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화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 |||
곡사포 | <colbgcolor=#fefefe,#191919>122mm M1909/37 곡사포, M-30, M-10, ML-20, D-1, B-4, Br-5 | |||
박격포 | RM-38,RM-41, BM-37,BM-41, 152mm NM(M1931), 107mm M1938, 120mm M1938, 160mm M-1943 | |||
평사포 | ZiS-3, F-22, M1927, M1943(OB-25), BS-3, A-19/19S, M1910, M1910/30, Br-2 | |||
대전차포 | 37mm 1-K, 53-K, M-42, ZiS-2, F-22, ZiS-3, D-10S, BS-3, M-60, M-75 | |||
전차포 | ZiS-4, L-11, F-32, F-34, ZiS-5, D-5T, ZiS-S-53, D-10T, D-25T/25S | |||
대공포 | 25mm 72-K, 37mm 61-K, 45mm 21-K, 76.2mm 3-K, 76.2mm 8-K, 76mm M1938, 52-K, KS-12 | |||
주요 화포 구경 | 76mm, 85mm, 100mm, 107mm, 122mm, 130mm, 152m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화포 | }}} }}}}}} |
화포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 연합군 | 미국 | 영국 | 소련 | 프랑스 |
추축군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
냉전 | 소련 | ||
현대전 | 미국 | }}}}}}}}} |
1. 개요
러시아 제국 시절부터 냉전기 소련을 비롯한 현 러시아와 동구권 국가의 주력 화포의 구경. 곡사포와 평사포,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설계된 전차포의 구경으로도 활용됐으며, 이런 대포와 별개로 다연장로켓의 구경이도 하다.흔히 A-19 평사포를 보고 곡사포로 잘못 분류하는 경우들도 있는데, 소련제 122mm 구경의 곡사포와 평사포는 구경만 같을 뿐 서로의 포탄이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따로 기술한다.[1]
일례로 전간기에 개발된 122mm A-19 평사포(122mm A-19 군단포)는 전간기부터 2차대전 종전까지 소련군의 주력 평사포로 당시로써는 먼 20km 거리까지 강력한 화력의 투사가 가능해 대포병전에서 활약했다. 또한, A-19는 연사력이나 직사 명중률이 동시기 85mm 52-K 대공포나 100mm BS-3 야포[2]에 비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대전차전에 투입되기도 했는데, 고폭탄만으로도 2km 거리에서 판터 측면의 관통이 가능[3]하며 철갑탄을 사용하면 유효 사거리 이내에서 적 중전차 정면도 관통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위력적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2차대전기에 A-19를 기반으로 개발한 D-25T 전차포는 IS-2 중전차의 주포로 탑재되어 활약했다.
현재 러시아와 동구권 국가에서도 운용 중이다. 그러나 화력면에선 한 단계 위인 152mm 곡사포가 현재까지 러시아군의 주력 곡사포 구경으로 제 자리를 지키고 있고, 125mm 활강포의 등장으로 인해 122mm 곡사포가 설 자리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그나마도 러시아군에서 아직 퇴역하지 않은 2S1 자주포와 122mm 곡사포로 인해 퇴역하지 않고 있다. 소련에서도 해체되기 전까지 다연장포를 제외하면 자주포에서도 ISU-122와 SU-122-44, SU-122-54, 2S1 그보즈디카를 끝으로 더 이상 주포로 채택하지 않았다. 또한, A-19 평사포 시절부터 내려오던 분리장약식 포탄을 일체형식 포탄으로 변경할 시도가 있었으나 취소되었다. 결국에는 소련의 최후의 중전차인 T-10M과 2S1 그보즈디카 자주포도 분리장약식 포탄의 긴 장전속도를 대체하기 위해 자동장전기를 설치해야 했다. 또한, 탄두와 약협 역시 엄청난 크기를 자랑했기에 적재 가능한 포탄의 수가 매우 적을 수밖에 없었다.
2. 곡사포
예포, 오포(시보장치), 불꽃놀이용 포로 사용되는 122 x 447mm .R D-30(2A18) 곡사포. 위 이미지는 불꽃놀이 발사용으로 쓰는 중이다.#출처
- 재정기
- 122mm M1904
- 122mm M1909
- 122mm M1910
- 전간기
- 122mm M1909/37
- 122mm M1910/30
- 122mm M-30 곡사포
- 122mm M-30S
- 122mm U-11
- 122mm D-6
- 냉전기
- 122mm D-30(2A18)
- 122mm D-30A(2A18M)
- 122mm D-30M(2A18M-1)
- 122mm D-32(2A31)
- 122mm 2A32
- 122mm D-16
- 122mm D-16M
3. 평사포
3.1. A-19 계열
항목 참조.3.2. D-74
4. 전차포
4.1. D-2/M-5
4.2. D-25T
2차대전기에 A-19 평사포를 기반으로 개발 되었으며, 소련군이 운용한 IS-2, IS-3, IS-4, T-10(B까지) 중전차의 주포로 쓰였다. 항목 참조.자주포에 탑재된 대전차포 버전인 D-25S가 있다.
4.3. BL(고속포) 계열
- 122mm BL-9(OBM-50)
- 122mm BL-13
4.4. D-30T
IS-6 프로토타입 중전차의 주포. 위의 D-25T와 100mm D-10T의 설계들을 연장한 D-25T 마운트에 조합하고 배연기와 2스프링 안정장치를 적용한 주포다.4.5. D-49
SU-122-54 자주포의 주포. D-25T에 배연기와 수직 안정기가 추가된 개량형인 D-25TA를 기반으로 한다.4.6. M-62T2
122mm M-62 기반으로 T-10M 중전차의 주포.4.7. 2A27(D-83)
125mm 구경 2A26(D-81) 활강포에 대응되는 비슷한 사양의 고속 강선포다. 100mm D-54 전차포를 기반으로 포탄의 탄피 크기를 줄이는 대신 강선을 없애고 구경을 키운 115mm 2A20(U-5TS) 활강포와 달리 처음부터 만들었고, 분리장약식 포탄용 자동 장전 장치를 2A26과 공유하도록 개발된 포다.소련은 T-62에서 활강포의 위력을 체감했음에도 아직 신뢰성에 의문이 있었기 때문에 2A26의 실패를 대비하여 만든 자매포이다. 2A26이 훨신 우월한 성능을 보여주어서 소련 최초의 주력전차인 T-64A에 탑재되고 D-83은 채용되지 않았다.
5. 다연장로켓
- 122mm 9K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