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tablebordercolor=#8F8770><colbgcolor=#CABE9C> 등장 사단 목록 ||
}}}||
| NATO - 북대서양 조약기구 및 협력국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국가 | 기갑 | 보병 | 공수 | |||
미합중국 (United States) | 3RD ARMORED DIVISION | 8TH INFANTRY DIVISION (MECH.) | 82ND AIRBORNE DIVISION | ||||
11TH ARM CAVALRY RGT. | [[WARNO/제24보병사단|24TH INFANTRY DIVISIO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WARNO/제101공수사단|101ST AIRBORNE DIVISIO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 - | [[WARNO/제35보병사단|35TH INFANTRY DIVISIO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 |||||
| - | [[WARNO/제9보병사단|9TH INFANTRY DIVISIO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8260; font-size: 0.6em;"]] | - | |||||
| - | [[WARNO/제6경보병사단|6TH INFANTRY DIVISIO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 |||||
영국 (Great Britain) | 1ST ARMOURED DIVISION | 2ND INFANTRY DIVISION | [[WARNO/다국적공수사단|MNA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8260; font-size: 0.6em;"]] | ||||
[[WARNO/제4기갑사단|4TH ARMOURED DIVISIO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8260; font-size: 0.6em;"]] | [[WARNO/베를린 사령부|BERLIN COMMAN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 |||||
| - | [[WARNO/런던본토방위사령부|HDR LONDO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 |||||
서독 (West Deutschland) | 5. PANZER-DIVISION | 2. PZ. GRENADIER-DIVISION | [[WARNO/제1공수사단|1. LUFTLANDE-DIVISIO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4F00; font-size: 0.6em;"]] | ||||
| - | TERRITORIALKOMMANDO SÜD | - | |||||
프랑스 (France) | 5E DIVISION BLINDÉE | [[WARNO/프랑스 제152보병사단|152E DIVISION D'INFANTERI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11E DIVISION PARACHUTISTE | ||||
[[WARNO/프랑스 제6경기갑사단|6E DIVISION LÉGÉRE BLINDÉE SOU ]] | [[WARNO/라인사단|DIVISION DU RHIN SOU ]] | - | |||||
네덜란드 (Netherlands) | [[WARNO/네덜란드 제4사단|4E DIVISI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8260; font-size: 0.6em;"]] | [[WARNO/네덜란드 후방지역사령부|CLKA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 ||||
벨기에 (Belgium) | [[WARNO/벨기에 제16기갑사단|16E PANTSERDIVISI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8260; font-size: 0.6em;"]] | [[WARNO/벨기에 동원사단|DIVMOB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 ||||
캐나다 (Canada) | - | [[WARNO/캐나다 제1사단|1ST CANADIAN DIVISIO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4F00; font-size: 0.6em;"]] | - | ||||
스페인 (Spain) | [[WARNO/스페인 제1기갑사단|NO.1 ARMOURED DIVISIO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4F00; font-size: 0.6em;"]] | - | - | }}} | |||
| PACT - 바르샤바 조약기구 및 협력국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국가 | 기갑 | 보병 | 해병/공수 | |||
소비에트 연방 (Soviet Union) | 79-YA GV. TANK DIV. | 39-YA. GV. MOTOSTRELK. DIV. | 35-YA O.G. DESANTO-SHTURMOVAYA BRIG. | ||||
119-Y ODT. TANK POLK. | [[WARNO/제27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27-YA GV. MOTOSTRELK. DIV.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WARNO/제56근위공중강습여단|56-YA O.G. DESANTO-SHTURMOVAYA BRI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WARNO/제25전차사단|25-YA TANK DIV.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8260; font-size: 0.6em;"]] | [[WARNO/제6독립근위차량화소총병여단|6-YA O.G. MOTOSTRELK. BRI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WARNO/제76근위공수사단|76-YA O.G. VOZDUSHNO-DESANTNAYA DIV.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WARNO/제31전차사단|31-YA TANK DIV.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4F00; font-size: 0.6em;"]] | [[WARNO/제157차량화소총병사단|157-YA MOTOSTRELK. DIV.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 |||||
