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7ca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7ca5>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007ca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본선 | 고베고속선 | 무코가와선 | 한신난바선 | }}}}}}}}} |
케이한신 광역권의 대중교통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JR 서일본 어반 네트워크 / 산요·호쿠리쿠 신칸센 | JR 도카이 도카이도 신칸센 | |||
대형 사철 | 킨키 일본 철도 | 난카이 전기철도 | 케이한 전기철도 | 한신 전기철도 | |
한큐 전철 | |||||
준대형 사철 | 산요 전기철도㋙ | 키타오사카 급행전철③㋙ | 고베 고속철도③㊂㋙ | ||
중소 사철 | 오사카메트로㋖ | 고베 전철㋙ | 케이후쿠 전기철도㋖㋙ | 에이잔 전철㋙ | |
한카이 전기궤도㋖㋙ | 노세 전철㋙ | 오미 철도㋙ | 와카야마 전철㋙ | ||
사가노 관광철도㋙ | 교토 탄고 철도 | 미즈마 철도 | 키슈 철도 | ||
시가라키 고원철도③ | 호조 철도③ | 코카시㊂ | 와카야마현㊂ | ||
간사이 고속철도③㊂㋙ | 오사카 외순환철도③㊂㋙ | 오사카항 트랜스포트 시스템③㊂ | 나카노시마 고속철도③㊂㋙ | ||
니시오사카 고속철도③㊂㋙ | 나라이코마 고속철도③㊂㋙ | 키타킨키 탄고 철도③㊂ | 신간사이국제공항주식회사㊂ | ||
모노레일·슬로프카·신교통 | 오사카 모노레일③㋖ | 고베 신교통③㋖ | 난코 포트타운선(뉴트램)㋖ | 아마노하시다테 뷰랜드 모노레일 | |
쿠니미노모리공원 삼림학습궤도 | |||||
강삭철도·케이블카 | 쿠라마야마 강삭철도 | 탄고 해륙 교통 | 고베 누노비키 로프웨이 | 롯코산 관광㋙ | |
고베 스마이 마치즈쿠리 공사 | 키노사키 로프웨이 | 요시노 로프웨이 | 비와코 밸리 로프웨이 | ||
히에이잔 철도㋙ | 쇼샤산 로프웨이 | 고자이쇼 로프웨이㋙ | 아마노하시다테 뷰랜드 리프트 | ||
버스·BRT | 오사카 시티 버스 | 이마자토라이너 | |||
공영 교통 | 교토시 교통국 | 교토 시영 지하철, 교토 시영 버스 | |||
고베시 교통국 | 고베 시영 지하철, 고베 시영 버스 | ||||
공항 | 오사카 간사이KIX | 오사카(이타미)ITM | 고베UKB | 오사카 야오 | |
난키 시라하마SHM | 코노토리 타지마TJH | ||||
※ ③: 제3섹터 사업자 / ㋖: 궤도 및 궤도사업자 / ㊂: 제3종 철도사업자 / ㋙: 상위 사업자의 자회사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ruby(阪, ruby=はん)][ruby(神, ruby=しん)]なんば[ruby(線, ruby=せん)] Hanshin Namba Line 한신난바선 | }}} | |
<nopad> 한신 1000계 전동차 | ||||
노선 정보 | ||||
분류 | 간선 | |||
기점 | 아마가사키역 | |||
종점 | 오사카난바역 | |||
역 수 | 11 | |||
노선기호 | HS | |||
개업일 | 1924년 1월 20일(다이모츠~덴포) 1924년 8월 1일(덴포~치도리바시) 1928년 12월 28일(아마가사키~다이모츠) 1964년 5월 20일(치도리바시~니시쿠조) 2009년 3월 20일(니시쿠조~오사카난바) | |||
소유자 | 한신 전기철도(아마가사키~니시쿠조) | |||
니시오사카 고속철도(니시쿠조~오사카난바) | ||||
운영자 | 한신 전기철도 | |||
사용차량 | 한신 1000계 전동차 한신 9000계 전동차 킨테츠 1026계 전동차 킨테츠 1252계 전동차 킨테츠 5800계 전동차 킨테츠 5820계 전동차 킨테츠 9020계 전동차 킨테츠 9820계 전동차 킨테츠 22600계 전동차[1] | |||
차량기지 | 아마가사키 차고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0.1km | |||
궤간 | 1435mm | |||
선로구성 | 복선 | |||
사용전류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 |||
신호장비 | 한신 ATS, ATS-SP | |||
최고속도 | 100km/h |
킨테츠 나라선, 본선 직통 쾌속급행 주행영상 |
1. 개요
한신 본선의 아마가사키에서 오사카 서부를 지나 킨테츠 난바선의 오사카난바역을 잇는 한신 전기철도의 철도노선이다.다른 사철 노선들이 자사 이름을 앞에 붙이더라도 실제 정식 노선명은 자사 이름을 뺀 것이지만[2][3], 이 노선은 회사 이름인 '한신'도 정식 노선명에 포함된다.
