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2 09:13:23

미수복 경기도

경기도(북한)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2px -0px"<tablebordercolor=#004097>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특례시
[[고양시|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용인시|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과천시|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이천시|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
[[평택시|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
[[포천시| 파일:포천시 CI.svg
포천시]]
[[하남시|파일:하남시 CI.svg
하남시]]
[[화성시|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자치군
[[가평군|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
[[연천군|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개성시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휘장.svg
개풍군
파일:미수복 경기도 장단군 휘장.svg
장단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164194><tablewidth=250><tablebgcolor=#164194>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개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휘장.svg
개풍군
파일:미수복 경기도 장단군 휘장.svg
장단군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대한민국미수복 영토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파일:경기도 휘장.svg
미수복 경기도
未收復 京畿道
Unreclaimed Gyeonggi-do
}}}
파일:경기도행정지도.gif
미수복 경기도의 지도, 서북부의 연분홍색이다.[1][2]
<colbgcolor=#004097><colcolor=#fff> 면적 약 1,280km2

1. 개요2. 남북통일 이후
2.1. 행정구역 개편
3. 해당 행정구역4. 출신 인물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수복 경기도란 일제강점기경기도 중 현재 휴전선 이북에 위치한 지역을 말한다. 위 지도에서 휴전선 이북의 영역에 해당한다. 경기도 서북쪽의 분홍색으로 나온 곳이다. 면적은 약 1,280km2. 휴전선 이북까지 합친 경기도 전체 면적은 11,473km2가 된다.

삼팔선이 그어질 남북분단 당시에는 남한개성시개풍군, 장단군[3]이 포함되어 있었던 반면 전쟁 이전에는 현재의 연천군, 포천시, 가평군 일부가 북한 땅이었다. 이후 6.25 전쟁이 종료될 당시에 설정된 휴전선이 경기도 북서부 및 황해 연안에서는 38선보다 남하하고 경기도 북동부 및 강원도에서는 38선보다 좀 더 북상하면서 종전 남한지역이었던 북위 38도 이남에 소재한 개성, 개풍, 장단(군사분계선 이남지역 제외), 연백, 옹진(서해5도 제외)을 북한이 점령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실제 휴전 시점에서는 대략 개성까지 북한의 점령 하에 있었으며, 방어가 어렵고[4] 미국이 더 이상의 확전을 막고 공산군을 휴전 협상에 끌어들이기 위해 무력탈환을 시도하지 못했다는 증언도 있다.

현재 실효지배하고 있는 북한에서는 면적이 얼마 되지 않는 경기도를 해체하고 실질적으로 다른 도 단위 광역행정구역에 편입하여[5] 대부분이 개성시[6]에 속하고, 일부가 북한 강원도에 속하고 있다. 또한 개성은 이후 직할시로 승격되어 별도의 광역행정구역으로 편제되어 있었다가 다시 황해북도 소속 개성특급시로 격하되고, 2019년 10월부로 특별시로 재승격되었으며 2020년 2월부터 개성특별시 산하에 판문구역개풍구역을 갖추게 되었다. 2023년 2월에는 황해북도에 속해 있던 장풍군 역시 다시 개성시에 편입되었다.

2. 남북통일 이후

경기도의 제일 낙후된 지역으로서 사회간접자본이나 인프라 구축이 제일 먼저 투자될 것이 유력하다.

통일 이후에는 파주를 비롯한 경기도 접경 지역에 사람들이 몰리면서 수도권 인구가 북상할 것이고[7], 자연스레 수도권과 미수복 경기도의 접촉이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대한민국 수도권의 영향을 받아 북한 내에서 선진적인 도시가 될 수도 있지만, 반대로 기존 북한 지역민과 남한 수도권 이주민과의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다.

개풍군강화군, 김포시, 파주시 탄현면을 잇는 도로와 교량(대교)이 건설될지도 모른다. 서해남북평화도로 문서로.

2.1. 행정구역 개편

개풍군은 개성에 편입된 채로 유지될 확률이 매우 높다. 만일 휴전 이후로도 개풍군과 개성시가 남한령이었다면 개성광역시로 승격되거나[8] 1995년 이전 직할시 승격이 성사되지 않았다면 1995년에 구 개성시와 개풍군이 통합되고 새로운 개성시인 도농복합도시로 출범했을 것이다. 현재 개성 인구는 지방자치법 및 지방행정에 관한 임시조치법 상 광역시 승격 기준인 100만명의 절반인 50만명도 채 되지 않으나, 남북한 접경지대라는 지정학적 위치에 있어 통일 후 본격적인 개발을 시작하면 추후 100만 이상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9]

강원도는 현재 북한 강원도강원특별자치도의 도계가 상호 불일치하다. 광복 전 연천군 삭녕면과 철원군 인목면에 해당하는 지역이 광복 후 분단과 더불어 남한에서는 경기도 연천군, 북한에서는 강원도 철원군에 편입되었기 때문. 광복 직후 행정구역으로 돌아갈 경우 다시 자연스러운 행정구역 경계로 조정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남북통일 후에 현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다만 광복 및 남북 분단 이후 함경남도에서 강원도로 편입된 원산시, 안변군, 문천군 등지의 경우가 다소 애매한 실정인데 추후 통일이 되면 여기를 강원도에 잔류할지, 아니면 함경남도로 환원시킬지에 관한 논의를 하게 될 것이다.