[[WARNO/제17근위전차사단|17-YA GV. TANK DIV.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4F00; font-size: 0.6em;"]] | [[WARNO/제2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2-YA GV. MOT. MS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 |||||
동독 (Ost Deutschland) | 7. PANZER-DIVISION | 4. MOT.-SCHÜTZEN-DIVISION | [[WARNO/뤼겐 집단|RÜGENER GRUPPIERUN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WARNO/제9기갑사단|9. PANZER-DIVISIO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8260; font-size: 0.6em;"]] | [[WARNO/베를린 집단|BERLINER GRUPPIERUN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 | |||||
| - | 파일:Descriptor_Deck_Division_RDA_KdA_Bezirk_Erfurt_multi.png K.d.A. BEZIRK ERFURT | - | |||||
폴란드 (Poland) | [[WARNO/폴란드 제20기갑사단|20 DYW. PANCERNA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8260; font-size: 0.6em;"]] | [[WARNO/폴란드 제4기계화보병사단|4 DYW. ZMECHANIZOWANA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8260; font-size: 0.6em;"]] | [[WARNO/폴란드 강습집단|KORPUS DESANTOWY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8260; font-size: 0.6em;"]] | ||||
체코슬로바키아 (Czechoslovakia) | [[WARNO/체코 제1기갑사단|1. TANKOVA DIVIZ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4F00; font-size: 0.6em;"]] | [[WARNO/체코 제19기계화보병사단|19. MOTOSTRELECKA DIVIZ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4F00; font-size: 0.6em;"]] | - | ||||
[[WARNO/체코 제303기갑사단|303. TANKOVA DIVIZ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4F00; font-size: 0.6em;"]]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네메시스 DLC 사단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무료 DLC 사단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 얼리엑세스 DLC 사단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28260; font-size: 0.6em;" : NORTHAG DLC 사단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4F00; font-size: 0.6em;" : SOUTHAG DLC 사단 {{{#!wiki style="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7D755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50px; text-align: center" |
| <colbgcolor=#CABE9C> #4 - Capital Defence DLC 사단 | |
| 런던본토방위사령부 Home Defence Region London | |
| 국가 | |
| 병과 | 보병사단 |
| 분류 등급 | B |
1. 개요
네메시스 #4로 추가 예정인 영국 예비군 사단. 영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그레이터 런던 지역을 방위하는 본토 부대다.사단 소개뉴스
2. 배경
말 그대로 런던을 방위하는 편제. 부대를 구성하는 병력은 다음과 같다.- 제56(런던)보병여단: 사단의 핵심. 1986년 창설된 후 런던 내에 주둔하던 다섯 근위 대대의 상위제대이자 런던 내 부대의 관리와 훈련을 담당하는 부대다.
- 왕립 요먼대 일부: 예비군 기계화정찰 부대다.
- 제101(런던)공병연대: 예비군.
- 고결한 포병 중대 일부: 예비군.
- 전시 비축 물자: 만일을 위해 준비해둔 낡아 빠진 구식 장비나 오버홀 등을 위해 본토에 와있던 현대화 장비들.
- 보빙턴에 있는 기갑 학교나 미들 월롭에 있는 육군항공대 학교의 인원과 장비들.
- 북아일랜드에서 긴급 귀환한 세 개 기계화대대. 차륜형 장갑차를 장비함.
- 전직 군인이나 전직 경찰로 이루어진 본토 경비 부대인 본토방위군, 일명 HSF.
3. 사단구성
3.1. LOG
영국 수도에서 싸우는 방어용 사단이므로, 슬롯에 혜택이 많이 들어간다고 한다.3.1.1. 지휘
- ✪ ROVER CP
- ✪ FV1612 HUMBER FFR
FV1611의 지휘형으로 북아일랜드 분쟁에서 흔히 보였다. 연막탄 발사기가 달려있다. - ✪ GAZELLE AH.1 CP
3.1.2. 보급
- FIELD SUPPLY POINT
- BEDFORD MJ SUPPLY
- BEDFORD TM SUPPLY
베드포드사가 1976년 출시한 트럭. 중형 트럭인 MJ 보다 큰 대형 트럭으로 보급량이 MJ의 세 배인 3,000이다. - WESSEX HC.2 SUPPLY
퓨마나 치누크는 전부 유럽 전선에 투입되었다고 미제 H-34를 기반으로 만든 낡아빠진 웨스트랜드 웨식스 헬리콥터를 끌고왔다.
3.2. INF
- RIFLES 계열
북아일랜드 분쟁에서 IRA를 상대하다 황급히 귀환했다는 설정. 북아일랜드에서 쓰던 험버 피그를 타고오는데, 비무장 FV1611 HUMBER PIG와 M1919 기관총 포탑이 올라간 장갑 강화형 FV1611A KREMLIN PIG를 탈 수 있다. 험버 피그는 두 종류 다 연막탄 발사기가 달려있다.
