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1 21:21:49

SG 디나모 드레스덴/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SG 디나모 드레스덴

1. 개요2. 드레스드너 SC로 시작한 역사
2.1. 헬무트 쇤과 함께한 영광의 시절2.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2.2.1. 클럽 명칭 변경과 DDR 오버리가 입성2.2.2. 비정상적인 클럽 해체 통보와 클럽 해산
3.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창단과 영광과 시련의 교차
3.1. SG 폴리차이 드레스덴과 SV 도이체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3.2. 디나모 스포츠협회의 등장3.3. 연이은 시련. SC 디나모 베를린으로의 이탈3.4. 다시 찾아온 영광의 시절과 유럽대항전에서의 발자취3.5. 동독 시절의 마지막 시련
4. 독일의 재통일
4.1. 분데스리가로의 입성과 강등4.2. 강등 이후의 시련4.3. 2000년 대4.4. 2010년 대 이후
5. 시즌별 리그 전적 및 유럽대항전 기록
5.1. 역대 소속 리그 및 전적5.2. 독일 재통일 이후 리그 및 컵대회 성적5.3. 동독 시기 유럽대항전 성적
6. 최근 시즌
6.1. 2. 분데스리가 시기
6.1.1. 2016-17 시즌
6.1.1.1. 2. 분데스리가6.1.1.2. DFB-포칼
6.1.1.2.1. 시즌 성적 요약
6.1.2. 2017-18 시즌
6.1.2.1. 2. 분데스리가6.1.2.2. DFB-포칼
6.1.2.2.1. 시즌 성적 요약
6.1.3. 2018-19 시즌
6.1.3.1. 2. 분데스리가6.1.3.2. DFB-포칼
6.1.3.2.1. 시즌 성적 요약
6.1.4. 2019-20 시즌
6.1.4.1. 2. 분데스리가6.1.4.2. DFB-포칼
6.1.4.2.1. 시즌 성적 요약
6.2. 3. 리가 시기
6.2.1. 2020-21 시즌
6.2.1.1. 3. 리가6.2.1.2. DFB-포칼 & 작센 포칼
6.2.1.2.1. 시즌 성적 요약
6.3. 2. 분데스리가 시기
6.3.1. 2021-22 시즌
6.3.1.1. 2.분데스리가6.3.1.2. DFB-포칼
6.3.1.2.1. 시즌 성적 요약
6.4. 3. 리가 시기
6.4.1. 2022-23 시즌
6.4.1.1. 3. 리가6.4.1.2. DFB-포칼 & 작센 포칼
6.4.1.2.1. 시즌 성적 요약
6.4.2. 2023-24 시즌
6.4.2.1. 3. 리가6.4.2.2. 작센 포칼
6.4.2.2.1. 시즌 성적 요약
6.4.3. 2024-25 시즌
6.4.3.1. 3. 리가6.4.3.2. DFB-포칼 & 작센 포칼
6.4.3.2.1. 시즌 성적 요약
6.5. 2. 분데스리가 시기
6.5.1. 2025-26 시즌
6.5.1.1. 2.분데스리가6.5.1.2. DFB-포칼
6.5.1.2.1. 시즌 성적 요약

1. 개요

독일 작센주 드레스덴을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 SG 디나모 드레스덴(SG Dynamo Dresden)의 역사를 정리한 문서.

2. 드레스드너 SC로 시작한 역사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역사는 1898년 4월 30일, 드레스덴 시내의 슈타트 코블렌츠라는 호텔의 레스토랑에서 드레스드너 스포츠클럽 1898(Dresdner Sportclub 1898 e.V.)이 창단되며 시작되었다.

산업화를 겪던 당시의 시대적 배경이 있으며 영국인이 많이 살던 드레스덴에는 이미 1843년 창단된 ATV 드레스덴(Atv dresden)과 1873년 드레스덴 잉글리시 풋볼 클럽(Dresden English Football Club. 이하 EFC)이라는 팀들이 있었다. 특히 잉글리시 풋볼 클럽은 1874년, 엘베강변의 피렌체에서 처음으로 정식 축구 경기를 열었으며 영국에서 독일로 이주한 노동자들이 주를 이룬 클럽이었다.

이후 EFC는 드레스드너 SC의 창단을 주도하였으며 뉴 드레스드너 FC(Neue Dresdner FC)라는 EFC에서 새로이 설립한 축구 클럽의 인원들도 참여하며 드레스드너 SC가 설립된 것이었다.
since 1873년 3월 18일
= 드레스덴 잉글리시 풋볼 클럽(Dresden English Football Club)의 창단.


since 1893년
= 뉴 드레스덴 FC의 창단 (Neue Dresdner FC))


1898년 4월 30일
= (등록법인)드레스드너 SC 1898(Dresdner Sportclub 1898 e. V.) 창단

2.1. 헬무트 쇤과 함께한 영광의 시절

이렇게 1898년 창단된 드레스드너 SC는 1900년 창립된 독일 축구 협회(DFB)의 창립 멤버였으며 1910년대 이후 부침을 겪었으나 1920년대 독일의 1부 리그였던 미테도이체 페어반츠리가(Mitteldeutsche Verbandsliga)(직역하면 중부 독일 협회 리그. 이하 VMBV)에서 상위권의 성적을 기록하였으며 VMBV에서의 상위권 성적을 바탕으로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에도 여러 차례 출전 자격을 얻었다.[1]
파일:dresdner sportclub 1898-Emblem(Quelle Wikipedia).png
드레스드너 SC 시절 로고
해당 시기 드레스드너 SC는 당시 VfB 라이프치히(현재 1. FC 로코모티베 라이프치히)와 함께 거의 리그를 지배했다고 할 수 있을정도로 상위권을 유지하였다.

1934년 가우리가로 바뀌기 전까지 드레스드너 SC는 중부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Mitteldeutsche Fußballmeisterschaft.)에서 1904/05, 1925/26, 1928/29, 1929/30, 1930/31, 1932/33 시즌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이러한 리그 상위권을 바탕으로 출전한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 1942/43 시즌과 다음 시즌인 1943/44 시즌 연속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첫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시즌인 1943/43 시즌에는 23전 전승152골 16실점이라는 믿을 수 없는 성적을 거두며 우승을 차지한다.

그러나 해당 시즌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의 심화로 리그는 중단 되었으며 2차 세계 대전 이전 마지막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이었기에 당시의 우승 트로피였던 빅토리아 트로피를 영구 소장하게 된다.
해당 트로피는 이후 드레스드너의 한 서포터가 은행 금고에 숨겨두었으며 수십 년 동안 숨겨진 채 있다가 독일 축구 협회로 반환되어 현재는 도르트문트에 있는 독일 축구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파일:Dresdner SC Victoria Trophy..png
빅토리아 트로피의 레플리카[2]

2.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2.2.1. 클럽 명칭 변경과 DDR 오버리가 입성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이 독일의 패전으로 끝나가던 1944/1945 시즌 중 제2차 독일의 패망으로 전쟁이 종전되고 독일의 축구 리그 역시 중단되었다.
이유는 전쟁의 원인이었던 나치 독일과 인기 스포츠로 거듭나고 있던 축구와의 관계를 단절시키고 부르주아 스포츠였던 축구를 배척하기 위해서였다.

이후 드레스드너 SC는 다음 시즌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Sportgemeinschaft Dresden-Friedrichstadt)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 위키피디아 참고[3] 라는 이름으로 재창단되는 절차를 겪었으나 과거 드레스드너 SC 시절 로고를 거의 그대로 사용했으며 이제는 노장의 반열에 들어선 헬무트 쇤을 다시 영입하기도 하였다.
since 1898년 4월 30일
= 드레스드너 SC 1898 e.V. 창단(Dresdner Sportclub 1898 e.V.)의 창단.


1945년 6월 24일 명칭 변경
= 드레스드너 SC 1898 e.V. →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SG Dresden-Friedrichstadt).
드레스드너 SC에서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로 클럽의 명칭이 바뀌고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정세가 급박하게 돌아가며 독일 동부에 주둔하기 시작한 소련의 시스템이 사회 곳곳에 도입되었으나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는 일반적인 사회주의 기업 시스템과는 다르게 총회에서 이사회와 대표를 선출하는 민주주의적인 방식을 선택했다.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는 이전의 명성에 더해 클럽의 명칭은 바뀌었다지만 여전한 실력으로 냉전의 시작으로 동독과 서독으로 나뉜 독일의 동독 지역에서 엄청난 인기 팀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사회주의 시스템을 거부한 축구단은 동독 정부와 스포츠 관련 의사결정자들에게는 눈엣가시일 수밖에 없었다.

당시 동독은 축구 1부 리그인 DDR-오버리가와 2부 리그인 DDR-리가 등 축구 리그를 재편성하고 리그를 구성하려던 상황이었는데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은 DDR-오버리가와 DDR-리가의 창설 이전인 1948/49 시즌 소련 점령지역 챔피언십 8강에 진출해 ZSG 우니온 할레(현재 투르비네 할레)를 상대하였는데 이례적으로 중립구장이 아닌 ZSG 우니온 할레의 홈구장에서 치러지는 일이 발생하는 등 견제를 당하였다.

또한 해당 경기에서 ZSG 우니온 할레는 경기 전 등록하지 않은 선수를 4명이나 영입해 뛰었으며 해당 규칙 위반에 대한 논의조차 없이 경기는 진행되었다. 바야흐로 새로운 질서의 사회가 시작된 것이었다.

2.2.2. 비정상적인 클럽 해체 통보와 클럽 해산

독일의 분단 이후 동독의 1부 리그인 DDR 오버리가에 합류한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는 DDR 오버리가에 참가한 첫 시즌인 1949/50시즌 엄청난 기록들을 써내려갔다. FC 앙커 비스마어(현재 FC 앙커 비스마어)전 11:0, 바벨스베르크(현재 SV 바벨스베르크 03)전 12:2 등 다득점 경기가 이어졌고 해당 시즌 경기당 3.35골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썼다. 이 기록은 이후 1984/85시즌 BFC 디나모에 의해 깨지기 전까지 유지되었다.

하지만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는 DDR-오버리가 초대 우승팀이 될 수 없었다. 당시 DDR-오버리가의 경쟁에서는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 이외 당시 사회주의 클럽 시스템에 맞게 지역 기업인 호르히[4]의 후원을 받던 ZSG 호르히 츠비카우(현재 FSV 츠비카우) 역시 강팀이었으며 두 팀은 우승을 놓고 다툼을 벌였다.

그리고 1950년 4월 16일, 리그 마지막 라운드 경기를 당시 홈 구장이었던 하인츠 슈타이어 슈타디온(Heinz-Steyer-Stadion)하인츠 슈타이어 슈타디온 위키피디아 참고에서 ZSG 츠비카우를 상대로 경기를 갖게 되었다. 사실상 리그 결승전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약 6만명의 구름 관중이 모여들었다.

해당 경기에서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는 쿠르트 레만의 경기 시작 3분만의 득점으로 앞서나갔다. 그러나 몇 분 후 츠비카우 하인츠 자트라파의 동점골이 나오며 승부가 원점으로 돌아갔으며 이때부터 경기가 이상하게 흘러가기 시작했다.

전반 12분 츠비카우 선수의 거친 태클로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의 주장 발터 크라이슈가 심각한 부상을 당해 경기장을 빠져나갔으며 당시 축구 규정에 교체 제도가 없었기에 그대로 10명이 경기하는 불리한 상황이 지속되었다.
이후로도 츠비카우의 거친 파울은 계속되었는데 이상하리만큼 심판은 츠비카우에게 관대했다. 경기가 끝날 즈음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는 8명의 선수만이 남았다. 11명의 선수 중 3명이 부상으로 교체되었으며 11명 vs 8명의 경기가 나머지 시간동안 진행된 것이다.

이렇게 폭력적이며 비정상적으로 진행되었던 경기는 결국 ZSG 호르히 츠비카우의 4득점이 연이어 나오며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의 1:5의 역전패로 끝이 났다. 그러나 이러한 불공정한 경기 진행과 거친 반칙에 분노한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의 팬들은 경기장에 난입해 츠비카우의 선수들을 폭행하기 시작하였으며 결국 이후 경찰이 나서서 진압한 후에야 소요사태가 진정되었다.
그러나 이 경기의 여파는 동독 전역에 알려졌으며 결국 해당 경기가 열렸던 하인츠 슈타이어 슈타디온은 이후 6개월 동안이나 폐쇄되었다.

그러나 가장 심각한 피해를 받은 것은 비정상적인 폭력 축구의 피해로 선수 3명이 부상으로 실려나간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이었다.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는 팬을 통제하지 못한 책임을 물어 동독 당국으로부터 클럽 해산라는 비정상적인 명령을 받았는데 이는 해당 경기장인 하인츠 슈타이어 슈타디온이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의 홈 구장이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당시 선수 겸 감독이었던 헬무트 쇤에게는 동독 스포츠위원회에서 폭동을 선동했다는 혐의를 물어 추후에 처벌할 것임을 알렸다.

이에 경기 며칠 후 헬무트 쇤의 주도하에 대부분의 선수들은 동독 내 서독의 월경지 형태로 남아있던 서베를린으로 도망쳐 서독의 클럽이었던 헤르타 BSCDSC 하이델베르크 현재 명칭 하이델베르크 SC. 위키피디아 참고로 소속을 옮겼으며 일부 선수들은 클럽의 연고지였던 드레스덴으로 돌아와 BSG 타바크 드레스덴 SG 드레스덴 스트리젠. 위피피디아 참고 으로 이적하며 찬란했던 클럽은 허무하게 명맥이 끊어지고 말았다.

당시 동독은 한 도시에 여러 클럽들을 강제 합병해 기업 구단(BSG, Ballsportgemeinschaft, 직역하면 구기 스포츠 클럽 또는 커뮤니티 정도의 의미)으로 만들어 축구 수준을 높이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대표적인 예가 지금도 기관차의 팀으로 불리는 1. FC 로코모티베 라이프치히.[5]

이러한 논리에 더해 민주적인 의사 결정 과정으로 클럽을 운영하였던 드레스드너를 해체시키고 같은 작센주 드레스덴을 연고로 하는 BSG 타바크 드레스덴[6]으로 선수들을 이전시켜야 했기에 이러한 명분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렇게 마지막 독일 챔피언이자 중부 독일의 최강자였던 드레스드너 SC는 공산주의 정권앞에 무릎꿇으며 사라지게 된다.
1950년 4월 16일
= 1949/50 시즌 DDR-오버리가 34라운드 vs ZSG 호르히 츠비카우


1950년 6월 30일 클럽 해산
=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클럽의 해산
여담으로 헤르타 BSCDSC 하이델베르크[7]로 이적한 선수들은 당연히 서독 리그 소속으로 경기에 뛰었으며 동독의 BSG 타바크 드레스덴으로 입단했던 선수들은 이후 복잡한 합병과 병합 과정을 거처 현재에 이른다.

자세한 내용은 드레스드너 SC, DDR 오버리가, 헬무트 쇤, FSV 츠비카우, 1. FC 로코모티베 라이프치히SG 프리드리히슈타트 vs ZSG 호르히 츠비카우의 1949/50 시즌 마지막 경기 등 참고.

3.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창단과 영광과 시련의 교차

3.1. SG 폴리차이 드레스덴과 SV 도이체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

한편, 1948년 10월 1일에는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와 별개로 같은 드레스덴을 연고로 하고 있으며 경찰 조직이 운영하는 SG 폴리차이 드레스덴(SG polizei Dresden)[8]이라는 클럽이 창단되었다.

SG 폴리차이 드레스덴은 같은 드레스덴을 연고로 하나 당연히 드레스드너 SC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와는 관계가 없었으며 polizei(경찰)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 동독 경찰들이 만든 클럽이었으며 갓 창단되어 1948/49 시즌과 다음 시즌 동독의 5부 리그인 1. 크라이스클라세 드레스덴(1. Kreisklasse Dresden)리그에 속해 있었던 클럽일 뿐이었다.

그러나 1950년 6월 20일, 독일(동독) 스포츠 위원회 독일(동독) 스포츠 위원회 위키피디아 참고는 다음 시즌인 1950/51 시즌부터 SG 폴리차이 드레스덴을 동독의 1부 리그인 DDR 오버리가에 속하게 결정하는 비상식적인 판단을하였다.
이러한 결정은 한 배경에는 당연히 지난 4월 16일 벌어진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ZSG 호르히 츠비카우와의 경기 패배 및 폭력 사태로 인한 드레스덴 시민들의 민심을 수습하고 해산하기로 결정한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의 명맥을 잇게 하려는 의도였다.
파일:Sportvereinigung_Dynamo_standard.svg.png
SV 도이체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 시기 로고
또한 클럽의 명칭 또한 강제로 바뀌었는데 팀의 새로운 명칭은 SV 도이체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SV Deutsche Volkspolizei Dresden)[9]으로 정해졌다. 이러한 비상식적인 일들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던 것이 당시의 시대상.

같은 드레스덴을 연고로 하는 명문 축구 클럽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을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해산시킨 일자가 1950년 6월 30일이며 10일 전인 1950년 6월 20일에는 SG 폴리차이 드레스덴이라는 이름을 가진 5부 리그 클럽을 1부 리그 클럽으로 둔갑시킨 순간이었다.
since 1948년 10월 1일
= SG 폴리차이 드레스덴(SG Polizei Dresden)의 창단


1950년 6월 20일 클럽 명칭 변경 및 강제 승격
= 《명칭 변경》SG 폴리차이 드레스덴 → SV 도이체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SV Deutsche Volkspolizei Dresden)
= 《리그 변경》1949/50 시즌 5부 리그(1. Kreisklasse Dresden) 소속 → 1950/51 시즌 1부 리그(DDR 오버리가) 소속.


1950년 6월 30일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의 해산
한편,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의 해산 결정 이후 드레스덴 시민들은 그래도 같은 드레스덴을 연고로 하는 SV 도이체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를 응원하였다. 이들의 삶에 축구가 너무 깊숙히 자리잡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5부 리그 클럽이 동독 최고 리그로 곧바로 진입하는 것은 당연히 전력상 무리가 따랐기에 독일 인민 경찰청장인 쿠르트 피셔SV 폴크스폴리차이 포츠담(SV Deutsche Volkspolizei Potsdam)위주로 다른 클럽의 선수들을 이적시키고 파견시켜 SV 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를 리그 상위권 전력으로 만들었다.

이름에서 보듯 SV 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SV 폴크스폴리차이 포츠담은 동독 경찰이 사실상 운영권을 쥐고 있었으며 클럽의 민주적 의사 결정은 철저히 무시당하던 시대적 배경이 있다. 이렇게 SV 폴크스폴리차이는 동독 여러 지역에 축구 및 다른 스포츠 클럽을 운영하였으며 이후 디나모 스포츠 클럽에 흡수된다.

이렇듯 SV 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은 급하게 만들어진 팀이었으나 여러 선수들을 파견시키고 혹은 다른 팀의 선수들을 강제 이적시키는 절차를 통해 곧바로 강한 전력을 갖추었으며 곧바로 DDR 오버리가 1950/51 시즌 리그 4위를 기록하였다. 2년전 창단되어 지난 시즌 5부 리그에서 경기하던 클럽이 재창단 절차를 거치더니 다음 시즌 1부 리그 4위로 순위가 뛰어오른 순간이었다.

SV 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은 다음 시즌이었던 1951/52 시즌 DDR 오버리가 2위까지 뛰어올랐으며 FDGB-포칼에서는 우승을 차지하였고 1952/53 시즌에는 BSG 비스무트 아우에(현재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를 제치고 아예 리그 우승까지 차지한다.

그러나 전술하였듯 드레스드너 SC 시절과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 시기 및 현재의 선수들은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더라도 너무나 많이 바뀌어 있었으며 클럽의 역사가 일관되게 유지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3.2. 디나모 스포츠협회의 등장

이러한 비상식적인 일련의 사건 배경에는 디나모 스포츠협회가 중심에 있었다.

SV 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이 3번째 1부 리그인 1952/53 시즌이 끝나갈 무렵인 1953년 3월 27일, 소련의 조직을 본따 만들었으며 동독의 보안 기관인 인민경찰, 국가안전부(MfS)세관이 관여하는 스포츠 관련 의사 결정 기구인 디나모 스포츠 협회(Sportvereinigung Dynamo. 이하 SV 디나모 또는 디나모 스포츠협회)디나모 스포츠 협회 위키피디아 참고가 설립되었다.

이 디니모 스포츠 협회의 전신은 1950년 6월 20일, SG 폴리차이 드레스덴을 1부 리그로 승격시키는 동시에 팀명을 바꾼 의사 결정을 한 회의에서 설립된 독일 인민 경찰 스포츠 협회였는데 이후 3년여가 흐른 1953년 3월 말 디나모 스포츠 협회라는 이름으로 확대 개편된 것이었다.

디나모 스포츠 협회의 책임자는 당시 동독 국가 안전부(MfS), 즉 슈타지의 차관이었던 에리히 미엘케 에리히 미엘케 위키피디아 참고였으며 에리히 미엘케는 기존의 인민 경찰 스포츠협회국가 안전부 스포츠협회(슈타지)세관 스포츠협회를 통합하며 디나모 스포츠협회로 확대·개편한 것이었다.

디나모(Dynamo)는 영어 단어 Dynamic의 독일식 표기이며 활동적인, 활력의, 힘의 등의 뜻이 있으며 동독보다는 소련에서 널리 사용되며 명칭이었으며 현재까지 러시아의 여러 스포츠 클럽 명칭으로 쓰인다. 디나모라는 이름이 들어간 여러 클럽들의 명칭은 소비에트 톱 리그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등 참고.

이러한 설립 배경을 지닌 디나모 스포츠협회는 동독의 스포츠 관련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독일(동독) 체조 및 스포츠 협회(Deutscher Turn- und Sportbund)동독 체조 및 스포츠 협회 위키피디아 참고의 산하 기구였으나 동독 국가인민군의 스포츠 관련 의사 결정 기구인 육군 스포츠 협회국가인민군 육군 스포츠 협회 위키피디아 참고와 마찬가지로 자율성을 부여받았으며 동독 지역의 도시마다 있는 인민경찰 지구청과 슈타지 지구청, 그리고 여러 디나모 스포츠 클럽 구성원에게 이르기까지 폭넓은 정보력을 바탕으로 선수를 발굴하고 육성하였다.

디나모 스포츠협회가 설립되고 약 2주가 지난 1953년 4월 12일, SV 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SG 디나모 드레스덴으로 명칭을 변경하기로 결정하며 이제는 디나모라는 명칭을 쓰게되었다. 클럽 내부의 의사결정이 아닌 외부 의사 결정에 의해 클럽의 이름이 다시 한번 바뀐 것이었다.
1953년 4월 12일 클럽 명칭 변경
= SV 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 → SG 디나모 드레스덴(SG Dynamo Dresden)
한편, 디나모 스포츠협회의 스포츠 개입은 가속화되어 1954년 10월 1일, 최초의 디나모 스포츠 클럽인 SC 디나모 베를린이 수도인 베를린에서 창단되었으며 이후 굴지의 대도시인 베를린를 연고로 하는 SC 디나모 베를린은 빠르게 성장을 거듭하여 디나모 스포츠 클럽 중 최대 규모의 스포츠 클럽으로 자리매김하였고 축구 뿐만 아니라 수 많은 종목의 팀을 운영하게 된다. 이 SC 디나모 베를린이 후술할 BFC 디나모의 전신.

3.3. 연이은 시련. SC 디나모 베를린으로의 이탈

이렇게 탄생한 SC 디나모 베를린은 종합 스포츠 클럽으로의 면모는 갖추었으나 창단 당시 축구 부서는 없었으며 1954년 11월 같은 디나모 스포츠협회 산하 구단인 SG 디나모 드레스덴에서 1군 선수들을 강제 이적시키며 축구 부서를 탄생시켰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의사 결정에는 당시 냉전이 시작되는 시기였다는 역사적 배경이 있으며 수도인 베를린에 더욱 강한 팀을 만들고자 하는 정치적인 의도가 짙게 깔려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SC 디나모 베를린의 역사 참고.
1954년 11월 선수 강제 이적
= SG 디나모 드레스덴 → SC 디나모 베를린
이러한 비상식적인 선수 수급으로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남은 2군 선수들유스팀 선수 및 해체된 SC DHfK 라이프치히에서 선수들을 수급하며 어렵사리 클럽의 명맥을 유지시켜 나아갔다.

