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청자를 사로잡는 짤막한 음악 구절'을 뜻하는 대중 음악 용어 'hook'와 'song'이 결합된 한국에서 만들어진 신조어. 노래에 중독성이 있다는 의미로 'An earworm into my head' 라는 표현이 있다. 노래가 너무 중독적이라 꼭 머리속에 애벌레가 기어다니는 느낌으로 붙여졌다고 한다. 대놓고 말해서 어떤 멜로디나 파트를 세뇌시키는 의도로 만드는 노래다. 이것이 후크송의 가장 큰 강점이자 약점으로, 음악의 전체적인 구성과 다채로움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겐 싫을 수밖에 없는 장르. 다채로움의 부족은 어쩔 수 없는 게, 강조하고 반복하고 세뇌하려는 파트 이외의 파트가 인상 깊으면 한 파트를 강조하는 곡의 의도가 실패하기 때문이다.200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한국 아이돌 음악에 큰 영향을 미친 장르로, 한국인들 상당수가 좀비처럼 한 마디의 멜로디와 가사만 중얼대며 다녔다는 실화가 있다. 대표적인 곡으로는 역시 원더걸스의 Tell Me와 소녀시대의 Gee.
상술하였듯 Hook이라는 단어는 '청자를 사로잡는 짤막한 음악 구절'로 특정한 가사의 반복[1]이나 강렬한 연주부분[2]등 그 형식을 가리지 않고, 애초부터 장르를 가리지 않고 쓰이던 말이다.
청자에게 강렬함을 준다는 특성상 POP음악과 의외로 록 음악[3]에서 주로 쓰이는 작법이다. 실제로 초창기의 로큰롤이나 팝 블루스, 심지어 소울의 명곡중에는 Hook를 남발하는 경우가 많고 아래의 비판들과 정확히 같은 비판들[4]을 받아왔다는 것이 재미있는 점.[5]
이전부터 있던 용어지만 Hook이라는 단어를 알리는 데 공헌한 것[6]은 힙합으로, 힙합에서는 가사 - Hook - 가사 - Hook - 가사(혹은 Bridge 라고 해서 Hook 을 약간 변형하거나 1~2 구절이 반복되는 가사) - Hook 같은 형태로 가게 되었다. 이 원래 Hook은 힙합의 초창기에는 단순히 쉬어가는 부분이었으나(아주 초창기에는 B-boy들이 춤을 추는 부분이거나 DJ들이 주로 DJing을 하는 부분이었다.)힙합이 녹음되기 시작한 이후 곡의 주 메시지를 축약하는 형태로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단순한 랩으로 계속된 곡보다는 아무래도 Hook 부분에 보컬을 넣는 것이 듣기에도 좋았기 때문에, Hook에 보컬을 넣게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후 이 부분을 거의 Chorus라고 부르게 되었다) 혹은 Hook을 아예 2번 해서 한번은 랩 부분, 한번은 보컬 부분으로 하는 부분까지 가게 된다.
힙합이 미국 대중음악의 위치를 차지하게 되면서 같은 흑인음악인 R&B와의 결합도 강하게 되는데, 힙합임에도 R&B 보컬 방식을 채용한다든가, 아니면 아예 힙합비트에 R&B를 부른다거나 하는 식으로 점점 R&B에서도 이러한 단순 반복 구성이 지속된다. (알 켈리의 Imma flirt나 어셔의 Yeah가 대표적) 여기에 전자음이 대세가 되기 시작하면서 신디사이저의 전자음을 이용한 반복성 음악이 나오게 되는데 이 것이 한국에서는 한국 대중음악과 결합, 소위 후크송이 되었다.
즉 한국에서는 '단순 반복적으로 들리는 멜로디라인과 역시 반복되는 후렴구' 등으로 구성된 곡들을 뜻하며, 곡의 작법중 하나이지만 한국에서 유난히 많았기 때문에 후크송이라는 아예 새로운 장르로 취급되고 있다. 물론 출신이 엄연히 흑인 음악 쪽에서 내려왔기 때문에 YG엔터테인먼트나 JYP가 이쪽 분야에 강하다. SM엔터테인먼트도 외부 작곡가의 곡을 산다든가 (Gee) 아니면 유영진의 변신 (Sorry, Sorry) 으로 어느 정도 내놓는 편.
'한마디로 후렴구가 곡의 비중에서 무지막지하게 높은 노래' 라고 정의할 수 있다.
