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6 18:20:26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wswf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그룹 오죠갱 정산 미지급 폭로}}}에 대한 내용은 [[이마타 이부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마타 이부키#s-6.1|6.1]]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마타 이부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그룹 오죠갱 정산 미지급 폭로: }}}[[이마타 이부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마타 이부키#s-6.1|6.1]]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마타 이부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엠넷 로고.svg 엠넷 오리지널 댄스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e20177;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스트릿 우먼 파이터 시리즈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스트릿 우먼 파이터|
파일:스트릿 우먼 파이터 로고.png
]]
[[스트릿 우먼 파이터 2|
파일:스트릿 우먼 파이터2 로고.png
]]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파일:WSWF_logo.png
]]
}}}
스트릿댄스 걸스 파이터 시리즈
[[스트릿댄스 걸스 파이터|
파일:스트릿댄스 걸스 파이터 로고.png
]]
[[스트릿댄스 걸스 파이터 2|
파일:스트릿댄스 걸스 파이터2 로고.png
]]
스트릿 맨 파이터 시리즈
<nopad> [[스트릿 맨 파이터|
파일:SMF_LOGO_2D.png
]]
스테이지 파이터 시리즈
<nopad> [[스테이지 파이터|
파일:스테파로고.png
]]
프리퀄
[[비 엠비셔스|
파일:비 엠비셔스 로고2.svg
]]
[[Be the SMF|
파일:Be the SMF 로고.jpg
]]
스핀오프
[[뚝딱이의 역습|
파일:abcd logo.png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4px 0"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파일:WSWF_logo.p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 color: #424452,#fff; min-width: 33%"
{{{#!folding [ 미션 목록 ]
{{{#!wiki style="margin: 2px -1px"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2차 미션
계급 미션
4차 미션
메가 크루 미션
세미파이널 파이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 color: #424452,#fff; min-width: 33%"
{{{#!folding [ 관련 음원 ]
{{{#!wiki style="margin: 2px -1px; font-size: .85em"
파일: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응원 테마.jpg 파일: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Vol.1.jpg 파일: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Vol.2.jpg
<rowcolor=#000,#fff>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WSWF) Original Vol.0|
Vol.0
(응원 테마)
]]
2025. 04. 09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WSWF) Original Vol.1|
Vol.1
(OST)
]]
2025. 05. 27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WSWF) Original Vol.2|
Vol.2
(계급 미션)
]]
2025. 06. 10
파일: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Vol.3.jpg
<rowcolor=#000,#fff>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WSWF) Original Vol.3|
Vol.3
]]
2025. 07. 08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 color: #424452,#fff; min-width: 33%"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2px -1px"
참가 국가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World of Street Woman Fighter (2025)
파일: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포스터.jpg
방송사 엠넷
제작사 CJ ENM/엔터테인먼트 부문
방송 시간 매주 화요일 밤 10시
방송 기간 2025년 5월 27일 ~ 2025년 7월 22일
방송 횟수 9부작
장르 서바이벌 프로그램, 댄스
우승 크루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SAKA Ojo Gang
준우승 크루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G SQUAD
제작진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CP 권영찬
총연출 최정남
출연 MC 성한빈
파이트 저지 박진영, 마이크 송[1]
스페셜 저지 알리야 자넬[2](1, 2차 미션, 파이널)
애슐리 에버렛, 백구영(3차 미션)
베이비슬릭, 카즈키요(3차 미션 탈락 배틀)
리아킴(4차 미션, 세미파이널 탈락 배틀)
윤지, 필 위자드, 오시마(4차 미션 탈락 배틀)
김형석, 브라이안 유(세미파이널 댄스 필름 미션)
팝핑씨, 카이트(세미파이널 탈락 배틀)
사위티(파이널[3])
바타, 바다(파이널 월드 피날레 with JYP)
스트리밍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파일:세계 지도.svg:
[[ABEMA|
ABEMA
]][4] | [5] | , [6] |
tvN ASIA
[7] |
FPT Play
[8]
시청 등급 파일:Mnet 15 2019.pn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언어, 모방위험, 선정성, 폭력성)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프로그램 소개3. 참가 국가4. 방영 전
4.1. 예고편4.2. 경연 전
5. 경연 진행6. 음원7. 최종 순위8. 미방송분9. 공연
9.1. [THE REAL STAGE] 전국 투어 콘서트
10. 반응
10.1. 방영 전10.2. 방영 후
11. 논란 및 비판
11.1. 배틀 관련11.2. 과도한 TEAM KOREA 밀어주기11.3. OnlyFans 성인 게시물 논란11.4. 그 외
12. 시청률13. 여기어때와 함께하는 응원 챌린지14. 여담

1. 개요

2025년 5월 27일부터 엠넷에서 방영한 여자 댄스 크루 서바이벌 프로그램.

2023년 여름 방영한 스트릿 우먼 파이터 2의 후속작이자, 스트릿 우먼 파이터 시리즈의 세 번째 프로그램.

2. 프로그램 소개

WORLD OF STREET WOMAN FIGHTER

전 세계 쎈 언니들의 자존심을 건 글로벌 춤 싸움

3. 참가 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참가 국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참가 국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참가 국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모든 팀의 참가자는 사진 속에서 왼쪽에 있는 순서대로 기재함. (단, 두 줄로 구성된 경우, 아랫줄부터 기재함.)
<nopad> 파일:AG SQUAD 멤버들.jpg <nopad> 파일:BUMSUP 멤버들.jpg <nopad> 파일:MOTIV 멤버들.jp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G SQUAD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UMSUP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OTIV
칼리스
알리샤
카에아 🅻
루시베이비
카이라
바네사
알리야
다니카
가비
리정
노제
효진초이
립제이
모니카
아이키
허니제이 🅻
리헤이
애비
니샤
벨라
말리 🅻
로지스틱스
판타이예
케이디
파일:OSAKA Ojo Gang 멤버들.jpg 파일:RHTokyo 멤버들.jpg 파일:ROYAL FAMILY 멤버들.jp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SAKA Ojo Gan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HTokyo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뉴질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뉴질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YAL FAMILY
우와
미나미
이부키 🅻
쿄카
쥰나
하나
[9]
아스카
모나
리에하타 🅻
아코
리코 히라이
레이나
레나
니나 네베스
함즈
티아레
카일리
티샤 🅻
아일라
마이야
모아나
자리