1.1. 노선 데이터
- 관할, 구간: 전장 10.1km
- 한신 전기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아마가사키~니시쿠조 6.3km
- 한신 전기철도 (제2종 철도사업자), 니시오사카 고속철도 (제3종 철도사업자): 니시쿠조~오사카난바 3.8km
- 궤간: 1435mm
- 역 수: 11
- 복선구간: 전구간
- 전화구간: 전구간 (직류 1500V)
-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 보안장치
- 아마가사키~사쿠라가와: 한신형 ATS
- 사쿠라가와~오사카난바: 킨테츠 ATS-SP
- 최고속도: 106km/h
- 운전지령소
- 아마가사키~사쿠라가와: 아마가사키 운전지령실
- 사쿠라가와~오사카난바: 오사카 종합지령실 (킨테츠)
- 열차종합관리시스템
- 아마가사키~사쿠라가와: PTC (한신)
- 사쿠라가와~오사카난바: KOSMOS (킨테츠)
- 교통카드 호환지역: 전구간
2. 설명
한신 본선과 오사카 남부의 중심지인 난바 일대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오사카난바역에서 킨테츠 난바선과 연결되어 상호직결운행을 하고 있다. 직결운행구간은 킨테츠는 이 노선을 거쳐 본선의 고베산노미야역까지, 한신은 킨테츠 난바선을 거쳐 킨테츠 나라선의 킨테츠나라역까지이다.이 노선 중 니시쿠조역에서 오사카난바 사이의 3.8km 구간은 니시오사카 고속철도라는 회사가 제 3종 철도사업자의 형태로 보유하고 있다. 이 회사는 한신과 오사카시, 오사카부 등의 공동출자로 만들어진 제3섹터 회사로 2009년에 개업했는데 대주주 중에는 노선의 직결상대인 킨테츠도 포함되어 있다.
한신 본선과 킨테츠 나라선 일대의 교통이 이 노선의 개통으로 인해 매우 편리해졌으며 예전처럼 지하철 등 타 노선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운임면에서도 저렴해졌다. 그러나 킨테츠의 8, 10량 편성 열차가 한신 본선 규격대로 아마가사키역에서 6량씩 분리결합함으로 인해 자주 열차가 늦어지고 이로 인해 한신 본선은 만성적인 정시성 훼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노선의 돔마에역(돔앞역)은 일본프로야구 퍼시픽리그팀인 오릭스 버팔로즈의 홈구장[4]인 교세라 돔 오사카 인근을 지나는 역이다.
한신 본선은 센트럴 리그팀인 한신 타이거즈의 홈구장인 한신 고시엔 구장과 가까운 고시엔역을 운행하고 있어 한신 전기철도는 간사이 지방을 근거지로 하는 2개팀의 홈구장과 연결되는 역들을 모두 소유하게 되었다. 그래서 한신 철도는 한신과 오릭스가 진출한 2023년 일본시리즈를 '한신난바선 시리즈'로 부르며 대대적으로 띄웠다. 하지만 고시엔 개최 경기 때와 달리 별도의 임시열차는 운행하지 않는다.
이 노선을 운행하는 킨테츠의 열차는 한신측의 열차와 차량규격을 통일시키지 않은 탓에 한신 측의 3도어차보다 긴 4도어 차량이다. 어째서인지 한신의 노선임에도 직결운행하는 킨테츠의 열차가 더 많이 보이는 탓에 일부에서는 킨테츠 아마가사키선이라고 농담삼아 부르기도 한다. 낮시간대에는 시간당 세 편 있는 쾌속급행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한신 본선에는 들어가지 않고 킨테츠 나라선으로만 들어갈 정도.
이 노선을 통해 고베 - 나라 간 직통 운행이 가능하지만 킨테츠 나라선은 10량이고 한신 난바선까지 10량으로 지었지만 정작 한신 본선이 6량이라 10량 열차가 아마가사키역 이후로 진입할 수 없다. 그래서 10량 열차가 고베로 갈 때에는 아마가사키역에서 후속 2-4량을 떼어내고 8량이 정차할 수 있는 역에만 정차한다. 부속 편성 열차끼리만으로도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통 열차 등으로 활용하기도 하는데, 가끔 이 과정에서 2+2+2로 6량 편성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오사카난바역~사쿠라가와역~인상선까지는 킨테츠도 1종 자격으로 운행할 권리가 있다. 이는 한신과 서로 직통운행을 개시하면서 생긴 조약이다. 오사카난바역에 있던 3개의 인상선 중 양 끝의 2개를 한신난바선 직결 시 상하행선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그 많은 열차를 남아 있는 단 한 개의 인상선으로 커버한다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이에 사쿠라가와역~돔 앞역 사이에 인상선을 2개 설치하고, 여기서 우등 열차들을 돌리게 된다. 그래서 사쿠라가와~오사카난바 구간은 신호 장비나 신호규격, 운행지령, 종합시스템까지 전부 킨테츠가 관리한다. 그렇기에 킨테츠 승무원들은 사쿠라가와까지 운행할 수 있고, 승무교대도 오사카난바가 아닌 사쿠라가와에서 이루어진다.
