 후포역, 평해역, 기성역, 매화역, 울진역, 죽변역, 흥부역
도로 국도 7번 국도, 36번 국도, 88번 국도
지방도 69번 지방도, 917번 지방도, 920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울진군 농어촌버스, 울진종합버스터미널, 부구터미널
경상북도의 교통



[1] 또한 기성역보다 더 동쪽으로 계획되었거나 구상중인 철도 노선이 현 시점으로 없기 때문에 이 기록은 앞으로도 깨질 일은 없을 것이다. 한반도 전체로 범위를 넓히자면 최동단역은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역인 두만강역이다.[2] 평해→정명리→기성정류장→이평리[3] 이평리→정명리→기성정류장→평해[4] 평해→기성정류장→정명리→이평리[5] 평해→정명리→이평리(기성정류장 미경유)[6] 이평(→기성정류장)→정명리→평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