그러나 클럽의 1군 선수들을 비정상적으로 빼앗기면서 전력은 크게 약화되었으며 춘추제 시즌으로 펼쳐졌던 1956 시즌에는 당시 동독의 3부 리그였던 II. DDR-리가 쥐트(남부)에서 13위를 차지하며 4부 리그인 베치르크스리가 드레스덴으로 강등되고 말았다.

이후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1957 시즌, 4부 리그인 베치르크스리가 드레스덴(Bezirksliga dresden)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3부 리그로 복귀하였으며 다시 1958 시즌, 3부 리그인 DDR-리가 슈타펠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2부 리그인 DDR-리가까지 승격하는데 성공하였다.
<nopad> 파일:Die Bezirksliga-Mannschaft von Dynamo 1957.png
어려운 시기를 함께했던 1957 시즌 당시 SG 디나모 드레스덴 선수단
이후 1960년대가 시작되며 다시 추춘제로 바뀐 1961/62 시즌에는 당시 동독의 축구 2부 리그였던 DDR-리가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첫 DDR 오버리가 우승을 차지한지 10년이 지난 시점인 1962/63 시즌 드디어 동독 최상위 리그로 복귀한다.

3.4. 다시 찾아온 영광의 시절과 유럽대항전에서의 발자취

1962/63 시즌,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10년만에 1부 리그를 맞이하였으나 전력은 강하지 못했으며 리그 13위를 차지하며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그러나 곧바로 승격에 성공하며 오버리가로 돌아왔으며 이후 3년 연속 DDR-오버리가 소속으로 있었다. 그러던 1967/68 시즌에는 리그 13위를 차지하며 다시 2부 리그인 DDR-리가로 강등되는 아픔을 겪었다.

그러나 1968/69 시즌에는 DDR-리가에서 경기를 펼쳐 우승을 차지하고 DDR-오버리가 복귀에 성공하였으며 이후 주로 동독 최상위 리그였던 DDR-오버리가에서 경기를 펼쳤다.
파일:1967 Hinspiel Messe-Pokal 11, Dynamo - Glasgow Rangers, (rechts Bernd Hofmann).png
1967/68 시즌 레인저스 FC와의 인터-시티 페어스컵에 출전한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주장(베른트 호프만, 오른쪽)[10]
다시 맞이한 DDR-오버리가 1969/70 시즌을 앞두고는 발터 프리츠 발터 프리츠 위키피디아 참고가 팀의 새로운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1969/70 시즌 FC 카를 차이스 예나FC 포르베르츠 베를린(1. FC 프랑크푸르트의 전신)에 밀려 오버리가 3위를 차지하였던 디나모 드레스덴이었으나 다음 시즌이었던 1970/71 시즌에는 첫 우승 시즌이었던 1952/53 시즌에 이어 18년만에 DDR-오버리가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또한 같은 시즌 FDGB-포칼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동독 클럽 최초로 더블을 달성하였다.[11]

다음 시즌 리그 3위를 기록하였던 디나모 드레스덴은 1972/73 시즌 3번째 DDR 오버리가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1975/76 시즌부터는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리그의 대표적인 강팀으로 자리잡았다. 또한 당시 전성기를 맞이하였던 작센안할트의 1. FC 마그데부르크와 매 시즌 치열한 선두권 경쟁을 펼쳤는데 이러한 배경의 결과로 지금의 엘프 클라시코가 생겨났다.
자세한 내용은 엘프 클라시코 참고.
<nopad> 파일:28. Mai 1977 Im Ostberliner Stadion der Weltjugend sichert sich die SGD das zweite von insgesamt drei Doubles..png
DDR-오버리가 우승과 FDGB-포칼 우승을 동시에 달성한 1976/77 시즌 선수단
1977/78 시즌 DDR-오버리가 3연패(連覇)를 이룩한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리그 상위권 팀의 자격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유럽대항전에 자주 출전하였다.
당시는 냉전이 절정에 다다랐던 시기였기에 서구권과의 이념 대립이 심하였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유럽대항전 출전은 디나모 드레스덴의 현재 전력을 확인하고 다른 유럽의 유수한 클럽들과 경기를 펼칠 절호의 기회였다. 동독 정부에서도 서구권과의 체제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나모 드레스덴의 유럽대항전을 허용하였기에 이러한 국제 경기가 허락되었다.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1967/68 시즌과 1970/71 시즌 인터-시티 페어스컵에 출전하였으나 각각 1라운드와 2라운드에 탈락하며 초반에는 좋은 성적을 기록하지 못하였다.

그러던 1970/71 시즌 DDR-오버리가 우승팀 자격으로 1971/72 시즌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유러피언 컵(현재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하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당시 유러피언 컵은 별도의 조별 리그 없이 32강 토너먼트 단계에서 홈 & 원정의 2경기의 토너먼트 방식으로 16강전 진출 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디나모 드레스덴은 1라운드에 네덜란드의 명문 AFC 아약스를 상대로 원정 1차전에서 패하고 홈에서 무승부를 벌이며 탈락하였다.[12]

이어 1972/73 시즌에는 지난 시즌 DDR-오버리가 2위를 차지하였기에 UEFA 컵(현재 UEFA 유로파 리그)로 밀려났으나 오스트리아의 VÖEST 린츠(현재 FC 슈탈 린츠)와 폴란드의 루흐 호주프를 꺽고 16강전에 진출하였으며 FC 포르투를 제치고 8강까지 진출하였다. 그러나 8강전에서 리버풀 FC에 패하며 탈락하고 말았다.

1973/74 시즌에는 두 번째로 유러피언컵에 진출하였다. 이번 시즌에는 1라운드에서 이틸라아의 거함 유벤투스 FC에 골 득실차에서 승리하며 2라운드에 진출하였으나 서독의 FC 바이에른 뮌헨에 패하며 탈락하고 말았다.
<nopad> 파일:UEFA-Pokal 1979 „Dixie“ Dörner und Atlético Madrids Luiz Pereira führen ihre Mannschaften aufs Feld.png
1979/80 시즌 UEFA 컵(현재의 UEFA 유로파 리그) vs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선수단 입장[13]
이렇듯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동독 시절 가장 좋은 성적을 유지했던 1975년~1980년대 초까지는 매 시즌 유러피언 컵이나 UEFA 컵 또는 UEFA 컵위너스컵에 출전하였으며 1975/76 시즌[14]1978/79 시즌[15]에는 유러피언 컵 8강까지 진출하며 유럽 전역에 이름을 널리 알렸다.

3.5. 동독 시절의 마지막 시련

DDR-오버리가에서 이미 6번의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1978/79 시즌과 다음 시즌 준우승을 거둔 디나모 드레스덴은 리그에서 누구도 부인하기 어려운 강팀이 되었다. 여러 번의 시련이 있었고 클럽의 강제 해체선수단 강제 이탈에 맞서 순수 실력으로 리그 정상으로 올라섰기 때문이었다.

그러던 1980년대가 시작되며 다시 시련이 시작되었다. 이번 디나모 드레스덴의 시련에도 그 중심에는 전술한 에리히 미엘케가 있었는데 수도인 베를린에 강한 전력을 보유한 팀을 만들고자 하는 그의 의지가 아래와 같은 비정상적인 과정과 결말로 나타났다.

앞서 설명한 SC 디나모 베를린은 1966년 축구 부서를 독립시키며 클럽의 명칭을 BFC 디나모로 바꾼 상태였는데 여러 편법과 슈타지의 지원에도 성적이 신통치 않았던 상황이었다.
1966년 클럽 명칭 변경 및 부서 독립
= SC 디나모 베를린 → BFC 디나모(Berliner Fussball Club Dynamo e. V)
그러던 1978/79 시즌, BFC 디나모에 위르겐 보그스 위르겐 보그스 위키피디아 참고 감독이 부임하였는데 보그스의 부임 이후 BFC 디나모는 각종 경기 조작상대 클럽에 대한 협박, 라이벌 구단에서의 선수 강제 수급심판 매수 등 여러 가지 편법으로 DDR-오버리가에서 무려 10년 연속 우승(1978/79 시즌 ~ 1987/88 시즌까지)을 차지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1980년대 중후반까지 지속되었으며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1978/79 시즌부터 1986/87 시즌까지 준우승만 7차례를 기록하였다.
비록 DDR-오버리가에서는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우승을 차지한 BFC 디나모에 밀렸으나 여전히 유럽대항전에는 출전 자격을 얻었으며 1982/83 시즌1984/85 시즌1985/86 시즌에는 지난 시즌 FDGB-포칼 우승팀의 자격으로 유럽대항전인 UEFA 컵위너스컵에 출전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이어갔다.
<nopad> 파일:1984 Im Stadion der Weltjugend bejubelt die SGD den 21-Erfolg gegen Meister BFC Dynamo im 33. FDGB-Pokalfinale..png
1983/84 시즌 FDGB-포칼 결승전에서 BFC 디나모에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한 순간
1985/86 시즌 UEFA 컵위너스컵에서는 벨기에 세르클러 브뤼허 KSV를 상대로 원정 다득점에서 간신히 앞서며 2라운드에 진출하였으며 2라운드(16강전)에서는 핀란드의 HJK 헬싱키 원정에서 패하였으나 홈에서 7:2의 완승을 거두고 8강전에 진출하였다.
3라운드 상대는 서독의 바이어 우어딩엔(현재 KFC 위어딩겐 05)이었는데 1차전 홈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하였으나 원정 2차전에서도 전반을 3:1로 앞서며 4강 진출을 눈 앞에 두었다. 그러나 골키퍼 베른트 야쿠보프스키베른트 야쿠보프스키 위키피디아 참고의 실책이 연이어 나오며 3:7의 대역전패를 당하고 탈락하고 말았다.

이어 1988/89 시즌에는 에두아르트 가이어 에두아르트 가이어 위키피디아 참고 감독의 지도 아래 UEFA 컵에 출전하여 16강전에서 루디 푈러가 활약하였던 AS 로마를 1, 2차전 모두 2:0으로 승리하며 8강전에 진출하였으며 8강전에서는 루마니아의 빅토리아 부쿠레슈티 빅토리아 부쿠레슈티 위키피디아 참고에 승리하며 유럽대항전 진출 사상 처음 4강전에 진출하였다.
비록 최상위 챔피언들의 리그였던 유러피언 컵의 4강은 아니었다지만 당시 UEFA 컵 역시 상당한 명성을 가지고 있었고 명예로운 대회였다. 자세한 내용은 UEFA 유로파 리그 초창기 역사 참고.

그러나 최초 유럽대항전 4강전에 진출했던 디나모 드레스덴은 4강전에서는 서독의 VfB 슈투트가르트를 상대로 1차전 원정에서 0:1로 패하고 2차전 홈 경기에서 1:1의 무승부에 그치며 결승전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비록 UEFA 컵 4강전에서 탈락하였으나 DDR-오버리가에서는 16승 8무 2패의 전적으로 12승 8무 6패에 그친 BFC 디나모를 제치고 리그 7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다음 시즌이었던 1989/90 시즌 다시 DDR-오버리가에서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FDGB-포칼에서도 우승하며 다시 한번 더블을 이룩하였다. 당시 우승의 주역이 바로 울프 키르스텐, 마티아스 자머, 안드레아스 바겐하우스[16]마리오 케른 [17]
<nopad> 파일:Hans-Uwe Pilz im Jahre 1990.png
1989/90 시즌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DDR-오버리가 마지막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한스-우베 필츠 한스-우베 필츠 Wp 참고

4. 독일의 재통일

디나모 드레스덴은 DDR-오버리가와 유럽대항전에 두각을 나타내며 동독 최고의 축구 클럽으로 자리매김하였으나 동독과 서독은 거대한 변화가 다가오고 있었다. 바로 1990년 10월 3일독일 재통일이었다.

1989/90 시즌이 디나모 드레스덴의 우승으로 막을 내리고 얼마 지나지 않은 1990년 6월 1일,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클럽의 명칭을 1. FC 디나모 드레스덴으로 다시 바꾸었다.
1990년 10월 3일 클럽 명칭 변경
= SG 디나모 드레스덴 → 1. FC 디나모 드레스덴(1. Fußball-Club dynamo Dresden e. V.)
파일:Historical_Logo_1._FC_Dynamo_Dresden_(1990-2002).png
1. FC 디나모 드레스덴 시절 로고
이유는 지난 해 붕괴된 베를린 장벽(1961년 8월 13일 ~ 1989년 11월 9일) 이후 거대한 사회의 변화에 맞서기 위함이었는데 장벽의 붕괴 이후 많은 동독 선수들이 공산주의의 몰락을 예견하고 자본주의의 물결에 따라 서독으로 이주하였으며 클럽의 최고 선수인 마티아스 자머울프 키르스텐 역시 마찬가지였다.

동유럽 혁명으로 인한 변화된 사회 분위기에 동독인민군과 악명 높던 슈타지도 힘이 빠지며 통제력을 상실해 가던 시기였으며 1990/91 시즌 개막전에 마티아스 자머와 울프 키르스텐을 비롯한 여러 선수들이 클럽을 이탈하며 1. FC 드레스덴의 전력은 급격히 나빠졌다.

자세한 내용은 독일 재통일, 베를린 장벽, 동유럽 혁명 국가인민군, 슈타지 등 참고.

비록 베를린 장벽은 무너졌으며 독일의 재통일이 다가오고 있었다지만 동독과 서독으로 분리되어 오랫동안 유지되었던 축구 시스템을 단번에 바꾸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결국 1990/91 시즌, NOFV-오버리가[18]로 이름이 바뀐 동독의 DDR 오버리가에서 마지막으로 시즌을 마쳤다.

1. FC 디나모 드레스덴은 FC 한자 로스토크에 이은 NOFV-오버리가 리그 2위를 차지하였으며 동독의 축구 리그가 서독의 시스템으로 흡수되는 과정에서 분데스리가로의 편입이 결정되었다. 1990/91 시즌 동독 DDR-오버리가(NOFV-오버리가로 변경)의 성적을 기반으로 상위 1~2위 클럽이 분데스리가로 편입되기로 결정되었기 때문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NOFV 오버리가 1990/91 시즌분데스리가 1991/92 시즌 참고

4.1. 분데스리가로의 입성과 강등

독일은 1990년 10월 3일 다시 통일되어 하나의 나라로 돌아갔으며 1. FC 디나모 드레스덴1991/92 시즌 분데스리가에 지난 시즌 NOFV-오버리가 우승팀인 FC 한자 로스토크와 같이 출전하는 동독 출신 클럽이 되었다.

첫 분데스리가로 편입된 1991/92 시즌 분데스리가은 기존의 18개 클럽이 아닌 동독 클럽의 편입으로 20개 클럽이 경쟁을 펼쳤는데 1. FC 디나모 드레스덴은 12승 10무 16패의 전적으로 리그 14위를 거두는데 그치며 서독과 동독 간의 축구 실력 차이를 확인해야 했다. 그러나 리그 10승 11무 17패의 전적으로 리그 18위를 차지하며 바로 강등된 FC 한자 로스토크보다는 나은 처지였다.

이어 다음 시즌 간신히 리그 15위를 차지하며 분데스리가 잔류에 성공하였다. 잔류에는 성공하였다지만 동독 최고의 클럽이 독일 통일 이후 최상위 리그에서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이른 것이었다.

1993/94 시즌의 시작 이전인 1993년 1월, 독일 중부 헤센 출신의 건설업자 롤프-위르겐 오토가 신임 회장으로 선출되었는데 그는 1970년대 분데스리가 승부조작 스캔들 당시 키커스 오펜바흐에서 이미 고위직을 맡았으며 이후 축구 에이전트로 변신한 빌리 콘라트를 기술 이사로 임명하였으나 빌리 콘라트가 사기로 라이센스를 취득했다는 것이 드러나 디나모 드레스덴은 1993/94 시즌 성적과 관계 없이 승점 4점을 삭감당했다.

결국 1993/94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10승 14무 10패의 전적을 기록한 디나모 드레스덴은 다시 리그 중하위권인 13위에 올랐으며 분데스리가 잔류에 성공하였다. 본래의 승점은 34점이었으나 전술한 라이센스 관련 승점 4점 삭감으로 최종 승점은 30점으로 처리되었다.[19]

그러나 분데스리가 소속으로 4번째 시즌이었던 1994/95 시즌에는 4승 8무 22패의 파멸적인 성적을 기록하며 리그 최하위에 머물렀으며 일찌감치 강등이 확정되었다. 리그 17위인 MSV 뒤스부르크(6승 8무 20패, 승점 20점)과는 승점 4점 차였다.

4.2. 강등 이후의 시련

분데스리가에서 강등 당하면서 돌아가게 될 리그는 당연히 2. 분데스리가였다. 분데스리가처럼 2. 분데스리가 역시 연방 단위의 단일 및 풀리그의 형태로 리그가 진행되었으며 분데스리가로의 승격과 강등에 직접 연관된 리그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1994/95 시즌 진행 중 클럽의 부채가 1천만 마르크에 달한다는 것이 밝혀지며 독일 축구 연맹(DFB)로부터 1995/96 시즌 분데스리가 및 2. 분데스리가 참가가 거부되었다. 이에 디나모 드레스덴은 당시 통일 독일의 3부 리그로 개편되었던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북동부)지구로 강등되었다.

이후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1995/96 시즌에는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에서 4위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1999/2000 시즌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지구에서 18개 클럽 중 리그 8위를 차지하였으나 다음 시즌인 2000/01 시즌 4부 리그인 NOFV-오버리가 노르트로 강등되었다.

이러한 결정의 배경은 독일 재통일 이후 분데스리가와 2. 분데스리가 참여 클럽은 18개 클럽으로 동일하며 규모가 유지되고 있지만 3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는 지역 단위로 나뉘어져 있었으며 많은 클럽이 참가하고 있었기에 2. 분데스리가 승격을 놓고 많은 다툼과 논란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당시 레기오날리가는 노르트(북부) 18 클럽, 노르트오스트(북동부) 18 클럽, 쥐트(남부) 18클럽 및 쥐트베스트(남서부) 20 클럽이 참가하여 총 74클럽이 참가하는 대형 리그였는데 레기오날리가의 상위권 클럽은 다음 단계의 리그였던 2. 분데스리가로 승격하는 것이 원칙이나 레기오날리가는 연방 단위 리그가 아닌 지역 리그였기에 각 지구 상위팀이 곧바로 승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던 것.

3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의 각 지구 상위권 클럽들이 많은 경우 2. 분데스리가로의 승격 도전이 실패로 돌아가고 특정 지구의 자동 승격 및 다른 지구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놓고도 계속 다툼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많은 혼선이 빚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였기 때문에 리그 재편성이 필요했던 것.

이러한 레기오날리가의 재조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으며 레기오날리가 1999/2000 시즌에는 필연적으로 많은 클럽이 4부 리그인 오버리가로 강등되었다. 이후 레기오날리가는 노르트(북부)와 쥐트(남부)지구로 나뉘었으며 2008/08 시즌 출범한 연방 단위 3부 리그인 3. 리가의 출범에 따라 현재는 4부 리그의 재편성되었으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20] 지역 리그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1999/2000 시즌 레기오날리가의 재편성
리그 티어 1999/2000 시즌 이전 2000/01 시즌 이후
- 리그 명칭 참가 클럽 수 리그 명칭 참가 클럽 수
1부 리그 분데스리가 18 클럽 분데스리가 18 클럽
2부 리그 2. 분데스리가 18 클럽 2. 분데스리가 18 클럽
3부 리그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레기오날리가 쥐트
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
18 클럽
18 클럽
18 클럽
20 클럽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레기오날리가 쥐트
20 클럽
18 클럽
누계 소속 클럽 - 110 클럽 - 74 클럽
SG 디나모 드레스덴이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1999/2000 시즌에서 18개 클럽 중 중위권인 리그 8위를 기록하였으나 4부 리그인 NOFV-오버리가로 강등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해당 시즌 8위인 디나모 드레스덴 이하의 성적을 거둔 클럽은 전부 4부 리그인 NOFV(노르트오스트)-오버리가로 강등되었으며 다음 시즌부터는 4부 리그인 오버리가 소속으로 경기하였다.

4.3. 2000년 대

2000/01 시즌에는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4부 리그에서 경기를 펼쳤다. 독일의 재통일로 리그의 구조가 바뀌는 근본적인 변화가 있었으며 동독의 영토보다 훨씬 넓었던 레기오날리가의 개편된 구역으로 경기를 펼쳤던 어려움도 있었던 시즌이었다.
<nopad> 파일:12. Februar 2000, Sachsenderby gegen den Schacht in der Regionalliga Nordost.png
1999/2000 시즌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에서 상대한 엘프 클라시코의 상대 1. FC 마그데부르크
2000/01 시즌 NOFV-오버리가에서 실망스러운 5위의 성적을 거둔 디나모 드레스덴은 2001/02 시즌 오버리가 노르트오스트 지구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3부 리그인 레기오날기로의 복귀에 성공한다.

전술한 대로 다시 돌아온 레기오날리가였으나 리그의 이름은 기존의 舊 동독 지역이었던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21]지구가 아닌 레기오날리가 노르트(북부)(북부)지구가 되었으며 해당 지역은 기존 동독 지역이었던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작센, 작센안할트, 브란덴부르크튀링겐주는 물론 기존 서독의 영토였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니더작센, 함부르크브레멘이 포함된 거대한 지역 단위로 바뀐 상태였다. 애초 4개의 구역(북부, 북동부, 남부, 남서부)으로 나뉘었던 레기오날리가를 남부와 북부의 2개의 구역으로 나누었으니 구역 단위가 커진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2002/03 시즌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에서 경기를 펼친 SG 디나모 드레스덴이었으나 옛 동독 클럽인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에게는 물론 니더작센의 VfL 오스나브뤼크와 베스트팔렌의 로트바이스 에센, SG 바텐샤이트 09,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리저브 팀SV 베르더 브레멘 리저브 팀에 밀리며 리그 7위를 차지하는데 그쳤다. 이제는 옛 서독 강팀의 리저브 팀에게 조차 앞선 전력을 내세울 수 없는 지경에 몰린 것이었다.

다행히 다음 시즌이었던 2003/04 시즌에는 베스트팔렌의 로트바이스 에센에 이어 리그 2위를 차지하며 2. 분데스리가에 입성하였다. 독일 통일 이후 최상위 리그인 분데스리가로 직행하였기에 통일 이후 연방 단위 2부 리그는 처음 겪는 리그였다.

2004/05 시즌에는 2. 분데스리가 소속으로 경기를 진행하였으며 리그 8위에 오르는 무난한 성적을 기록하였으나 다음 시즌 리그 15위에 그치며 다시 레기오날리가로 강등되고 말았다.

독일의 통일 이후 서독 클럽 위주로 리그가 진행되고 있으며 분데스리가는 물론 2. 분데스리가에서 조차 입지가 쉽지 않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미 많은 구 동독 클럽들이 클럽의 재창단과 흡수 및 합병의 절차가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2006/07 시즌부터는 3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에서 경기를 하였으며 2007/08 시즌에는 1. FC 디나모 드레스덴에서 기존의 명칭인 SG 디나모 드레스덴으로 다시 클럽의 명칭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7년 클럽 명칭 환원
= 1. FC 디나모 드레스덴 → SG 디나모 드레스덴(Sportgemeinschaft Dynamo Dresden e. V.)
한편, 다음 시즌인 2008/09 시즌에는 독일 연방 단위 3부 리그인 3. 리가가 20개 클럽의 T.O 를 가지고 출범 예정된 상태였다. 디나모 드레스덴은 2007/08 시즌에도 중위권의 성적을 기록하였기에 2. 분데스리가 승격에 실패하였으며 3. 리가에 창단 멤버로 참가하였다.