풀어서 정의하면 후렴구(Chorus) 안에 청자의 각인을 유도하는 반복적인 구절(Hook)이 핵심적 요소가 되는 형태의 곡이라고 볼 수 있다.
후크송의 기준은 매우 모호하다. 후렴구가 있는 모든 노래를 후크송에 포함시키면 애국가도 후크송이 되며, 특정 부분이 많이 반복되는 노래만 후크송이라고 정의하면 후크송의 범주가 굉장히 좁아진다.
또 하나의 예로 러블리즈의 Ah-Choo는 후렴구에 Hook 요소가 있지만 곡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아 후크송으로 보기 어려우며 모모랜드의 뿜뿜은 곡 전체의 리듬과 후렴구 전체 비중이 Hook 요소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후크송으로 볼 수 있다.
정리하자면, 대개 최근의 주류 가요들에서 흔히 보이는 '주입적인 중독성'[7]이 발견되느냐의 여부가 후크송이냐를 가르지, 강렬한 후렴구의 존재 여부만을 가지고 후크성 여부는 따지지 않는다. 강렬한 후렴구가 반복되는 것은 오히려 락에 가깝다.
한편 후크송이 장기적으로 득세하면서 노래 가사에 별 의미조차 없이 '후크만 있는' 곡도 등장하고 있고, 이 때문에 가사는 초현실주의를 연상케 하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제국의아이들의 'Mazeltov'나 티아라의 'yayaya' 등이 '알아들을 수 없는 노래'로 비판받은 대표적인 예. 때문에 버스커버스커의 곡이 노인들 사이에서 히트를 치는 계기가 되었다.[8]
사실 후크송이 가장 단단한 쪽은 미국이다. 미국 빌보드의 상위권을 잊을만하면 차지하는 강남스타일이나, Silento-Watch Me,Harlem Shake같은 후크송은 미국의 파티문화와 연결되어있는 전형적인 파티음악이다. 곡의 가사를 자세히 감상하면서 듣기보단 클럽, 파티장소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신나는 노래를 틀어놓고 즐기는걸 좋아하는 미국인들의 특성과 연결되는 것.
단순한 주요 멜로디가 반복되는 중독성 있는 곡이 후크송이라고 할때, 그 후크송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미국의 재즈 조상 래그타임 음악 중에 12th street rag 가 가장 대표적인 후크송의 조상격 노래라고 할 수 있다. Euday L. Bowman 가 작곡 했으며 주요 멜로디를 3가지 음의 반복만으로 작곡 한것으로 유명했는데, 그가 작곡한 시기 당시에는 그가 만든 음악 악보를 팔러 음악출판사에게 찾아갔지만, 이렇게 단순하고 반복적인 음악은 발행 가치가 없는 음악이라고 평가 받고 10$ 를 제시 받았다. 하지만 결국 나중에는 엄청나게 유행한 노래가 되어서 스탠다드 넘버가 되어버렸다.
2. 특징
성공한 후크송이 되려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세련된 리듬/비트의 반복
후크송 최대의 관건이다.[9] 아이돌 음악은 세련미가 가장 중요하므로 뽕끼가 느껴지지 않게 해야 한다. 최근 가장 성공한 후크송으로 꼽히는 원더걸스의 "Tell me"나 티아라의 "Bo Peep Bo Peep" 등이 가장 탁월하게 리듬을 사용한 예로 볼 수 있다. 말고도 소녀시대의 Gee도 있다. 반면 카라의 Wanna[10]는 정말 악착같이 따라부르기 쉬운 후렴구를 반복했는데도 불구하고 너무 정신없는 리듬감 때문에[11] 큰 호평을 받지는 못했다.
- 따라 부르기 쉬운 반복부분의 멜로디와 가사
손담비의 "미쳤어"가 가장 대표적이다. 어쨌든 미쳤어 한 마디만 기억하면 노래 전체를 웬만큼 따라 부를 수 있으니까. 후크송의 끝을 보여 준 샤이니의 "Ring Ding Dong"이 링딩돋네 따위로 변형되어 유행한 것처럼, 멜로디와 가사가 결합되어 독특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면 더욱 좋다.