3. 역사
한신난바선의 시초는 1924년 다이모츠~덴포 구간을 잇는 덴포선(伝法線)으로 시작되었다. 이 노선은 한큐에 대항하기 위해 한신측에서 계획했던 제2한신선 계획의 일부로 당시의 계획으로은 노선을 노다까지 연장해 한신 본선의 바이패스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제2한신선 계획의 폐기와 함께 연장계획도 취소되었다.전쟁이 끝난 1946년, 한신은 킨테츠와 손잡고 상호직결을 위한 노선을 신설하기로 합의하면서 1차적으로 덴포선을 니시쿠조까지 연장하고 노선명을 니시오사카선(西大阪線)으로 변경한다. 그러나 당시 시영 먼로주의(먼로 독트린)를 고수하던 오사카시에서는 한신과 킨테츠의 이 계획에 강력하게 반대하는 한편 대항책으로 거의 같은 구간을 지나는 지하철 노선인 센니치마에선을 짓기로 결정하는 등 적극적인 방해공작을 펼쳤다. 그러자 오사카시와 앙숙이던 오사카부에서 한신-킨테츠의 편을 들면서 양자간 갈등이 심화되고 결국 정부가 나서서 중재한 끝에 지하철과 한신-킨테츠의 노선 모두를 짓는 것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노선 인가 후 지하철 센니치마에선과 킨테츠의 난바선은 계획대로 지어졌지만 한신측에서는 돌발적인 악재가 발생했다. 1967년, 한신은 쿠조까지의 노선연장을 목표로 토지를 매입하려 했으나 철도로 인한 시가지 분단과 고객들이 번화한 난바로 빠져나가는 것을 우려한 쿠조 상점가 일대 상인들의 격렬한 반대운동에 부딫쳐 연장공사를 시작하자마자 중단하게 된다. 이후 70년대의 오일 쇼크로 인한 공사비용 상승 등의 악재로 인해 한신은 단독으로 공사를 재개할 여력을 잃은 채 수십년의 세월이 흐르게 된다.
그 동안은 모토마치역과 니시쿠조역을 직통운행하는 니시오사카선 특급이 있었지만 불과 9년만에 폐지, 한신 본선과의 직통 없이 10-12분 간격으로 아마가사키역과 니시쿠조역 구간만을 운행했다.
1997년, 오사카 돔이 개장되면서 낙후한 오사카 서부의 재개발 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자연히 철도 노선에 대한 필요성도 높아졌다. 여전히 일부 주민들은 반대의 의향을 보였지만 오사카시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공동으로 제3섹터 회사를 건립해 2003년부터 공사에 돌입, 2009년에 킨테츠의 킨테츠난바역(현 오사카난바역)까지의 구간을 완공한다. 완공과 함께 니시오사카선의 명칭은 한신난바선으로 변경되고 킨테츠와의 상호직결운행이 시작되면서 연장계획 이후 약 40여년 만에 당초의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현재는 홍수와 해일에 대비하기 위해 덴포역과 후쿠역 사이에 요도가와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다리를 건설 중이다. 기존 교량은 평시에도 수면과 4m 남짓 밖에 떨어져있지 않아 집중호우나 태풍 시에는 교량 양 끝의 철문을 닫고 운휴에 들어간다. 또한 교각이 너무 많아 물의 흐름이 저해 받는 문제도 있다. 새로운 다리는 7m 높이로 짓고, 그에 맞춰 일부 선로를 이설하고 5개의 건널목을 모두 폐지할 계획이다. 공사 완료는 2032년 예정이다.#
4. 등급
노선도(크게 보기)
킨테츠 소속의 열차는 4비차이며, 한신 소속의 열차는 3비차이기 때문에 방송에서 알려주는 승차위치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3비차는 ○(원모양)에 정차하며, 4비차는 △(삼각모양)에 정차한다.[5]
킨테츠 나라선에서의 정차역 및 등급은 해당 문단 참고.
