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5 08:24:24

호위함/국가별 보유 수량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호위함
각국의 등급별 전투수상함 보유 수량
고속정, 초계정/국가별 보유 수량 초계함/국가별 보유 수량 호위함/국가별 보유 수량 구축함/국가별 보유 수량 순양함/국가별 보유 수량
파일:CNjkLV2.jpg 파일:Admiral Gorshkov Class Frigate-2.jpg
미국 해군의 녹스급 호위함과 브룩급 호위함[1] 러시아 해군의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

1. 개요2. 세계의 호위함 건조 경향
2.1. 4,000톤급과 2,000톤급 하이로우 믹스 전략2.2. 3,000톤급 통합 전투함2.3. 5,000톤급 이상 주력 전투함: 서유럽의 이지스급, 준 이지스
3. 2008년 이후 건조4. 요약(지역별 호위함 보유 수량)5. 국가별 호위함 보유 수량6. 외부 링크7. 관련 문서

1. 개요

호위함을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중국이다. 모두 44척을 보유하고 있는데 대부분 만재 4,000톤 ~ 2,000톤 사이의 배수량을 유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2014년 기준 해군력 교체를 서두르는 러시아와 비슷한 양상이다. 러시아는 우선 스테레구시급(약 2,000톤: 초계함),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4,050 톤: 호위함)으로 주력 수상함을 2단계로 나누어 배치하고 있다. 구형의 지앙후급(Type 053) 같은 경우 급속히 퇴역 중이다. 중국은 1,400톤급의 초계함을 별도로 30여척 건조 중으로 러시아와 차별화 된 모습을 보여준다. 2018년 기준으로 운용하는 호위함 중 가장 많이 생산된 호위함은 중국의 장카이급 II(054A형 호위함)이다.

2. 세계의 호위함 건조 경향

2.1. 4,000톤급과 2,000톤급 하이로우 믹스 전략

유럽의 주력 전투함을 제외하면 초계함을 포함하여 4,000톤급의 호위함과 2,000톤급의 호위함 또는 초계함을 건조하는 경향이 생기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국가는 러시아로 4,500톤급의 호위함을 주력으로 하고 2,000톤급의 호위함을 보조 전력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러시아는 이것들은 각각 20~30여척 건조할 계획이다. 이것은 일반적인 하이로우 믹스 전략인데 호위함 체급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도 호위함을 2단계로 분리하여 2,000톤급과 4,000톤급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 또한 각각 20여척 보유 중이다. 동남아시아에서는 태국 해군이 이것과 비슷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태국은 우선 4,000톤급의 녹스급 호위함을 상위급 전투함으로 두고 하위급 호위함으로 약 2,900톤 ~ 1,900톤의 전투함을 6척 보유하고 있다. 서아시아사우디아라비아는 3척의 4,700톤급 호위함(Al Riyadh급)을 하이급 상위함으로 사용하고 4척의 2,600톤급 호위함(Al Madinah급)을 보조함으로 사용한다.

2.2. 3,000톤급 통합 전투함

대한민국은 3,000톤급으로 호위함을 통합적으로 운용할 계획이다. 그 중심에는 인천급이 있다. 인천급은 배치별로 약 3,200톤 ~ 3,800톤의 배수량을 유지하여 18척 ~ 24척 건조될 계획이다. 미국의 LCS 또한 이것과 비슷한 3,000톤 규모로 건조 된다. 이것은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을 전량 대체하는데 엄밀히 분류하면 연안전투함(Littoral Combat Ship)으로 초계함에 가까운 함급이다. 일본은 약 3,900톤급의 모가미급 호위함을 총 22척 건조할 계획이다. 이것 또한 엄밀히 분류하면 호위구축함(destroyer escort)으로 호위함에 준하거나 중초계함에 가까운 함급이다.

2.3. 5,000톤급 이상 주력 전투함: 서유럽의 이지스급, 준 이지스

타국의 최종병기급인 구축함에 가까운 함정을 호위함으로 부르는 경향이 유럽, 특히 서유럽, 중부유럽에서 생겨나기 시작했다. 그 중 프랑스는 그 경향이 더욱 심하다. 그 대표적인 예가 7,000톤급의 준이지스함인 호라이즌급이탈리아와 공동으로 건조한 후 호위함으로 분류한 것이다. 이탈리아는 호라이즌급을 오리존테급으로 명명한 후 구축함으로 분류한 대신 6,700톤급 호위함인 베르가미니급 10대를 개발,운용한다. 그 밖의 유럽 국가들은 대략 6,000톤 ~ 5,000톤급의 준이지스급 수상함을 건조 한 후 호위함으로 분류하고 있다.