4. 방영 전

문서에서는 보기 쉽게 크루별 고유색을 적용한 기호로 각 크루를 표시한다.
<bgcolor=#9359fc,#9359fc> AG SQUAD BUMSUP MOTIV OSAKA Ojo Gang RHTokyo ROYAL FAMILY

<rowcolor=#000,#000> 날짜 제목 관련 링크 비고
3월 25일 글로벌 대중 평가 ◆ 에스파 대진 - AG SQUAD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에스파]
◆ 에스파 대진 - ROYAL FAMIL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지드래곤 대진 - MOTIV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지드래곤]
◆ 지드래곤 대진 - OSAKA Ojo Ga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제니 대진 - BUMSUP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제니]
◆ 제니 대진 - RHTokyo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1. 예고편

<rowcolor=#fff,#fff> 1차 티저 2차 티저
<rowcolor=#fff,#fff> 메인 트레일러 1회 선공개
<rowcolor=#fff,#fff> 1회 선공개

4.2. 경연 전

6크루 우승 예상 국가 순위
<rowcolor=#fff,#fff> 순위[13] TEAM 크루
1위 <colcolor=#fff,#fff>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EAM JAPAN
파일:RHTokyo 로고.png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EAM JAPAN
파일:OSAKA Ojo Gang 로고.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EAM AUSTRALIA
파일:AG SQUAD 로고.svg
4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EAM KOREA
파일:BUMSUP 로고.svg
5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EAM USA
파일:MOTIV 로고.svg
6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뉴질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뉴질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EAM NEW ZEALAND
파일:ROYAL FAMILY 로고.svg
크루별 예상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자세히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000,#000> 본격적인 방송이 시작되기 전, 각 크루의 사전 퍼포먼스 영상[14]을 보고 크루별로 1위부터 6위까지의 예상 순위를 매겼다.[15][16]
크루명 <colcolor=#000,#ddd> 국가 순위
<colcolor=#fff> AG SQUAD 1위 3위 5위 3위 2위 5위 공동
2위
BUMSUP 6위 1위 4위 2위 5위 3위 4위
MOTIV 5위 4위 1위 4위 4위 6위 5위
OSAKA Ojo Gang 4위 5위 2위 1위 3위 4위 공동
2위
RHTokyo 3위 2위 3위 6위 1위 2위 1위
ROYAL FAMILY 2위 6위 6위 5위 6위 1위 6위
}}}}}}}}} ||
RESPECT 댄서
최다 RESPECT 댄서
리에하타
12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fff> 크루 멤버 지목한 댄서
AG SQUAD 카에아 아이키
가비
벨라
로지스틱스
리에하타
카이라 벨라
니샤
로지스틱스
애비
모아나
알리샤 아스카
바네사 케이디
알리야 가비
케이디
니나 네베스
아코
BUMSUP
허니제이
하나
리에하타

립제이
케이디
이부키
자리
모아나

아이키
쥰나
리에하타

노제
우와

리정
미나미
TEAM
MOTIV 말리 알리야
레이나
모아나
판타이예 칼리스
자리
모아나
로지스틱스 쿄카
자리
OSAKA Ojo Gang 이부키 립제이
가비
로지스틱스
쿄카 알리야
리헤이
가비
노제
말리
로지스틱스

함즈
자리
아일라
카일리
쥰나 마이야
미나미 모니카
효진초이
가비
리정
함즈
자리
아일라
카일리
TEAM 모아나
RHTokyo 리에하타 카에아
카이라
알리샤
바네사
알리야
가비
말리
함즈
자리
아일라
마이야
카일리
모나 자리
카일리
레나 케이디
니나 네베스 자리
리코 히라이 케이디
마이야
카일리
TEAM 리코 히라이
모아나
ROYAL FAMILY 티샤 카이라
루시베이비
아일라 루시베이비
모아나 모나
All 다니카
허니제이
판타이예
레나
리코 히라이
티샤
티아레
}}}}}}}}} ||
최다 NO RESPECT 댄서 최다 NO RESPECT 크루
아이키
5명
ROYAL FAMILY
13명
NO RESPECT 현황

5. 경연 진행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경연 진행 내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크루명 1차 미션 2차 미션 3차 미션 4차 미션 SEMIFINAL FINAL
파일:OSAKA Ojo Gang 로고.svg 3위 공동 4위 지드래곤 대진

6위
3위 2위 1위
파일:AG SQUAD 로고.png 공동 4위 루키/메인
미들/워스트
공동 2위
에스파 대진

1위
5위 글로벌 아티스트 미션 베네핏[17]
댄스 필름 미션 베네핏[18]
1위
2위
파일:MOTIV 로고.png 2위 공동 4위 지드래곤 대진

5위
2위 4위 3위
파일:BUMSUP 로고.png NO RESPECT[19],
6위
리더/워스트
6위
제니 대진

2위
1위 3위
탈락
파일:RHTokyo 로고.png 1위
최다 승
리더/메인
1위
MVP
제니 대진

3위
4위
탈락
파일:ROYAL FAMILY 로고.png 공동 4위 미들/메인
루키/워스트
공동 2위
에스파 대진

4위
탈락
}}}}}}}}} ||

5.1. 1차 미션 : 국가 대항 약자 지목 배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1차 미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1차 미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1차 미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2차 미션 : 계급 미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2차 미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2차 미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2차 미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3차 미션 : WORLD of K-POP 미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3차 미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3차 미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3차 미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4차 미션 : MEGA CREW 미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4차 미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4차 미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4차 미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5. SEMIFINAL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세미파이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세미파이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세미파이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6. FINAL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파이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파이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파이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음원

<rowcolor=#000,#000> # 발매일 음반 곡 수
1 2025년 4월 9일 파일: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응원 테마.jpg
Vol.0 : 응원 테마
6곡
2 2025년 5월 27일 파일: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Vol.1.jpg
Vol.1 : OST
4곡
3 2025년 6월 10일 파일: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Vol.2.jpg
Vol.2 : 계급 미션
3곡
4 2025년 7월 8일 파일: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Vol.3.jpg
Vol.3
2곡