- 쾌속급행(快速急行)
- 정차역 : 킨테츠나라 - (킨테츠 나라선) - 오사카난바 - 사쿠라가와 - 돔마에 - 쿠조 - 니시쿠조 - 아마가사키 - (무코가와) - 코시엔 - (이마즈) - 니시노미야 - (아시야) - 우오자키 - 고베산노미야
- 킨테츠나라역,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등을 출발한 열차는 킨테츠 나라선을 거쳐 한신난바선에 입선한다. 한신난바선 내에서는 오사카난바~니시쿠조 간 각역정차, 이후 아마가사키역까지 무정차로 운행한다. 평일 출근 시간대(6~9시)에는 아마가사키역에 종착하며 나머지는 첫막차 시간대를 제외한 전 열차가 한신 본선과 직결해고베산노미야역까지 운행한다.
- 6량과 8량 열차, 3도어 한신 차량과 4도어 킨테츠 차량이 혼재되어 다니고 있어 6량 한신 차량에 맞춰진 한신 본선의 승강장의 길이와 안 맞아 정차에 애로사항이 생긴다. 앞 뒤로 건널목이 있어 승강장 확장 공사가 어려운 아시야역[6]에는 평일 아침에만 정차하고 미카게역에는 킨테츠 4도어 열차의 길이 문제로 정차하지 않는다. 아시야역에 정차하지 않는 평일 낮과 주말・공휴일에는 본선의 급행 등급처럼 이마즈역과 무코가와역에 추가로 정차한다.
- 준급(準急)
- 정차역 : 킨테츠나라 - (킨테츠 나라선) - 오사카난바 - (각역정차) - 아마가사키
- 구간준급(区間準急)
- 정차역 : 킨테츠나라 - (킨테츠 나라선) - 오사카난바 - (각역정차) - 아마가사키
- 보통(普通)
- 정차역 : 킨테츠나라 - (킨테츠 나라선) - 오사카난바 - (각역정차) - 아마가사키
- 준급, 구간준급, 보통 세 개의 등급 모두 오사카난바역부터 한신난바선 내의 모든 역에 정차, 아마가사키역에 종착한다.
5. 역 목록
표기 | 이름 |
快 | 쾌속급행 |
통과하는 열차는 연회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
한신난바선 | |||||||
역번호 | km | 역명 | 우등 | 환승노선 | 소재지 | ||
↑ 직통운행 | 쾌속급행: | ||||||
HS09 | 0.0 | 아마가사키 (尼崎) | 快 | ¶한신 전기철도 | 효고현 아마가사키시 | ||
HS08 | 0.9 | 다이모츠 (大物) | 快 | ¶한신 전기철도 | |||
HS49 | 2.3 | 데키지마 (出来島) | 快 | 오 사 카 부 | 오 사 카 시 | 니시요도가와구 | |
HS48 | 3.3 | 후쿠 (福) | 快 | ||||
HS47 | 4.8 | 덴포 (伝法) | 快 | 고노하나구 | |||
HS46 | 5.5 | 치도리바시 (千鳥橋) | 快 | ||||
HS45 | 6.3 | 니시쿠조 (西九条) | 快 | ¶JR 서일본 | |||
HS44 | 7.6 | 쿠조 (九条) | 快 | ¶오사카메트로 | 니시구 | ||
HS43 | 8.2 | 돔마에 (ドーム前) | 快 | ¶돔마에치요자키역: 오사카메트로 파일:Osaka Metro-N.svg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 (N12) | |||
HS42 | 9.0 | 사쿠라가와 (桜川) | 快 | ¶오사카메트로 ¶시오미바시역: 난카이 전기철도 | 나니와구 | ||
HS41 | 10.1 | 오사카난바 (大阪難波) | 快 | ¶킨키 일본 철도 ¶난바역: 오사카메트로 ¶난바역: 난카이 전기철도 ¶JR난바역: JR 서일본 | 츄오구 | ||
↓ 직통운행 | 전 등급: 킨키 일본 철도 |
[1] 한신선에 입선 가능한 유일한 특급형 열차로 현재 정기운행 중인 열차는 없고 임시단체대절 시에 투입된다.[2] 예를 들면 킨테츠 난바선의 실제 노선명은 '난바선'이다.[3] 이러한 사례는 주로 역명에서 볼 수 있다. 가까이는 JR난바역부터 세이부신주쿠역, 케이세이우에노역, 케이세이치바역, 메이테츠나고야역, 니시테츠후쿠오카(텐진)역 등 지역을 가리지 않고 있다.[4] 한신 타이거스는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가 열리는 8월에 이 곳을 임시 홈구장으로 쓴다.[5] 이는 JR 서일본이나 킨테츠 등의 간사이권 철도 모두 해당된다.[6] 현재 건널목 중 하나를 지하화하고 승강장을 확장하는 계획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