첫 출범한 3. 리가 2008/09 시즌에는 구 동독 출신의 FC 로트바이스 에어푸르트, 1. FC 우니온 베를린, FC 카를 차이스 예나,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와 함께 시즌을 시작하였다.
디나모 드레스덴은 첫 경기에서 에어푸르트에 승리하였으나 중위권에 머물렀으며 결국 13승 11무 14패의 전적으로 리그 9위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이후 2009/10 시즌에는 3. 리가 12위까지 추락하였으나 2010/11 시즌에는 랄프 루스랄프 루스 위키피디아 참고 감독의 지도 아래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FC 한자 로스토크에 이은 리그 3위를 거두었으며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2. 분데스리가 16위인 VfL 오스나브뤼크를 상대로 어렵사리 승리하며 다시 2. 분데스리가 승격에 성공하였다.
<nopad> 파일:Am 25. Mai 2011 feiert Dynamo mit zehntausenden Fans den Wiederaufstieg in die 2. Bundesliga auf dem Dresdner Altmarkt..png
2011년 5월 25일,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2. 분데스리가 승격을 축하하기 위해 드레스덴 시내 알트마르크트 광장에 모인 수 많은 팬들

4.4. 2010년 대 이후

그러나 다시 돌아온 2. 분데스리가에서는 여전히 부족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어렵사리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돌아온 2. 분데스리가 2011/12 시즌 9위를 기록하였으나 2012/13 시즌 리그 16위에 그친 끝에 간신히 잔류에 성공하였으며 2013/14 시즌에는 초반부터 부진한 모습을 보인 끝에 5승 17무 12패의 최악의 전적으로 다시 3. 리가로 강등되고 말았다.

다시 돌아온 2014/15 시즌 3. 리가에서 리그 6위를 기록하며 승격에 실패하였으나 우베 노이하우스 감독이 팀을 이끈 2015/16 시즌 3. 리가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2. 분데스리가 승격에 성공하였다.

다시 돌아온 2. 분데스리가 2016/17 시즌에는 2. 분데스리가 시절 최고의 성적인 13승 11무 10패의 전적으로 리그 5위에 오르며 드디어 2. 분데스리가에서 경쟁력을 갖추었다고 인정받았다. 그러나 다음 시즌 다시 리그 14위까지 추락하였으며 2019/20 시즌에는 마르쿠스 카우친스키가 감독직을 이어받으며 분투를 펼쳤으나 끝내 리그 최하위에 머무르며 다시 강등되고 말았다.

이렇게 2. 분데스리가와 3. 리가를 왕복하는 클럽이 되어버린 2010년대였으며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2020/21 시즌 3. 리가에서 다시 우승을 차지하며 2. 분데스리가 승격에 성공하였다.
이제는 2. 분데스리가에서의 안정적 잔류를 바라는 팬들의 입장이지만 여전히 부실한 재정적 능력과 재능있는 선수의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분데스리가 승격 마지노 선인 2. 분데스리가에서 3위 이내 입성은 무척 어려워 보이는 전력.

다시 승격한 2021/22 시즌에는 여전히 부실한 2. 분데스리가 경쟁력을 보이며 시즌 전적 7승 11무 16패로 리그 16위에 그치며 승강 플레이오프로 떨어졌으며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 패하며 한 시즌만에 3. 리가로 다시 강등되었다.

이후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2022/23 시즌부터 3. 리가에서 경기하고 있으며 3. 리가 중상위권의 전력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2. 분데스리가 승격에 실패하였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3. 리가에서는 리그 상위권의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 정도.

3. 리가로 돌아와 세 번째 시즌을 맞이한 2024/25 시즌에는 토마스 슈탐의 지휘 아래 중간 리그 선두를 달리며 승격 가능성을 높였고 결국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 리그 우승을 내어주었으나 리그 2위의 성적으로 2. 분데스리가 승격을 확정지었다.

이에 2025/26 시즌에는 2. 분데스리가 소속으로 11번째 시즌을 맞이하게 되었다.

5. 시즌별 리그 전적 및 유럽대항전 기록

5.1. 역대 소속 리그 및 전적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역대 리그 순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 시즌 <colcolor=#000> 리그 티어 <colcolor=#000> 리그 <colcolor=#000> 순위
SV 폴크스폴리차이 드레스덴
1950-51 1 DDR-오버리가 4
1951-52 1 DDR-오버리가 2
SG 디나모 드레스덴
1952-53 1 DDR-오버리가 1
1953-54 1 DDR-오버리가 3
1954-55 2 DDR-리가 10
1955 3 DDR-리가 쥐트 4
1956 3 DDR-리가 쥐트 13
1957 4 베치르크스리가 드레스덴 1
1958 3 DDR-리가 슈타펠 4 1
1959 2 DDR-리가 7
1960 2 DDR-리가 3
1961-62 2 DDR-리가 1
1962-63 1 DDR-오버리가 13
1963-64 2 DDR-리가 쥐트 1
1964-65 1 DDR-오버리가 10
1965-66 1 DDR-오버리가 5
1966-67 1 DDR-오버리가 4
1967-68 1 DDR-오버리가 13
1968-69 2 DDR-리가 쥐트 1
1969-70 1 DDR-오버리가 3
1970-71 1 DDR-오버리가 1
1971-72 1 DDR-오버리가 3
1972-73 1 DDR-오버리가 1
1973-74 1 DDR-오버리가 3
1974-75 1 DDR-오버리가 3
1975-76 1 DDR-오버리가 1
1976-77 1 DDR-오버리가 1
1977-78 1 DDR-오버리가 1
1978-79 1 DDR-오버리가 2
1979-80 1 DDR-오버리가 2
1980-81 1 DDR-오버리가 4
1981-82 1 DDR-오버리가 2
1982-83 1 DDR-오버리가 7
1983-84 1 DDR-오버리가 2
1984-85 1 DDR-오버리가 2
1985-86 1 DDR-오버리가 7
1986-87 1 DDR-오버리가 2
1987-88 1 DDR-오버리가 3
1988-89 1 DDR-오버리가 1
1989-90 1 DDR-오버리가 1
1990-91 1 NOFV-오버리가 2
1991-92 1 분데스리가 14
1992-93 1 분데스리가 15
1993-94 1 분데스리가 13
1994-95 1 분데스리가 18
1995-96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4
1996-97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7
1997-98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2
1998-99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11
1999-2000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8
2000-01 4 NOFV-오버리가 쥐트 5
2001-02 4 NOFV-오버리가 쥐트 1
2002-03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7
2003-04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2
2004-05 2 2. 분데스리가 8
2005-06 2 2. 분데스리가 15
2006-07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7
2007-08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8
2008-09 3 3. 리가 9
2009-10 3 3. 리가 12
2010-11 3 3. 리가 3
2011-12 2 2. 분데스리가 9
2012-13 2 2. 분데스리가 16
2013-14 2 2. 분데스리가 17
2014-15 3 3. 리가 6
2015-16 3 3. 리가 1
2016-17 2 2. 분데스리가 5
2017-18 2 2. 분데스리가 14
2018-19 2 2. 분데스리가 12
2019-20 2 2. 분데스리가 18
2020-21 3 3. 리가 1
2021-22 2 2. 분데스리가 16
2022-23 3 3. 리가 6
2023-24 3 3. 리가 4
2024-25 3 3. 리가 2
}}}}}}}}} ||

5.2. 독일 재통일 이후 리그 및 컵대회 성적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역대 시즌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시즌 리그 티어 리그 리그 성적 및 순위 FDGB-포칼 작센 포칼 유럽대항전
동독 시기
1989/90 1 DDR 오버리가 12승 12무 2패, 1위 우승 - UEFA 챔피언스 리그
1라운드 탈락
1990/91 2 NOFV-오버리가
(노르트오스트)
11승 9무 6패, 2위 16강전 탈락 - UEFA 챔피언스 리그
8강전 탈락
독일 재통일 (1990.10.3)
시즌 리그 티어 리그 리그 성적 및 순위 DFB-포칼 작센 포칼 유럽대항전
1991/92 1 분데스리가 12승 10무 16패, 14위 16강전 탈락 - -
1992/93 1 분데스리가 7승 13무 14패, 15위 2라운드 탈락 - -
1993/94 1 분데스리가 10승 14무 10패, 13위 준결승전 탈락 - -
1994/95 1 분데스리가 4승 8무 22패, 18위 16강전 탈락 - -
1995/96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19승 10무 5패, 4위 1라운드 탈락 - -
1996/97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17승 6무 11패, 7위 - - -
1997/98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17승 9무 8패, 2위 - - -
1998/99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10승 8무 16패, 11위 - - -
1999/2000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13승 13무 8패, 8위[22] - - -
시즌 리그 티어 리그 리그 성적 및 순위 DFB-포칼 작센 포칼 유럽대항전
2000/01 4 NOFV-오버리가
(노르트오스트)
16승 8무 10패, 5위 - - -
2001/02 4 NOFV-오버리가
(노르트오스트)
24승 6무 2패, 1위 - - -
2002/03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13승 11무 10패, 7위 - - -
2003/04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18승 11무 5패, 2위 1라운드 탈락 - -
2004/05 2 2. 분데스리가 15승 4무 15패, 8위 1라운드 탈락 - -
2005/06 2 2. 분데스리가 11승 8무 15패, 15위 2라운드 탈락 - -
2006/07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16승 7무 13패, 7위 1라운드 탈락 - -
2007/08 3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15승 10무 11패, 8위 1라운드 탈락 - -
2008/09 3 3. 리가 13승 11무 14패, 9위 - - -
2009/10 3 3. 리가 14승 8무 16패, 12위 1라운드 탈락 - -
2010/11 3 3. 리가 19승 8무 11패, 3위 - - -
2011/12 2 2. 분데스리가 12승 9무 13패, 9위 2라운드 탈락 - -
2012/13 2 2. 분데스리가 9승 10무 15패, 16위 2라운드 탈락 - -
2013/14 2 2. 분데스리가 5승 17무 12패, 17위 - - -
2014/15 3 3. 리가 16승 8무 14패, 6위 16강전 탈락 8강전 탈락 -
2015/16 3 3. 리가 21승 15무 2패, 1위 - 준결승전 탈락 -
2016/17 2 2. 분데스리가 13승 11무 10패, 5위 2라운드 탈락 - -
2017/18 2 2. 분데스리가 11승 8무 15패, 14위 2라운드 탈락 -
2018/19 2 2. 분데스리가 11승 9무 14패, 12위 1라운드 탈락 - -
2019/20 2 2. 분데스리가 8승 8무 18패, 18위 2라운드 탈락 - -
시즌 리그 티어 리그 리그 성적 및 순위 DFB-포칼 작센 포칼 유럽대항전
2020/21 3 3. 리가 23승 6무 9패, 1위 2라운드 탈락 준결승전 탈락 -
2021/22 2 2. 분데스리가 7승 11무 16패, 16위 2라운드 탈락 - -
2022/23 3 3. 리가 20승 9무 9패, 6위 1라운드 탈락 준결승전 탈락 -
2023/24 3 3. 리가 19승 5무 14패, 4위 - 우승 -
2024/25 3 3. 리가 20승 10무 8패, 2위 2라운드 탈락 3라운드 탈락 -
2025/26 2 2. 분데스리가 - - - -
}}}}}}}}} ||

5.3. 동독 시기 유럽대항전 성적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유럽대항전 결과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역대 시즌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시즌 대회 진출 경과 상대 클럽 소속 국가 상대 클럽 경기 결과
1967/68 시즌 인터-시티 페어스컵 1R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레인저스 FC 1-1(H), 1-2(A)
1970/71 시즌 인터-시티 페어스컵 1R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FK 파르티잔 0-0(A), 6-0(H)
2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즈 유나이티드 0-1(A), 2-1(H)
1971/72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23] 0-2(A), 0-0(H)
1972/73 시즌 UEFA 컵 1R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VÖEST 린츠 2-0(H), 2-2(A)
2R 파일:폴란드 국기.svg 루흐 호주프 1-0(A), 3-0(H)
16강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 2-1(A), 1-0(H)
8강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24] 0-2(A), 0-1(H)
1973/74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2-0(H), 2-3(A)
16강 파일:독일 정부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3-4(A), 3-3(H)
1974/75 시즌 UEFA 컵 1R 파일:덴마크 국기.svg 라네르스 프레야 1-1(A), 0-0(H)
2R 파일:소련 국기.svg FC 디나모 모스크바 1-0(H), 0-1(A)
(승부차기 4-3)
16강 파일:독일 정부기.svg 함부르크 SV 1-4(A), 2-2(H)
1975/76 시즌 UEFA 컵 1R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타르구 무네쉬 2-2(A), 4-1(H)
2R 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2-2(A), 3-0(H)
16강 파일:소련 국기.svg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3-0(H), 1-3(A)
8강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25] 0-0(H), 1-2(A)
1976/77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2-0(H), 0-0(A)
16강 파일:헝가리 국기.svg 페렌츠바로시 TC 0-1(A), 4-0(H)
8강 파일:스위스 국기.svg FC 취리히 1-2(A), 3-2(H)
1977/78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스웨덴 국기.svg 할름스타드 BK 2-0(H), 1-2(A)
16강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26] 1-5(A), 2-1(H)
1978/79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FK 파르티잔 0-2(A), 2-0(H)
(승부차기 5-4)
16강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보헤미안 FC 0-0(A), 6-0(H)
8강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K 아우스트리아 빈 1-3(A), 1-0(H)
1979/80 시즌 UEFA 컵 1R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1(H), 3-0(A)
2R 파일:독일 정부기.svg VfB 슈투트가르트 1-1(H), 0-0(A)
1980/81 시즌 UEFA 컵 1R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나프레다크 크루셰바츠 1-0(H), 1-0(A)
2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트벤터 1-1(A), 0-0(H)
16강 파일:벨기에 국기.svg 스탕다르 리에주 1-1(A), 1-4(H)
1981/82 시즌 UEFA 컵 1R 파일:소련 국기.svg Z 상트페테르부르크 2-1(A), 4-1(H)
2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2(A), 1-1(H)
1982/83 시즌 UEFA 컵위너스컵 1R 파일:덴마크 국기.svg B93 쾨벤하운 3-2(H), 1-2(A)
1984/85 시즌 UEFA 컵위너스컵 1R 파일:스웨덴 국기.svg 말뫼 FF 0-2(A), 4-1(H)
16강 파일:프랑스 국기.svg FC 메스 3-1(H), 0-0(A)
8강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SK 라피트 빈 3-0(H), 0-5(A)
1985/86 시즌 UEFA 컵위너스컵 1R 파일:벨기에 국기.svg 세르클러 브뤼허 KSV 2-3(A), 2-1(H)
16강 파일:핀란드 국기.svg HJK 헬싱키 0-1(A), 7-2(H)
8강 파일:독일 정부기.svg 바이어 우어딩엔 2-0(H), 3-7(A)
1987/88 시즌 UEFA 컵 1R 파일:소련 국기.svg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0-3(A), 1-0(H)
1988/89 시즌 UEFA 컵 1R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애버딘 0-0(A), 2-0(H)
2R 파일:벨기에 국기.svg KSV 바레험 4-1(H), 1-2(A)
16강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로마 2-0(H), 2-0(A)
8강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빅토리아 부쿠레슈티 1-1(A), 4-0(H)
준결승 파일:독일 정부기.svg VfB 슈투트가르트 0-1(A), 1-1(H)
1989/90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아테네 FC 1-0(H), 3-5(A)
1990/91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라싱 위니옹 룩셈부르크 3-1(A), 3-0(H)
16강 파일:스웨덴 국기.svg 말뫼 FF 1-1(H), 1-1(A)
(승부차기 5-4)
8강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츠르베나 즈베즈다[27] 0-3(A), 0-3(H)[28]
}}}}}}}}} ||

6. 최근 시즌

6.1. 2. 분데스리가 시기

6.1.1. 2016-17 시즌

지난 시즌 3. 리가에서 21승 15무 2패의 좋은 성적으로 우승을 차지한 디나모 드레스덴. 이에 지난 2013/14 시즌 이후 3년만에 다시 2. 분데스리가에서 경기를 펼치게 되었다.

드레스덴은 여름 이적 시장에서 센터백 마이클 헤펠레요한 바이스가 나란히 잉글랜드 허더즈필드 타운 AFC와 레기오날리가 소속의 VfV 힐데스하임으로 자유 이적하였으며 공격수 저스틴 아일리스가 SV 베르더 브레멘으로 이적하는 전력 유출이 있었다.
이외 중앙 미드필더 루카 뒤르홀츠홀슈타인 킬로 이적하였으며 공격형 미드필더 짐 파트리크 뮐러SpVgg 운터하힝으로 이적하며 팀을 떠났다.

디나모 드레스덴은 센터백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마누엘 콘라드플로리안 발라스FSV 프랑크푸르트에서 영입하였으며 슈투트가르트 키커스에서는 헨드릭 스타로스트지크를 자유 계약으로 영입하며 수비 보강을 마쳤다.
또한 공격 자원 마리오 로드리게스를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리저브 팀에서 영입하였으며 레프트 윙어 아카기 고기아를 잉글랜드 프렌트포드 FC에서 임대로 영입하며 전방 공격력 강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외 공격 자원 에리히 베르코를 다시 슈투트가르트 키커스에서 영입하였으며 공격형 미드필더 마르셀 힐스너를 SV 베르더 브레멘 리저브 팀에서 영입하며 2. 분데스리가 시즌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지난 시즌 팀의 3. 리가 우승을 이끈 우베 노이하우스가 이끄는 디나모 드레스덴이 3년만에 복귀하는 이번 시즌 2. 분데스리가에서 어떠한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되는 시즌.
6.1.1.1. 2. 분데스리가
SG 디나모 드레스덴 2016-17 2. 분데스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FCU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 로고.svg
FWK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FB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TSV 1860 뮌헨 로고.svg
TSV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KSC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구장 H A H A H A H A H A H A H H A H A
1 2 1 2 0 0 2 0 5 0 3 3 2 2 0 0 2
1 2 0 0 3 3 2 2 0 0 2 0 1 2 1 0 1
결과
승점 1 2 5 8 8 8 9 9 12 13 16 19 22 23 23 24 27
TD[Td] 0 0 +1 +3 0 -3 -3 -5 0 0 +1 +4 +5 +5 +4 +4 +5
순위 10 10 6 2 8 11 10 11 9 10 8 8 6 7 7 6 7
후반기
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FCU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 로고.svg
FWK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FB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TSV 1860 뮌헨 로고.svg
TSV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KSC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구장 A H A H A H A H A H A H A A H A H
2 0 0 1 4 3 2 2 3 2 0 1 0 2 1 4 1
1 0 2 2 1 3 0 0 3 1 1 1 1 4 2 3 1
결과
승점 30 31 31 31 34 35 38 41 42 45 45 46 46 46 46 49 50
TD[Td] +6 +6 +4 +3 +6 +6 +8 +10 +10 +11 +10 +10 +9 +7 +6 +7 +7
순위 5 5 6 6 5 5 5 5 5 5 5 5 5 5 5 5 5

3년만에 2. 분데스리가로 승격한 디나모 드레스덴은 리그 첫 경기로 1. FC 뉘른베르크를 상대로 홈 경기를 가졌으나 전반 44분 FCN의 귀도 버그스탈러에게 실점하며 어려운 경기를 펼쳤다. 그러나 후반 46분 전방 원톱으로 출전하였던 파스칼 테스트로트가 귀중한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1:1의 무승부를 거두었다.

이어 첫 원정 경기에서는 1. FC 우니온 베를린을 상대로 다시 무승부를 거두었다. 이어진 3라운드 FC 장크트파울리와의 경기에서는 전반 초반 안드레아스 램버츠의 득점을 지켜내며 1:0으로 승리하며 시즌 첫 승을 올렸으며 하노버 96에 승리하며 초반 선두권으로 뛰어올랐다. 초반 전적 2승 2무.

그러나 5라운드에서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를 상대로 전반 31분 파비오 카우프만에게 실점하더니 후반 사이먼 스칼라티디스와 파스칼 쾨프케에게 연이어 실점하며 0:3의 완패를 당하며 리그 8위까지 추락하였다.

이어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원정에서 패하고 다시 SV 잔트하우젠 원정(10라운드)에서 패하며 초반의 상승세가 가라앉고 말았다. 8라운드까지 2승 3무 3패의 전적으로 리그 11위.

2. 분데스리가 9라운드에서는 이번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강등된 VfB 슈투트가르트를 상대로 쿠체케와 램버트 및 고기아의 득점이 나오며 전반을 3:0으로 앞섰고 후반에도 2득점을 더하며 5:0의 완승을 거두었다.

이어 1. FC 하이덴하임 원정에 나서 무승부를 거두었으나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에 승리하였으며 포르투나 뒤셀도르프를 완파하고 최근 5경기에서 3승 1무 1패의 상승세를 타고 있으며 중간 승점 19점으로 8위로 뛰어올랐다.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지난 시즌 분데스리가 강등 클럽인 VfB 슈투트가르트하노버 96과는 5점 및 3점 차.

이어 13라운드에서는 SpVgg 그로이터 퓌르트를 상대로 고기아의 멀티 득점이 나오며 후반 추가 시간 만회골을 기록하는데 그친 그로이터에 2:1의 승리를 거두고 리그 6위까지 뛰어올랐다. 다음 경기였던 VfL 보훔과의 경기에서는 무승부.

겨울 휴식기를 향해가는 15라운드에서는 TSV 1860 뮌헨 원정에 나섰으나 패하고 말았다. 해당 경기 패배로 승점 23점이 유지되었으며 리그 7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나 선두권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16라운드에서는 이번 시즌 부진에 허덕이고 있는 카를스루어 SC와 아쉬운 무승부를 기록하였으며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 2:1로 승리하며 전반기를 마감하였다. 전반기 전적은 7승 6무 4패로 승점 27점이며 선두를 달리고 있는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의 승점인 34점(10승 4무 3패)과는 7점 차.

후반기 첫 경기였던 1. FC 뉘른베르크를 상대로는 필립 하이제와 베리코의 득점으로 2:1로 어렵사리 승리하였으며 1. FC 우니온 베를린을 상대로 전반기와 마찬가지로 무승부를 거두며 승점을 추가하였다. 승점 31점을 확보하였으며 중간 순위 5위까지 순위가 올랐다.

그러나 전반기 승리를 거두었던 FC 장크트파울리하노버 96에 연달아 패하며 시즌 첫 패배를 안았으며 다시 6위로 순위가 떨어졌다. 하노버 96과의 2. 분데스리가 21라운드는 리그 2위를 달리며 하노버와의 일전이었기에 무척 중요한 경기였는데 후반 32분 쿠치케가 어렵사리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으나 후반 34분 카라만에게 실점하며 아쉽게 패하였다.

비록 연패를 기록하였다지만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를 상대로 승리하고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SV 잔트하우젠에 연승을 거두며 승점 41점을 기록하였다. 시즌 전적은 11승 8무 6패이며 중간 순위는 여전히 5위.
분데스리가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기 위한 마지노선인 리그 3위를 달리고 있는 1. FC 우니온 베를린의 승점 46점(13승 7무 5패)과는 불과 5점 차 이기에 아직 분데스리가 승격의 희망은 남아 있는 셈.

26라운드에서는 리그 선두를 달리고 있는 VfB 슈투트가르트를 상대로 난타전을 벌이며 3:3의 무승부를 거두며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27라운드, 리그 7위를 달리는 1. FC 하이덴하임을 상대로 2:1로 승리하며 여전한 분데스리가 승격의 희망을 이어갔으나 리그 3위로 도약한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28라운드)와의 중요한 일전에서 패하며 분데스리가 승격 경쟁이 실패로 돌아가고 있다.

2. 분데스리가 29라운드에서는 포르투나 뒤셀도르프를 상대로 물러설 수 없는 경기를 가졌으나 무승부에 그치며 분데스리가 승격은 사실상 어려워졌다. 리그 3위를 달리고 있는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가 같은 라운드에서 패하였으나 승점은 57점으로 11점 차이기 때문.