7. 최종 순위

<rowcolor=#000,#000> 순위 크루 비고
1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OSAKA Ojo Gang 로고.svg
우승
2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AG SQUAD 로고.svg
준우승
3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MOTIV 로고.svg
FINAL 3위
4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BUMSUP 로고.svg
SEMIFINAL 탈락
5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RHTokyo_Logo.png
MEGA CREW 미션 탈락
6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뉴질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뉴질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ROYAL FAMILY 로고.svg
WORLD of K-POP 미션 탈락

8. 미방송분

미방송분
<rowcolor=#fff> 회차 제목 비고
배틀대항전 리더가 온 몸으로 받아내는 노리스펙 스티커☠️ 서로가 긁고 긁히는 노리스펙 현황 공개 #
로얄 패밀리에 패배한 카에아? 언니의 복수를 위한 배틀 루시베이비 VS 모아나 #
11년차 배틀러에게 도전장을 내민 리에하타의 학생(?) 리코히라이 VS 판타이예 #
MOTIV VS BUMSUP | 국가 대항 약자 지목 배틀 후반전 #
RHTokyo VS ROYAL FMAILY | 국가 대항 약자 지목 배틀 후반전 #
찐배틀러들의 힙합 정면승부! 쿄카 VS 리헤이 #
팀의 명예를 걸고 싸우는 리더 대 리더 배틀, 리에하타 VS 허니제이 #
이제 더이상 물러날 데가 없다! 리에하타 VS 허니제이 재배틀 #
계급별 최종 리허설 단연 스트릿 시리즈 중 최상의 완성도! 레전드만 모인 리더 계급 런스루 리허설 #
계급 미션 역대급 인원에 연습실도 공간 부족! 미들 계급 런스루 리허설 #
어딜 봐서 루키 계급이야? 연습부터 이미 완벽한 루키 계급 런스루 리허설 #

#WSWF 리액션캠
<rowcolor=#fff> 회차 제목 비고
EP.1 쟤 어떻게 하면 좋아 가비..? 뭘 좀 알아 역시!😎 라치카의 1화 리액션 #
EP.2 계급미션 리액션이 제일 궁금한 바타X바다의 역대급 반응이 궁금하다면? #

9. 공연

9.1. [THE REAL STAGE] 전국 투어 콘서트

2025년 9월 6일부터 대한민국 전국 투어 공연을 실시한다. 예매는 전부 NOL 티켓에서 시행한다.

ROYAL FAMILY 크루, BUMSUP가비모니카, OSAKA Ojo Gang이부키[20]는 불참한다.

10. 반응

10.1. 방영 전

  • 참가 국가가 알려졌을 때 첫 티저에서 등장했던 수많은 국가들 중 대한민국을 제외하고 4개국만 참가한 것에 아쉬워하는 국내외 반응들이 있었다. 특히 일본은 두 크루나 참여하면서 한국은 한 크루밖에 참여하지 않는 점에 아쉬워하는 반응도 있는 편.[27] 또한 이전 시즌들과 비교했을 때 참가 크루의 수가 8크루에서 6크루로 줄어들어 아쉽다는 평가도 있었다.
  • 처음 대중에게 공개되는 월드 오브 K-POP 미션에서 SWF1 리더즈가 뭉친 TEAM KOREA BUMSUP의 평가 영상이 압도적인 조회수를 기록하였으나, 기대와는 달리 각종 커뮤니티와 SNS에서 대중들에게 아쉽다는 평가를 받았다.[28]
  • TEAM AUSTRALIA AG SQUAD의 멤버가 공개되기 전까지는 가장 먼저 탈락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았으나, 직후에 전성기 ROYAL FAMILY와 ReQuest 크루의 주축이었던 댄서들이 이끄는 크루임이 알려지며 곧바로 강력한 우승 후보로 거론되었다.