- 곡 전체의 간결함
무엇보다도 멜로디 라인 또한 지나치게 꾸밈이 많거나 variation이 풍부해서는 안 된다. 극단적인 예로는 긱스의 "짝사랑"이나 원더걸스의 "So hot"과 같이 곡 전체를 단 한 가지 동기(motive)만으로 구성하는 경우까지 있다.
- 짧은 곡 길이
최소한 4분을 넘지 말아야 한다. 장르 특성상 반복적인 음색이 많다보니 곡이 너무 길어지면 지겹게 된다. 김동률이나 이승환처럼 거대한 스케일과 화려한 편곡으로 밀어붙이면서 풍부한 멜로디와 화성을 보여 줄 수 있는 경우가 아닌 이상 길이가 긴 후크송은 듣다보면 지루해진다는 단점이 생긴다.
3. 쇠퇴
2010년대 중후반 기준부터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 음악 스타일. 2010년대 초반까진 전성기이나 중반부터 쇠퇴했으며, 시간이 꽤 흐른 2020년대 입장에서는 후크송은 다소 촌스럽거나 트로트적인 느낌(속칭 '뽕끼')이 난다고 여겨지기도 하며[12], 후크송보다는 힙합과 EDM 느낌의 세련된 노래들이 더 호응이 좋기 때문이다. 물론 후크송이더라도 작사/작곡을 잘 하면 세련된 느낌을 낼 수 있으므로 2020년대 현재에도 수많은 후크송들이 나오고 있지만, 그래도 과거보다는 확연히 그 수가 줄어들고 후크의 비중도 훨씬 줄어든 것[13]은 사실이다.지금 인기있는, 즉 음악 순위에서 상위권에 있는 댄스곡들은 대부분 신인 아이돌들이 내놓은 오리지널 앨범이라기보다는 방탄소년단, EXO, 몬스타엑스, TWICE, 싸이 등 이미 인지도가 높은 가수들의 노래와 프로듀스 101 등의 예능 프로그램으로 화제성을 띤 노래들이다. 원더걸스와 소녀시대, BIGBANG의 성공은 이전에 그 팀이 그정도의 성공을 이뤄낸 적이 없었기 때문에 더 후크의 시대를 표면화시켰지만 지금은 성공한 가수들이 또 성공하는 구조라서 후크의 시대가 유지된다기보다는 인기 아이돌의 고정적인 인기 덕분에 후크송의 명맥이 이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대표적인 후크송
- 걸스데이 '반짝반짝', '한번만 안아줘', '너! 한눈 팔지마', 'Oh! My God', '기대해', 'Darling', 'Ring My Bell'
- 골든차일드 '담다디', '너라고 (It's U)', 'LET ME', 'Pump It Up'
- 나르샤 '삐리빠빠'
- 남녀공학 '삐리뽐 빼리뽐'
- 뉴이스트 'Shadow' ' I'm In Trouble', 'dejavu', 'LOVE ME', 'I'm in Trouble'
- 달샤벳 'Supa Dupa Diva', 'Bling Bling', 'Mr. Bang Bang', 'Hit U'
- 라붐 '상상더하기'
- 러블리즈 'Ah-Choo', 'WoW!', 'Obliviate'
- Red Velvet 'Dumb Dumb', 'Rookie', '빨간 맛', 'Power Up'
- 레이디 가가 Poker Face, Bad Romance, Judas, The Edgy Of Glory, Applause
- 레이디스 코드 '예뻐 예뻐'
- 레인보우 'A', 'Mach', 'To Me (내게로..)', 'Tell Me Tell Me', 'SUNSHINE', 'Whoo'
- 로켓펀치 '빔밤붐 (BIM BAM BUM)', 'JUICY'
- 마마무 '음오아예', '나로 말할 것 같으면', '고고베베 (gogobebe)'
- 화사 '멍청이', '마리아 (Maria)'
- 모모랜드 '뿜뿜', 'BAAM', ‘I’m So Hot’
- 몬스타엑스 'DRAMARAMA', 'Shoot Out', 'Love Killa', 'Alligator', 'Fantasia'
- 바다 'Mad'
- 박명수 '탈랄라'
- 방탄소년단 '피 땀 눈물' 'DNA' 'IDOL' 'ON'
- 배슬기 '지겨워'
- 배드키즈 '귓방망이', '바밤바', '귓방망이2'
- 비 'Rainism', 'La Song', '깡'
- 비스트 'Bad Girl', 'Mystery', 'Shock', '숨', 'Fiction', 'Shadow', 'beautiful'