이어 디나모 드레스덴을 추격하던 리그 6위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와의 중요한 일전이 열렸던 30라운드에서는 0:1로 패하며 분데스리가 승격 도전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리그 4경기를 남기고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30라운드 승리로 승점 60점 확보)와의 승점이 14점까지 벌어지며 남은 경기에서 모두 승리하여도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드레스덴은 다시 VfL 보훔 원정에서 패하였으며 리그 16위로 강등권을 헤메던 TSV 1860 뮌헨(32라운드)에게도 패하며 가장 중요한 시점에서 치명적인 3연패를 기록하며 분데스리가 승격의 꿈이 날아가 버렸다. 지난 1993/94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강등된 이후 가장 분데스리가 진출과 가까웠던 시즌이었지만 결국 실패로 돌아간 시즌이었다.

이후 드레스덴은 33라운드에서 카를스루어 SC에 승리하였으며 마지막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와의 홈 경기에서 무승부를 거두며 시즌 승점 50점으로 시즌을 마쳤다. 시즌 전적은 13승 11무 10패로 승점 50점.

다음은 2016/17 시즌 2. 분데스리가 리그 중상위권 클럽의 명단과 승점.
[3위 =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19승 9무 6패 승점 66), GF 50 - GA 36, GD +14 = 분데스리가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4위 = 1. FC 우니온 베를린] (18승 6무 10패 승점 60), GF 51 - GA 39, GD +12
[5위 = SG 디나모 드레스덴] (13승 11무 10패 승점 50), GF 53 - GA 46, GD +7
[6위 = 1. FC 하이덴하임] (12승 10무 12패 승점 46), GF 43 - GA 39, GD +4
[7위 = FC 장크트파울리] (12승 9무 13패 승점 45), GF 39 - GA 35, GD +4
6.1.1.2. DFB-포칼
DFB-포칼 1라운드에서는 이번 시즌 분데스리가로 승격한 RB 라이프치히를 상대하였다.
파일:be4224425b37594f77d734f8c9860c26.jpg
루돌프 하르비히 슈타디온에서 펼처진 이번 경기였기에 예상대로 K 테라스를 비롯한 많은 수의 관중이 RB 라이프치히를 비난하였으며 홍염이 난무한 경기였다.
경기는 RBL 마르셀 자비처의 전반 초반 득점과 도미니크 카이저에게 페널티 킥 골을 내어주며 패색이 짙어졌으나 후반 초반 쿠티케가 추격골에 성공하고 다시 쿠치케의 후반 31분 동점골이 나오며 연장전에 돌입하였다. 이후 연장전에서 득점이 나오지 않아 진행된 승부차기에서 5:4로 승리하며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vs RBL 2016/17 DFB-pokal 1R 승리후 세레모니

어렵사리 진출한 DFB-포칼 2라운드였으나 같은 2. 분데스리가 소속의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를 상대로 후반 20분 실점하며 0:1로 패하며 이번 시즌 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6.1.1.2.1. 시즌 성적 요약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5위
34전 13승 11무 14패
(53득점 46실점, GD +7)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2라운드 탈락
2전 1무 1패
(2득점 3실점, GD -1)
합산 성적[PS/N] 승률 36.11%
36전 13승 12무 15패
(55득점 49실점, GD +6)

6.1.2. 2017-18 시즌

지난 시즌 2. 분데스리가에서 13승 11무 10패의 전적으로 리그 5위에 오른 디나모 드레스덴. 여러 시즌에 걸쳐 2. 분데스리가에서 경기하였으나 지난 시즌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하였기에 분데스리가로 진출하지 못한 아쉬움이 컸던 시즌이었다.

디나모 드레스덴은 여름 이적 시장에서 지난 시즌 잉글랜드 브렌트포드 FC에서 임대하였던 레프트 윙어 아카키 고기아가 1. FC 우니온 베를린으로 이적하며 팀에서 이탈하였으며 중앙 공격수와 윙어로 출전하였던 마르빈 슈테파니아크가 상당한 금액으로 VfL 볼프스부르크로 이적하는 전력 유출이 있었다.

또한 수비형 미드필더와 센터백으로 출전하였던 닐스 테이세이라가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로 자유 이적하였으며 레프트백 니클라스 란드그라프할레셔 FC로 이적하였고 센터백 줄리아노 모니카는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으로 이적하며 수비진과 3선에 대한 고민이 커졌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먼저 중앙 공격수와 라이트 윙어가 가능한 페니엘 믈라파를 VfL 보훔에서 영입하였으며 중앙 미드필더 사샤 호르바스를 오스트리아 SK 슈투름 그라츠에서 영입하며 미드필더진을 강화하였다.

이외 공격 자원 루카스 로제르SG 조넨호프 그로스아스파흐에서 영입하며 공격력을 강화하였으며 중앙 미드필더와 수비형 미드필더가 가능한 리코 베나텔리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에서, 센터백과 라이트백이 가능한 쇠렌 곤터를 FC 장크트파울리에서 자유 계약의 형식으로 영입하였다.

지난 시즌 리그 5위에 오른 우베 노이하우스의 디나모 드레스덴이 이번 시즌에는 보다 나은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되는 시즌.
6.1.2.1. 2. 분데스리가
SG 디나모 드레스덴 2017-18 2. 분데스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MSV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FCU
구장 H A H A H A H A A H A H A H A H A
1 2 0 2 1 2 0 3 2 2 1 1 0 1 3 4 1
0 2 4 3 1 0 2 3 0 2 2 1 3 2 1 0 0
결과
승점 3 4 4 4 5 8 8 9 12 13 13 14 14 14 17 20 23
TD[Td] +1 +1 -3 -4 -4 -2 -4 -4 -2 -2 -3 -3 -6 -7 -5 -1 0
순위 6 6 11 13 14 10 12 13 10 9 12 12 15 16 16 12 8
후반기
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MSV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FCU
구장 A H A H A H A H H A H A H A H A H
0 1 0 2 0 1 3 0 3 2 1 1 0 1 1 0 0
2 3 1 0 1 0 2 2 2 4 1 1 4 0 2 0 1
결과
승점 23 23 23 26 26 29 32 32 35 35 36 37 37 40 40 41 41
TD[Td] -2 -4 -5 -3 -4 -3 -2 -4 -3 -5 -5 -5 -9 -8 -9 -9 -10
순위 11 12 13 12 13 13 12 13 9 12 13 13 15 11 12 13 14

2. 분데스리가 개막전 상대는 MSV 뒤스부르크.
경기의 내용은 치열해 MSV의 투 톱인 사이먼 브란트스테터와 보리스 타쉬의 조합 방어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후반 42분 교체 투입된 루카스 로제르의 결승골로 1:0으로 어렵게 승리하였다.

이어 함부르크 원정에 나서 FC 장크트파울리를 상대로 무승부를 거두었으며 3라운드에는 SV 잔트하우젠과의 홈 경기에서 SVS의 파카라다와 횔러 및 라이트에게 실점하며 0:4의 완패를 거두었다. 4라운드 역시 VfL 보훔에 패하며 초반 1승 1무 2패를 기록하고 있다.

2. 분데스리가 6라운드에서는 SSV 얀 레겐스부르크에 승리하였으나 다음 경기에서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 패하였으며 8라운드에서는 SV 다름슈타트 98을 상대로 후반 43분까지 3:1로 앞섰으나 후반 44분 테렌스 보이드에 헤더골을 내주고 3:2로 추격을 당하였으며 끝내 토비아스 켐페에게 동점골을 내어주며 3:3의 무승부를 거두는데 그쳤다.

9라운드에서는 1. FC 하이덴하임 원정에 나서 승리하며 시즌 3승째을 올렸으며 FC 잉골슈타트 04와 무승부를 거두며 초반 3승 4무 3패의 나쁘지 않은 성적을 유지하고 있다. 리그 순위도 중위권을 형성 중.

이어 11라운드 1. FC 뉘른베르크에 패하더니 다시 맞이한 원정 경기에서 홀슈타인 킬에 완패하며 서서히 위기를 맞고 있다.
이어 14라운드에서는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을 홈으로 불러들여 경기하였으나 후반 40분 동점골을 내어주더니 다시 2분 후 FCK 스팔비스에게 실점하며 1:2의 역전패를 거두었다.
카이저슬라우테른전 패배로 시즌 전적 3승 5무 6패가 되었으며 순위는 16위까지 떨어지며 지난 시즌 보다 안좋은 성적을 거둘 것이 확실해지고 있다. 승점도 14점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

2. 분데스리가 15라운드에서는 리그 2위를 달리고 있는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원정에 나서 승리하며 안좋은 흐름을 끊어내는데 성공하였으며 겨울 휴식기를 앞두고 열린 16라운드에서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를 4:0으로 완파하며 첫 연승과 함께 강등권을 벗어나 리그 12위까지 순위를 상승시켰다.

전반기 마지막 경기인 1. FC 우니온 베를린과의 원정 경기에서는 중앙 미드필더로 나선 안드레아스 램버츠의 후반 25분 결승골을 지켜내며 리그 3연승으로 전반기를 마감하였다. 전반기 성적은 6승 5무 6패로 승점 23점이며 중간 순위는 8위까지 올랐다.

그러나 18라운드이자 후반기 첫 경기였던 MSV 뒤스부르크와의 18라운드에서 패하였으며 장크트파울리와 SV 잔트하우젠에 연달아 패하며 3연승에 이은 3연패를 기록하였으며 리그 13위로 떨어졌다.

겨울 휴식기에는 전방 공격 자원이며 레프트 윙어가 가능한 무사 코네를 스위스 FC 취리히에서 클럽 레코드인 216만 유로에 영입하였다. 무사 코네는 기존의 에리히 베르코샤샤 호르바스루카스 로제르 등과 함께 공격진을 구성할 것으로 보인다.

21라운드에서는 리그 14위를 기록하며 부진에 빠져있는 VfL 보훔을 상대로 승리하며 연패에서 탈출하였다. 그러나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에 패하며 강등의 가능성이 남아있는 상태이며 SSV 얀 레겐스부르크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 연이어 승리하였다. 두 팀 모두 리그 중상위권인 6위와 5위를 기록하던 중이었는데 분위기 전환에 기분좋게 성공한 셈.

그러나 이번 시즌 최악의 부진을 겪고 있으며 리그 17위인 SV 다름슈타트 98을 상대로 패하였으며 FC 잉골슈타트 04에 2:4로 패하며 중하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디니모 드레스덴은 27라운드까지 10승 5무 12패를 기록하였으며 승점은 35점.

2. 분데스리가 28라운드에서는 1. FC 뉘른베르크와 무승부를 거두었으며 전반기 무승부를 거두었던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와 다시 무승부를 거두며 승점을 추가하였다. 그러나 이미 분데스리가 승격과는 멀리 떨어져 있으며 리그 10위 이내 순위가 현실적 목표가 되었다.

30라운드에서는 이번 시즌 창단 첫 분데스리가 승격을 노리고 있는 홀슈타인 킬을 홈으로 불러들였으나 KSV의 킹슬리 쉰들러와 마빈 두크슈에 연이어 실점하며 0:4의 대패를 당하고 리그 15위까지 떨어졌다.
리그 최하위가 유력한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이 있다지만 리그 16위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와 같은 승점 37점이기에 무척 위태로워진 상황.

다행히 31라운드에서 카이저슬라우테른을 상대로 승리하며 승점 40점 고지에 올랐으며 리그 선두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 패하였으나 33라운드에서 강등권 탈출 싸움을 벌이고 있는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와 무승부를 거두며 승점을 추가하였다.

결국 디나모 드레스덴은 리그 미지막 경기에서 패하였으나 승점 41점으로 승점 40점을 기록한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와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에 앞서 리그 14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마감하였다.

비록 3. 리가 강등에서는 벗어난 결말이었다지만 지난 시즌 승점 50점으로 5위에 올랐던 것에 비하면 부족했던 시즌 전적이었으며 합산 전적 11승 8무 15패를 기록하였다.
다음은 2017/18 시즌 2. 분데스리가 중하위권 클럽의 명단과 승점.
[13위 = 1. FC 하이덴하임] (11승 9무 14패 승점 42), GF 50 - GA 56, GD -6
[14위 = SG 디나모 드레스덴] (11승 8무 15패 승점 41), GF 42 - GA 52, GD -10
[15위 =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10승 10무 14패 승점 40), GF 37 - GA 48, GD -11
[16위 =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10승 10무 14패 승점 40), GF 35 - GA 49, GD -14 = 승강 플레이오프.
[17위 =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8승 15무 11패 승점 39), GF 37 - GA 43, GD -6 = 3. 리가 강등.
[18위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9승 8무 17패 승점 35), GF 42 - GA 55, GD -13 = 3. 리가 강등.
6.1.2.2. DFB-포칼
DFB-포칼 1라운드에서는 라인란트팔츠주의 TuS 코블렌츠을 상대해 후반 34분 동점골을 허용하며 연장전 진입가능성이 생겼으나 4분 후 아이아스 아오스만의 결승골이 나오며 3:2로 어렵사리 승리하였다.

2라운드 상대는 분데스리가 소속의 SC 프라이부르크.
전반전에는 의외로 SCF의 마르코 테라치노-닐스 페터슨-플로리안 니더레흐너의 조합을 막아내었으나 후반전 수비가 흔들리며 SCF 피터슨-슈스터에 연이어 실점하며 역전을 허용하였고 후반 34분 야니크 하버러에게 쐐기골을 얻어맞고 1:3의 역전패를 기록하며 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6.1.2.2.1. 시즌 성적 요약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14위
34전 11승 8무 15패
(42득점 52실점, GD -10)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2라운드 탈락
2전 1승 1패
(4득점 5실점, GD -1)
합산 성적[PS/N] 승률 33.33%
36전 12승 8무 16패
(46득점 57실점, GD -11)

6.1.3. 2018-19 시즌

지난 시즌 2. 분데스리가 14위를 기록하며 잔류를 확정한 디나모 드레스덴.

그러나 지난 시즌 팀의 공격을 이끌었던 니클라스 하우프트만이 €3.40m의 금액을 팀에 안기며 1. FC 쾰른으로 이적하였으며 전방 공격 지원 파스칼 테스트뢰트가 FC 에르츠케비르게 아우에로 이적하는 전력 공백이 있었다. 이외 레프트백 파비안 뮐러는 작센주 라이벌 팀인 켐니처 FC로 자유 이적하였으며 센터백 마크 웍스SV 베헨 비스바덴으로 이적하였다.

이와 같은 전력 공백을 극복하고자 공격형 미드필더 바르쉬 아티크를 TSG 1899 호펜하임에서 영입하였으며 센터백 야니스 니콜라우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에서 영입하였다. 또한 센터백 다리오 두미치를 벨기에 FC 위더레흐트에서 임대 영입하였으며 골리 팀 보스FC 포르투나 쾰른에서 영입하였다.

우베 노이하우스가 이끄는 디나모 드레스덴이 지난 시즌 리그 14위의 부진을 극복하고 2015/16 시즌의 리그 5위를 뛰언넘는 성적을 기록할 지 기대되는 시즌.
6.1.3.1. 2. 분데스리가
SG 디나모 드레스덴 2018-19 2. 분데스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MSV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FCM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FCU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1. FC 쾰른 로고.svg
KÖE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구장 H A H H A H A H A H A H A H A H A
1 1 1 0 2 4 1 0 2 1 0 3 1 2 1 0 0
0 2 3 1 0 1 0 1 2 1 0 1 8 0 1 2 3
결과
승점 3 3 3 3 6 9 12 12 13 14 15 18 18 21 22 22 22
TD[Td] +1 0 -2 -3 -1 +1 +2 +1 +1 +1 +1 +3 -4 -2 -2 -4 -7
순위 8 10 13 14 10 8 5 8 9 10 11 7 11 10 11 11 11
후반기
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MSV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FCM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FCU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1. FC 쾰른 로고.svg
KÖE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구장 A H A A H A H A H A H A H A H A H
3 3 0 0 0 0 2 0 1 3 0 1 3 0 2 0 3
1 4 1 1 0 2 2 0 1 1 0 3 0 1 1 3 1
결과
승점 25 25 25 25 26 26 27 28 29 32 33 33 36 36 39 39 42
TD[Td] -5 -6 -7 -8 -10 -10 -10 -10 -8 -8 -10 -7 -8 -7 -6 -9 -7
순위 10 10 10 12 12 14 13 14 14 14 12 13 13 14 13 13 12

디나모 드레스덴은 리그 첫 경기에서 MSV 뒤스부르크를 상대로 3-4-3을 내세웠다.
골리 슈베르트를 시작으로 브리안 해맬래이넨-뮐러-더미치가 3백으로 나섰고 미드필더는 하이제-하트만-에베르트-윌리크리스트로 이루어진 구성. 공격은 둘레비치-로제르-코네의 조합.
그러나 3-4-2-1로 이루어진 뒤스부르크 공략에 어려움을 겪으며 전반 38분 로제르의 득점으로 어렵사리 1:0으로 승리하고 시즌 첫 승을 올렸다.

그러나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와의 첫 원정 경기에서 1:2로 패하더니 DFB-포칼에서 SV 뢰딩하우젠에 충격적인 패배를 안으며 지난 2015/16 시즌부터 팀을 지도한 우베노이하우스 감독이 경질되기에 이르렀다. 이번 시즌에는 분데스리가에 다시 도전하기 위해 처음부터 팀을 다잡을 필요를 느꼈기 때문. 클럽의 다음 감독으로는 팀의 U-17팀 감독을 오랫동안 맡았던 크리스티안 피엘을 선임하였다.

새로운 감독을 선임하였으나 3라운드에서 프랑크 슈미트가 오랫동안 팀을 이끌고 있는 1. FC 하이덴하임에 1:3의 완패를 기록하였으며 다시 함부르크 SV에 0:1의 아쉬운 패배를 기록하며 3연패의 부진에 빠졌으며 리그 하위권으로 처지고 말았다.

2. 분데스리가 5라운드에서는 SSV 얀 레겐스부르크를 상대로 원정에 나서 2:0으로 승리하며 3연패에서 벗어났으며 강호 SV 다름슈타트 98을 상대로 홈에서 4:0의 승리를 거두며 시즌 전적 3승 3패를 만들었다. 이어진 7라운드 VfL 보훔을 상대로는 1:0으로 승리하며 3연승을 달리며 어느덧 5위로 올라섰다. 그러나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에 아쉽게 0:1로 패하며 리그 8위까지 떨어졌다.

이어 2. 분데스리가 8라운드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2. 분데스리가에서 1. FC 마그데부르크엘프 클라시코를 벌였다.
마그데부르크의 홈 구장 애브넷 아레나열린 이번 경기에서 디나모 드레스덴은 전반 6분만에 코네의 선제 득점이 나오고 아오스만의 추가골이 나오며 승리를 눈앞에 두었으나 후반 14분 자책골을 기록하더니 후반 45분 FCM의 마리우스 뷜터에게 통한의 동점골을 내어주고 2:2의 무승부에 그치고 말았다.

이어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1. FC 우니온 베를린을 상대로 연이어 무승부를 벌이며 리그 전적 4승 3무 4패로 승점 15점에 그치며 11위까지 순위가 떨어졌다. 그러나 워낙 중위권 경쟁이 치열한 덕에 아직까지는 분데스리가 승격의 꿈을 포기하기 이른 상황.

이어 12라운드에서는 SV 잔트하우젠에 승리를 거두었으나 1. FC 쾰른 원정 경기로 펼쳐진 13라운드에서는 지몬 테로테에게 해트트릭을 허용하고 코르도바와 헥토어에게 멀티 실점하는 등 1:8의 기록적인 패배를 기록하였다.

이후 FC 잉골슈타트 04에 승리를 거두고 FC 장크트파울리와는 무승부를 기록하며 11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전반기 후반부였던 16라운드 홀슈타인 킬과의 홈 경기에서 패하였으며 다시 SC 파더보른 07에 패하며 전반기를 마쳤다. 전반기 성적은 6승 4무 7패로 중간 순위 11위. 지난 시즌과 비슷한 승점 획득과 유사한 방향성을 보이고 있기에 다음 시즌 1.분데스리가 승격은 아무래도 힘든 모습.

후반기 첫 경기였던 18라운드 MSV 뒤스부르크에 승리하였으나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1. FC 하이덴하임에 연패를 기록하더니 함부르크 SV에 다시 0:1로 패하며 전반기에 이어 다시 위 3팀에게 리그 더블 패배를 기록하였다.

2. 분데스리가 22라운드 SSV 얀 레겐스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는 무득점 무승부를 기록하였으며 전반기 승리를 거두었던 SV 다름슈타트 98과의 23라운드 원정 경기에서는 0:2의 패배를 기록하며 후반기 1승 1무 4패의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3라운드까지 진행된 현재 7승 5무 11패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번 시즌 중위권 또는 중하위권이 확실시 되어 보이는 상황.

이어 VfL 보훔과 SpVgg 그로이터 퓌르트1. FC 마그데부르크(26라운드)에 연이어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2. 분데스리가에서 처음 맞이하는 엘프 클라시코에서 두번의 경기 모두 무승부로 끝나면서 디나모 드레스덴은 시즌 전적 7승 8무 11패를 기록하였으며 승점 29점에 머무르고 있으며 중간 순위도 2. 분데스리가 잔류를 장담하기 어려운 14위까지 떨어졌다.

27라운드에서는 FC 에르츠케비르게 아우에 원정에서는 전반전에 먼저 실점하였으나 후반 로제르와 로우 그리고 베르코의 연이은 득점이 나오며 3:1로 역전승을 거두고 오랜만에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전반기 승리를 거두었던 SV 잔트하우젠 원정(29라운드)에서는 전반기와 똑같은 3:1의 점수로 패배를 기록하며 중하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

전반기 기록적인 패배를 기록하였던 1. FC 쾰른과의 2.분데스리가 30라운드에서는 3:0으로 승리하며 전반기 패배를 설욕하였다. 그러나 FC 잉골슈타트 04 원정에서는 0:1로 패하며 사실상 10위 이내 진입이 힘들어졌으며 32라운드에서 FC 장크트파울리에 승리를 거두었으나 다시 홀슈타인 킬에 패하며 순위는 제자리 걸음.

리그 마지막 경기였던 34라운드 SC 파더보른 07과의 홈 경기에서는 후반기 최후반 선발 빈도가 높아진 공격형 미드필더 바르쉬 아티크의 해트트릭을 앞세워 파더보른에 3:1로 승리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전반기의 성적보다 좋지 않았던 후반기를 보낸 덕에 합산 성적은 11승 9무 14패를 기록하였으며 승점은 42점.(41득점 48실점, GD -7) 그러나 같은 승점을 획득하였으나 골 득실에서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에 앞서며 디나모 드레스덴은 리그 최종 12위를 기록하였다.
다음은 2. 분데스리가 2018/19 시즌 11위~14위의 승점과 명단.
[11위 = VfL 보훔] (11승 11무 12패 승점 44점, GF 49 - GA 50, GD -1)
[12위 = SG 디나모 드레스덴] (11승 9무 14패 승점 42점, GF 41 - GA 48, GD -7)
[13위 =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10승 12무 12패 승점 42점, GF 37 - GA 56, GD -19)
[14위 =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11승 7무 16패 승점 40점, GF 43 - GA 47, GD -4)
6.1.3.2. DFB-포칼
DFB-포칼 1라운드에서는 레기오날리가 베스트(서부) 지구 소속의 SV 뢰딩하우젠을 상대하였다.
본래 분데스리가 또는 2. 분데스리가 소속팀이 묶이는 프로 시드와 3. 리가 이하의 소속 리그 팀이 묶이는 아마추어 시드팀이 경기를 펼치면 아마추어 시드팀이 홈 구장 개최 권한을 얻는 관계로 SV 뢰딩하우젠의 홈 구장 헤커 비엔슈타디온(Häcker-Wiehenstadion)에서 경기하여야 하나 수용 문제[37]로 수용 인원 약 10,060석의 좌석을 가진 SF 로테의 홈구장 슈다디온 암 로테 크로리츠(Stadion am Lotter Kreuz)에서 경기가 개최되었다.