10.2. 방영 후

  • 편집과 기획에 대해서 아쉽다는 반응이 상당수다. 춤을 보는 건지 리액션을 보는 건지 모를 정도로 정신 없어서 춤에 집중할 수 없고, 크루들의 서사만 쌓은 채 정작 춤 장면은 거의 보여주지 않고 배틀 또한 앞뒤 경과를 잘라내거나 아예 통편집해버리는 바람에 시청자를 비롯한 네티즌들은 “편집자는 꼭 ADHD 검사 받아보라”, “오히려 방송이 재밌지가 않으며 속이 안 좋다”, “이 배틀을 방송에서 안 보여준다고?” 등의 불편함을 드러내었다.
  • TEAM KOREA BUMSUP을 최약체 이미지로 굳히기 위해 편집하고[29] 이를 위해서 기존의 룰을 바꾼 것에 분노를 사고 있다.
    • 특히 아이키의 프로필 영상을 틱톡으로 사용하고 그 영상이 다른 댄서들에 의해 조롱을 받고 무시당했는데, 제작진 측에서 일방적으로 영상을 준비한 것으로 밝혀져 이에 대해서도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30]
    • 이전 시즌까지의 약자 지목 배틀에서는 승과 패 개수를 모두 따져 순위를 결정한 반면, 이번 시즌에서는 오로지 패의 개수로만 순위를 결정하였다. BUMSUP은 6승 9패로, 원래대로라면 3위에 있어야 하지만, 바뀐 룰로 인해 최다 패로 최하위를 차지하였다. 패의 개수만 보는 것은 배틀을 많이 할 수록 더욱 불리하기 때문에, 아무리 배틀을 많이 해서 승리가 많다고 하더라도 패가 가장 많아 자동으로 6위가 되는 것이다.[31]
  • 3화까지 방영된 시점에서 이전 시즌보다 시청자 반응이 안 좋은 편이다. 기억에 남는 인상적인 댄서와 캐릭터는 없고 반복된 리액션, 정신 사나운 편집에 춤조차 가려져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많다. 반대로 시즌이 거듭될수록 멤버들간의 억지스러운 서사와 지저분한 편집만 반복된다는 점에서 중국의 예능 프로그램[32]보다 못하다는 소리마저 나오고 있다.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는 이전 시리즈들의 명성을 등에 업고 시작했음에도 3회가 진행되는 동안 1%대를 넘기지 못했으며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않다고 평가되었으나, 4화를 기점으로 그나마 1%를 넘겼다. 이마저도 프로그램 자체의 화제성 보다는 스우파 개국공신들이 출연했음에도 최약체 취급을 받자 그들을 응원하기 위해 결집한 시청자들과, TEAM JAPAN OSAKA Ojo Gang[33], 특히 쿄카의 화제성 덕을 보았다고 봐야 한다.
  • 3차 미션 기준 글로벌 대중 평가의 채점 방식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전 시즌은 크루마다 50점씩 차이가 나서 대중 평가 점수가 낮더라도 파이트 저지 점수로 뒤집을 수 있었으나,[34] 이번 시즌에서는 각 크루마다 파이트 저지 점수는 거의 비슷한데 대중 평가 점수가 무려 100점씩 차이가 나 결과를 뒤집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결국 크루의 인기 순위대로 순위가 매겨질 가능성이 높다. 논란을 의식한 건지 4차 미션의 경우 저지 : 대중 비율이 1:1로 분배되며 저지 점수의 비중이 제법 커졌다.
  • 4회까지의 방영분 및 메가크루 미션 기준 리에하타를 비롯한 TEAM JAPAN RHTokyo 크루를 향한 심각한 악플이 이어졌다. 특히 리에하타쿄카와의 배틀 및 방송에서의 RHTokyo 멤버들의 발언, 계급 미션에서 허니제이를 워스트 댄서로 지목했다는 이유로 욕을 먹었고, 메가크루 영상은 왜색이 짙다[35]는 등의 이유로 많은 대중들에게 악플을 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행태가 방송을 방송으로 보지 못하고, RHTokyo 크루를 이유 없이 미워하는 데에서 유발된 것이라며 선플을 달거나 논박 중이다. 첫 시즌 때보다 국내 대중화가 많이 이루어진 스트릿 댄스이지만, 시청자 다수는 여전히 이에 대한 시야가 좁다. 뿐만 아니라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가 국가대항전의 성격을 띄다보니 방송 시청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2030 여성들 일부 집단의 극단적 국수주의 특성이 이러한 넷상 다툼을 유발한 것으로 보인다.
  • 5화는 전체적으로 평가가 좋지 않았다. 메가크루 미션의 투표 마감기한 이틀 후 방송분이었기 때문에 결과가 바로 나오지 않을 것은 시청자들도 모두 예상한 부분이었지만, 거의 통편집이나 다름없었던 첫 배틀 미방영분이라던가[36], 메가크루 미션을 준비하는 각 크루원들의 모습이라던가, 방송 후 유튜브를 통해 공개된 '댄스 필름 미션'에 대한 설명 등 보여줄 수 있는 분량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5화는 각 크루원들의 휴식을 빙자한 사실상 2시간짜리 PPL이나 다를 바 없었다. 방송의 제작비를 위해 어느 정도 PPL이 들어갈 수 있음을 감안해도 올리브영, 여기어때, 비비고, 포르쉐 등 광고를 살짝 녹인 광고 정도가 아니라 2시간 내내 광고 타임이라고 봐도 무방하여 늦은 시간까지 본방을 기다린 시청자들에게는 큰 허탈함을 안겼다.
    TEAM USA MOTIV의 방영분도 제작진에 대한 반응이 좋지 않았다. MOTIV가 인천에서 촬영을 했다는 점을 감안해도, 인천에서도 가볼 수 있을 수많은 플레이스를 놔두고 굳이 차이나타운을 갔어야 했냐는 의견이 많았고, 통인시장의 경우에도 비비고 떡볶이 PPL 때문인지 어묵과 망고 슬러시를 먹은 분량만 나오고 가장 유명한 기름떡볶이조차 먹지 않았으며 김밥 만들기 컨텐츠를 위해 시장을 본 것이 전부였다.
    BUMSUP이 3월에 점집을 방문한 방영분도 논란이 되었다. 글로벌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라기에는 무당의 분량이 너무 길었고, 해외 크루들이 PPL을 동반한 한국 문화 체험을 한 것도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프로그램이냐 라며 욕을 먹고 있는 마당에 한국의 정체성을 무속 신앙 국가로 만들고 싶은 것이냐는 이야기도 나왔다. 외국 크루 리더들 사진까지 보여줘가며 점사를 하는 것까지 나와 종교적이든 문화적이든 무례한 기획이었다는 반응이다.

11. 논란 및 비판

11.1. 배틀 관련

시리즈가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지적된 배틀 방식에 대한 문제점이 이번에도 제기되었다. 스우파(예능 프로그램)적 허용이다, 방송은 방송으로 봐라라는 반응도 있었지만 해외의 세계적인 댄서까지 다수 섭외한 시즌이기도 하고 후술할 방송에서 노출된 여러가지 문제가 불거지면서 스트릿이라는 이름을 달고 하는 프로그램이니만큼 스트릿 댄스에 대한 문화가 존중되어야 한다는 비판이 거세졌다.
  • 배틀 방식에 대해 본래의 스트릿 댄스 배틀과는 다른 아래 문제점들 때문에 논란이 되었다.
    • 약자 지목 배틀, 특히 TEAM KOREA BUMSUP과 TEAM USA MOTIV의 리더 배틀에서 허니제이가 상대 턴에 제약이 가거나 위험할 정도로 말리에게 가까이 간 것이 논란이 되었다. 단순 견제다, 말리가 센스 있게 넘어갔다, 알고 보면 말리가 이리로 오라는 제스처(손짓)를 한 게 아니냐[37] 등 다양한 반응들이 나왔고, 말리 본인이 "가벼운 농담을 하더라도, 우리는 경쟁하는 모든 사람들을 사랑하고 존중한다."라고 밝혔지만 원칙적으로는 배틀에서 상대의 턴에 춤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나와서는 안된다.
    • 위 항목과 맞물려 꾸준히 나오던 동시 배틀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댄서들의 안전까지 위협하는 문제가 생기면서 목소리가 커졌다. 원칙적으로 스트릿 댄스 배틀은 같은 곡에 두 댄서(혹은 크루)가 번갈아가며 춤을 추도록 되어 있지만 스우파의 경우, 극적인 장면 연출을 위해 연장전인 경우나 특정 상황에서 동시 배틀을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두 댄서의 선곡이 다른 문제[38]도 그렇고 이 동시 배틀은 스우파 배틀을 리뷰하던 배틀러들 사이에서도 아쉬운 반응이 꾸준히 많이 나왔었는데, 첫 번째 탈락 배틀인 TEAM JAPAN OSAKA Ojo Gang과 TEAM NEW ZEALAND ROYAL FAMILY의 경우 더 좁은 링에서 까딱하면 댄서들이 다칠 수도 있는 상황이 많이 나왔고 배틀러로 유명한 댄서들이 동시 배틀을 없애달라는 평가를 남겼다.
    • 위 문제를 제작진 측도 인식했는지, 6화에서는 MC 성한빈이 두 번째 탈락 배틀 시작 전 댄서들에게 이 공간에는 암묵적인 규칙들이 있습니다. 서로 예의를 갖추고 댄서들을 존중하고 플로어를 존중합시다. 라고 이야기하고 시작했으며, 이후 동시 배틀도 등장하지 않았다.
  • 국가 대항 약자 지목 배틀에서 파이트 저지들의 판정에 대한 많은 비판 여론이 나왔다. 약자 지목 배틀의 경우 미션이 아닌 배틀인데, 파이트 저지 대부분이 배틀이 아닌 코레오씬에서 유명한 사람들이었을 뿐만 아니라 승리 기준이 일관되지 않다는 점에서 그러하였고, 파이트 저지들이 댄싱보다는 분위기를 가져오는 팀에 승을 들어주는 등의 판정을 했다는 반응이 있었다. 후술할 쿄카리에하타의 배틀에서 쿄카가 3:0으로 진 것에 대해 가장 많은 비판이 나왔고, 그 외에도 같은 TEAM JAPAN OSAKA Ojo GangRHTokyo간의 릴레이 팀 배틀 중 1:1 배틀[39]에서 RHTokyo가 팀적인 단합력을 보인 것에 가점을 준 것이 문제가 되었다. 이처럼 파이트 저지들의 판정은 대중들뿐만 아니라 배틀 전문가들과는 상반되는 판정이었다.[40]