3. 2008년 이후 건조

4. 요약(지역별 호위함 보유 수량)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 오세아니아
중국 대한민국 일본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 호주
45 척 14 척 6 척 6 척 8 척 4 척 3 척 7 척 6 척 8 척
서유럽 남유럽 북유럽 동유럽 중부 유럽
영국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러시아 독일
13 척 22 척 2 척 12 척 0 척 5 척 4 척 9 척 11 척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미국 브라질
21 척

5. 국가별 호위함 보유 수량

국가 호위함 수량 종류 종류별 수량 만재 배수량 기타
중국 45 척지앙후급(Type 053)[2] 5 척 1,900 톤
장웨이급 II(Type 053H3) 8 척 2,393 톤Type 053H2G의 후속함.
장카이급 I(054형 호위함) 2 척 4,300 톤지앙후급의 후속함.
장카이급 II(054A형 호위함) 30 척 4,053 톤054형 호위함의 후속함.
프랑스 22 척프로레알급 6 척 2,950 톤경 정찰 호위함/데스티엔도르브급 아비조[3]의 후속함
라파예트급 5 척 3,600 톤스텔스 호위함/프로레알급의 후속함.
조르쥬 레그급 1 척 4,500 톤대잠 호위함/투르비유급 호위함[4]의 후속함.
카사드급 1 척 4,950 톤방공 호위함
아키텐급 7 척 6,000 톤이지스함/- FREMM급 호위함/카사드급, 조르쥬 레그급 후속.
포르방급 2 척 7,050 톤이지스함/- 합작 호라이즌급 호위함/쉬프랑급 호위함[5] 후속.
인도 15 척고다바리급 호위함[6] 3 척 3,850 톤닐기리급 호위함[7]의 후속/1983년 취역.
브라마푸트라급[8] 3 척 3,850 톤고다바리급의 후속/2000년 취역.
탈와르급 6 척 4,035 톤브라마푸트라급의 후속/2003년 취역/러시아산 호위함.
시발릭급 3 척 6,200 톤탈와르급의 후속/2010년 취역/Shtil-1(부크 미사일 시스템)
영국 13 척23형 호위함 13 척 4,900 톤22형 호위함[9]의 후속함/전량 퇴역 예정/26형 호위함[10]으로 교체 예정.
이탈리아 11 척베르가미니급 8 척 6,700 톤총 10척 예정. 준이지스함/- FREMM급 호위함.
마에스트랄레급 3 척 3,040 톤2021~24년 베르가미니급으로 대체 예정.
호주 8 척앤잭급 8 척 3,600 톤CEAFAR/CEAMOUNT를 장착하여 준이지스급 호위함으로 개수됨.
일본 6 척아부쿠마급 6척 3,000 톤퇴역예정,모가미급 호위함으로 교체
대한민국 14 척울산급 2 척 2,350 톤전량 퇴역 예정, 인천급, 대구급으로 교체.
인천급 6 척 3,251 톤최종적으로 인천급은 6척, 대구급은 8척, 인천급 Batch-3은 6척으로 총 20척 예정.
대구급 6 척 3,500 톤 인천급 후속함.
미국 21 척프리덤급 연안전투함 10척 3,500 톤Littoral Combat Ship/2008년 취역/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을 대체. 총 15척 예정.
인디펜던스급 연안전투함 11 척 3,104 톤Littoral Combat Ship/2010년 취역/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을 대체. 총 17척 예정.
브라질 10 척22형 호위함 3 척 4,400 톤영국의 호위함/1976년 부터 취역한 구형.
브라실급 훈련호위함 1 척 3,700 톤니테로이급 호위함 훈련용으로 전용함.
니테로이급 호위함[11] 6 척 3,700 톤영국의 도움으로 건조/1976년부터 취역함/2005년 현대화 개장/아스파이드
태국 8 척053형 호위함[12] 4 척 1,900 톤중국 해군의 구형 Type 053HT 지앙후급 호위함-IV급
녹스급 호위함[13] 2 척 4,260 톤Phutthayotfa Chulalok급이라고 부르기도 함.
나레수안급 호위함[14] 2 척 2,985 톤중국 해군의 Type 025T/레이시온-ESSM 32발 장착.
러시아 9 척크리박급 호위함[15] 2 척 3,575 톤리가급 호위함[16]의 후속함.
네우스트라시미급 호위함 2 척 4,400 톤크리박급(Burevestnik-clas)의 후속함.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3 척 4,035 톤크리박급의 후속함/인도 수출용 탈와르급의 계량형.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2 척 4,550 톤네우스트라시미급 호위함의 후속함/준이지스급이라는 소문 존재.
베트남 7 척페챠급 호위함[17] 5 척 1,150 톤러시아 해군의 경대잠호위함을 도입/1960년대 건조.
게파르트급[18] 2 척 1,930 톤2003년 러시아 해군의 초계함을 호위함으로 취역시킴/2011년 취역.
독일 11 척브레멘급 호위함 1 척 3,680 톤바덴-뷔르템베르크급 호위함으로 대체 예정
브란덴부르크급 호위함 4 척 4,900 톤
작센급 호위함 3 척 2,870 톤APAR 레이더를 탑재한 준이지스급 방공 호위함
바덴-뷔르템베르크급 호위함 3 척 7,200 톤2021년까지 총 4척 예정
네덜란드 6 척카렐 도어만급 호위함 2 척 3,320 톤2028년부터 벨기에와 공동 건조하는 차기 호위함 2척으로 대체 예정
더 제번 프로빈시엔급 호위함 4 척 6,050 톤APAR 레이더를 탑재한 준이지스급 방공 호위함
덴마크 5 척압살론급 호위함 2 척 6,600 톤
이베르 휘트펠트급 호위함 3 척 6,645 톤APAR 레이더를 탑재한 준이지스급 방공 호위함
싱가포르 6 척포미더블급 6 척 3,200 톤프랑스헤라클레스 레이더를 장비한 준이지스급 호위함/2007년 취역
인도네시아 6 척아흐맛 야니급 호위함 6 척 2,850 톤2006년, 네덜란드반 스페이크급 호위함[19]을 전량 인수함.
노르웨이 5 척프리드요프 난센급 5 척 5,290 톤다목적 준이지스급 호위함
벨기에 2 척바르톨로뮤 디아스급 호위함 2 척 3,320 톤2006년, 네덜란드카렐 두르만급 호위함[20]을 인수함/네덜란드와 공동 건조하는 차기 호위함 2척으로 대체 예정
말레이시아 4 척카스투리급 호위함[21] 2 척 1,900 톤FS 1500/1984년 취역/대공 미사일: 맨패즈
레키우급 호위함[22] 2 척 2,270 톤영국의 FN F2000[23]을 기반으로 건조/1999년 취역/대공 미사일: 시울프
필리핀 5 척조르지오 델 필라급 호위함[24] 2 척 3,250 톤대함 미사일 없음/미국 해안경비대의 해밀턴급 경비정.
호세 리잘급 2 척 2,870 톤인천급 호위함을 베이스로 제작, 2020년 취역.
다투 칼란티와우급 호위함 1 척 1,620 톤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사용하던 캐논급 호위구축함.
일본의 호위함은 영문으로 구축함 등으로 표기하고 자체적인 분류법 등이 있어 이 구분에서 제외한다. 일본의 수상함은 구축함이나 호위구축함으로 분류함.

