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3 14:50:31

권성덕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본명이 권성덕인 여행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부오나세바]]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부오나세바#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부오나세바#|]]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본명이 권성덕인 여행 유튜버: }}}[[부오나세바]]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부오나세바#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부오나세바#|]]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fff,#000><colcolor=#000,#ddd> 권성덕
權成德|Kwon Sung-deok
<nopad> 파일:배우 권성덕.jpg
출생 1940년[1] 8월 17일
일본 제국[2]
사망 2024년 10월 13일 (향년 84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본적지 전라남도 나주군 영산포읍 대기리[3]
묘소 불명
본관 안동 권씨[4]
부모 어머니 윤영례[5]
형제자매 5남매 중 맏이
배우자 이명자(1944년생, 1968년 결혼 ~ 2024년 10월 13일 사별)[6]
자녀 아들 권기흥, 권영주[7], 딸 권현주
학력 영산포국민학교[8] (졸업)
균명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문리과대학 (연극영화학 / 중퇴[9])
한국예술종합학교 (최고경영자 문화예술과정 / 수료)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CEO 사진최고위과정 / 수료)
종교 개신교
데뷔 1965년 '연극'
활동 배우 | 1961년~2024년
관련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0]

1. 개요2. 배우 활동3. 사망
3.1. 반응
4. 주요 출연작
4.1. 드라마4.2. 영화4.3. 연극
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배우.

원래는 연극 배우였으며, 유튜브에 이름을 검색하면 그가 출연한 연극 영상들을 볼 수 있다. 아래의 로물루스 대제 인터뷰 외에도 여러 인터뷰도 나와 있는데, 6년 전 어느 연극 관련 인터뷰에서는 나이가 들더라도 사회 초년생처럼 살고 싶다는 생각을 밝혔다.

2. 배우 활동

야인시대, 영웅시대, 서울 1945 등을 통해 이승만 전문 배우로 잘 알려져 있다. 실제로 제1공화국에서 이승만을 연기한 최불암과 비교하면 이승만과 외모가 흡사하다.[11] 흥미롭게도 이승만으로 출연하기 이전의 드라마 무풍지대삼김시대에서는 이승만의 최측근이었던 이기붕으로 출연하기도 했으니 자유당 전문 배우이기도 하다. 그리고 야인시대 합성물의 영향으로 이렇게 합성 요소로 나오곤 한다.

야인시대 출연 당시 최초로 노년 이승만 성대모사를 했던 성우 구민의 연기를 모델로 삼아 연기했었으나 이승만의 양자 이인수의 부인인 조혜자[12]가 촬영장에 방문하여 "이승만 대통령은 늘 자상하고 부드러운 분이었는데 당신의 연기는 깡패같다"라고 말해서 민망했다고 한다.[13] 그렇다고 느리고 부드럽게 대사를 했더니 연출로부터 "그렇게 연기하면 안 된다"라는 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실존 인물보다는 드라마의 캐릭터에 따른 연기를 해야했기에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었다.

이전에는 청람 정구영제3공화국, 제4공화국 등에서 두 번 연기했다. 현대극에서는 2010년대부터 높으신 분들, 그 중에서도 재벌 회장을 주로 연기한다.

2014년~2015년 전설의 마녀에서는 김수미의 소개팅남인 보청기 할아버지 김덕구로 연기함으로써 김수미와 개그파트를 담당했다.

2016년 연극 햄릿에 출연하다가 식도암으로 하차하였다. 2017년 8월에 새로 뮤지컬에 출연했고 연극 고문을 맡거나 공식 석상에도 자주 모습을 비치는 것을 보면 상당히 회복되었다. 다만 후유증 탓인지 야인시대 때의 모습과 비교하면 살집이 빠지고 왜소해진 티가 뚜렷하다. 그는 60대까지 살집이 있는 이미지의 중노년배우였다. 물론 야인시대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살이 빠지다 못해 수척해져서 생전의 이승만과 더 닮아졌다.[14] 실제로 2021년 7월 야인시대에서 오상사 담당배우였던 라재웅의 유튜브 채널인 오상사가간다에 이기붕 담당배우인 이인철과 같이 출연#, 야인시대 때는 머리만 하얗지 젊었었다며 지금 모습으로 연기를 하면 더 비슷하게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15] 이 생방송에서 권성덕은 이승만을 높게 평가하며 이승만을 너무 폄하하는 일부 진영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내었다. 특히 이승만을 폄하하고 김구를 숭상하는 세력에 대해서는, 야인시대에서 했던 대사를 인용해 김구가 너무 순수하게 이상적이었다며 별로 좋게 보지 않는다고 평했다. 이강석에 의한 일가족 자살 사건에 대해서는 깊이 안타까워하며 요즘 시대에 그런 인물이 있겠냐고 발언, 그를 주인공으로 한 문학작품이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16]


영상 중간 1분 37초 부분을 잘 보면 무풍지대의 김영삼, 야인시대에서 이기붕 역을 맡았던 배우 이인철도 보인다.

