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6 07:16:15

기를 육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イク
일본어 훈독
そだ-つ, そだ-てる, はぐく-む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育은 '기를 육'이라는 한자로, '기르다', '키우다'를 뜻한다.
파일:위 대만.jpg
대만에선 ㄊ를 3획으로 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기르다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juk6
객가어 yuk
민북어 ṳ̆
민동어 ṳ̆k
민남어 io̍k
오어 hhioq (T5), hhyq(T5)
일본어 음독 イク
훈독 そだ-つ, そだ-てる, はぐく-む
베트남어 dục

유니코드에는 U+80B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IB(卜戈月)로 입력한다.

파일:育.png

이 글자는 의 이체자인데, 毓 자는 (매양 매)와 㐬(의 오른쪽)로 이루어진 회의자이다.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주로 여자(현재의 )가 무릎을 구부리고, 엉덩이 쪽에 아이가 거꾸로 누워 있는 모습(현재의 㐬)으로 그려져 있다. 여자는 每 자, 자, 자 등의 이형태가 있고, 아이 쪽도 거꾸로 누워 있는 모습과 바로 누워 있는 모습(즉 )의 이형태가 있다. 그러나 어떤 형태이든 기본적으로 '여자가 아이를 낳은 모습'을 그렸다. 즉 아이를 순조롭게 낳은 모습에서 '기르다'라는 뜻이 생겨난 것이다. 㐬에서 밑부분의 획 세 개는 양수를 뜻하며, 이는 갑골문에서 아이 주위에 있는 점들로 확인할 수 있다. 每+㐬의 형태는 금문까지는 계속 이어져 왔으나, 전서에 와서는 왼쪽의 每 자와 오른쪽의 㐬 아래 부분에 있는 획 세 개가 사라지고, 그 대신 밑에 (고기 육) 자가 변형된 형태인 月이 추가되어서 현재의 자형을 가지게 되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무육지은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기를 사)
  • (기를 양)
  • (기를 육)
  • (기를 환)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버릴 기)
  • (소경 맹)
  • (채울 충)
  • (명치끝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