- 브라운아이드걸스 '어쩌다', 'My Style', 'L.O.V.E', 'Abracadabra', 'Sign'
- 브레이브걸스 '롤린 (Rollin')'
- 빅뱅 '거짓말'[14], '마지막 인사', '하루하루', ‘뱅뱅뱅’, 'FANTASTIC BABY'
- 빅뱅&2NE1 'Lolipop'
- 샤이니 'Ring Ding Dong', 'LUCIFER',’Amigo’
- 선미 ‘날라리’, 'Noir', '보라빛 밤', 'When We Disco', '사이렌', '꼬리'
- 세븐틴 '만세', '예쁘다', '아주 Nice', '울고 싶지 않아, 박수', 'Home', 'Left & Right'
- 소녀시대 'Gee'[15], '소원을 말해봐', 'Oh!', '훗', 'I GOT A BOY', PARTY' , 'Holiday'
- 소녀시대-태티서 - 'Twinkle', 'Holler'
- 태연 - I
- 테일러 스위프트 'Shake It Off',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I Knew You Were Trouble'
- 손담비 '미쳤어', '토요일밤에', 'AMOLED', 'Queen'
- 슈퍼주니어 'Sorry, Sorry', '미인아 (BONAMANA)' , 'Mr. Simple' , '로꾸거!!!', 'Black Suit'
- 시크릿 'Magic', 'Madonna', 'Shy Boy', '사랑은 Move', 'TALK THAT', 'YooHoo', 'I Do I Do'
- 싸이 '강남스타일' 'GENTLEMAN'
- 써니힐 'Midnight Circus', '베짱이 찬가'
- 씨스타 'Push Push', 'So Cool', ‘Touch My Body’
- 아이비 'Touch Me', 'I Dance'
- 아이유 'Boo', '마쉬멜로우'
- 애프터 쉐이빙 '영계백숙'
- 애프터스쿨 'AH', 'Diva', '너 때문에'
- EVERGLOW 'DUN DUN', 'LA DI DA'
- 여자친구 '오늘부터 우리는 (Me gustas tu)', '너 그리고 나'
- 오마이걸 'CUPID', 'Closer', 'Liar Liar'
- 원더걸스 'Tell Me'[16] 'So Hot', 'Nobody'
- 위아더나잇 - 티라미수 케이크
- 유빈 '향수'
- 유키스 '만만하니', '빙글빙글', '시끄러'
윤민석 '대한민국 헌법 제1조' (2004)- 이정현 '바꿔' (1999), '반' (2001)
- 인크레더블 '오빠차'
- 인피니트 '내꺼하자', '다시 돌아와', 'Back' , 'Bad', 'Destiny', '태풍', 'BTD', '남자가 사랑할 때'
- 제국의아이들 'Mazeltov', 'Here I Am'
- 쥬얼리 'One More Time', 'Look at me'
- G-DRAGON 'Heartbreaker', ‘크레용’, '삐딱하게', '개소리'
- 카라 'Rock U', 'Pretty Girl' 'Honey', 'Wanna', '미스터', '점핑 (Jumping)', 'STEP'
- 크레용팝 '빠빠빠', '꾸리스마스', '어이', 'Saturday Night'
- 태군 'Call Me'
- TWICE 'CHEER UP' , 'TT', 'KNOCK KNOCK', 'LIKEY', 'CRY FOR ME', 'YES or YES', 'Feel Special', 'MORE & MORE'
- 티아라 'Bo peep bo peep', 'yayaya', 'Roly-Poly', 'Lovey-Dovey', ‘Sexy Love’ '넘버나인', 'Sugar Free'
- 포미닛 'Hot Issue', ‘Muzik’, '거울아 거울아', '이름이 뭐에요', '오늘 뭐해'
- 프로듀스 101 'PICK ME', '나야 나 (PICK ME)', '열어줘', '내꺼야 (PICK ME)', '_지마 (X1-MA)'
- 해이 '최고의 순간'
- 현아 'Change', 'Bubble Pop', 'Lip & Hip', ‘베베’, 'I'm Not Cool'