전반 10분 둘제비치의 선제 득점으로 앞서 나갔으나 뢰딩하우젠의 리누스 마이어에게 실점하며 1:1의 균형을 이루었다. 이후 아오스만이 다시 앞서 나가는 득점을 기록하였으나 전반 추가 시간 지몬 엥겔만에게 실점하며 다시 2:2의 동점을 이루면서 결국 연장전까지 돌입하였다. 그러나 연장 후반 15분 뢰딩하우젠의 막시밀리안 히페에게 실점하며 2:3의 역전패배를 기록하며 이번 시즌 포칼 일정을 일찍 마무리하게 되었다.

또한 해당 경기의 패배로 지난 2015/16 시즌부터 팀을 이끌던 우베 노이하우스 감독이 경질되기에 이르렀다. 4부 리그 소속이었던 SV 뢰딩하우젠에게 1라운드에서 패하였기에 무척 충격적이었던 결과이며 감독이 경질까지 되었기에 나비 효과가 컸던 경기.
6.1.3.2.1. 시즌 성적 요약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12위
34전 11승 9무 14패
(41득점 48실점, GD -7)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1라운드 탈락
1전 1패
(2득점 3실점, GD -1)
합산 성적[PS/N] 승률 31.43%
35전 11승 9무 15패
(43득점 51실점, GD -8)

6.1.4. 2019-20 시즌

지난 시즌 후반기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12위를 기록한 SG 디나모 드레스덴.

또한 지난 시즌 주전 골키퍼로 활약했던 유망주 골키퍼 마르쿠스 슈베르트FC 샬케 04로 떠났으며 공격 자원으로 활약하였던 무사 코네하리스 둘제비치가 나란히 프랑스 님 올랭피크로 떠나 전력 손실을 겪었다.
이외 세컨드 스트라이커 페니엘 음라파가 네덜란드 VVV 펜로로 소속을 옮겼으며 다른 공격 자원 루카스 로제르는 1.FC 카이저슬라우테른으로 이적하는 전력 공백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전력 손실을 막고자 스웨덴 출신의 스트라이커 알렉산더 예레메예프를 트벤테 FC에서 영입하였으며 레프트백 크리스 뢰우를 잉글랜드 허더즈필드 타운 AFC에서 영입하였다. 또한 슬로베니아 출신의 공격 자원 루카 스토르를 슬로베니아 NK 알루미니에서 영입하였으며 중앙 미드필더인 르네 클링엔부르크를 SC 프로이센 뮌스터에서 자유 계약으로 영입하였다.

지난 시즌 중도 부임한 이후 2. 분데스리가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은 크리스티안 피엘의 디나모 드레스덴이 이번 시즌에는 어떠한 모습을 보일지 기대되는 시즌.
6.1.4.1. 2. 분데스리가
SG 디나모 드레스덴 2019-20 2. 분데스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KSC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FB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WIE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OSN
구장 H A H A H A H A H A H A H A H H A
0 2 2 0 3 2 2 1 0 0 0 1 1 1 1 1 0
1 4 1 0 3 2 1 4 2 2 1 3 0 2 2 1 3
결과
승점 0 0 3 4 5 6 9 9 9 9 9 9 12 12 12 13 13
TD[Td] -1 -3 -2 -2 -2 -2 -1 -4 -6 -8 -9 -11 -10 -11 -12 -12 -15
순위 15 18 14 16 14 13 11 12 14 17 17 18 17 17 18 18 18
후반기
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KSC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FB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WIE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OSN
구장 A H A H A H A H A H A H A H A A H
0 1 0 2 0 1 2 2 0 1 0 0 3 0 0 1 2
2 0 0 3 0 2 1 1 3 1 4 2 2 1 2 0 2
결과
승점 13 16 17 17 18 18 21 24 24 25 25 25 28 28 28 31 32
TD[Td] -17 -16 -16 -17 -17 -18 -17 -16 -19 -19 -23 -25 -24 -25 -27 -26 -26
순위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2019년 7월 27일 2. 분데스리가 개막전 상대인 1. FC 뉘른베르크와의 홈 경기에서 0:1로 패하며 시즌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첫 원정 경기였던 2라운드 카를스루어 SC에 2:4로 패하며 좋지 않은 시즌 초반을 기록하고 있다. 다행히 3라운드에서는 1. FC 하이덴하임에 2:1로 승리하며 시즌 첫 승을 올렸다.

8월 23일 2. 분데스리가 4라운드 SV 다름슈타트 98 원정에서는 0:0으로 비겼고 이어 5라운드 홈 경기에서는 FC 장크트파울리를 상대로 0:3으로 뒤처지다 연이은 득점으로 3:3의 극적인 무승부를 거뒀다.

9월 15일 6라운드 VfL 보훔 원정에서는 2:0으로 앞섰으나 연이어 실점하며 지난 경기와 반대로 아쉬운 2:2의 무승부를 거두었다. 이어 A 매치 휴식기 이후인 7라운드 SSV 얀 레겐스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는 종료 직전 발라스의 중거리슛 역전골로 2:1 승리하고 5경기 무패를 기록했다. 7라운드까지 2승 3무 2패로 승점 11점이며 리그 4위권과 승점 2점 차인 리그 11위에 오르며 중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8라운드에서는 같은 작센주를 연고로 하는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원정에서 1:4로 완패하며 무패행진을 마감했다. 순위 역시 한 단계 밀려나 12위로 밀렸다.

2019년 10월 5일, 9라운드에서는 리그 15위 하노버 96와의 홈 경기를 가졌다.
주장 니클라스 크로이처와 하노버의 미코 알보르노스가 시비가 붙은 끝에 박치기와 밀치기로 둘 다 퇴장당했고 이후 하노버에게 두 골을 실점하며 0:2 패배를 당했다. 개막 2연패 이후 2번째 연패로 강등권 17위 SV 다름슈타트 98과 승점 1점차, 꼴찌 SV 베헨 비스바덴에 2점차가 되었다.

A매치 브레이크 이후 10월 18일 10라운드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원정 경기에서 0:2로 패하며 3연패에 빠졌다. 같은 라운드에서 홀슈타인 킬과 SV 다름슈타트 98이 승리하고 VfL 보훔이 무승부를 기록하며 강등권인 17위까지 순위가 추락하였다. 18위 SV 베헨 비스바덴과도 1점 차.

10월 26일 11라운드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와의 홈 경기에서도 0:1로 패하며 4연패를 기록하였다.
이제는 3. 리가 강등을 면하는게 목표가 되어야 할 듯 하다. 하지만 2. 분데스리가도 순위 다툼이 치열해 2번만 연속으로 이겨도 바로 5~6위권으로 도약이 가능한 상황.

11월 3일 12라운드 VfB 슈투트가르트 원정에서도 1:3으로 패하였다. 결국 리그 5연패로 최하위까지 순위가 떨어졌다.

이후 13라운드 SV 베헨 비스바덴과의 홈 경기 꼴찌 단두대 매치에서 6경기 만에 1:0 승리하고 베헨 비스바덴을 꼴찌로 내리고 연패에서 벗어났고 17위로 올라갔다. 그러나 14라운드 함부르크 SV 원정에서는 1:2 역전패를 당하며 17위를 유지했다.

11월 30일 15라운드 홀슈타인 킬에 홈에서 전반에만 2실점하며 1:2로 패했다. 최근 8경기 7패와 함께 다시 연패의 부진의 늪에 빠졌고 꼴찌였던 SV 베헨 비스바덴이 1. FC 뉘른베르크를 상대로 원정에서 2:0 승리를 거두며 22일 만에 다시 꼴찌가 되었다. 15위 FC 장크트파울리 및 16위 1. FC 뉘른베르크와 승점 3점 차.

결국 이러한 성적부진으로 크리스티안 피엘 감독이 경질되고 카를스루어 SCFC 잉골슈타트 04FC 장크트파울리를 지도하였던 마르쿠스 카우친스키를 신임 감독으로 선임했다.

감독이 바뀌고 첫 경기였던 SV 잔트하우젠과의 홈 경기에서는 1:1의 무승부를 기록하며 승점을 추가하였다. 그러나 전반기 마지막 경기였던 VfL 오스나브뤼크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0:3으로 완패하며 전반기를 마감하였다.
전반기 성적은 3승 4무 10패로 승점 13점에 불고하며 순위는 최하위. 17위는 승점 14점의 SV 베헨 비스바덴이며 16위는 승점 19점의 1. FC 뉘른베르크.

2019/20 시즌 전반기 2. 분데스리가에서는 10승을 달성한 팀이 없는 등 치열한 경쟁을 보이고 있는데[41] 유일하게 10패 이상을 기록하며 경쟁에서 홀로 도태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대로 가면 2020/21 시즌에는 3. 리가에서 舊 동독팀들인 켐니처 FC1. FC 마그데부르크, FSV 츠비카우, 한자 로스토크, 할레셔 FC 등을 만날 가능성이 높다. FC 카를 차이스 예나는 3. 리가 꼴찌라 사실상 레기오날리가행을 예고하고 있다.

윈터 브레이크 중 스페인에서 열린 K리그 클래식 챔피언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친선 경기에서 3:0 대승을 기록하기도 했다.

2020년 1월 29일 후반기 첫 경기인 19라운드 카를스루어 SC와의 홈 경기에서 테라치노의 결승골로 1:0 승리, 6경기 만에 승리했다. 이 승리로 15위 카를스루어와 16위 비스바덴에 승점 4점차, 17위 뉘른베르크에 승점 3점차로 추격하였다.

2월 2일 20라운드 4위 1. FC 하이덴하임 원정에서 0:0의 무승부를 기록했다. 카를스루어와 보훔이 패하며 16-17위 보훔과 카를스루어에 승점 3점차가 되었다. 15위 SV 베헨 비스바덴과 승점 4점차며 11위 SV 다름슈타트와도 승점 6점차.

2월 7일 21라운드 SV 다름슈타트 98와의 홈경기에서 전반 4분 만에 후쉬바우어의 선제골로 앞서갔지만 백승호에게 독일 무대 데뷔골을 허용하는 등 전반에만 3실점하며 2:3 역전패를 당했다. 비스바덴과 보훔의 경기에서 밑의 순위인 보훔이 승리하면서 16위 비스바덴과 승점 4점차가 되었다. 15위 장크트 파울리와 승점 5점차인 가운데 다음 라운드 맞대결을 펼치게 되었다.

2월 14일 22라운드 FC 장크트파울리 원정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15위 팀과의 중요한 맞대결에서 일단 패하지는 않았고 장크트파울리는 보훔을 제치고 14위가 되었다. 4승6무12패 승점 18점으로 14-15위로 승점 23점의 두 팀과의 승점차는 5점. 카를스루어의 무승부, 비스바덴의 패배로 승점 21점의 16위-17위 카를스루어-비스바덴과 승점 3점차가 되었다. 23라운드는 15위 보훔과의 중요한 맞대결을 치르게 되었다.

2월 22일 23라운드 15위 VfL 보훔과의 중요한 홈경기에서 종료 직전 실점하며 1:2 뼈아픈 패배를 기록했다. 장크트파울리와 카를스루어의 승리, 비스바덴의 무승부로 16위 카를스루어에 승점 6점차로, 승점 26점의 12~15위 그룹과 승점 8점차로 멀어졌다.

2월 28일 24라운드 중위권 SSV 얀 레겐스부르크 원정에서 후반 18분 실점하며 패배의 기운이 엄습했지만 후반 25분 파트릭 슈미트의 동점골, 후반 32분 지몬 마키노크의 역전골로 5경기 만에 귀중한 승리를 거뒀다. 마침 비스바덴과 카를스루어가 패배하며 16위 카를스루어에 승점 3점차, 17위 비스바덴에 승점 1점차가 되었다.

3월 8일 25라운드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42]와의 작센더비에서 슈미트의 2골로 2경기 연속 역전승을 기록했다. 비스바덴의 승리로 순위는 18위지만 카를스루어의 패배로 16위 비스바덴과 승점 1점차, 17위 카를스루어엔 골득실에만 뒤진 18위로 강등권 탈출의 희망이 생겼다.

26라운드부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연기되었다. 이후 독일 정부측에서 5월 15일 리그 재개를 허용했는데 디나모에서 확진자가 2명이 발견되며[43] 드레스덴과 그로이터 퓌르트와의 경기는 14일 미뤄지게 되었다.

연기되었던 하노버 96과의 26라운드에서는 0:3으로 완패하였으며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와의 홈 경기에서는 1:1의 무승부를 기록하며 승점을 추가하였다. 그러나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VfB 슈투트가르트에 다시 연패를 기록하며 여전히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30라운드 강등 경쟁팀인 SV 베헨 비스바덴과의 경기에서는 3:2로 힘겹게 승리하며 잔류의 희망을 이어갔다. 그러나 함부르크 SV에 패하더니 32라운드 홀슈타인 킬 원정에서는 0:2로 패하며 잔류가 사실상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

33라운드 SV 잔트하우젠 원정에서 1:0으로 승리했지만 16위 카를스루어 SC가 분데스리가 승격이 확정된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 3골차로 지던 경기를 따라잡아 무승부를 기록하며 한 경기 남은 상황에서 골득실이 굉장히 불리해 산술적으로만 잔류가 가능해졌다. 33라운드까지 15위 카를스루어 SC는 7승 13무 13패의 전적으로 승점 34점, 43득점 55실점으로 골 득실 -12를 기록하고 있으며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8승 7무 18패로 승점 31점, 30득점 56실점으로 골 득실 -26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

결국 VfL 오스나브뤼크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2:2의 무승부를 기록하며 승점 1점을 따내는데 그치며 최하위가 확정되었다.
시즌 합산 성적은 8승 8무 18패, 승점 32점.

다음은 2. 분데스리가 2019/20 시즌 15~18위의 승점과 명단.
[15위 = 카를스루어 SC] (8승 13무 13패 승점 37점, GF 45 - GA 56, GD -11) = 2. 분데스리가 잔류
[16위 = 1. FC 뉘른베르크] (8승 13무 13패 승점 37점, GF 45 - GA 58, GD -13) = 승강 플레이오프 좌천.
[17위 = SV 베헨 비스바덴] (9승 7무 18패 승점 34점, GF 45 - GA 65, GD -20) = 3. 리가 강등
[18위 = SG 디나모 드레스덴] (8승 8무 18패 승점 32점, GF 32 - GA 58, GD -26) = 3. 리가 강등
결국 후반기 5승 4무의 전적으로 승점 19점을 쌓았으나 전반기의 부진을 극복하지 못하며 2015/16 시즌 이후 5년만에 다시 3. 리가로 돌아가게 되었다.
6.1.4.2. DFB-포칼
자동 진출한 DFB-포칼 1라운드에서는 TuS 다센도르프(TuS Dassendorf)를 만났다.
다센도르프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포칼 우승팀 자격으로 DFB-포칼에 출전하였다. 전반 36분 크리스 뢰우의 선제 득점으로 앞서 나갔으며 후반 29분 부르니치의 추가골에 힘입어 다센도르프에 3:0의 완승을 거두며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2019년 10월 30일 DFB-포칼 2라운드 헤르타 베를린 원정에서 연장 후반 종료전까지 3:2로 앞서며 승리를 눈앞에 두었으나 연장 후반 16분 교체 투입된 HSV의 토루나리가에서 실점하며 승부차기에 돌입하였다. 결국 승부차기에서 4:5로 패하며 이번 시즌 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여담으로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에서 펼쳐진 이날 경기는 평일 밤 경기인데도 무려 3만명의 원정 팬들이 경기장을 찾았다. 베를린 원정 응원에 나선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팬들
<nopad> 파일:DFB-Pokal 201920 Saison 1. Runde gegen Hertha BSC, Olympiastadion, Berlin.png
6.1.4.2.1. 시즌 성적 요약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18위, 3. 리가 강등
34전 8승 8무 18패
(32득점 58실점, GD -26)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2라운드 탈락
2전 1승 1무[44]
(6득점 3실점, GD +3)
합산 성적[PS/N] 승률 25%
36전 9승 9무 18패
(38득점 61실점, GD -23)

6.2. 3. 리가 시기

6.2.1. 2020-21 시즌

지난 시즌 2. 분데스리가 최하위를 차지하며 다시 3. 리가로 강등당한 디나모 드레스덴.

이에 따른 여파로 수비형 미드필더 야니스 니콜라우가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로 이적하였으며 지난 겨울 이적 시장 오스트리아 FC 바커 인스브루크로 임대를 떠났던 중앙 미드필더 마테우스 다페르너는 오스트리아 볼프스베르크 AC로 완전 이적하였다.
이외 전방 공격 자원 알렉산더 제레미제프는 스웨덴 BK 하켄으로 이적하였으며 센터백 야니크 뮐러와 레프트 윙어 오스만 아틀간은 SC 프로이센 뮌스터로 자유 이적하며 팀을 떠났다.

이에 따른 대체 자원으로 공격형 미드필더 파트리크 바이라우흐를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서 영입하였으며 중앙 미드필더 율리우스 카데를 1. FC 우니온 베를린에서 임대 영입하였다. 또한 센터백 자원인 제바스티안 마이를 할레셔 FC에서 영입하였으며 전방 공격 자원 크리스토프 다페르너를 SC 프라이부르크에서 영입하였다.
이외 팀의 유켄트 출신의 공격형 미드필더 마르빈 슈테파니아크를 VfL 볼프스부르크에서 임대 영입하였다.

지난 시즌 중도 부임하였으나 팀의 3. 리가 강등을 막아내기 못한 마르쿠스 카우친스키가 이끄는 디나모 드레스덴이 다시 강등된 3. 리가에서 어떠한 모습을 보일지 걱정되는 시즌.
6.2.1.1. 3. 리가
SG 디나모 드레스덴 2020-21 3. 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SV 발트호프 만하임 로고.svg
WAL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BAY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FCM
파일:VfB 뤼베크 로고.svg
LÜB
파일:FSV 츠비카우 로고.svg
ZWI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SV 메펜 1912 로고.svg
SVM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SBR
파일:TSV 1860 뮌헨 로고.svg
TSV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H
파일:SpVgg 운터하힝 로고.svg
UNT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MSV
파일:KFC 위어딩겐 05 로고.svg
UER
파일:할레셔 FC 로고.svg
HAL
파일:SC 페를 로고.svg
SCV
파일:FC 빅토리아 쾰른 1904 로고.svg
VKÖ
파일:튀르크귀쥐 뮌헨 로고.svg
TMU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WIE
구장 A H A H A H A H A H A H A H A H A A H
1 1 0 1 1 1 0 3 1 2 3 2 3 0 3 4 4 0 1
0 1 3 0 0 2 1 0 2 1 1 0 0 0 1 1 2 1 0
결과
승점 3 4 4 7 10 10 10 13 13 16 19 22 25 26 29 32 35 35 38
TD[Td] +1 +1 -2 -1 0 -1 -2 +1 0 +1 +3 +5 +8 +8 +10 +13 +15 +14 +15
순위 6 8 12 8 4 8 11 7 8 7 6 3 2 2 1 1 1 1 1
후반기
R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SV 발트호프 만하임 로고.svg
WAL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BAY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FCM
파일:VfB 뤼베크 로고.svg
LÜB
파일:FSV 츠비카우 로고.svg
ZWI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SV 메펜 1912 로고.svg
SVM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SBR
파일:TSV 1860 뮌헨 로고.svg
TSV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H
파일:SpVgg 운터하힝 로고.svg
UNT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MSV
파일:KFC 위어딩겐 05 로고.svg
UER
파일:할레셔 FC 로고.svg
HAL
파일:SC 페를 로고.svg
SCV
파일:FC 빅토리아 쾰른 1904 로고.svg
VKÖ
파일:튀르크귀쥐 뮌헨 로고.svg
TMU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WIE
구장 H A H A H A H A H A H A H A H A H H A
4 0 1 1 3 2 4 4 1 0 0 0 1 2 0 0 2 4 1
3 1 1 0 1 0 0 0 1 1 0 2 0 0 3 0 0 0 0
결과
승점 41 41 42 45 48 51 54 57 58 58 59 59 62 65 65 66 69 72 75
TD[Td] +16 +15 +15 +16 +18 +20 +24 +28 +28 +27 +27 +25 +26 +28 +25 +25 +27 +31 +32
순위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라운드에서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을 만났다. 전반 18분 제바스티안 마이의 골로 앞서나갔고, 전반 43분 파울 빌이 퇴장당하기도 했으나 잘 버티며 1:0 승리를 챙겼다.

홈 개막전이었던 2라운드, SV 발트호프 만하임전에서는 크리스토프 다페르너의 득점이 나왔으나 만하임의 막스 크리스티안센에게 실점하며 1:1의 무승부를 거두었다. 이어 FC 바이에른 뮌헨 리저브 팀을 상대로는 바이에른 뮌헨 리저브 팀의 얀피테 아르프, 레온 다야쿠, 니콜라스 퀸에게 연이어 실점하며 0:3의 완패를 당하였다.

4라운드에서는 과거 함께 동독을 호령했던 1. FC 마그데부르크를 만나 야니크 슈타르크의 골로 1대0 승리를 거뒀다. 5라운드에는 승격팀 VfB 뤼베크를 만나 상대팀 1명이 퇴장당하는 가운데 힘겹게 1대0 승리를 챙겼다.

그러나 6라운드에서는 FSV 츠비카우를 만나 2대1로 패했고, 7라운드는 FC 잉골슈타트 04를 만나 경기가 시작한지 4분만에 페널티 박스에서 막스 쿨케가 파울을 범하며 퇴장당했고, 페널티킥으로 실점하며 그대로 0:1로 패했다. 초반 7경기에서 종잡을 수 없는 경기력을 보이고 있으며 3승 1무 3패의 전적으로 리그 11위를 달리고 있다.

이어 3. 리가 8라운드에서는 SV 메펜에 3:0으로 완승을 거두며 7위로 올라섰으나 1. FC 자르브뤼켄에 패하며 9위로 내려섰다.
그러나 TSV 1860 뮌헨FC 한자 로스토크에 연이어 승리를 거두었으며 다시 SpVgg 운터하잉MSV 뒤스부르크에도 승리를 거두며 4연승을 질주하며 리그 2위까지 도약하였다.

전반기 후반부였던 15라운드 할레셔 FC와의 경기에서는 3:1로 완승을 거두고 선두로 도약하였으며 이어 SC 페를빅토리아 쾰른SV 베헨 비스바덴에 승리하며 상승세 속에 전반기를 마쳤다.
전반기 합산 성적은 12승 2무 5패로 승점 38점이며 중간 순위 1위.

후반기 들어서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21라운드 SV 발트호프 만하임에 패하였으나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1. FC 마그데부르크에 승리를 거두며 선두를 지켰고 VfB 뤼베크FSV 츠키바우에 다시 승리를 거두며 승점 50점을 돌파하며 승점 51점째를 획득하였다. 25라운드까지 디나모 드레스덴은 16승 3무 6패의 전적으로 리그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지난 시즌의 부진을 씻어내고 2. 분데스리가 승격에 유리한 고지에 올랐다.

3. 리가 28라운드에서는 전반기 패하였던 1. FC 자르브뤼켄을 다시 만나 1:1의 무승부를 거두며 5연승을 마감하였다. 이어진 TSV 1860 뮌헨과의 경기에서는 0:1로 아쉽게 패배를 기록하였다.

리그 중후반부를 향해가는 30라운드에서는 FC 한자 로스토크와의 원정 경기에서 무승부를 거두더니 SpVgg 운터하힝 원정(31R)에서 다시 패하며 리그 2위 FC 한자 로스토크 및 3위 FC 잉골슈타트 04의 추격을 받고 있다.
이에 구단은 마르쿠스 카우친스키 감독을 경질하고 튀르크귀쥐 뮌헨에서 경질된 알렉산더 슈미트를 새로운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선두의 자리를 위협받았으나 32라운드에서 MSV 뒤스부르크에 승리하고 이어 KFC 위어딩겐 05에 2:0으로 승리하며 여전히 선두를 지켰다. 결국 빅토리아 쾰른-튀르크귀지 뮌헨-SV 베헨 비스바덴으로 이어지는 후반부 3연전을 모두 승리하며 우승으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파일:csm_238871-meister_dresden1_b8e0d9d843.jpg

파일:3. 리가 로고.svg
Meister der 3. Liga
2020-21 3. 리가 우승팀

디나모 드레스덴은 튀르크귀쥐 뮌헨과의 37라운드 홈 경기에서는 4:0 대승으로 3위 FC 잉골슈타트 04와의 승점 차를 4점차로 벌리며 1년만의 2. 분데스리가 복귀를 확정지었으나 승격이 확정되고 경찰과 팬들이 경기장 앞에서 충돌하기도 했다.