- HSF
유사시 중요 시설 경비용 준군사 조직. 경비 특성이 있지만 예비군 특성과 민병대 특성 둘 다 붙어있다. BEDFORD MJ를 타고 온다.
- AIRMOBILE TERRIERS
제5공수여단에 배속된 예비역 공중기동대대원들. WESSEX HC.2를 타고 온다. 12인 규모로 칼 구스타프 M2도 가지고 있지만 예비역이라 숙련도를 훈련됨 등급까지만 올릴 수 있다.
- SAS 'G'
당시 대테러 임무를 담당하던 SAS의 G 스쿼드론. 기관단총을 든 12인 분대로 주무장은 MP5SD지만 가방 폭탄,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연막탄을 가지고 있다. 외양은 님로드 작전으로 각인된 이미지인 방독면과 검은 전투복. 미니건 두 정을 단 전용 헬기인 CHINOOK HC.1B를 타고 온다.
- TERRIERS PIONEERS
BEDFORD MJ를 타고온다.
- 기관총반
- L3A4 7,62mm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유물. 예비군이 운용해서 예비군 특성이 달려있다. - GUARDS MAG 7,62mm
근위대가 운용하므로 불굴 특성이 붙어있다. - L1A1 12,7mm M63
M63 대공마운트에 올린 M2HB.
전부 ROVER를 타고 온다.
- 대전차반
3.3. ART
자체적인 포병대라고 할게 없기에 여기저기서 긁어왔다.- 견인포 계열
- QF 25-Pdr 87,5mm
고결한 포병 중대에서 의장용 및 훈련용으로 쓰던 제2차 세계 대전 시절 견인포. - L5 105mm
- BL 5,5-inch 140mm
창고에서 꺼내왔다는 설정으로 예비군 특성이 붙어있으며 숙련도도 최저 고정이다.
- AS.90 155mm
아직 시험 중이던 신형 자주포를 황급히 전장으로 가져왔다.
3.4. TNK
치장물자로 쌓여있던 센추리온들과 보빙턴 기갑학교에서 훈련 및 시험용으로 가지고 있던 전차들의 향연. 이렇게 긁어모은 구성 때문에 센추리온 Mk.13을 제외한 모든 카드가 한 장만 있다.- 스윙파이어 차량 계열
- FERRET MK.5 SWINGFIRE
스윙파이어 대전차 미사일을 쓰는 페렛. 사격 훈련용 표적으로 쓰려던걸 가져왔다. 승무원들이 예비군이다. - FV438 SWINGFIRE
- CENTURION MK.13 계열
영국 본토에 치장물자로 쌓여있던 500대가 넘는 센추리온들. 예비군들이 타고 있다.
- CHIEFTAIN 계열
- CHIEFTAIN MK.1/4
훈련용 차량을 가져왔다는 설정으로 사격통제장치는 없는 것에 가까우며 탑재하고 있는 포탄은 대전차고폭탄 뿐이다. - CHIEFTAIN MK.9
3.5. REC
- SCOUTS 계열
- FOX ZB298
ZB298 지상용 레이더를 탑재한 폭스.
- LYNX AH.7 CHANCELLOR
챈슬러 적외선 감시장비를 탑재한 링스 AH.7.
3.6. AA
수도 방공망의 힘을 빌려 강력하다.- 맨패즈 계열
- BLOWPIPE
- JAVELIN
- STARSTREAK LML
아직 시험중인걸 급히 가져온 거치식 스타스트릭 대공미사일.
- 고정식 미사일 계열
- RAPIER FSB1
근처 비행장에서 가져온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 BLOODHOUND MK.2
뤼겐 집단의 2K11 크루그와 같은 묵직한 한 방 미사일.
3.7. HEL
미들 월롭에 있는 육군항공대 학교나 다른 부대들에게서 황급히 끌어온 헬리콥터들.- GAZELLE AH.1 [RKT]
- LYNX AH.7 HELARM
3.8. AIR
- CANBERRA 계열
- CANBERRA T.17A [EW]
비무장 전자전기. - CANBERRA B.2 [HE/CLU]
265kg 집속탄 두 발과 515kg 고폭탄 여섯 발을 탑재한 폭격기.
- PHANTOM FGR.2 [AA]
스카이플래시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네 발과 AIM-9L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네 발을 탑재했다.
- HARRIER GR.5 계열
ECM 능력이 보강되었다. - HARRIER GR.5 [HE]
515kg 고폭탄 6발. - HARRIER GR.5 [HE]
265kg 집속탄 6발.
- TORNADO F.3 [AA]
AIM-9L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네 발과 스카이플래시 슈퍼TEMP 최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네 발을 탑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