- 현영 '누나의 꿈'
- (여자)아이들 - ‘LATATA’, ‘Senorita’, ‘LION’, ‘덤디덤디(DUMDi DUMDi)’, ‘︎퀸카(Queencard)’︎
- 2PM 'Again & Again', 'Heartbeat', 'Hands Up', "I'll be Back'
- 2NE1 ‘Fire’, 'I Don't Care', '난 바빠', ‘내가 제일 잘 나가’, 'I Love You'
- Apink 'My My', 'HUSH', 'NoNoNo', 'Mr. Chu', '1도 없어', 'LUV', '%%(응응)', ‘덤더럼’
- 보아 'Eat You Up', 'No.1', 'Hurricane Venus', ‘ONE SHOT, TWO SHOT’, 'Woman', 'Valenti'
- Double S 301 'U R Man' , 'Unlock', '경고'
전설 - EXID ‘WHOZ THAT GIRL’, 'I Feel Good', '위아래', 'Ah Yeah', 'HOT PINK', ‘덜덜덜’, ‘알러뷰’, ‘ME&YOU’
- EXO '으르렁 (Growl)', ‘Power’, ‘Tempo’
- f(x) 'NU ABO', 'Hot Summer', 'Electric Shock'
- miss A 'Bad Girl Good Girl', 'Good-bye baby' , 'Touch', 'Hush'
- NCT DREAM - ‘BOOM’
- Imagine Dragons 'Thunder'
- 아이오아이 'Dream Girls', ‘Whatta Man’, '너무너무너무',
- ITZY 'Not Shy', 'LOCO'
- IZ*ONE '라비앙로즈 (La Vie en Rose)' 'O! My', '비올레타', 'Airplane', 'FIESTA', 'SPACESHIP', '환상동화 (Secret Story of the Swan)', 'Pretty', 'Panorama'
- French Affair 'Sexy'
의외로 2000년대 초반과 1980~1990년대 옛날 노래들에도 후크송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자면
- 양하영 '가슴앓이' (1984)
- 이상은 '담다디' (1988)
- 육각수 '흥보가 기가막혀' (1995)
- 클론 '쿵따리 샤바라' (1996)
- 홍서범 '김삿갓' (1989)
- S#ARP 'Tell Me Tell Me' (1999)
- 디바 '왜불러' (1998), 'Up and down' (2000)
- 베이비복스 'Get Up' (1999), '우연' (2002)
- 룰라의 '날개잃은 천사' (1995)
- 엄정화의 '몰라' (1999)
- 코요태의 '순정' (1998)
- 김현정의 '멍' (2000)
- 유승준의 '나나나' (1998), '찾길 바래' (2000)
등이 그런 유형. 반복되는 브릿지가 상당히 짧거나(ex: 사바 사바, 다 돌려놔) 후렴이 아닌 반주 부분에 후크가 들어있는 노래(ex: 런투유, 순정, 나나나)들이 많았다. 고로 후크송은 3~4분 안에 모든 것을 표현해야 했던 대중 가요, 특히 퍼포먼스 위주의 댄스곡에 많이 집중되어 있었다. 80년대 유행했던 서양의 디스코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정도.
5. 이외
- Chocolate Rain
대다수 광동어 노래(Cantopop)들[17]- 고추참치(노래)
- 노루바나
- 돈키호테 테마송[18]
- 산와머니 CM송
- 삼성증권 CM송[19]
- 아웃백 CM송
- 요요기제미날의 CM송[20]
- QR송(분카방송의 로고송)
- 체고의 포수 신경현
- 빅 카메라 테마송[21]
- 코레일 로고송 '국민의 철도 코레일'[22]
- 오로나민C CM송
- 빅맥 CM송
- 연두 CM송
- 썬연료 CM송
- 홈플러스 CM송
- 헌법 제1조
- 시원스쿨 CM송
- 맥포머스 CM송(대한민국 한정)
- 1577-1577 대리운전 CM송 - 산와머니와 더불어 나름 10년 넘은 장수 후크CM송이다.