결국 디나모 드레스덴은 시즌 합산 성적은 23승 6무 9패, 승점 75점 및 61득점 29실점으로 GD +32를 기록하였으며 2. 분데스리가 승격을 확정하였다. 리그 2위는 같은 승점 71점이나 골 득실에서 앞선 FC 한자 로스토크이며 3위는 FC 잉골슈타트 04.
다음은 2019/20 시즌 3. 리가 상위권 클럽의 명단과 승점.
[1위 = SG 디나모 드레스덴] (23승 6무 9패 승점 75), GF 61 - GA 29, GD +32
[2위 = FC 한자 로스토크] (20승 11무 7패 승점 71), GF 52 - GA 33, GD +19
[3위 = FC 잉골슈타트 04] (20승 11무 7패 승점 71), GF 56 - GA 40, GD +16
[4위 = TSV 1860 뮌헨] (18승 12무 8패 승점 66), GF 69 - GA 35, GD +34
[5위 = 1. FC 자르브뤼켄] (16승 11무 11패 승점 59), GF 66 - GA 51, GD +15
6.2.1.2. DFB-포칼 & 작센 포칼
DFB-포칼 1라운드에서 상대는 2. 분데스리가 소속의 함부르크 SV를 만나 4:1 대승을 거두며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이 경기에서는 경기 종료후 인터뷰에 나선 HSV의 토니 라이스트너와 드레스덴 팬이 싸우는 일도 있었다. 이유는 드레스덴 팬이 가족 욕을 해서라고...영상

그러나 DFB-포칼 2라운드에서 2.분데스리가 소속의 SV 다름슈타트 98을 상대로 0:3의 완패를 기록하며 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DFB-포칼에서 탈락하였으나 페어반츠포칼작센 포칼에서는 8강전까지 자동 진출하였으며 8강전에서 비쇼프스베르더 FV 08를 2:0으로 물리치고 4강전에 진출하였다.

4강전 상대는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소속으로 왕년의 작센 라이벌인 1. FC 로코모티베 라이프치히.
그러나 경기 내용은 좋지 못해 전반 시작부터 실점하더니 전반 28분 다시 실점하며 패색이 짙어졌으며 페널티 킥까지 내어주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0:4로 완패하며 작센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m5aSoC9mD08

작센 포칼에서 4강 탈락하며 다음 시즌 DFB-포칼 진출은 어려워졌으나 리그의 성적으로 2. 분데스리가 진출을 이루어냈기에 다음 시즌에도 DFB-포칼에 출전할 예정.
6.2.1.2.1. 시즌 성적 요약
파일:3. 리가 로고.svg
3. 리가
1위, 2. 분데스리가 승격
38전 23승 6무 9패
(61득점 29실점, GD +32)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2라운드 탈락
2전 1승 1패
(4득점 4실점, GD 0)
작센 포칼
Landespokal Sachsen
준결승전 탈락
2전 1승 1패
(2득점 4실점, GD -2)
합산 성적[PS/N] 승률 59.52%
42전 25승 6무 11패
(67득점 37실점, GD +30)

6.3. 2. 분데스리가 시기

6.3.1. 2021-22 시즌

지난 시즌 3.리가 우승을 차지하며 1시즌만에 2. 분데스리가 복귀에 성공한 디나모 드레스덴. 다시 맞이하는 2. 분데스리가의 새로운 시즌을 맞이하기 위해 선수단의 보강과 방출에 나섰다.

먼저 전력 유출을 보면 라이트백 니클라스 크로이처가 자유 계약으로 할레셔 FC로 이적하였으며 서브 골리 슈테판 키에퍼SpVgg 바이로이트로 자유 이적하였다. 또한 센터백 자원인 막시밀리안 그로서가 함부르크 SV로 자유 이적하는 전력 유출이 있었다.

그러나 드레스덴은 바이백 조항이 있는 거래로 지난 시즌 영입하였던 율리우스 카데를 1. FC 우니온 베를린이 재영입하였다.[49] 또한 지난 시즌 포르투나 뒤셀도르프로 임대를 떠나 좋은 활약을 펼친 라이트 윙어 브랜든 보렐로를 SC 프라이부르크에서 영입하였으며 잉글랜드 반즐리 FC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던 센터백 미하엘 졸바우어를 영입하며 수비력 보강에 나섰다.

이에 더해 러시아 출신의 골키퍼 안톤 미트류시킨을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서 영입하여 골문을 보강하였으며 라이트 윙과 라이트 미드필더가 가능한 모리스 슈뢰터를 FSV 츠비카우에서 영입하였고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U-19 팀에서 활약하던 공격형 미드필더 서종민을 영입하였다.

다시 승격한 시즌 2. 분데스리가에서 어떠한 성적을 보일지 기대되는 시즌.
6.3.1.1. 2.분데스리가
SG 디나모 드레스덴 2021-22 2. 분데스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H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SVW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S04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KSC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구장 H A H A H A A H A H A H A H A H A
3 1 2 3 0 1 0 3 0 0 0 0 1 1 1 3 1
0 1 0 1 3 2 1 0 3 1 3 1 2 0 3 1 0
결과
승점 3 4 7 10 10 10 10 13 13 13 13 13 13 16 16 19 22
TD[Td] +3 +3 +5 +7 +4 +3 +2 +5 +2 +1 -2 -3 -4 -3 -5 -3 -2
순위 2 3 2 2 3 4 10 6 11 11 12 13 14 13 14 12 11
후반기
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HSV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H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HDH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SVW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STP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S04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KSC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구장 A H A H A H H A H A H A H A H A H
0 1 0 1 0 1 0 1 1 1 1 1 0 2 1 2 0
3 1 0 4 0 1 1 2 1 1 2 2 0 2 1 2 1
결과
승점 22 23 24 24 25 26 26 26 27 28 28 28 29 30 31 32 32
TD[Td] -5 -5 -5 -8 -8 -8 -9 -10 -10 -10 -11 -12 -12 -12 -12 -12 -13
순위 11 11 12 13 12 14 14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리그 첫경기 홈에서 열린 FC 잉골슈타트 04를 상대로 기분좋게 3대0으로 승리하였다.
7월 31일에 열린 2라운드 함부르크 SV 원정에서는 초반 루도비트 라이스에게 선제골을 허용했으나 후반 23분 팀 크니핑의 동점골로 1:1의 무승부를 거두며 어려운 경기에서 귀중한 승점 1점을 얻었다.

8월 14일 토요일 저녁 2. 분데스리가 3라운드 하노버 96과의 홈경기에서 2대0 완승을 거두어 2승 1무로 공동 2위에 올랐다. 팀 역대 2. 분데스리가 3경기 기준 최고 성적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어진 4라운드 FC 한자 로스토크와의 동독 더비에서는 3:1의 기분좋은 승리를 거뒀다. 초반 3승 1무의 전적으로 2위를 달리고 있으며 리그 선두는 4전 전승의 SSV 얀 레겐스부르크.

그러나 8월 29일 5라운드 SC 파더보른 07과의 홈 경기에서 전반에만 3골을 실점하며 0-3으로 시즌 첫 패배를 당했다. 동시에 파더보른에게 2위를 내주고 공동 3위가 됐다. 다음 경기였던 1. FC 하이덴하임과의 경기에도 1:2로 패하며 4위로 떨어졌다.

리그 7라운드에서는 SV 다름슈타트 98 원정에서는 0:1로 아쉽게 패하며 3연패를 기록하였다. 다음 경기였던 SV 베르더 브레멘에 승리하며 연패를 탈출. 그러나 FC 장크트파울리-1. FC 뉘르베르크(10R)-FC 샬케 04로 이어지는 3연전을 모두 패하며 13위까지 순위가 추락하였다. 16위 SV 잔트하우젠과의 승점 차는 단 1점.
초반 리그 2위를 달려던 초반의 상승세가 아쉬울 따름.

좋지 않은 흐름은 여기서 그치지 않아 SV 잔트하우젠홀슈타인 킬에 패하며 어느덧 리그 5연패를 기록하고 있다. 14라운드에서는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 1:0으로 승리하며 강등권 추락을 면했다.

15라운드 SSV 얀 레겐스부르크에 1:3으로 패했지만 전반기 후반부인 16라운드 카를스루어 SC에 3:1 승리하며 승점 3점을 추가하였으며 다시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와의 작센 주 더비 매치 원정 경기에서 1:0 승리를 거뒀다.

반환점을 도는 시점에서 디나모 드레스덴은 7승 1무 9패의 전적으로 승점 22점을 기록하고 있으며 중간 순위 11위에 있다. 3위 함부르크 SV와 승점 7점차 뒤처져 있으며 16위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를 상대로는 승점 8점차 앞서 있다.

겨울 이적시장에서는 공격 보강에 힘을 썼다. 올리버 바티스타 마이어, 바츨라프 드르할을 데려오며 주포 크리스토프 다페르너를 지원해줄 선수를 늘였다.

후반기 첫 경기인 FC 잉골슈타트 원정에서는 0:3의 완패를 기록하였다.
다음 경기였던 함부르크 SV와의 19라운드에서는 로베르트 글라첼에게 선제 실점을 내줬지만 주포 다페르너가 동점골을 터뜨리며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영입생 드르할은 선발로, 마이어는 교체로 출전하였다.

20라운드에서는 리그 상위권을 달리고 있는 하노버 96와의 원정 경기에서 힘든 경기를 펼쳤으나 실점하지 않고 0:0으로 경기를 마무리지으며 승점 1점을 추가하였다. 수비의 핵 미하엘 졸바우어가 경고 누적으로 결장하였으나 케빈 브롤이 수 차례 선방으로 든든하게 뒤를 지켰다. 후반 40분 마이클 아코토가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하며 A매치 브레이크 이후 추후 경기에 나서지 못하는 건 아쉬운 점. 그래도 나름 꾸준한 승점 획득으로 이제 강등권과는 승점 7점차.

1월 31일 이적시장의 마지막 날에 아드리안 파인FC 바이에른 뮌헨으로부터 임대로 데려오며 중원을 강화했다.

2월 6일 21라운드 홈에서 열린 FC 한자 로스토크와의 동독 더비에서 전반 18분만에 4골을 실점하는 경기력을 보이며 1:4로 완패하였다. 16위 SV 잔트하우젠과 승점 4점차라 안심할 수 없는 상황. 이어 SC 파더보른 07 원정에서 0:0의 졸전을 펼쳤으며 1. FC 하이덴하임과의 23라운드에서는 1:1로 무승부를 기록하며 2연속 무승부이자 6경기 무승을 달리게되었다.

24라운드, 승격을 노리는 SV 다름슈타트 98를 상대해 잘 버티다 후반 추가시간 막판에 극장골을 허용하며 0:1로 패하였다.

2021년 3월 1일, 7경기 무승에 강등권이라는 부진한 성적 끝 알렉산더 슈미트 감독이 경질되었다. 다음 날 구에리노 카프레티가 선임되었다.

카프레티 감독의 데뷔전은 기대 이상이었다. 현 시점 2. 분데스리가 최강인 SV 베르더 브레멘 베저슈타디온 원정에서 랜스퍼드예보아 쾨니히스되르퍼의 세트피스 선제골로 기분 좋게 출발. 이후 니클라스 퓔크루크에게 멀티골을 허용하며 그대로 1:2 패배를 했지만 수 많은 찬스메이킹과 유효 슈팅을 바탕으로 인상적인 경기력을 펼쳤다. 베르더의 골리 이르지 파블렌카가 이주의 베스트 11에 선정될 정도. 팀의 핵심 수비수 팀 크니핑의 복귀는 천군만마, 복귀전에서도 쾨니히스되르퍼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하며 위용을 과시했다.

26라운드 FC 장크트파울리를 홈으로 불러들여 1대1 무승부를 거뒀다. 주장 팀 크니핑은 또 도움을 올렸고, 크리스토프 다페르너도 골맛을 보며 리가 상위권의 파울리를 상대로 썩 기분 나쁘지 않은 결과이다. 카프레티 감독 하의 첫 승점 획득이기도 하다.

이후 승격을 노리는 1. FC 뉘른베르크 원정을 떠나 1대1 무승부라는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고 돌아왔다. 부상으로 이탈한 최고 유망주 랜스퍼드예보아 쾨니히스되르퍼 없이 얻은 승점이기에 더 값지다. 아그예망 디아부지가 쾨니히스되르퍼 자리에 시즌 첫 선발 출전해 좋은 활약을 펼쳤다. 상대 수비를 녹이고 크리스토프 다페르너에게 연결해 어시스트를 기록한 동점골 장면은 디아부지가 왜 기용되었는지를 보여줬다.

28라운드 FC 샬케 04전 주전 레프트백 크리스 뢰베가 복귀했다. 하지만 최전방의 클래스 차이가 드러나며 지몬 테로데에게 멀티골을 얻어맞고 1대2 패배. 승강 플레이오프 권인 16위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있다.

잔류를 위해 꼭 이겨야하는 29라운드 SV 잔트하우젠 원정에서 1대2로 패배하고 말았다. 잔류권인 15위와의 승점 차는 6점으로 벌어졌다.

3. 리가 3위 팀[52]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펼칠 것이 유력하다. 그러나 2022년 들어 드레스덴은 승리하는 법을 잃어버려 우려스러운 부분이 많은 편.

30라운드 홀슈타인 킬과의 홈 경기에서도 빈공 끝 0대0 아쉬운 무승부를 거두며 승점 1점으로 만족해야했다. 31라운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원정에서는 0대2로 뒤지던 경기를 2대2로 끌고가며 승점을 획득하는 저력을 보였으나, 역시 무승 탈출에는 실패하고 말았다. 승강 플레이오프가 점점 눈 앞에 드리운다.

32라운드 SSV 얀 레겐스부르크크리스토프 다페르너의 기분 좋은 선제골로 앞서갔지만, 후반 막판 안드레아스 알베르스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1:1 무승부에 그쳤다. 또한 남은 2경기의 결과에 관계 없이 리그 16위가 확정되면서 3.리가 3위가 유력한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또는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33라운드 카를스루어 SC 원정 선제골을 득점했으나 역전당하며 또 지나 싶었지만 마이클 아코토의 벼락같은 극장골로 2대2 무승부를 거두었다. 파트리크 바이라우흐는 1골 1도움으로 맹활약했다.

그러나 운명의 34라운드에서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를 상대로 0:1로 다시 패하며 결국 후반기에는 승리 없이 참담한 시즌을 마쳤다. 시즌 합산 성적은 7승 11무 16패이며 승점은 32점. 중간 순위 11위로 마친 전반기이었으나 후반기에는 10번의 무승부를 기록하며 승점 10점을 추가하는데 그치며 중간 순위 역시 16위로 마감하고 말았다.
다음은 2021/22시즌 2.분데스리가 15~18위의 승점과 명단.
[15위 = SSV 얀 레겐스부르크] (10승 10무 14패 승점 40점, GF 50 - GA 51, GD -1) = 2.분데스리가 잔류
[16위 = SG 디나모 드레스덴] (7승 11무 16패 승점 32점, GF 33 - GA 46, GD -13) = 승강 플레이오프
[17위 =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6승 8무 20패 승점 26점, GF 32 - GA 72, GD -40) = 3. 리가 강등
[18위 = FC 잉골슈타트 04] (4승 9무 21패 승점 21점, GF 30 - GA 65, GD -35) = 3. 리가 강등

한편, 3. 리가에서는 아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가 승점 64점(18승 10무 8패)을 기록하며 2위를 차지하였으며 승강 플레이오프 상대는 3위(승점 63, 18승 9무 9패)를 차지한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으로 결정되었다.

카이저슬라우테른의 홈구장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에서 펼쳐진 2022/23 시즌 2. 분데스리가 승강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는 점유율 51%:49%로 대등하게 맞섰으나 슈팅(유효)갯수에서 3(1):12(2)로 밀리는 저조한 마무리 능력을 보이며 0:0의 무승부를 거두었다.

루돌프 하르비히 슈타디온에서 열린 승강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는 전반을 득점 없이 마쳤으나 후반 14분 한슬라크에게 실점하더니 후반 추가 시간 헤르허에게 다시 실점하며 0:2로 완패하며 결국 강등이 확정되었다. 리그 후반기 무승의 부진을 보이며 결국 승강 플레이오프에서도 무득점으로 리그를 최종 마무리하며 다시 3. 리가로 돌아가게 되었다. 무척 씁쓸한 시즌의 결말.
6.3.1.2. DFB-포칼
2021년 8월 6일 금요일 저녁에 열린 DFB 포칼 1라운드 홈 경기에서는 같은 2. 분데스리가 소속인 SC 파더보른 07을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며 2라운드에 진출했다.

포칼 2라운드 상대는 1라운드와 마찬가지로 같은 2. 분데스리가 소속의 FC 장크트파울리.
후반 20`, 다페르너의 동점 득점으로 승부를 원점으로 돌리고 장크트파울리의 자책골에 힘입어 다시 2:2의 균형을 맞추며 연장전에 돌입하였으나 연장 전반 10분 부히트만에게 실점하며 2:3으로 패하며 이번 시즌 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6.3.1.2.1. 시즌 성적 요약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16위
34전 7승 11무 16패
(33득점 46실점, GD -13)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파일:3. 리가 로고.svg
2.분데스리가
승강 플레이오프
승강 플레이오프 패배, 3. 리가 강등
2전 1무 1패
(0득점 2실점, GD -2)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2라운드 탈락
2전 1승 1패
(4득점 4실점, GD 0)
합산 성적[PS/N] 승률 21.05%
38전 8승 12무 18패
(37득점 52실점, GD -15)

6.4. 3. 리가 시기

6.4.1. 2022-23 시즌

지난 시즌 2.분데스리가 16위를 기록하며 강등 플레이오프로 좌천된 끝에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 패하며 한 시즌만에 3. 리가로 내려섰기에 반등이 필요한 SG 디나모 드레스덴.

이러한 강등과 맞물려 기존 자원의 유출로 많은 선수들이 바뀌었으며 3. 리가 강등의 책임을 지고 지난 시즌 후반기 감독에 올랐던 구에리노 카프레티가 사임하였기에 새로운 감독이 선임되었다. 새로운 감독은 1. FC 쾰른의 분데스리가 승격을 이루어냈으며 SV 다름슈타트 98과 SV 베르더 브레멘의 감독을 역임한 마르쿠스 안팡.

먼저 팀의 공격을 책임졌던 쾨니히스되프퍼가 함부르크 SV로 이적하였으며 다른 공격 자원 크리스토프 다페르너는 1. FC 뉘른베르크로 이적하는 전력 공백이 발생하였다.
이외 라이트 윙어 모리스 슈뢰터는 FC 한자 로스토크로 팀을 옮겼으며 수비형 미드필더 야니크 슈타르크는 튀르키예 마니사 FK로 이적하였으며 전방 공격 자원 브랜든 보렐로가 호주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로 자유 이적하였다.

이와 같은 많은 전력 유출을 막고자 새롭게 선수들이 영입되었다. 먼저 레프트백과 LM이 가능한 요나탄 마이어1. FSV 마인츠 05에서 영입하였으며 스트라이커 마누엘 셰플러를 1. FC 뉘른베르크에서 영입하였다.
또한 센터백 자원인 키릴로 멜리첸코를 우크라이나 FC 마리우폴에서 영입하였으며 서브 골리로 케벤 브롤을 폴란드의 구르니크 자브제에서 자유 영입하였다.

이에 더해 골키퍼 스테판 드라차를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리저브 팀에서 영입하였으며 FC 잉골슈타트 04에서는 중앙 공격수 슈테판 쿠치케를 영입하여 전방 공격력을 보강하며 쾨니히스되르퍼를 대체하였다.

새로운 감독 마르쿠스 안팡이 이끄는 디나모 드레스덴이 지난 시즌의 부진함을 씻어내고 다시 2. 분데스리가로 도전할 수 있을지 기대와 걱정이 공존하는 시즌.
6.4.1.1. 3. 리가
SG 디나모 드레스덴 2022-23 3. 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파일:TSV 1860 뮌헨 로고.svg
TSV
파일:할레셔 FC 로고.svg
HAL
파일:SC 페를 로고.svg
SCV
파일:FC 빅토리아 쾰른 1904 로고.svg
VKÖ
파일:SV 07 엘버스베르크 로고.svg
ELV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BVB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MSV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SpVgg 바이로이트 로고.svg
REU
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OSN
파일:로트바이스 에센 로고.svg
RWE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SBR
파일:SV 발트호프 만하임 로고.svg
WAL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SCF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WIE
파일:FSV 츠비카우 로고.svg
ZWI
파일:SV 메펜 1912 로고.svg
SVM
파일:VfB 올덴부르크 로고.svg
ODE
구장 H A H A H A H A H A H A H A H A H H A
3 2 2 1 2 1 3 1 1 1 3 1 1 1 1 0 0 1 3
4 0 0 2 3 0 0 0 1 1 2 1 2 2 1 1 0 1 1
결과
승점 0 3 6 6 6 9 12 15 16 17 20 21 21 21 22 22 23 24 27
TD[Td] -1 +1 +3 +2 +1 +2 +5 +6 +6 +6 +7 +7 +6 +5 +5 +4 +4 +4 +6
순위 14 9 7 11 11 10 7 6 5 6 4 5 7 8 7 9 9 11 9
후반기
R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파일:TSV 1860 뮌헨 로고.svg
TSV
파일:할레셔 FC 로고.svg
HAL
파일:SC 페를 로고.svg
SCV
파일:FC 빅토리아 쾰른 1904 로고.svg
VKÖ
파일:SV 07 엘버스베르크 로고.svg
ELV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BVB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MSV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SpVgg 바이로이트 로고.svg
REU
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OSN
파일:로트바이스 에센 로고.svg
RWE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SBR
파일:SV 발트호프 만하임 로고.svg
WAL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SCF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WIE
파일:FSV 츠비카우 로고.svg
ZWI
파일:SV 메펜 1912 로고.svg
SVM
파일:VfB 올덴부르크 로고.svg
ODE
구장 A H A H A H A H A H A H A H A H A A H
2 7 3 1 1 1 3 2 3 1 1 2 0 2 1 3 1 1 2
1 1 2 1 1 0 1 0 2 2 0 1 2 1 1 1 0 4 1
결과
승점 30 33 36 37 38 41 44 47 50 50 53 56 56 59 60 63 66 66 69
TD[Td] +7 +13 +14 +14 +14 +15 +17 +19 +20 +19 +20 +21 +19 +20 +20 +22 +23 +20 +21
순위 9 8 6 6 7 6 6 4 3 5 4 4 5 4 4 3 3 6 6

다시 돌아온 3. 리가 첫 경기에서 TSV 1860 뮌헨과 난타전 끝에 3:4로 패하며 시즌을 시작하였다. 엘러스의 전반 초반 자책골이 나왔으며 TSV의 바르에게 연이어 실점하며 패배.

첫 경기에서는 패하였으나 할레셔 FCSC 페를에 승리하며 중위권으로 도약하였다.
그러나 빅토리아 쾰른과의 4라운드에서 패하더니 SV 07 엘버스베르크에 다시 패하며 초반 5경기에서 2승 3패의 부진한 성적으로 초반부를 보내고 있다.

6라운드에서는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를 상대로 무승부 경기가 예상되던 후반 40분 콘테의 결승골로 1:0으로 힘든 승리를 거두며 연패에서 벗어났으며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리저브 팀MSV 뒤스부르크에 승리하며 어느덧 3연승을 달렸다.

이어진 FC 잉골슈타트 04SpVgg 바이로이트에 연속 무승부를 거두며 중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초반 10경기에서 5승 2무 3패의 전적.

