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4:39:12

금융결제원

금결원에서 넘어옴
🏛️ 금융기관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10A04,#f5e4d5
<colbgcolor=#a9a9a9,#565656> 국제
금융기구
<colbgcolor=#d3d3d3,#2c2c2c> 국제통화기구 국제통화기금(IMF)
다자개발은행 세계은행(WB)(국제부흥개발은행(IBRD) · 국제개발협회(IDA)) ·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 아시아개발은행(ADB) ·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기타 국제결제은행(BIS) · 녹색기후기금(GCF)
중앙은행 한국은행(BOK) · 연방준비제도(Fed) · 중국인민은행(PBC) · 중화민국중앙은행(CBC) · 유럽중앙은행(ECB) · 독일연방은행(BBk) · 프랑스은행(BDF) · 영란은행(BOE) · 일본은행(BOJ) · 러시아연방중앙은행(ЦБ РФ)
국가(산하)기관 금융위원회(FSC) · 금융정보분석원(FIU) · 금융감독원(FSS) · 금융결제원(KFTC) · 예금보험공사(KDIC) · 우체국예금
지주회사 금융지주회사
회계법인 세계 4대 회계법인(딜로이트 · EY · KPMG · PricewaterhouseCoopers), 일반 회계법인
거래소 한국거래소(KRX) · 한국금융투자협회(KOFIA)
청산소 금융결제원
제1금융권 은행(지방은행 · 인터넷전문은행) · 농협은행(NH) · 수협은행(Sh)
제2금융권 금융투자회사 증권회사, P2P금융, 자산운용사, 선물회사, 신탁회사, 종합금융회사(단자회사), 투자자문사, 투자은행, 헤지 펀드, 사모 펀드, 창업투자회사,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부동산투자신탁, 인프라투자신탁
보험회사 생명보험사, 손해보험사, 재보험사, 공제조합, 법인보험대리점
여신전문
금융회사
신용카드사, 리스사 · 할부금융사, 신기술금융사, 선박금융사
상호금융 농·축협(NACF) · 회원수협(NFFC) · 신협(CU) · 산림조합(NFCF) · MG새마을금고(KFCC) · 상호저축은행
기타 사금융(제3금융권) 사채(일수), 유사수신업체, 전당포
}}}}}}}}} ||

<colbgcolor=#a9a9a9,#565656><colcolor=#ffffff> 금융결제원
金融決濟院
Korea Financial Telecommunications and Clearings Institute
파일:금융결제원 로고.svg
설립일 1986년 6월
설립 목적 원활한 자금결제와 정보유통, 금융전산망 구축
원장 박종석
주소 본관: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432 (역삼동)

분당센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213번길 9 (정자동)
대표 전화번호 1577-5500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1]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2]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3]

1. 개요2. 업무3. 역사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금융결제원.jpg
금융결제원 분당센터 전경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432 (역삼동) 소재.[4] 은행 간 소액 지급결제 인프라인 금융공동망을 운영하고, 은행/보험/신용카드용의 개인용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와 금융인증서 발급 및 관리를 수행하는 비영리단체이다.

민법 제32조에 의해 출범된 사단법인이다. 공공기관일 것 같지만, 은행들이 출자하여 설립한 민간 기업으로 공공기관이 아니다. 하지만 관치금융제도를 택한 금융환경과, 한국은행이나 금융위원회의 강한 영향력 아래에 놓여 있는 점[5] 등으로 인해 공기업 성향이 짙고, 특히 취업시장에서는 공기업으로 묶여서 불린다. 공공기관처럼 국민신문고에서 금융결제원에 민원제기도 가능하다. 때문에 사실상 정부에서도 공기업으로 분류하는 듯 하다.

대국민 업무가 적기 때문에 인지도가 낮지만 복수의 은행의 자금흐름을 중개하는 중요도가 높은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국가기반 시설로 지정되어 있다.

2. 업무

주요 업무로는 은행 간 자금 흐름을 중개하는 전자금융 공동망, CD 공동망, 타행환 공동망, 인터넷 지로, 공인인증, 전자수입인지 등이 있다. 간혹 소규모 신용카드 가맹점에서는 금융결제원을 VAN사로 쓰기도 한다.[6] 그리고 UbiTouch뱅크월렛를 주관하고 있었으며[7], 직불카드 전산망, ExK 국제현금망, K-Cash를 관리한다. 또한 법무부장관령에 따라 금융결제원은 수표와 어음을 처리하는 어음교환소로 기능하고 있다.

국제현금카드용 해외 ATM망인 ExK를 금융결제원에서 주관하긴 하는데, 문제는 ExK가 존재감이 영 없는 데다가 ExK를 지원하는 은행과 서비스 지역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 미국, 태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에서만 ExK의 인출망을 사용할 수 있지만, ExK는 네트워크 수수료를 안 받는다는 장점이 있다. ExK는 신한은행, 우리은행, 한국씨티은행, 하나은행에서만 지원하며, 그 중 신한은행한국씨티은행[8], 하나은행에서만 ExK 현금카드가 나오고 우리은행우리카드우리ONE 체크카드에 ExK가 달려서 나왔다. 나머지 은행들은 시스템 구축 비용과 제휴 비용을 이유로 ExK 제휴를 꺼리고 있다. 더욱이 한국씨티은행이 소매금융에서 철수하고, 신한은행이 2022년 3월에 ExK 제휴카드 발급 중단을 선언했으며, 우리카드도 2024년 10월 7일에 ExK 체크카드를 단종해서 하나은행만 남게 됐다.[9]

금융덕들에게는 지점 코드를 조회하는 곳으로 유명하며, 예전에 영업했다가 폐쇄한 지점의 코드와 주소도 나온다. 금융결제원 홈페이지에서 금융공동망 코드를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특이한 계좌번호를 얻고 싶다면 여기 방문이 필수. 하지만 2015년 3월부터 이놈의 대포통장 때문에 계좌개설 조건이 까다로워지면서, 주소지 인근 지점이 아니면 발급해 주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 짓은 하기가 어렵게 됐다.