11.2. 과도한 TEAM KOREA 밀어주기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는 스트릿 우먼 파이터 시즌1의 최정남 PD가 총연출을 담당한다. TEAM KOREA BUMSUP은 그때 시즌에 출연했던 각 크루 리더들[43][44]로 구성된 크루이기도 한데, 방송 회차가 거듭될수록 한국의 BUMSUP에게 과도하게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 이 프로그램은 각국의 댄스 크루들이 자국을 대표해 참가한 글로벌 댄스 경연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BUMSUP은 마치 주인공처럼 부각되고 있다. 특히 6월 17일 방영된 4회에서는 오프닝부터 범접에 대한 단독 서사가 이어지며 공정성 논란이 확산됐다.
  • 3차 미션인 WORLD of K-POP 미션에서 TEAM KOREA BUMSUP이 TEAM JAPAN RHTokyo 크루와 함께 제니의 곡으로 대결을 펼쳤다. 해당 미션 녹화 당시, 제니가 직접 선호 크루를 선택하는 장면이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RHTokyo가 선택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본 방송에서는 해당 장면이 통째로 편집되면서, 또다시 편파 편집 논란이 불거졌다. 이는 앞서 첫 시즌과 두 번째 시즌 모두 아티스트의 선택 장면이 공개됐던 전례와 대비되며, 시청자들의 의혹을 더욱 키우고 있다.
  • 유튜브 조회수 1,500만 회를 돌파하는 등 뜨거운 반응을 얻었던 BUMSUPMEGA CREW 미션 역시, 프로그램 제작사인 CJ의 내부 인력들이 제작에 관여한 사실이 드러나며 공정성 논란에 불을 지폈다.
    • BUMSUP MEGA CREW 미션 평가 영상의 크레딧에는 황주민 스테이지 디렉터, 이시원 아트디렉터, 김현명 디자이너, 정효선 조명감독 등이 스태프로 참여한 것으로 나오는데, 이들은 모두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의 제작팀 소속이다. # # #
    • MEGA CREW 미션은 각 크루가 본국으로 돌아가 자체적으로 무대를 기획 · 촬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특히 TEAM AUSTRALIA AG SQUAD는 아버지를 포함한 가족들이 직접 촬영과 연출에 참여해 더욱 뚜렷한 대조를 이뤘다. 이에 따라 일부 시청자들은 BUMSUP이 실질적으로 방송사 차원의 지원을 받은 유일한 크루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45] # #

11.3. OnlyFans 성인 게시물 논란

TEAM AUSTRALIA AG SQUAD의 멤버이자 리더 카에아의 동생 루시베이비가 영국의 구독형 콘텐츠 플랫폼 OnlyFans에 올린 게시물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었다.
성인 플랫폼으로 알려진 OnlyFans루시베이비가 게시한 사진들은 여성의 주요 부위성기, 항x을 그대로 드러내고 강조한 나체 사진들이었으며 사진 속 포즈와 사용한 도구 역시 야한 동영상을 연상시킬 만큼 수위가 상당히 높았다.
해당게시물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방영 중에 게시되었으며 종영 이후 논란이 일자 해당 멤버 루시베이비 계정은 삭제되었지만 일부 게시물은 여전히 검색 포털에 남아있다.[46]