11라운드에서는 VfL 오스나브뤼크를 상대로 아코토의 전반 34분 자책골과 OSN 테세에게 실점하며 전반을 0:2로 마쳤으나 후반 아르슬란과 빌의 연이은 득점으로 동점을 만들고 후반 24분 카머키네흐트의 역전골이 나오며 3:2의 역전승을 거두었다. 중간 순위 4위로 도약하였던 경기.

그러나 1. FC 자르브뤼켄에 패하더니 SV 발트호프 만하임(14라운드)에 1:2로 패하며 9위까지 순위가 추락하였다.
15라운드에서는 SC 프라이부르크 리저브 팀을 홈으로 불러들여 경기하였으나 1:1의 무승부를 기록하였으며 이어 SV 베헨 비스바덴 원정에서는 후반 32분 레인탈레르에 실점하며 0:1로 패하며 좋지 않은 전반기를 보내고 있는 상황.

17라운드, FSV 츠비카우와 무승부를 거두다니 SV 메펜과도 1:1로 승부를 가리지 못하며 승리 없는 경기가 많아지고 있는 상황.
전반기 마지막 경기였던 VfB 올덴부르크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전반 16분 부히트만에게 실점하였으나 후반 아르슬란의 멀티 득점으로 경기를 뒤집고 보르코프스키의 득점을 합하며 3:1의 역전승을 거두고 전반기를 마감하였다.

결국 부진한 전반기 후반부를 보낸 덕에 9위까지 중간 순위가 추락하며 전반기를 마무리하였다. 전반기 성적은 7승 6무 6패승점 27점.

후반기 초반에는 TSV 1860 뮌헨할레셔 FCSC 페를(22라운드)에 연승을 거두며 상승세를 달리고 있으며 중간 순위 6위까지 도약하였다.

이어 전반기 패하였던 빅토리아 쾰른SV 07 엘버스베르크에는 연속 무승부를 거두었다. 그러나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와의 25라운드에서 1:0으로 승리하였고 BVB 리저브 팀MSV 뒤스부르크에 연이어 승리하며 중간 순위가 상승하였다.

27라운드까지의 전적은 13승 8무 6패로 승점 47점이며 중간 순위 4위. 선두를 달리고 있는 팀은 이번 시즌 레기오날리가에서 승격하여 파란을 일으키고 있는 SV 07 엘버스베르크이며 2위는 SC 프라이부르크 리저브 팀.

28라운드 FC 잉골슈타트 04 원정에서는 빌과 아르슬란의 전반전 득점과 레머의 후반전 득점으로 잉골슈타트에 3:2로 어렵사리 승리하며 3위까지 도약하였다. 그러나 29라운드에서는 SpVgg 바이로이트에 패하며 후반기 첫 패배를 기록하였다.

이어 VfL 오스나브뤼크로트바이스 에센에 승리를 거두며 연승을 거두었으나 리그 상위권을 달리던 1. FC 자르브뤼켄에 패하며 승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
33라운드 SV 발트호프 만하임과의 홈 경기에서는 전반 4분만에 실점하였으나 전반 30분 아르슬란의 페널티 킥 골로 승부를 원점으로 돌리고 쿠치케의 후반 28분 역전골로 2:1의 역전승을 거두었다.

이어 전반기에서 무승부를 거두었던 SC 프라이부르크 리저브 팀과 다시 무승부를 거두었으며 35라운드 SV 베헨 비스바덴과의 홈 경기에서는 1:1 동점 상황에서 하우프트만과 레머의 연이은 득점으로 3:1로 승리하였다.

36라운드 FSV 츠비카우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1:0으로 승리하며 다시 3위로 도약하였다. 2경기를 남겨두고 있는 가운데 드레스덴은 19승 9무 8패의 전적으로 승점 66점을 확보하였으며 중간 순위는 3위.

선두는 승점 70점의 SV 07 엘버스베르크가 달리고 있으며 2위는 승점 67점의 SC 프라이부르크 리저브 팀. 그러나 같은 승점을 기록하고 있는 SV 베헨 비스바덴VfL 오스나브뤼크1. FC 자르브뤼켄과의 경쟁을 펼치고 있기에 승격은 쉽지 않은 상황.

리그 최후반부인 37라운드에서는 SV 메펜과의 원정 경기에서 1:4로 완패를 거두며 3위가 불가능해졌으며 마지막 경기에서는 VfB 올덴부르크에 승리를 거두었으나 결국 6위를 차지하며 2. 분데스리가 승격에 실패하였다.

디나모 드레스덴은 후반기에만 승점 42점(13승 3무 3패)를 거두며 선전을 거듭하였으나 결국 전반기의 부진 탓에 리그 6위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합산 성적은 20승 9무 9패로 승점 69점.

3위 VfL 오스나브뤼크와 4위 SV 베헨 비스바덴의 승점이 70점으로 드레스덴과는 단 1점 차이였기에 무척 아쉬웠던 결과. 특히 3위 오스나브뤼크와 4위 베헨 비스바덴은 같은 전적과 승점에 골득실 1점 차이로 승격 플레이오프 자격이 주어지는 살얼음판 경쟁을 펼쳤으며 드레스덴은 3위 오스나뷔르크에 단 1점 뒤처지는 승점이었으니 무척 아쉬운 결말이었다.

다음은 3. 리가 2022-23 시즌 1위부터 6위까지의 성적과 명단.
[1위 = SV 07 엘버스베르크] (22승 8무 8패 승점 74, GF 80 - GA 40, GD +40) = 우승 및 2. 분데스리가 승격.
[2위 = SC 프라이부르크 II] (21승 10무 7패 승점 73, GF 54 - GA 34, GD +20) = 리저브 팀. 2.분데스리가 승격 불가.
[3위 = VfL 오스나브뤼크] (21승 7무 10패 승점 70, GF 70 - GA 49, GD +21) = 2. 분데스리가 승격.
[4위 = SV 베헨 비스바덴] (21승 7무 10패 승점 70, GF 71 - GA 51, GD +20) =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5위 = 1. FC 자르브뤼켄] (20승 9무 9패 승점 69, GF 64 - GA 39, GD +25)
[6위 = SG 디나모 드레스덴] (20승 9무 9패 승점 69, GF 65 - GA 44, GD +21)
6.4.1.2. DFB-포칼 & 작센 포칼
DFB-포칼 1라운드에서는 분데스리가의 VfB 슈투트가르트를 상대하였으나 전반 32분 다르코 추를리노프에게 실점하며 0:1로 패하며 초반 탈락하였다.
작센 포칼(Landespokal Sachsen)에서는 ATSV 뷔르첸VFC 플라우엔에 연이어 승리하고 3라운드에 진출하였으나 8강전(3라운드)에서 FSV 츠비카우에 0:1로 패하며 이번 시즌 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한편, 이번 시즌 3. 리가에서 6위를 기록하며 다시 잔류가 확정되었기에 다음 시즌에는 DFB-포칼 진출이 불발되었다.
6.4.1.2.1. 시즌 성적 요약
파일:3. 리가 로고.svg
3. 리가
6위
38전 20승 9무 9패
(65득점 44실점, GD +21)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1라운드 탈락
1전 1패
(0득점 1실점, GD -1)
작센 포칼
Landespokal Sachsen
3라운드 탈락
3전 2승 1패
(18득점 4실점, GD +14)
합산 성적[PS/N] 승률 52.38%
42전 22승 9무 11패
(83득점 49실점, GD +34)

6.4.2. 2023-24 시즌

지난 시즌 치열한 경쟁을 펼쳤으나 SV 07 엘버스베르크SC 프라이부르크 IIVfL 오스나브뤼크 등에 차례로 밀리며 6위로 시즌을 마친 SG 디나모 드레스덴. 이에 부족한 포지션 위주로 선수 영입이 이루어졌다.

여름 이적 시장에서 지난 시즌까지 팀의 주축으로 활약하였던 센터백 팀 크니핑이 SV 잔트하우젠으로 이적하였으며 센터백 미하헬 아코토 역시 자유 계약으로 팀을 떠났기에 수비진 보강은 필수가 되었다. 또한 홀슈타인 킬에서 임대하여 지난 시즌 팀의 공격을 이끌었던 아흐메트 아르슬란이 임대를 마치고 원 소속팀으로 돌아가기에 이에 대한 공백을 메워야 하는 상황.

이외 공격형 미드필더 올리버 바티스타 마이어가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로 임대를 떠났으며 중앙 미드필더 율리우스 카데는 2. 분데스리가로 승격한 SV 베헨 비스바덴으로 이적하였다.

이러한 전력 공백이 발생하였기에 먼저 레프트 윙어 루카스 쿠에토를 카를스루어 SC에서 자유 계약으로 영입하였으며 공격형 미드필더와 레프트 윙어가 가능한 톰 지머시에드를 할레셔 FC에서 영입하였다.
또한 크니핑의 대체 자원으로는 로트바이스 에센에서 토비아스 크라울리치를 영입하였으며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서는 라르스 뷔닝을 영입하며 수비력 강화에 나섰다. 또한 최전방 공격진으로 함부르크 SV에서 로빈 마이스너를 영입하였다.

지난 시즌의 부진함을 씻어내고 다시 도전하는 2. 분데스리가 승격.
6.4.2.1. 3. 리가
SG 디나모 드레스덴 2023-24 3. 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4 15 13[57] 16 17 18 19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SV 발트호프 만하임 로고.svg
WAL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BVB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VfB 뤼베크 로고.svg
LÜB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FCE
파일:로트바이스 에센 로고.svg
RWE
파일:할레셔 FC 로고.svg
HAL
파일:TSV 1860 뮌헨 로고.svg
TSV
파일:SSV 울름 1846 로고.svg
ULM
파일:SC 프로이센 뮌스터 로고.svg
PRM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SCF
파일:FC 빅토리아 쾰른 1904 로고.svg
VKÖ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SBR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SC 페를 로고.svg
SCV
파일:SpVgg 운터하힝 로고.svg
UNT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MSV
구장 H A H A H A H A H A A H A H A H A H A
3 0 2 2 2 1 2 1 2 0 3 1 2 5 0 0 0 2 4
1 1 1 0 0 0 1 3 1 0 2 0 0 1 1 1 1 1 2
결과
승점 3 3 6 9 12 15 18 18 21 22 25 28 31 34 34 34 34 37 40
TD[Td] +2 +1 +2 +4 +6 +7 +8 +6 +7 +7 +8 +9 +11 +15 +14 +13 +12 +13 +15
순위 1 10 4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후반기
R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SV 발트호프 만하임 로고.svg
WAL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BVB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VfB 뤼베크 로고.svg
LÜB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FCE
파일:로트바이스 에센 로고.svg
RWE
파일:할레셔 FC 로고.svg
HAL
파일:TSV 1860 뮌헨 로고.svg
TSV
파일:SSV 울름 1846 로고.svg
ULM
파일:SC 프로이센 뮌스터 로고.svg
PRM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SCF
파일:FC 빅토리아 쾰른 1904 로고.svg
VKÖ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SBR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REG
파일:SC 페를 로고.svg
SCV
파일:SpVgg 운터하힝 로고.svg
UNT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MSV
구장 A H A H A H A H A H H A H A H A H A H
1 0 2 1 1 7 1 2 0 2 0 0 1 1 0 1 0 2 4
0 1 1 2 2 2 2 2 1 1 0 1 3 1 2 1 1 0 0
결과
승점 43 43 46 46 46 49 49 50 50 53 54 54 54 55 55 56 56 59 62
TD[Td] +16 +15 +16 +15 +14 +19 +18 +18 +17 +18 +18 +17 +15 +15 +13 +13 +12 +14 +18
순위 2 2 1 2 2 2 2 2 3 3 2 4 4 3 4 5 4 4 4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와의 홈 경기에서 전반 초반 DSC의 자책골과 쿠치케의 페널티 킥을 합하며 2:0으로 앞서며 승리를 잡았다. 이어 전반 48분 DSC의 비안카디에게 실점하였으나 하우프트만이 후반전 다시 달아나는 득점을 올리며 3:1로 승리하며 시즌을 시작하였다.

리그 첫 원정에 나선 2라운드 SV 잔트하우젠 원정에서 패하였으나 SV 발트호프 만하임과의 3라운드에서는 쿠치케와 하우프트만의 전반 중반 연속 득점으로 만하임에 2:1의 승리를 거두었다.

이어 4라운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리저브 팀에 2:0으로 승리하더니 FC 잉골슈타트 04를 상대로 승리하며 초반 4승 1패의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3.리가 6라운드 VfB 뤼베크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전반전을 득점 없이 마치고 후반 5분 레머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하고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7라운드에서는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를 상대하여 전반 상대 자책골로 앞서 나갔고 후반 38분 보르코프스키의 추가 득점으로 후반 47분 바르가 추격골을 기록하는데 그친 아우에에 2:1로 승리하고 초반 6승 1패의 전적을 기록하고 있다.

아르슬란과 크니핑 등 핵심 전력을 일부 잃었지만 신입생들과 주장 슈테판 쿠치케의 활약이 돋보이는 리그 초반의 모습.

선두를 달렸으나 8라운드 로트바이스 에센과의 경기에서는 1:2로 아쉽게 패배하였다.
그러나 할레셔 FC전에서는 2:1로 승리하였고 TSV 1860 뮌헨과 무승부를 거두고 선두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초반 10경기에서 7승 1무 2패의 전적을 기록.

이어 3. 리가 11라운드 SSV 울름전에서는 카버크네히트의 멀티 득점과 쿠치케의 득점으로 3:2로 어렵사리 승리하였으며 다음 라운드에서는 SC 프로이센 뮌스터에 1:0으로 어렵게 승리하며 여전히 선두를 유지하는 상황.

이어 13라운드 1. FC 자르브뤼켄과의 경기는 DFB-포칼 일정과의 충돌로 순연되었으며 이어진 SC 프라이부르크 리저브 팀에 승리하며 시즌 10승째를 거두었다.

그러나 DFB-포칼 일정으로 순연된 1. FC 자르브뤼켄을 상대로한 13라운드 순연 경기에서는 전반 39분 SBR 브륑거에 실점하며 0:1로 패하며 시즌 3패째를 안았다. 동시에 8라운드부터 계속해서 승리하고 있는 얀 레겐스부르크에 1위를 내주고 2위로 내려앉았다.

이어 최근 상승세를 타고 있는 SSV 얀 레겐스부르크(16라운드)를 상대로 홈 경기를 가졌으나 후반 47분 REG의 발라스에게 통한의 실점을 결승골을 허용하며 0:1로 패하고 시즌 첫 연페를 기록하였다. 11승 1무 4패의 중간 전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승점은 34점.
3. 리가 17라운드에서는 SC 페를 원정에 나섰으나 0:1로 패하며 3연패의 부진에 빠졌다.

전반기 후반부였던 SpVgg 운터하힝과의 18라운드에서는 하우프트만의 전반 이른 시간 득점과 쿠치케의 득점으로 운터하힝에 2:1로 승리하고 연패를 끊어냈다. 이어 전반기 마지막 경기에서는 MSV 뒤스부르크를 상대로 4:2의 완승을 거두며 분위기를 추스르는 모습.

전반기의 합산 성적은 13승 1무 5패로 승점 40점이며 중간 순위는 2위. 선두는 승점 42점을 기록하고 있는 SSV 얀 레겐스부르크가 달리고 있다.

겨울 이적시장 막바지에 지난 시즌 눈부신 활약을 펼친 아흐메트 아르슬란1. FC 마그데부르크에서 임대 영입하였다.

후반기 첫 경기인 18라운드에서는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 전반기에 이어 다시 승리하였으나 전반기 패하였던 SV 잔트하우젠에 다시 패하면서 선두에 오를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이어 22라운드에서는 SV 발트호프 만하임을 상대로 레머의 후반 19분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승리하고 선두로 복귀하였다.

그러나 BVB 리저브 팀에 패하더니 FC 잉골슈타트 04에 다시 패하며 선두에서 멀어지는 모습. 선두를 달리고 있는 SSV 얀 레겐스부르크에 이어 2위를 달리고는 있으나 꾸준히 승리를 거두고 있는 3위 SSV 울름 1846의 추격을 받고 있는 상황.

25라운드에서 VfB 뤼베크에게 7:2로 완승하였으나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와의 원정 경기(26 라운드)에서 패하였으며 28라운드 할레셔 원정에서 패하며 같은 라운드에서 TSV 1860 뮌헨에 승리를 거둔 울름에게 2위 자리를 내주었다.

29라운드 TSV 1860 뮌헨전을 2:1로 이기며 3경기째 이어지던 무승 행진을 끊어내었으며 울름과의 30라운드에서는 무승부를 기록하며 다시 2위로 올라섰다. 얀 레겐스부르크가 같은 라운드에서 강등권인 VfB 뤼베크에 0:1로 패한 탓.
30라운드까지의 전적은 17승 3무 10패로 승점 54점을 획득하였으며 1위 SSV 울름(55점) 및 3위 얀 레겐스부르크(54점) 그리고 후반기 상승세의 뮌스터(52점)와 치열한 순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상태.

31라운드에서는 프로이센 뮌스터와 2위와 4위간 맞대결에서 패하며 SC 프로이센 뮌스터에게 3위 자리를 내주었다. 다음 라운드였던 1. FC 자르브뤼켄과의 경기에도 패하며 승강 플레이오프 진입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

33라운드에서 SC 프라이부르크 리저브 팀과 무승부를 벌였고 다시 빅토리아 쾰른(34R)에 패하면서 최근 10경기에서 2승 3무 5패의 부진에 빠져있는 상황.
디나모 드레스덴은 34라운드까지 합산 성적은 17승 4무 13패로 승점 55점을 기록하였으며 1위 SSV 울름의 승점 65점과 10점차 이며 2위 SSV 얀 레겐스부르크(승점 61점)와는 승점 6점차 뒤처진 리그 4위를 달리고 있다. 리그 3위는 후반기 상승세를 타고 있는 SC 프로이센 뮌스터.

결국 클럽은 이러한 성적 부진에 따른 책임을 물어 마르쿠스 안팡 감독을 시즌 종료 4경기를 남기고 해임하였으며 새로운 감독으로 팀의 수석 코치를 맡고 있던 하이코 숄츠 하이코 숄츠 위피키피아를 임시 감독으로 임명하기에 이르렀다.

하이코 숄츠가 지휘봉을 잡은 35라운드에서는 2위를 달리고 있는 승격 경쟁 상대 SSV 얀 레겐스부르크와 1:1로 무승부를 기록하며 승점을 추가하였다. 그러나 중간 순위 5위로 떨어졌다.
이어 36라운드, SC 페를과의 홈 경기에서 0:1으로 패배하면서 승강 플레이오프 진입이 사실상 힘들어졌다. 후반기에만 9패(4승 4무)를 기록하면서 전반기에 쌓아놓은 승점을 잃어가고 있는 시즌 후반부.

37라운드, SpVgg 운터하힝에 2:0으로 승리하였으며 다시 리그 마지막 경기였던 MSV 뒤스부르크에 4:0의 완승을 거두며 시즌을 마감하였다. 그러나 이미 30~36 라운드의 무승으로 2. 분데스리가 승격은 좌절되었으며 리그 4위로 시즌을 마감해야 했다. 무척 아쉬운 결말로 맺은 시즌의 모습.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이번 시즌 3. 리가에서 19승 5무 14패의 전적으로 승점 62점을 기록하였으며 최종 순위는 4위. 다음은 2023/24 시즌 3. 리가 상위권 팀이 명단과 승점.
[1위 = SSV 울름 1846] (23승 8무 7패 승점 77점), GF 65 - GA 38, GD +27 = 우승 및 2. 분데스리가 승격.
[2위 = SC 프로이센 뮌스터] (19승 10무 9패 승점 67점), GF 68 - GA 49, GD +19 = 2. 분데스리가 승격.
[3위 = SSV 얀 레겐스부르크] (17승 12무 9패 승점 63점), GF 51 - GA 42, GD +9 =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4위 = SG 디나모 드레스덴] (19승 5무 14패 승점 62점), GF 58 - GA 40, GD +18
[5위 = 1. FC 자르브뤼켄] (15승 15무 8패 승점 60점), GF 60 - GA 403, GD +17
전반기 승점 40점을 기록하며 2. 분데스리가로의 진입에 희망이 있던 상태였으나 후반기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두며 승점 22점(6승 4무 9패)에 그친 탓에 다음 시즌에도 3.리가 소속으로 남게되었다. 상당히 아쉬웠던 시즌 후반부.
6.4.2.2. 작센 포칼
지난 시즌 작센 포칼 8강전에서 탈락하며 전국 포칼 진출이 좌절되었기에 이번 시즌에는 작센 포칼에만 진출하게 되었다.
페어반츠포칼 작센 지구(Landespokal Sachsen)에서는 연승을 거두고 8강전(3라운드)에 진출하였다.

8강 상대는 NOFV-오버리가 남부(Süd)지구의 소속의 VFC 플라우엔.
전후반 득점이 나오지 않아 진행된 연장전에서 1:1로 승부를 가리지 못하였으며 승부차기에서 6:5로 승리하고 4라운드에 진출하였다.

4강(준결승)에서는 8강과 마찬가지로 오버리가 소속인 FSV 츠비카우를 상대하여 2:1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하였다.

결승 상대는 같은 3. 리가 소속인 FC 에르츠게비르게.
홈에서 펼쳐진 결승전에서 2:0의 완승을 거두며 작센 포칼에서 우승하며 다음 시즌에는 전국 대회인 DFB-포칼에 진출하게되었다. 비록 리그의 성적으로 2. 분데스리가 진출에는 실패하였으나 다음 시즌 다시 DFB-포칼에 출전할 자격을 얻었다.
6.4.2.2.1. 시즌 성적 요약
파일:3. 리가 로고.svg
3. 리가
4위
38전 19승 5무 14패
(58득점 40실점, GD +18)
작센 포칼
Landespokal Sachsen
우승
5전 4승 1무[60]
(17득점 2실점, GD +15)
합산 성적[PS/N] 승률 53.49%
43전 23승 6무 14패
(75득점 42실점, GD +33)

6.4.3. 2024-25 시즌

지난 시즌 전반기 1위를 달리며 2. 분데스리가 승격의 가능성을 높였으나 후반기의 부진으로 리그 4위로 마감한 SG 디나모 드레스덴.

이번 시즌에는 지난 시즌과 같은 전처를 밟지 않고자 신중단 선수단의 보강이 이루어졌다. 또한 임시 감독을 맡았던 수석코치 하이코 숄츠가 본래의 자리로 돌아갔기에 새로운 감독을 선임하였다. 팀의 새로운 감독은 스위스 U-15 대표팀과 SC 프라이부르크의 유겐트와 리저브 팀을 이끌었던 토마스 슈탐.
토마스 슈탐 신임 감독은 스위스 출신이며 이번 디나모 드레스덴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본격적인 성인 팀을 지도하게 되었다.

디나모 드레스덴은 먼저 2. 분데스리가 SV 07 엘버스베르크로 이적한 공격수 톰 지머시에드SSV 울름 1846으로 이적한 공격형 미드필더 올리버 마이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지난 2021/22 시즌까지 SG 디나모 드레스덴 소속이었던 크리스토프 다페르너를 1. FC 뉘른베르크에서 다시 임대 영입하며 공격력을 보강하였다.
이외 수비형 미드필더 빈코 사피나를 로트바이스 에센에서 영입하였으며 RB 라이프치히에서 주전으로 도약하지 못한 팀 슈라이버를 서브 골리로 영입하였다.

또한 할레셔 FC에서는 중앙 미드필더 알야즈 카사르를 영입하여 중원을 보강하였으며 함부르크 SV에서는 센터백과 라이트백이 가능한 데니스 두아를 영입하며 수비력 보강을 완료하였다.