Bankpay라는 계좌이체 플러그인을 개발하여 주관하고 있으며, 몇몇 사이트에서 계좌이체할 때 이 플러그인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곳이 코버스와 코레일)

가끔 카드단말기 제조사의 전화번호를 변경 전의 전화번호로 알려주는 병크를 저지르기도 한다. 이게 심각한 문제인데, 점주 입장에서는 카드단말기에 RFID/NFC 패드를 켜는법이나 업데이트 후 간편결제 지원이 되는지 알아야되는데 없는 전화번호라고 나오면 부도가 난걸로 생각하기 때문이다.[10][11][12]

뜬금없게도 2023년 10월 전후로 EMVCo코나아이 다음으로 TSP로 등록되었다. 코나아이는 TSP 목록에서 사라졌다. 금융결제원은 카드 인프라 관련 사업을 영위하며, 애플페이 등 간편결제 관련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EMV TSP로 등록을 추진한 바 있다고 밝혔다.[13]

3. 역사

(1) 금융결제원의 출발 ▷ 1910년부터 시작된 어음교환 업무
  • (업무연혁) 1910년 탁지부대신(당시 재무부) 인가를 받아 설립(임의단체)된 경성수형교환소를 모태로 함
  • (법적근거) 1917년 조선민사령에 따라 경성수형교환소 지정 및 1963년 어음법·수표법 시행에 따라 어음교환소 지정(서울어음교환소 등 14개 어음교환소)
  • (업무규정) 어음교환소 규약(1910) → 금융결제원 정관 및 업무규약
  • (법인격 취득) 1984년 전국어음교환관리소로서 독자적인 법인격(사단법인) 취득
 
(2) 금융결제원의 변천사 ▷ 3단계로 확대·발전
  • (1단계) 독자 운영(1910~1975)
    • 임의단체
    • 별도 의결기구 운영
  • (2단계) 통합 운영(1975~1984)
    • 은행집회소(사단법인)와 통합
    • 단일 의결기구
  • (3단계) 분리 및 확대 운영(1984~)
    • 법인격(사단법인) 취득(1984)
    • 은행지로관리소 통합(1986)
 
(3) 금융결제원의 핵심기능 ▷ 시대별 주요 지급거래에 대한 ① 결제망 운영 및 ② 청산
  • (지급수단의 변천) 경제·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주요 지급수단은 어음, 지로, 계좌이체 순으로 변화
  • (금융결제원 역할) ① 은행 간 지급거래(어음, 지로, 계좌이체)를 중계하고(결제망 운영), ② 그에 따른 다수의 채권, 채무를 차감하여 결제금액을 확정하는 청산 역할을 수행(기능의 본질은 불변)

4. 관련 문서


[1] 금융결제원 공식 홈페이지[2] EXK (국제현금카드용 해외 ATM)[3] 금융결제원 공식 유튜브 채널[4] 한국은행 강남본부와 같은 건물을 쓰며, 이 곳에는 한은 본점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원화 발권을 담당하는 한은 발권국도 6년 정도 입주해 있었다. 그 기간 동안에는 해당 건물에서 원화 실물통화와 예금통화 관리가 모두 이루어졌던 것.[5] 한국은행한국은행법에 따라 국내은행간 결제 환경을 조정, 감시 및 지원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6] 이때 브랜드는 뱅크포스. 후솔하겠지만 대리점이나 고객센터가 병크를 저지르기도 한다.[7] 지금은 HCE 모바일현금카드를 주관하고 있다.[8] 반드시 신청서에 "ExK"를 체크해야 한다. 발급 수수료는 없었다.[9] 하나은행 창구에서만 발급이 가능하므로 발급을 원한다면 옛 서울은행 지점 중 자재가 남아있는 곳을 찾아가야 한다고 한다. 거의 없는 거나 마찬가지다.[10] 물론 진짜로 부도가 난 경우는 제외. 이러면 단말기를 신형으로 교체받아야 한다. 대부분 이런 단말기는 무약정으로 제공하기에 교체하기가 쉽다.[11] 지방 대리점의 경우 진짜로 부도난 제조사의 단말기를 주는 경우가 많다. 만약 Google 등지에서 사명을 검색했을 때 20년이 넘은 것같은 오래된 웹 페이지가 결과에 표시된다면 100% 확률로 부도난 제조사니 정중히 교체를 요구하자. 계속 사용할경우 서비스센터가 몇년동안 유지된다고 해도 부품재고가 전부 소진되면 영업을 종료하기 때문에 수리할지도 못하는 상황이 펼쳐질수 있다. 남아있는 중고 제품을 구해서 교체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게 얼마나 갈지도 모른다.[12] 대표적인 예시로 인포크립트가 있다. Internet Archive에선 2018년 9월까지 공식 웹 페이지가 아카이빙되어 있다. 폐업한 날짜는 2018년 6월 30일 이며 info-330을 2014년에 출시하고난 뒤 자금사정으로 RFID부를 탑재한 모델을 준비하지 못한 듯하다.[13] 이런 사유로 차후 KLSC의 TSP로 지정될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