11.4. 그 외

  • 박진영의 파이트 저지로서 행보에 대한 논란이 크게 일었다. 박진영이 가수 및 프로듀서이기 전에 춤꾼이었고 K-POP에 있어 한 획을 그은 사람인 것은 사실이지만 선술한 배틀 항목에서도 언급했듯 배틀을 평가할 수 있는 심사위원으로서는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계급 미션에서 실수한 TEAM AUSTRALIA AG SQUAD 루키 계급에게 "안무를 실수한 것은 중대한 일이다."라며 공정해야 한다고 말해놓고 AG SQUAD에게 다시 기회를 준 것도 큰 논란이 되었다. 더군다나 K-POP을 대표하는 심사위원으로 나왔지만 정작 WORLD of K-POP 미션에서는 심사위원으로 참가하지 않았으며[47], 그렇게 자리를 비웠다가 MEGA CREW 미션 및 탈락 배틀을 심사하는 6화 예고편이 나왔을 때는 제발 박진영은 빼달라는 댓글이 폭발적이었다. 무엇보다 파이널 생방송에서 보여준 모습은 최악 그 자체. 월드 피날레 with JYP 미션 때 인터뷰에서 댄서들이 주인공으로 무대에 서는 기회는 잘 없으며 댄서들이 주인공임을 강조했는데 정작 파이널 무대에선 주인공이어야 될 댄서들을 백댄서로 쓰고 본인이 직접 무대에 서서 노래를 부르는 모습[48]을 보여줘 비판 여론이 들끓고 있다.
  • 리더 계급 미션곡 <ECHO!>가 댄서들과 전혀 관련도 없고, 프로젝트 음원의 취지와 맞지 않는 듯한 가창자들의 이름을 넣은 가사[49]가 포함되어 있어 크게 논란이 되었다. 다만 원작자 본인이 말하기에 ECHO!와 다른 한 곡, 총 2곡을 보냈는데 제작사에서 ECHO!를 선택하였다고 한다. 역대 리더 계급 미션 음원 중 기존 곡을 커버한 <Hey Mama>를 제외하고 자체 제작곡 <새삥>, <Smoke>와 비교해도 완성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반응이었고, 리더 댄스 비디오가 공개되자 리에하타의 훌륭한 연출과 안무로 노래가 죽다가 살아났다는 반응도 다수였다.
  • TEAM NEW ZEALAND ROYAL FAMILY의 안무 카피 논란이 일파만파 커졌다. 계급 미션에서 리더, 미들, 루키 계급 안무 창작에 모두 이전에 로얄 패밀리 크루에서 했던 안무[50]를 그대로 재사용한 것. 또한 국가대항 약자 지목 배틀에서도 전에 한 안무를 사용한 것에 대해 시청자들은 문제삼았다.[51] 메인 댄서로 뽑힌 ROYAL FAMILY에게 디렉 권한이 있는데, 자신들이 만든 안무를 사용한 것이 밝혀져 또 시청자들의 분노를 사게 되었다. 이후 안무를 재사용한 이유가 밝혀졌는데, ROYAL FAMILY라는 이름으로 선보이는 모든 무대에는 패리스 고블의 안무가 일정 부분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는 규정 때문이었다. 소속사의 방침상 이는 꼭 지켜야 할 규칙이며, '도장(stamp)'처럼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52]
  • 효진초이의 유튜브 '오늘도 최효진'에서 BUMSUP 멤버들끼리 1화 리액션을 한 영상에서 허니제이아이키의 발언이 큰 논란이 되었다. 가비의 춤에 대해 ‘저건 춤이 아니야’라는 AG SQUAD 멤버의 말에, 허니제이가비와 함께 배틀을 한 다니카의 댄싱을 보고 "그럼 저건 춤이냐, 섹X지"라고 성희롱 발언을 하였고, 아이키는 NO RESPECT 댄서로 5표를 받은 부분에 대해 "씨X 것들아"[53]라고 욕설을 했다.[54] 업로드 1시간 만에 해당 영상은 삭제되었고, 허니제이아이키는 인스타에 사과문을 올렸으며 허니제이, 아이키 허니제이는 직접 상대 댄서에게 사과를 하기도 했다고 한다. 대중들의 반응은 좋지 못하다. 특히 외국 댄서를 상대로 성희롱 발언을 한 허니제이에 대해서는 비판 여론이 거셌다. 특히 허니제이는 과거에 출연한 라디오 스타에서 "섹시한 춤을 추면 대중들이 좋게 보지 않는다"는 발언을 한 적이 있어, 자신의 춤은 욕먹으면 안 되지만 해외 댄서의 춤은 성적으로 조롱해도 되는 것이냐는 비판을 받았다.[55]
  • 세계 각국의 월드 클래스 댄서들을 모은 시즌인데도 불구하고 이전 시즌들과 동일한 구조와 발전되지 않은 모습에 제작진들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변화가 없는 미션 구조, 음원 장사, 실력이 아닌 조회수와 좋아요 수에 의존한 인기 투표, 스트릿 댄스에 존중이 없는 배틀 규칙, 자격이 의문스러운 저지와 그의 심사 등이 이에 해당된다. 또한 외국 크루들은 연습 영상 등에서 한국 편의점 음식들을 먹는 등 부실한 식사를 하는 모습이 자주 나와 제작진이 외국인들에게 제대로 된 대우와 식사를 제공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

12. 시청률

<rowcolor=#fff> 회차 방영 날짜 시청률 (%)
<rowcolor=#fff> 전국 수도권
<colbgcolor=#fff><colcolor=#000> 1회 2025년 5월 27일 0.85 1.243
2회 2025년 6월 3일 0.95 1.285
3회 2025년 6월 10일 0.85 1.127
4회 2025년 6월 17일 1.237 1.676
5회 2025년 6월 24일 1.21 1.458
6회 2025년 7월 1일 1.291 1.614
7회 2025년 7월 8일 1.1 1.521
8회 2025년 7월 15일 1.178 1.430
9회 2025년 7월 22일 0.7 1.3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 시청률은 저조한 편이다. 스트릿 우먼 파이터 시즌2의 최종화가 2.3% 이상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이번 시즌 최종화 시청률은 1/3 정도로 감소했다.
  • 6월 1주차까지 TV-OTT 비드라마 부문 2주 연속 화제성 1위에 올랐다.
  • 시청률은 비록 적지만, OTT 서비스 TVING에서 많이 시청을 하고 있고, 공식 유튜브 THE CHOOM에 올라오는 영상들 중 많은 영상들이 100만회가 넘고, 인기 급상승 동영상 순위에 오르는 등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1539타겟, 2049남녀 시청률에서 동시간대 1위를 달성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10대, 20대, 30대, 40대 여자 시청률에서 지상파 포함 동시간대 1위를 차지하는가 하면, 40대 여자 시청률은 무려 2.4%를 기록하였으며, 티빙(TVING)에서는 동시간 전체 라이브 채널 중 실시간 시청 점유율이 93.4%까지 치솟았다.
  • 해외 플랫폼 관련
    • 일본에서는 한국과 동시방영이 이뤄지고 있는 현지 OTT 플랫폼 ABEMA에서 첫 공개 이후 3주 연속으로 K-POP 장르 1위에 올랐다. 뿐만 아니라 아베마 '종합 랭킹 TOP 20' 차트까지 진입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 미국과 캐나다에서도 가시적인 성과가 드러나고 있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애플 TV+에서 ‘CJ ENM 셀렉츠(CJ ENM Selects)’ 브랜드관을 통해 서비스 중인 월드 오브 스우파는 단 2회 공개만으로 지금까지 제공된 300여편의 작품 가운데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다.
    • 아이치이에서는 첫 방송 이후 예능 부문 2위를 기록한 데 이어, 단 2회 만에 1위로 도약하였다. 베트남의 OTT 서비스인 FPT플레이에서는 누적 30만 뷰 이상을 기록, 예능 부문 1위에 오르며 인기 순항 중이다.

