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22:57:58

국립서울맹학교



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서울맹학교_전경.jpg
학교 전경
국립서울맹학교
Seoul National School for the Blind
國立서울盲學校
⠈⠍⠁⠐⠕⠃⠠⠎⠯⠑⠗⠶⠚⠁⠈⠬
파일:국립서울맹학교_로고.jpg
파일:서울맹학교_로고.jpg
교훈 근면·성실·협동
설립 연도 1913년 4월 1일[1]
유형 시각장애인(맹아) 특수학교
운영 형태 국립
성별 남녀 공학
시설 수 265개[기준]
학급 수 42개[기준]
학생 수 165명[기준]
교사 수 76명[기준]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교동 필운대로 97(1-4)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훈맹정음(, ⠚⠛⠑⠗⠶⠨⠻⠪⠢)의 창시자, 박두성(朴斗星, ⠘⠁⠊⠍⠠⠻)2.2. 미국사회운동가, 헬렌 켈러([ruby(Hellen, ruby=헬렌)] [ruby(Adams, ruby=애덤스)] [ruby(Keller, ruby=켈러)], 1880년 6월 27일~1968년 6월 1일) 여사내한
3. 연혁4. 교육목표5. 교훈 및 상징6. 교가7. 졸업생8. 이용가능한 대중교통9. 기타


1. 개요

국립서울맹학교(國立서울盲學校)서울특별시 종로구 신교동에 위치한 시각장애인(맹아) 특수학교이다.

2. 역사

의외로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에 대한 교육의 역사가 근대교육 태동기와 거의 같은 시기에 시작된 것만큼 오래 되었는데 1894년, 로제타 홀([ruby(Rosetta, ruby=로제타)] [ruby(Sherwood, ruby=셔우드)] [ruby(Hall, ruby=홀)], 1865년 9월 19일~1951년 4월 5일)[6] 여사가 최초로 맹인여학생을 가르친 것에서 부터 비롯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로제타 홀 여사는 1900년 6월에는 한국 최초의 맹학교인 에디스 마그리트 어린이 병동을 설립하기에 이른다. 일제강점기인 1913년 4월 1일, 장애인들의 교육 시설인 제생원이 설립되었고, 제생원의 맹아부에 뿌리를 둔 서울맹학교의 기원이기도 하다. 광복 후인 1945년 10월 1일, 국립맹아학교로 개칭했고, 6.25 전쟁이 한참 진행중이였던 1952년 6월 1일에는 서울맹아학교로 재창 개칭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서울 용산에 맹학생들과 졸업생을 위한 이료 교육시설이 갖춰져 있다.

2.1. 훈맹정음(, ⠚⠛⠑⠗⠶⠨⠻⠪⠢)의 창시자, 박두성(朴斗星, ⠘⠁⠊⠍⠠⠻)[7]

파일:박두성_선생_초상.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두성(1888)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두성(1888)#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두성(1888)#|]]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미국사회운동가, 헬렌 켈러([ruby(Hellen, ruby=헬렌)] [ruby(Adams, ruby=애덤스)] [ruby(Keller, ruby=켈러)], 1880년 6월 27일~1968년 6월 1일) 여사내한

파일:chosun_07.14.1937.jpg
조선일보 1937년 7월 14일자.
파일:dong-a_07.13.1937.jpg
파일:dong-a_07.13.1937_(2).jpg
동아일보 1937년 7월 13일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헬렌 켈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헬렌 켈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헬렌 켈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앤 설리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앤 설리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앤 설리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제가 중국(중화민국) 대륙을 본격적으로 기습·침공하여 전쟁이 벌어지던 시기의 1937년, 그녀의 스승이셨던 시각장애인 앤 설리번([ruby(Johanna, ruby=조애나)] [ruby(Mansfield, ruby=맨스필드)] [ruby(Sullivan, ruby=설리번)] [ruby(Macy, ruby=메이시)], 1866년 4월 14일~1936년 10월 20일)의 끊임없는 가르침과 노력을 통하여 ··를 모두 극복하였던 미국의 사회운동가인 헬렌 켈러 여사가 조선 경성부도착·방문을 하기도 하였다.

3. 연혁

파일:국립서울맹학교_연혁_2025년.jpg

4. 교육목표

파일:서울맹학교_목표.jpg

5. 교훈 및 상징

파일:서울맹학교_상징.jpg

6. 교가

파일:서울맹학교_교가.jpg
MIDI Cover, 반주

7. 졸업생

8.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8.1. 통학버스 시간

파일:서울맹학교_통학버스_시간.jpg

8.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서울 지하철 3호선

파일:서울맹학교_교통안내.jpg

9. 기타

대한민국의 특수학교 목록 중 최초로 작성된 수도권 지역의 특수학교 문서다. 정확히는 광주인화학교[8]가 더 먼저 작성되었으나 해당 교직원(특수교사 및 관계자)들에게 온갖 학대와 성폭행 논란으로 크게 붉어지자 현재는 폐교가 되었다.

맹(아)학교의 교사(校舍)청와대의 거리가 상당히 가까운 편이다.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 기준으로 약 500여m 정도. 그래서 청와대 앞에서 집회가 열릴 때 생기는 소음 때문에 불편한 점이 많다.

이는 맹(아)학교 뿐만 아니라 청와대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겪는 일이지만 맹(아)학교의 경우 문제가 더 크다. 맹(아)학교의 교사 및 학생들은 그 특성상 소리로 사물과 거리를 구분해야 해서 소음에 더욱 민감하기 때문이다.

이게 어제 오늘 일이 아니어서 학교 측이 주변 거주 주민들과 함께 공동으로 집회를 막아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하기도 했지만 해결이 쉽지 않은 편이다.
[1] 일제강점기 때 이름은 제생원으로 장애인들의 교육 시설이었다. 좀 더 정확히는 제생원 맹아부(맹본과)였다.[기준] 2025년 5월.[기준] [기준] [기준] [6]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의 전신인 보구녀관()에서 의료선교 활동을 한 미국인 여의사이면서 아들이였던 선교사인 셔우드 홀(1893년 11월 10일~1991년 4월 5일)의 어머니이기도 한다.[7] 본명 박두현().[8] 이쪽은 사립계 청각장애인(농아) 특수학교이면서 2009년, 공지영 작가의 스토리 소설 원작을 토대로 2011년에 개봉된 영화 <도가니>의 주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