6. 외부 링크

(영어 위키피디아)Category:Frigate classes
(영어 위키피디아)Category:Frigates by country
(영어 위키피디아)Category:Frigates by navy

7. 관련 문서


[1] 4척의 녹스급 호위함 뒤에 한척은 만재 3,426톤 브룩급 호위함(FFG)[2] http://en.wikipedia.org/wiki/Type_053H_frigate#Type_053H_surface-warfare_frigate[3] http://en.wikipedia.org/wiki/D%27Estienne_d%27Orves-class_aviso[4] http://en.wikipedia.org/wiki/Tourville-class_frigate[5] http://en.wikipedia.org/wiki/Suffren-class_frigate[6] http://en.wikipedia.org/wiki/Godavari-class_frigate[7] http://en.wikipedia.org/wiki/Nilgiri-class_frigate[8] http://en.wikipedia.org/wiki/Brahmaputra-class_frigate[9] http://en.wikipedia.org/wiki/Type_22_frigate[10] http://en.wikipedia.org/wiki/Global_Combat_Ship[11] http://en.wikipedia.org/wiki/Niteroi_class_frigate[12] http://en.wikipedia.org/wiki/Type_053_frigate[13] http://en.wikipedia.org/wiki/Phutthayotfa_Chulalok-class_frigate[14] http://en.wikipedia.org/wiki/Naresuan-class_frigate[15] http://en.wikipedia.org/wiki/Burevestnik-class_frigate[16] http://en.wikipedia.org/wiki/Riga_class_frigate[17] http://en.wikipedia.org/wiki/Petya-class_frigate[18] http://en.wikipedia.org/wiki/Gepard-class_frigate[19] http://en.wikipedia.org/wiki/Van_Speijk_class_frigate[20] http://en.wikipedia.org/wiki/Karel_Doorman-class_frigate[21] http://en.wikipedia.org/wiki/Kasturi-class_frigate[22] http://en.wikipedia.org/wiki/Lekiu-class_frigate[23] http://sgforums.com/forums/1164/topics/80376[24] http://en.wikipedia.org/wiki/Gregorio_del_Pilar_class_frigate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