13. 여기어때와 함께하는 응원 챌린지

• 지금 여기어때 앱에서 응원하는 크루를 선택해 주세요!
• 응원 챌린지에서 1등 크루에게는 팬들의 마음을 담은 커피차를, 투표에 참여한 팬들에게는 추첨을 통해 총 1천만 원 여행 경품을 쏩니다.
<rowcolor=#000> AG SQUAD
<rowcolor=#000> BUMSUP
<rowcolor=#000> MOTIV
<rowcolor=#000> OSAKA Ojo Gang
<rowcolor=#000> RHTokyo

14. 여담

  • 스테이지 파이터가 끝난 후 스테이지 파이터 시즌 2로 여성 무용수를 모집하는 중이라는 소문과 함께 스트릿댄스 시리즈는 막을 내리는가 싶었으나, 시즌 3 격인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로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56]
  • 방영을 앞두고 시즌 1 리더즈 회동이 예고로 나가면서 시즌 1 리더즈로 한국 팀이 꾸려졌다. 다만, 결성 이후 모니카임신 사실이 알려지면서 모니카의 합류 여부가 불확실했고, 결국 댄스 경연에 참가할 수 없는 상황을 고려하여 립제이가 추가 투입되어 한국 팀은 모니카를 포함해 9명으로 꾸려졌다. 모니카는 아예 경연에 참가하지 않고 팀원들의 사기진작과 춤에 대한 코멘트 위주로만 등장하는 듯 했으나 댄스 필름 미션과 글로벌 아티스트 미션에는 직접 참여하여 춤을 추었다.[58]
  • 3월 11일 인천에서 첫 녹화를 시작했다는 사람들의 목격담과 함께 한국을 포함하여 총 5개국 6팀[59]이 참가한다는 정보가 국내외 커뮤니티와 SNS를 통해 알려지고 있다. 이중 모티브, 알에이치도쿄, 로얄패밀리 팀은 원래부터 있었던 크루이며, 나머지 크루는 본 프로그램 출전을 위해 결성된 크루다.
  • 3월 25일 TWICE의 멤버 모모가 자신의 언니 하나가 이번 경연에 참가한다는 소식을 알렸다. OSAKA Ojo Gang 멤버로 참가한다. 이후 모모는 사나, 나연, 정연, 지효와 함께 메가크루 미션에 스페셜 댄서로 등장하였다.
  • 시즌 2 메가크루 미션에 스페셜 저지로 참여했던 안무가 리에하타와 그녀의 제자이자 시즌 2에서 츠바킬의 멤버로 나왔던 레나는 또 다른 일본 댄스팀 RHTokyo 소속으로 출전하게 되었다.
  • 이번 시즌은 시리즈 역사상 최초로 모든 크루가 탈락 배틀을 치른 시즌이 되었다.