윗 영상에서 건강이 허락하는 한 다시 열심히 할 것이라는 본인의 말처럼 만 79세의 나이에도 2019년에는 야인시대에 최동열 기자 역으로 나왔던 배우 정동환과 함께 연극 <우리가 서로 알 수 없었던 시간>에 출연하였으며 2020년에는 영주시에서 뮤지컬 <죽계별곡>에 출연했고 2021년에도 연극무대에 오르는 등 연기 인생을 이어나갔다.

3. 사망

2024년 10월 14일 오전, 그의 부고 소식이 전해졌다. 사인은 식도암으로 오랜 투병 끝에 결국 사망했다. # 발인은 10월 16일 오전 9시.

3.1. 반응

야인시대에서 이승만 역을 맡아 훌륭한 연기를 했고 밈으로도 젊은 층에게도 알려진 배우였기에 차커[17], Wall Su[18], Retions[19], 껨천, 이테루타 등 합성물 유튜버들이 애도를 표했다.

야인시대 오상사 역의 라재웅 또한 본인의 유튜브 커뮤니티에 추모글을 올렸다.#

특히 죽기 전까지도 큰 병을 얻었음에도 연기자로써의 삶을 계속 이어나간 의지를 보여주어 인간으로써도 존경받는 배우였기에 사망 소식에 많은 이들이 안타까워 했다.

4. 주요 출연작

4.1. 드라마

4.2. 영화

4.3. 연극

  • 우리가 알 수 없었던 시간
  • 햄릿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연극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제11회
(1975년)
제12회
(1976년)
제13회
(1977년)
김동원
(남한산성)
김동훈
(심판)
권성덕
(함성)
정현
(한네의 승천)
이대로
(그날밤은 아무런 변화도 없었다)
이호재
(페르퀸트)

파일:옥관문화훈장 약장.png
옥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84
이매방
국가무형유산 승무,
살풀이춤 보유자
1987
강수연
배우
1988
김송
소설가
1988
유현목
영화감독
1991
김희조
작곡가
1992
구봉서
희극인
1992
금수현†
작곡가
1992
김길봉
향토문화인
1992
김학수
화가
1992
도동환
영화인
1992
오승우
화가
1992
윤장섭
건축가
1992
이인표
기업인
1992
천혜봉
서지학자
1992
황금심
가수
1995
금난새
지휘자
1995
박춘석
작곡가
1995
고성현
성악가
1998
고운봉
가수
1999
안숙선
국악인
2000
최민식
사진작가
2001
권성덕
연극인
2001
마에다 켄지
영화감독
2001
박형진
문화원장
2001
송대관
가수
2001
유광열
도예인
2001
장석웅
건축가
2001
주남철
건축가
2001
하춘화
가수
2002
김민태
국악인
2002
김혜식
예술종합학교 무용원장
2002
명계남
배우 겸 제작자
2002
문소리
배우
2002
문장호
화가
2002
서경선
작곡가
2002
신응수
대목장
2002
이명동
사진작가
2002
이배구
출판가
2002
이성강
애니메이션 감독
2002
임동진
배우
2002
장세건†
만담가
2002
최완귀[1]
시나리오 작가
2002
조방헌[2]
가수
2002
황일인
건축가
2003
구희서[3]
연극평론가
2003
김기덕
영화감독
2003
김숙자†
국가무형유산 살풀이춤 보유자
2003
김춘옥
화가
2003
박노을
온양문화원장
2003
박행보
화가
2003
배만금[4]
가수
2003
안종만
출판가
2003
윤승중
건축가
2003
이장호
영화감독
2003
이토 아비토
문화인류학자
2003
진성기
제주민속박물관장
2003
최은순
국가무형유산 매듭장 보유자
2004
강영중
기업인
2004
김기찬
사진작가
2004
김정동
고건축학자
2004
성백엽
애니메이션 감독
2004
우제길
추상화가
2004
이정호
애니메이션 제작자
2004
정석진
문화원장
2004
최기영
대목장
2004
최민식
배우
2004
태덕수
탈춤연구자
2004
한용희
작곡가
2005
권창륜
서예가
2005
김규원[5]
무용가
2005
김태원
문화원장
2005
박기정
만화가
2005
오윤
판화가
2005
조남식
문화원장
2006
강상수[6]
가수
2006
김준섭
서예가
2006
김태근
연극연출가
2006
백락구
문화원장
2006
이병훈
PD
2006
이정일
출판가
2006
임남곤
문화원장
2007
고두심
배우
2007
김상옥[7]
불교인
2007
오기수
건축가
2007
위황량
장흥문화원 이사
2007
전도연
배우
2007
정재만
전통무용가
2007
정재욱
문화원장
2007
카네코 카즈시게
일본 아시아민족조형문화연구소장
2007
파트리스 드 라 페이에
미술평론가
2007
한창조
조각가
2008
김산호
만화가
2008
김윤철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2008
김준식
문화원장
2008
박만식[8]
불교인
2008
박주환
한국화랑협회 회장
2008
안선재[9]
서강대 명예교수, 번역가
2010
김동학
국가무형유산 전통장
2010
박춘석†
작곡가
2012
박재상[10]
가수
2012
이무호
서예가
2012
이정진
배우
2012
조민수
배우
2015
정재도
한글학자
2019
송강호
배우
2021
백영규
도예가
2024
이문세
가수