- 배칠수의 39000 꽃배달
- 서울사이버대학교 CM송
- 명륜진사갈비 CM송
- 이마트 CM송
-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CM송
- G마켓 하드캐리 CM송
- 다 해줬잖아, 쌀숭이, 바로 리부트 정상화 등 일부 창팝
6. 후크송을 주로 작곡하는 작곡가
7. 관련 문서
[1] 제임스 브라운의 Get up, 마이클 잭슨의 Beat it[2] 비틀즈의 Day tripper[3] 간단히 말하면 반복되는 강렬한 기타리프가 바로 Hook이다.[4] 알아들을 수 없는 가사, Hook부분 외의 조잡한 구성.[5] 심지어 제임스 브라운도 Get up을 발매할 당시에도 호불호가 엄청 갈렸다고 한다.[6] 대신 힙합의 경우 hook과 chorus가 거의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힙합에서의 hook과 대중음악에서의 hook은 다소 다르다.[7] 멜로디가 좋고 나쁘냐를 떠나 보통 짧고 반복적인 멜로디를 반복적으로 청취하면 좋게 들린다. 실제 대부분 후크 송의 구성을 보면 곡 전반적으로 후렴구가 3~4회 반복되며, 심한 경우 5번까지도 반복된다. 그 와중에 똑같은 멜로디가 몇 번이나 나오겠는가?[8] 노인들은 대체로 후크송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버스커버스커의 대퓨곡 중 '꽃송이가'와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 네 샴푸향이 느껴진거야'는 후크송에 가깝다.[9] 사실 후크송뿐만 아니라 모든 음악에서 좋은 리듬은 기본적인 조건이라고 하는 편이 맞다. 베토벤이 그토록 위대한 작곡가로 꼽히는 가장 큰 이유가 탁월한 리듬감각 때문이다. 다만 후크송은 그 정도가 유난히 심한 것.[10] 후속곡인 미스터가 이 노래보다 훨씬 대중적으로 성공했다.[11] 필요 이상으로 곡의 속도를 올려버렸다.[12] 2세대 아이돌인 티아라는 트로트 감성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 시대가 바뀌어 대부분의 대중들이 세련된 노래를 선호하므로 아이돌 노래에 트로트 느낌이 있으면 인기를 끌기 매우 어렵다. 그래도 2010년대 중반이나 후반까지는 유행에 뒤쳐지긴 하나 그 당시 기준으로는 촌스럽다는 느낌이 적었고, 세련된 후크송도 있어서 그때까진 후크송이 상당수 나오긴 했다.[13] 과거의 후크송은 롤리폴리처럼 후렴구가 매우 많이 반복되는 곡들이 많았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의 최근의 후크송은 그 정도로 반복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14] 2000년대 중후반 한국 가요계에 후크송 열풍의 시작을 알린 곡. 이래봬도 Tell Me보다 먼저 나온 곡이다.[15] <Tell Me>와 더불어, 걸그룹계의 판도를 이끈 주역곡으로 꼽힌다.[16] 빅뱅이 2000년대 중후반 한국 가요계에 후크송 열풍의 시작을 알린 곡이라면, 이 곡은 후크송 열풍의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원더걸스는 'Tell Me' 한 곡으로 2007년 이전까지 소몰이창법이 장악하고 있던 가요계에 엄청난 충격을 안겨주면서 걸그룹과 후크송의 시대를 개막했다.[17] 광동어로 만들어진 노래들은 광동어의 센 억양 등 여러가지 특성상 웬만한 노래들은 중독성이 강하다.(대표적으로 불사전설) 대륙에서 제재를 가할 정도로… 그리고 가사 반복의 노래들도 꽤 있다. 특히 영화, 드라마 OST를 중심으로. 다만 한국의 후크송과 다른 것이 여기는 전자음을 많이 안 넣는다. 물론 가창력이 딸리는 가수는 전자음을 넣지만[18] 후렴구의 '돈 돈 돈 돈키 돈키 호테!'가 밑에 언급된 빅 카메라 이상의 중독성을 자랑한다. 이후에 나오는 추임새인 'ジャングルだ (정글이다)'도 찰진건 덤.[19] 〈시작을 시작해: 종합편〉[20] 일본 대학서열을 가사로 후크송을 만들었다. 항목 참조.[21] 가게에서 질리도록 테마송의 후렴구인 '비~~~쿠 비쿠 비쿠 카메라!'를 듣게된다. 실제로 한번만 방문해도 이 후렴구가 귀에 박혀있을 정도로 계속 나온다(...). 동쪽에 세이부, 서쪽에 도부라는 고증은 덤.[22] 정기승차권이라든가 내일로 등 철도를 자주 이용하게 된다면 역사 내, 승강장, 열차 안에서까지 마르고 닳도록 나오니 외우지 않을 수가 없다. 실제로 내일로를 다니는 사람들이 승강장에서 저 방송이 나올 때 따라 부르기도 한다. 더 무서운 것은 위의 네 가지 조건을 대부분 만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