[1]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국 댄스 크루 킨자즈(KINJAZ)의 리더이자 한국계 미국인이다. 스트릿 우먼 파이터 2, 스트릿 맨 파이터에서 스페셜 저지로 출연했고, 한국어와 영어를 섞어 소통한다.[2] 힐 댄스가 주 장르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댄서이자 안무가이다. 비욘세, 니키 미나즈, 크리스 브라운, 제니퍼 로페즈 등 가수들의 백업 댄서와 투어 및 안무 참여 경력이 있고 국내 가수로는 효린달리 안무가로 알려져 있다.[3] 단, 파이널에는 최종 순위에 저지 점수를 반영하지 않아 사실상 게스트에 가까웠다.[4] 일본[5] 동남아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중동, 북아프리카, 남아프리카, 호주, 뉴질랜드[6] 미국, 캐나다[7]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홍콩, 대만, 미얀마, 몰디브[8] 베트남[9] 1차 미션 불참.[에스파] Armageddon + Drama + Whiplash[지드래곤] GOOD BOY + POWER + HOME SWEET HOME[제니] Mantra + like JENNIE + ExtraL[13] 크루들이 직접 뽑은 순위[14] 방송으로는 따로 공개되지 않았다.[15] 표의 크루별 가로열을 읽으면 된다.[16] 6위까지 매기는 것을 보면 자신의 크루에게도 직접 순위를 매기는 것으로 보이며, 자신의 크루에게 매긴 등수는 방송으로 공개되지 않아 다른 크루에게 매긴 등수를 역산해서 정리했다.(평균 등수 계산에도 포함하지 않는다.)[17] Saweetie의 선택 가산점[18] 베스트 댄스 크루 가산점[19] 최다 패[20] 현재 계약문제와 콘서트 주최측, 멤버들 간에 문제 등으로 참여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a] 내부 사정으로 인해 취소.[a] 내부 사정으로 인해 취소.[a] 내부 사정으로 인해 취소.[a] 내부 사정으로 인해 취소.[a] [a] [27] 특히 SWF2의 팬들이 아쉬워하는 경향이 많다.[28] 댓글에서는 칭찬을 이루고 있으나 인기순이 아닌 최신순으로 정렬했을 때 그러한 반응들을 주로 볼 수 있다.[29] 승리한 배틀은 대부분 편집되었다.[30] 이후 리더 허니제이 유튜브에 출연한 아이키가 직접 제작진 측에 틱톡 영상을 사용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했다.[31] 전후로 BUMSUP이 실망, 좌절하고 다른 크루들이 약체로 보는 듯한 장면을 삽입하여 이런 승패 계산이 타당한 듯한 연출이 되었다.[32] Street Dance of China라는 중국의 댄스 예능 프로그램으로, 한국뿐 아니라 전세계 유명 댄서들도 참가한 이력이 있다.[33] 멤버들의 개성도 강하고 매력적이지만, 한국 크루인 BUMSUP에겐 호의적이면서도 같은 일본 크루인 RHTokyo는 적대하는 특이한 캐릭터성이 한국 시청자들에게 잘 먹히고 있다.[34] 대표적인 예시로 SWF2 4차 미션 당시 대중 평가 6위를 기록했으나 파이트 저지 점수 2위를 받고 최종 3등을 차지한 LADYBOUNCE, 3차미션 당시 대중 평가가 아닌 다른 점수들로 결과가 결정된 HYBE 대진.[35] 사실은 전혀 다른 의미를 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4차 미션을 확인할 것.[36] SWF2에서는 모두 '스페셜 스테이지'라는 이름으로 본방송에서 편집된 배틀을 보여주기도 했었다.[37] 허니제이 또한 자신의 턴이 끝나고서 바로 바깥쪽으로 빠져나왔었다. 직후 행동이 말리의 제스처에 대한 반응으로 나온 것인지 아니면 방송의 재미를 위한 컨택이었는지 현재로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38] 스트릿 댄스 배틀은 두 댄서에게 각각 다른 곡을 절대 틀어주지 않는다.[39] 시청자들은 1:1 배틀을 보는 게 아니라 1:8 배틀을 보는 것 같다며 비판했다.[40] 오죠갱 멤버들, 특히 리더 이부키는 자신의 유튜브 영상에서 테크닉이나 음악성으로 평가 받지 않아도 좋으니, 판정에 명확한 기준이라도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자신들이 배틀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략을 짰을 텐데) 어떤 경우는 테크닉으로 배틀에서 승리하고 어떤 경우는 퍼포먼스로 배틀에서 승리하니 '스트릿의 프리스타일을 보여주기 위해 출연을 결심한 우리들은 어떻게 우리를 보여줘야 할까' 고민했다고 밝혔다. 배틀에서 납득할 수 없는 기준으로 자꾸 패배하자 "이런 기준으로 이 방송을 계속 해야 하나...?"라고까지 생각했다고. 이에 시청자들은 '창피하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41] 리에하타의 주 장르는 코레오이다.[42] 특히 화가 난다고 말할 정도로 크게 비판했다.[43] 허니제이, 모니카, 효진초이, 리헤이, 가비, 노제, 리정, 아이키[44] 립제이는 촬영 초반 모니카의 임신과 출산으로 합류했다.[45] 이 부분은 다른 해외 크루들도 한국에서 촬영을 진행했다면 방송사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거라는 의견도 있으나, 애초에 미션 자체가 본국으로 돌아가 각 국가의 정체성을 담은 비디오를 제작한다는 취지의 미션이었다.[46] 일각에서는 외국인이 OnlyFans 활동을 하는 것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해외에서도 OnlyFans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으며, 특히 사진의 노출 수위가 너무 높다는 지적이 제기된다.[47] 3차 미션은 마이크 송, 백구영, 애슐리 에버렛이 심사위원을 맡았다.[48] 이는 박진영이 인터뷰에서 한 말과 완전히 반대되는 행동이자, 스트릿 댄스 파이터 시리즈의 아이덴티티를 완전히 부정하게 된거나 다름없다.[49] “호시 우지가 죽지도 않고 또 왔네, 호시 우지가 감이 다 살아”[50] 비교글 1, 비교글 2[51] 이 행동의 더 큰 문제는 프로그램에 참가한 댄서들 중 안무 창작 경력이 많지 않은 댄서들도 밤낮을 안 가리고 안무를 새로 짜며 미션에 임하는데, ROYAL FAMILY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52] 즉, 패리스 고블의 안무는 ROYAL FAMILY의 상징이라는 뜻.[53] 영상에서는 삐 처리 되었다.[54] 맥락상 아이키알리야에게 직접적으로 욕설을 한 건 아니다.[55] 애초에 사석에서 나눈 대화를 유튜브에 아무렇지도 않게 올렸다는 것에 많은 대중들이 비판을 했다. 더군다나 메가크루 미션의 대중 평가 집계가 한창 진행 중이던 상황이기도 했다. 허니제이다니카에게 한 발언이지만, 아이키는 자신이 NO RESPECT 5표를 받은 것에 대해 욕설을 한 것이다. 허니제이의 발언은 매우 경솔했다는 반응. 이후에 AG SQUAD한테 사과한 것으로 알려졌다.[56] 스테이지 파이터 시즌2는 다음 해로 미뤄졌거나 혹은 스트릿 우먼 파이터에 비해 흥행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편성이 취소됐을 가능성도 보인다. 자본 및 댄스 컨텐츠 이미지 소모 문제로 같은 해에 스우파와 스테이지 파이터를 모두 방영하는 것이 불리하다고 판단하여 번갈아서 방영할 계획일 가능성도 있다.[57] 하지만 영상 설명란에 '영상 속 해당 국가 및 인물의 출연 여부는 미정입니다.'라고 적혀있어 해외 14개국 모두가 참가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설령 한다 한들 실력 있는 팀들도 꾸려야 방송도 볼 맛이 있고 방송은 올림픽이 아니라 공평하게 하지는 않았을 수도 있다. 또한 베트남은 스우파의 해외 리메이크인 스트릿 우먼 파이터 베트남을 했음에도 티저에 등장하지 않았다.[58] 4월에 출산한 것으로 알려져 댄스 필름이 공개된 시점으로 봤을 때 출산 2~3개월 후로 추정되었고, 실제로는 글로벌 아티스트 미션을 출산 74일 후 촬영한 것이 밝혀졌다.[59] 한국, 일본(도쿄, 오사카), 미국, 뉴질랜드, 호주[60] 다만 강다니엘은 데뷔조 Wanna One 활동이 끝난 후 솔로로 활동하던 중 MC를 맡았고, 성한빈은 데뷔조 ZEROBASEONE 활동 기간 도중 MC를 맡은 점, 출연한 오디션에서의 최종 순위 또한 강다니엘은 우승자이고 성한빈은 준우승자인 점이 다르다.[61] 역대 스트릿댄스 파이터 시리즈의 아이돌 출신 참가자는 스우파 1의 이채연, 스맨파의 이호원&노태현&필독, 스우파 2의 구슬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