3. 해당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164194><tablewidth=250><tablebgcolor=#164194>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개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휘장.svg
개풍군
파일:미수복 경기도 장단군 휘장.svg
장단군
}}}}}}}}}

4. 출신 인물

탈북자이거나 1953년 휴전 협정 체결 이전에 태어난 사람에 한정하여 작성할 것.

4.1. 개성시

  • 공진항(경기도 개성 출신)
  • 김광균(경기도 개성 출신)
  • 김성환(만화가, 경기도 개성 출신)
  • 남철(경기도 개성 출신)
  • 마해송(경기도 개성 출신)
  • 민관식(경기도 개성 출신)
  • 심흥선(경기도 개성 출신)
  • 이선근(경기도 개성 출신)
  • 이성득(경기도 개성 출신)
  • 이세호(군인, 경기도 개성 출신)
  • 이수영(경기도 개성 출신)
  • 이회림(경기도 개성 출신)
  • 양주동(경기도 개성 출신. 다만 출생지는 개성일지라도 유년기를 황해도 장연에서 보냈고, 66년 10월에 경향신문에서 한 8도 대표들의 대담에서 황해도 대표로 나온 것을 보면 본인을 황해도 사람으로 인식했던 것 같다.)
  • 오자복(경기도 개성 출신)
  • 윤여정(경기도 개성 출신)
  • 윤장섭(경기도 개성 출신)
  • 원병오(경기도 개성 출신) - 1929~2020. 조류학자.
  • 이홍구(경기도 개성 출신)
  • 전규삼(경기도 개성 출신)
  • 전원주(경기도 개성 출신)
  • 최규남(경기도 개성 출신)
  • 최순우(경기도 개성 출신)
  • 오청성

4.2. 개풍군

4.3. 장단군

4.4. 연천군

5. 관련 문서



[1] 이 지도는 2007년에 발행된 관계로 경기도 휘장이 이전 것으로 나오고 여주시여주군으로 표기되어 있는 등 현재와는 다른 부분이 있지만, 어차피 미수복 경기도 지역은 남북통일이 될 때까지 행정구역이 변화할 리 없으니 인용용으론 전혀 무리가 없다.[2] 지도 중 장단군의 영역이 이상한 이유는 지도에서 파주시 소속으로 되어있는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 진서면과 연천군 소속으로 되어있는 장남면, 장도면, 대강면, 강상면까지 장단군 소속이였으나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따라 임시로 해당 행정기관에 이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강상면은 실제로는 단 한치의 땅도 수복하지 못해서 원래대로면 해당 법의 조치가 전혀 필요없었지만 입법 과정에서 실수로 들어가게 되어 졸지에 연천군 소속이 되었다.[3] 지도상에는 장단군이 38선 이북에 대남면과 소남면만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원래는 지도상의 파주시 진서면, 진동면, 군내면, 장단면연천군 대강면, 장상면, 강상면, 장도면도 장단군이다. 6.25 전쟁 후 휴전협정 체결 당시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을 북한에 넘기고, 이후 남한에 소재한 장단군 영역도 1963년과 1972년에 걸쳐 전부 파주군(현 파주시)과 연천군에 편입되면서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되었다. 자세한 것은 장단군 문서로.[4] 개성 북쪽의 송악산 이북은 전쟁 이전부터 북한이 점령하고 있었기 때문에 지형상 방어가 상당히 힘들었다. 사실 개성은 분단 이후 포격을 당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바로 앞에 휴전선이 있으면 상당 부분이 비무장지대민통선에 속해서 평상시에도 그리 이용하기 쉽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5] 일각에서는 대만의 사례처럼 미수복 경기도 산하에 개성시를 차지하고 있어 북한에서 충분히 경기도 소속으로 유지될 가능성도 있었다.[6] 개풍구역, 판문구역, 장풍군 포함[7] 다만 통일 이후 시간이 많이 지나서 사회가 어느 정도 안정된 이후의 이야기다.[8] 다만 현재 울산광역시보다 인구가 더 많은 시인데도 광역시로 승격되지 못한 수원시와 지리적인 입지가 비슷하기 때문에 실현되었을 가능성은 낮았을 것이다.[9] 그러나 개성지역은 고려 왕조의 도읍지로서 관내에 유적지가 대거 산재해있으며, 만일 개성시가 남한령일 경우 2000년대 이후 고도보존에 관한 특별법(현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면서 역사문화환경 보존을 위하여 최근에는 다소 개발이 제한되어 있을 가능성이 유력하다.[10] 북한에서 2003년 9월 개성특급시에 통폐합했다.[11] 장남면은 전 지역을,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은 거의 모든 지역을 수복했으나 진서면, 대강면, 장도면은 일부 지역만이 수복되었다.[12] 미수복지구들 중 유일하게 도가 아니라 광역시에 속하는 독특한 사례인데, 사실 이건 행정 당국의 착오로 인해 발생한 매우 특수한 케이스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