[1] 필명 최인수[2] 예명 태진아[3] 필명 구히서[4] 예명 배호[5] 예명 김성일[6] 예명 현철[7] 법명 범하[8] 법명 성각[9] 귀화 전 이름 브러더 앤서니(Brother Anthony)[10] 예명 싸이
}}}}}}}}} ||

[1] 네이버 프로필에는 1941년생으로 기록 되어있지만 1940년생이 확실한 생년이다.[2] 일본에서 태어나 3살 때 귀국하여 전라남도 나주군 영산포읍 대기리 (現 전라남도 나주시 대기동)에서 자랐다.#[3]전라남도 나주시 대기동[4] 관련 기사[5] 해남 윤씨. 1922년생.[6] 2010년 방송에서 밝혀졌다.[7] 2010년 방송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셋째 아들은 뇌성마비를 앓다가 5년만에 사망했다고 한다.[8] 現 영산포초등학교[9] 학비가 없어 3학년 때 중퇴했다고 한다.[10] 생전 고인이 직접 운영했던 채널로 추정된다.[11] 권성덕은 이 작품에서 오제도리송운을 연기했다.[12] 즉, 이승만의 며느리[13] 이승만 양자의 부인이 이승만의 모든 모습을 다 알 수는 없겠지만, 노회한 현실 정치인 이승만과 비교하자면 야인시대의 이승만은 다혈질적인 면이 많이 부각되기는 했다.[14] 이승만은 마른 체구였고, 권성덕이 야인시대에서 이승만을 맡을 때는 살집있고 풍채가 좋았기에 차이가 있는 편이었다.[15] 권성덕이 야인시대에서 촬영했을 당시에는 64세였지만, 야인시대에서 실제 이승만의 나이는 처음 등장시에도 칠순을 넘었고 6.25전쟁때는 70대 중반을 넘어 80을 자유당이 권력의 정상에 우뚝 섰을때는 80대 중반이었다.[16] 박정희 전문배우로 일컬어지는 이창환 역시 박정희가 냉혹한 독재자로만 비판받는 것에 반론하며 그를 옹호한 바 있다. 권성덕이나 이창환의 경우, 오랜 세월 해당 인물을 연기하고 연구하며 그들에게 공감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17] 특히 차커는 닉네임 자체가 작중 이승만의 대사였던 "차들어 커피야"에서 따왔기 때문에 상심이 더 클수밖에 없었다. 또한 애도의 의미로 어깨동무 계산기 연주 버전을 업로드 하고 썸네일을 권성덕 배우로 사용하고 고정 댓글에도 추모글을 작성했다. #[18] 김근육 시리즈에 등장하는 강력한의 목소리 소스를 권성덕의 이승만 출연분을 사용했다.[19] 사실상 심영물에서 이승만을 재발굴해낸 장본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