신임 감독 토마스 슈탐이 이끄는 디나모 드레스덴이 지난 시즌 후반기의 아쉬움을 극복하고 다시 2. 분데스리가 승격에 성공할 수 있을지 기대되는 시즌.
6.4.3.1. 3. 리가
SG 디나모 드레스덴 2024-25 3. 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파일:FC 빅토리아 쾰른 1904 로고.svg
VKÖ
파일:FC 에네르기 코트부스 로고.svg
FCE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FB
파일:TSV 1860 뮌헨 로고.svg
TSV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H
파일:SC 페를 로고.svg
SCV
파일:알레마니아 아헨 로고.svg
AAC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BVB
파일:로트바이스 에센 로고.svg
RWE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WEH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OSN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SBR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SV 발트호프 만하임 로고.svg
WAL
파일:SpVgg 운터하힝 로고.svg
UNT
구장 A H A H A H A H A H A H A A H A H H A
2 4 0 2 3 1 3 0 1 3 0 2 1 3 1 4 3 2 3
1 2 2 0 2 1 0 0 2 3 1 1 1 0 1 2 0 1 0
결과
승점 3 6 6 9 12 13 16 17 17 18 18 21 22 25 26 29 32 35 38
TD[Td] +1 +3 +1 +3 +4 +4 +7 +7 +6 +6 +5 +6 +6 +9 +9 +11 1+14 +15 +18
순위 2 1 4 3 1 2 1 1 2 2 6 4 4 3 3 2 2 2 1
후반기
R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파일:FC 빅토리아 쾰른 1904 로고.svg
VKÖ
파일:FC 에네르기 코트부스 로고.svg
FCE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AUE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FB
파일:TSV 1860 뮌헨 로고.svg
TSV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H
파일:SC 페를 로고.svg
SCV
파일:알레마니아 아헨 로고.svg
AAC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BVB
파일:로트바이스 에센 로고.svg
RWE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WEH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FCI
파일:VfL 오스나브뤼크 로고.svg
OSN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SBR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SVS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SV 발트호프 만하임 로고.svg
WAL
파일:SpVgg 운터하힝 로고.svg
UNT
구장 H A H A H A H A H A H A H H A H A A H
2 1 2 1 5 0 3 1 0 1 2 3 2 0 4 2 1 0 3
3 1 1 2 2 1 0 0 0 1 0 2 2 1 1 1 1 1 0
결과
승점 38 39 42 42 45 45 48 51 52 53 56 59 60 60 63 66 67 67 70
TD[Td] +17 +17 +18 +17 +18 +19 +22 +23 +23 +23 +25 +26 +26 +25 +28 +29 +29 +28 +31
순위 2 2 2 2 2 2 1 1 1 1 1 1 1 1 1 1 1 2 2

토마스 슈탐이 이끄는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리그 첫 경기로 쾰른으로 원정에 나서 FC 빅토리아 쾰른에 2:1로 승리하며 시즌을 시작하였다. 이어 FC 에네르기 코트부스와의 홈 개막전에서는 쿠치케의 페널티 킥 득점과 멘젤의 추격골로 전반 초반의 2실점을 극복하고 승부를 원점으로 만들었으며 후반전 마이스너와 하이제의 연이은 득점으로 4:2의 역전승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3라운드에서는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원정에 나서 0:2로 패하며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였다.

4라운드에서는 이번 시즌 레기오날리가에서 3. 리가로 승격한 VfB 슈투트가르트 리저브 팀에 승리하였으며 이어 TSV 1860 뮌헨에는 3:2로 어렵사리 승리하며 선두로 도약하였다. 6라운드에서는 2. 분데스리가에서 강등된 FC 한자 로스토크와 1:1의 무승부를 거두었다.

SC 페를과의 7라운드에서는 마이스너의 전반 11분 선취골과 다페르너의 연이은 득점으로 3:0의 완승을 거두었으나 다음 경기였던 알레마니아 아헨과의 홈 경기에서는 0:0의 무승부를 거두며 승점 1점을 추가하는데 그쳤다. 초반 5승 2무 1패의 전적이며 중간 순위는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리저브 팀과의 9라운드에서는 BVB의 파울리나와 포티에게 실점하며 1:2로 패하였다.
3. 리가 10라운드에서는 로트바이스 에센과 난타전을 벌여 3:3의 무승부를 거두었으며 다시 SV 베헨 비스바덴(11R)에 패하며 리그 6위까지 추락하였다.

12라운드에서는 이번 시즌 3. 리가로 승격한 하노버 96 리저브 팀에 승리하며 부진에서 벗어났으며 다시 VfL 오스나브뤼크(14라운드)에 승리를 거두었다.
전반기 후반부였던 16라운드 SV 잔트하우젠에는 4:2의 완승을 거두며 2위까지 도약하였다. 이번 시즌 전반기 초반 선두를 달리고 있는 팀은 이번 시즌 3. 리가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FC 에네르기 코트부스.

이어진 17라운드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와의 경기에서는 외미헨의 전반 18분 선취골과 다페르너의 추가 득점을 합하며 3:0의 완승을 거두고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전반기 2경기를 남겨두고 9승 5무 3패의 전적으로 승점 32점이며 중간 순위는 2위.

이어진 18라운드에서는 SV 발트호프 만하임에 2:1로 승리하며 연승을 달렸다. 전반기 마지막 경기였던 SpVgg 운터하힝과의 19라운드에서는 3:0의 완승을 거두며 다시 선두로 전반기를 마감하였다. 전반기의 성적은 11승 5무 3패승점 38점이며 38득점, 20실점으로 GD +18.

전반기 2위는 승점 37점(11승 4무 4패)을 기록하고 있는 승격 팀 FC 에네르기 코트부스이며 3위는 1. FC 자르브뤼켄(승점 32, 8승 8무 3패).
그 뒤를 4위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승점 31점, 8승 7무 4패), 5위 FC 잉골슈타트 04(승점 30, 8승 6무 5패)등이 추격하고 있다.

토마스 슈탐 감독이 이번 시즌 지휘봉을 잡은 디나모 드레스덴은 토니 멘첼, 요나스 외미헨 같은 어린 선수들이 좋은 활약을 펼쳤다. 다만 지난 시즌에도 전반기 1위를 기록하며 승격에 대한 기대가 있었으나 후반기 부진으로 4위에 그쳤기에 더욱 지켜봐야 할 일.

후반기 첫 경기였던 빅토리아 쾰른과의 경기에서는 후반 중반 VKÖ의 로빙거에게 실점하며 1:3까지 내몰렸으나 쿠치케가 후반 40분경 2:3의 추격골을 터트렸다. 그러나 결국 동점을 만드는데 실패하며 아쉬운 패배를 기록하였다. 결국 같은 라운드에서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 승리를 거둔 FC 에네르기 코트부스에 1위 자리를 넘겨주고 2위로 내려앉았다.

3. 리가 21라운드에서는 선두 경쟁 중이며 1위를 빼앗긴 FC 에네르기 코트부스와 경기를 가졌다.
전반을 무득점으로 마쳤으나 후반 14분 쿠치케의 선제 득점이 나오며 1:0으로 앞서 나갔으나 후반 40`, 코트부스의 틸레에게 실점하며 결국 1:1의 무승부로 경기가 마감되었다. 여전히 2위를 유지.

이어진 22라운드에서는 FC 에르츠게비르게에 2:1로 어렵게 승리하고 후반기 첫 승리를 올렸다.
그러나 원정 경기로 펼쳐진 23라운드에서는 VfB 슈투트가르트 리저브 팀에게 1:2로 패하며 쉽지 않은 후반기를 보내게 되었다. 승점은 답보 상태였으나 여전히 중간 순위는 에네르기 코스부트에 이은 2위.

24라운드에서는 TSV 1860 뮌헨에 5:2의 완승을 거두었으나 FC 한자 로스토크(25라운드)에 다시 패배를 기록하며 여전히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어 26라운드에서는 SC 페를에 3:0의 완승을 거두며 같은 라운드에서 VfL 오스나브뤼크에 패한 FC 에네르기 부트부스를 끌어내고 다시 1위 자리에 올랐다. 3위는 후반기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는 1. FC 자르브뤼켄.

27라운드에서는 알레마니아 아헨 원정에서 전반전 추가 시간에 나온 하우프트만의 득점을 지켜내며 1:0으로 승리하고 1위를 지켰다.
27라운드까지의 전적은 15승 6무 6패로 승점 51점이며 2위는 1. FC 자르브뤼켄(14승 8무 5페). 3위는 FC 에네르기 코스부트(14승 6무 7패, 승점 48점)이며 이 뒤를 4위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12승 7무 8패, 승점 43) 및 5위 FC 잉골슈타트 04(11승 9무 7패, 승점 42점)가 따르고 있다.

3. 리가 28라운드에서는 전반기 패배를 안겼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리저브 팀을 홈으로 불러들여 경기하였으나 무득점 무승부에 그쳤으며 로트바이스 에센과는 전반기에 이어 다시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이어 SV 베헨 비스바덴과의 30라운드에서는 2:0으로 승리하였고 다시 하노버 96 리저브 팀(31라운드)에 승리하며 선두를 지키고 있다. 그러나 후반기 무서운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는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가 추격하고 있으며 2위 1. FC 자르브뤼켄의 추격도 만만치 않은 상황.

32라운드, VfL 오스나브뤼크와의 홈 경기에서는 무득점 무승부가 예상되던 후반 42분 OSN 비만에게 실점하며 0:1로 패하며 선두 수성에 위협을 받게되었다. 그러나 34라운드에서는 순위 경쟁 중인 1. FC 자르브뤼켄 원정에 나서 4:1로 완승을 거두며 2. 분데스리가 승격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리그 4경기를 남겨두고 18승 9무 7패의 중간 전적으로 승점은 63점. 2위는 4연승을 달리며 드레스덴을 맹추격하고 있는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3. 리가 35라운드에서는 SV 잔트하우젠에 승리하였으며 이어진 2위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36라운드)와 무승부를 거두며 리그 선두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승점은 1점차로 빌페펠트가 추격하고 있다.

37라운드, SV 발트호프 만하임 원정에서는 전반을 득점 없이 마쳤으나 후반 16분 WAL의 옥팔라에게 실점하며 중요한 순간에 패배를 기록하였다. 같은 라운드에서 운터하힝에 승리한 빌레펠트에 선두를 내주었으며 2위로 내려섰던 경기.

한편, 37라운드까지 승점 67점을 확보한 드레스덴은 같은 라운드에 패배한 3위 1. FC 자르브뤼켄(승점 62) 및 4위 FC 에네르기 코트부스(승점 62)에 앞선 2위를 지키며 2. 분데스리가 승격을 확정지었다. 1경기를 남기고 자르브뤼켄과 에네르기 코트부스에 승점 5점차로 달아났기 때문.

3. 리가 마지막 경기였던 SpVgg 운터하힝과의 38라운드 홈 경기에서는 후반 15분 바우어의 선제 득점과 연이어 나온 레머, 카메크네히트의 득점으로 운터하힝을 3:0으로 완파하고 승점 70점째를 얻었다. 리그 최종 전적은 20승 10무 8패.

그러나 연이어 승리하며 끝내 드레스덴을 앞지른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 리그 선두를 넘겨주었으며 2. 분데스리가로의 승격에 만족해야했다.
결국 초반부터 리그 선두권을 형성하였으며 지난 시즌 후반기에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4위까지 추락했던 모습과 달리 일괄성있는 상위권을 유지하며 2021/22 시즌 이후 4년만에 2. 분데스리가로 돌아가게 되었다. 또한 페어반츠 포칼의 이른 탈락으로 DFB-포칼에 진출하지 못할 위기에 처했으나 승격을 이루었기에 다음 시즌에도 연방 포칼에서 경기할 수 있게되었다.
파일:SG Dynamo Dresden steigt in die 2. Bundesliga auf.png
다음은 3. 리가 2024/25 시즌 상위권 팀의 명단과 순위.
1위 =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21승 9무 8패 승점 72), GF 64 - GA 36, GD +28 = 우승 및 2. 분데스리가 승격
2위 = SG 디나모 드레스덴 (20승 10무 8패 승점 70), GF 71 - GA 40, GD +31 = 2. 분데스리가 승격
3위 = 1. FC 자르브뤼켄 (18승 11무 9패 승점 65), GF 59 - GA 47, GD +12 = 2. 분데스리가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4위 = FC 에네르기 코트부스 (18승 8무 12패 승점 62), GF 64 - GA 54, GD +10
5위 = FC 한자 로스토크 (18승 6무 14패 승점 60), GF 54 - GA 46, GD +8
6.4.3.2. DFB-포칼 & 작센 포칼
지난 시즌 작센포칼 우승팀의 자격으로 출전한 DFB-포칼 1라운드에서는 2.분데스리가 소속의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와 만났다.
전반 16분 크리스토퍼 다페르너의 선제 득점과 로빈 마이스너의 추가 득점에 힘입어 뒤셀도르프에 2:0의 승리를 거두고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2라운드 상대는 1라운드와 마찬가지로 2.분데스리가 소속의 SV 다름슈타트 98.
전후반 2:2의 동점 상태에서 돌입한 연장 전반 7분 린드버그에게 실점하며 아쉽게 2:3으로 패하며 이번 시즌 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지난 시즌 우승한 니더작센 포칼에서는 3라운드에 자동 진출하였으나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지구켐니처 FC를 만나 연장전까지 펼쳐진 접전 끝에 1:3으로 패하며 페어반츠 포칼을 마무리하였다.
페어반츠 포칼에서 탈락하였기에 리그의 성적으로 2. 분데스리가에 진출하지 못한다면 다음 시즌 DFB-포칼에 진출하지 못할 위기에 빠졌다.
6.4.3.2.1. 시즌 성적 요약
파일:3. 리가 로고.svg
3. 리가
2위, 2. 분데스리가 승격
38전 20승 10무 8패
(71득점 40실점, GD +31)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2라운드 탈락
2전 1승 1패
(4득점 3실점, GD +1)
작센 포칼
Landespokal Sachsen
3라운드 탈락
1전 1패
(1득점 3실점, GD -2)
합산 성적[PS/N] 승률 51.22%
41전 21승 10무 10패
(76득점 46실점, GD +30)

6.5. 2. 분데스리가 시기

6.5.1. 2025-26 시즌

지난 시즌 3. 리가에서 줄곧 상위권을 유지하며 2. 분데스리가 승격에 성공한 디나모 드레스덴. 비록 리그 우승은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 내주었다지만 좋은 경기력을 유지하였기에 전력 보강이 이루어지면 이번 시즌 2. 분데스리가에서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을 듯하다.

디나모 드레스덴은 여름 이적 시장에서 레프트백 필리프 하이즈가 네덜란드 VVV 펜로로 이적하였으며 서브 골리 필리프 뵘이 오스트리아 2. 리가 SC 아우스트리아 루스테나우로 이적하였다. 이외 센터백 데니스 두아를 FC 에네르기 코트부스로 임대하였으며 다른 수비 자원 폴 레만도 SC 페를로 임대를 떠났다. 이전 시즌과는 달리 큰 전력 유출은 없었기에 무난한 선수단의 방출이 이루어진 셈.

디나모 드레스덴은 지난 시즌 팀의 공격을 책임졌던 크리스토프 다페르너를 1. FC 뉘른베르크로 부터 완전 영입하며 공격력을 유지하였으며 수비형 미드필더 코피 아모아코를 VfL 볼프스부르크에서 영입하며 3선 강화에 나섰다.

이외 중앙 미드필더 루카 헤르만을 SC 파더보른 07에서 영입하였으며 FC 한자 로스토크에서는 공격형 미드필더 닐스 프롤링을 자유 계약으로 영입하였고 골리 레나르트 그릴을 1. FC 우니온 베를린에서 자유 영입하였다.

전력 유출이 크지 않은 상태에서 크리스토프 다페르너를 완전 영입하며 전력 유지에 성공한 드레스덴이 지난 2021/22 시즌 최악의 부진을 겪은 끝에 강등된 2. 분데스리가에서 이번 시즌 어떠한 모습을 보일지 기대와 걱정이 공존하는 시즌.
6.5.1.1. 2.분데스리가
SG 디나모 드레스덴 2025-26 2. 분데스리가
전반기
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FCM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S04
파일:SV 07 엘버스베르크 로고.svg
ELV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KSC
파일:SC 프로이센 뮌스터 로고.svg
PRM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파일:헤르타 BSC 로고.svg
BSC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구장 A H A H A H A H A H A H A H A H A
2 1
3 2
결과
승점 0 0
TD[Td] -1 -2
순위 11 15
후반기
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SGF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FCM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DSC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S04
파일:SV 07 엘버스베르크 로고.svg
ELV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H96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SVD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KSC
파일:SC 프로이센 뮌스터 로고.svg
PRM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SCP
파일:헤르타 BSC 로고.svg
BSC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FCN
파일:VfL 보훔 로고.svg
BOC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F95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FCK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EBS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KSV
구장 H A H A H A H A H A H A H A H A H
결과
승점
TD[Td]
순위

2021/22 시즌 이후 4년만에 다시 맞이하는 2. 분데스리가.

지난 시즌 부임한 이후 클럽의 2. 분데스리가 승격을 이끈 토마스 슈탐이 이끄는 디나모 드레스덴은 개막전에서 SpVgg 그로이터 퓌르트를 상대로 원정에 나섰다.
그러나 경기 시작하자마자 SGF 노엘 푸트케우에게 실점하였으며 펠릭스 클라우스에게 다시 실점하고 말았다. 곧바로 다페르너가 추격골을 기록하였으나 후반전 푸트케우에게 다시 실점하며 패색이 짙어졌다. 결국 선발 센터백으로 나선 클라우디오 카머크네히트가 다시 추격골을 성공시켰으나 2:3으로 패하며 시즌을 시작하였다.

이어 홈 개막전에서는 1. FC 마그데부르크엘프 클라시코를 가졌으나 FCM의 위고네에게 전반 27분 실점하며 어려운 상황에 빠졌고 다페르너가 전반 44분 동점골을 성공시켰으나 곧바로 다시 실점하며 1:2로 패하고 말았다. 지난 시즌 줄곧 3. 리가 상위권에 위치하며 승격을 확정지었다지만 여전히 2. 분데스리가에서는 불안한 전력을 기록하고 있는 클럽의 흐름.




6.5.1.2. DFB-포칼



6.5.1.2.1. 시즌 성적 요약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전 승 무 패
(득점 실점, GD )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득점 실점, GD )
합산 성적[PS/N] 승률 %
전 승 무 패
(득점 실점, GD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440, uuid=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2,
title2=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2=440, uuid2=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2=4,
title3=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3=440, uuid3=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3=4.1,
title4=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4=440, uuid4=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4=4.2,
title5=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5=440, uuid5=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5=4.3,
title6=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6=440, uuid6=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6=4.4,
title7=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7=440, uuid7=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7=5,
title8=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8=440, uuid8=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8=5.1,
title9=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9=440, uuid9=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9=5.1.1,
title10=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10=440, uuid10=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10=5.1.1.1,
title11=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11=440, uuid11=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11=5.1.1.2,
title12=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12=440, uuid12=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12=5.1.2,
title13=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13=440, uuid13=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13=5.1.2.1,
title14=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14=440, uuid14=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14=5.1.2.2,
title15=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15=440, uuid15=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15=5.2,
title16=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16=440, uuid16=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16=5.2.1,
title17=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17=440, uuid17=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17=5.2.1.1,
title18=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18=440, uuid18=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18=5.2.1.2,
title19=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19=440, uuid19=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19=5.3,
title20=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20=440, uuid20=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20=5.3.1,
title21=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21=440, uuid21=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21=5.3.1.1,
title22=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22=440, uuid22=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22=5.3.1.2,
title23=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23=440, uuid23=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23=5.4,
title24=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24=440, uuid24=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24=5.4.1,
title25=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25=440, uuid25=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25=5.4.1.1,
title26=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26=440, uuid26=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26=5.4.1.2,
title27=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27=440, uuid27=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27=5.4.3,
title28=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28=440, uuid28=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28=5.4.3.1,
title29=SG 디나모 드레스덴, version29=440, uuid29=2301ce6c-c571-4b38-838a-565d9a7abdc1, paragraph29=5.4.3.2)]
[1] 당시 독일은 연방 단위의 리그가 없었으며 지역 리그 상위권 클럽들이 연방 단위 토너먼트 리그인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에 진출한 다음 토너먼트 방식으로 독일 챔피언을 가렸다.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는 풀리그의 형태가 아닌 토너먼트 형식의 대회였으며 이후 분데스리가(서독) 또는 DDR 오버리가(동독)의 창설로 나뉘어 전국 단위(서독 또는 동독의 전국구 단위)의 1부 리그를 갖게 된다.[2] 1900~1932년 사이 쓰인 우승 트로피이며 하단에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팀이 우승 시즌과 함께 새겨져 있다.[3] 프리드리히슈타트(Friedrichstadt)는 드레스덴의 한 구역으로 엘베강을 끼고 있으며 드레스덴에서 비교적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이다. 자세한 내용은 프리드리히슈타트 위피피디아 참고.[4] 당시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이며 이후 아우토 우니온에 합병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우디의 역사데카베, 반더러 등 참고.[5] 철도기관인 도이체 라이히스반(Deutsche Reichsbahn)과 협력하며 구단명에 아예 독일어로 기차를 뜻하는 로코모티베를 집어넣어 1. FC 로코모티베 라이프치히라는 이름으로 클럽의 명칭을 바꾸었으며 당연히 도이체라이히스반의 지원을 받았다.[6] 타바크(tabak)의 어휘로도 볼 수 있듯 담배 관련 기업[7] 이후 바덴뷔르템베르크하이델베르크로 연고지 이전[8] polizei라는 어감에서 알 수 있듯 당연히 영어로는 police.[9] Volks는 사람(들), 국민, 대중, 인민 등 여러 가지 뉘앙스로 쓰인다. 독일의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인 폭스바겐도 이러한 맥락의 이름이며 자세한 내용은 폴크폭스바겐 참고.[10] 베른트 호프만 위키피디아 참고[11] 이후 1976/77 시즌1989/90 시즌에도 오버리가 우승과 FDGB-포칼 우승을 동시에 차지하며 더블을 3번을 기록하였다.[12] 여담으로 당시 아약스는 결승전에서 이탈리아의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를 꺽고 우승을 차지하였다.[13] 양 팀의 선수들을 이끌고 입장하는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딕시" 도르너(왼쪽) 한스-위르겐 되르너(딕시 되르너) 위키피디아 참고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루이스 페레이라(오른쪽) 루이스 페레이라 위키피디아 참고[14] 8강전에서 리버풀 FC에 패배[15] 8강전에서 FK 아우스트리아 빈에 패배[16] 안드레아스 바겐하우스 위키피디아 참고[17] 마리오 케른 위키피디아 참고[18] Nordostdeutscher Fußballverband-Oberliga. (직역하면 북동부 독일 오버리그 정도의 의미.)[19] 당시 분데스리가는 승리 시 승점 2점, 무승부 시 승점 1점을 획득.[20] 영어로 Regional league. 지역 리그[21] 이전 동독 DDR 오버리가 시절의 리그 관할 구역과 유사하다.[22] 레기오날리가의 개편(4지구에서 2지구로 변경)[23] 해당시즌 우승팀이었다.[24] 해당시즌 우승팀이었다.[25] 해당시즌 우승팀이었다.[26] 해당시즌 우승팀이었다.[27] 해당시즌 우승팀이다.[28] 관중 난동으로 몰수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37] 약 3,200명[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41] 전반기의 순위표를 기준으로 6위 VfL 오스나브뤼크15위 카를스루어 SC가 불과 승점 6점 차이다.[42] 직전 경기에서 승격 도전중인 함부르크를 3:0으로 이긴 바 있다.[43] 시몬 마키노크외 익명의 1명[44] 승부차기 경기는 무승부 처리.[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49] 2021년 7월 1일, 1. FC 우니온 베를린이 율리우스 키데를 다시 영입하였으나 20일 후에 디나모 드레스덴이 같은 금액(50만 유로)에 재영입하였다. 1999년생의 젊은 중앙 미드필더 자원이기에 출전을 위해서 2. 분데스리가를 택했을 가능성이 있는 편.[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52] 현재로써는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가 유력[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57] 순연 경기[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60] 승부차기 경기는 무승부 처리.[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