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6 19:09:28

한신 9000계 전동차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a5cc3><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a5cc3>
파일:한신 전기철도 심볼.svg
}}}
{{{#!wiki style="color: #3a5cc3;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급행용 보통용
1000계 8000계 5500계 5550계
9000계 9300계 5700계
퇴역・도입 예정
3000계 7890형 5001형
}}}}}}}}} ||
파일:Hanshin_Wlogo.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한신 9000계 전동차
Hanshin 9000 series
阪神 9000系 電車
}}}
파일:Hanshin-Series9000.jpg
외부
차량 정보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6량 1편성
운행노선 한신 전기철도 파일:Hanshin-HS.svg 본선, 고베고속선, 난바선
산요 전기철도 파일:SER_SY_logo.png 본선
킨키 일본 철도 파일:KT-A.svg 난바선, 나라선
도입년도 1996년
제작회사 가와사키 중공업
소유기관 한신 전기철도
운영기관
운행시기 1996년 3월 20일 ~ 현재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궤간 1,435㎜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최고속도 설계 120㎞/h
영업 110㎞/h
가속도 3.0㎞/h/s
감속도 상용 4.0㎞/h/s
비상 4.3㎞/h/s
전장 선두차 18,980㎜
중간차 18,880㎜
전폭 2,800㎜
전고 전동차 4,160㎜
부수차 4,060㎜
차체 스테인리스 강
대차 스미토모 금속공업 SS171M·T
모터출력 130㎾
구동장치 TD피팅식 중공축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기어비 97:16 (6.06)
제어방식 미쓰비시VVVF-GTO
MAP-118-15V59 (6량)
동력장치 도요전기제 농형 3상 유도전동기 TDK-6146-A
보안장치 한신ATS, 산요ATS, 한큐ATS, 킨테츠ATS
제동방식 MBSA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전자직통 공기제동
MT 비 4M 2T }}}}}}}}}

1. 개요2. 사양 및 특징3. 운용4. 여담5. 편성6. 관련 문서

1. 개요

한신 전기철도의 급행용 통근형 전동차로, 1995년 한신 아와지 대지진으로 인해 폐차된 차량의 대체분으로 만들어졌으며, 1996년 3월 20일 영업운행을 개시하였다. 6량 편성 5개, 총 30량이 카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조되었다.

1000계와 함께 킨테츠ATS를 장착해 오사카난바역 서쪽으로 입선 가능한 유이한 차량으로, 한신난바선킨테츠 나라선에서의 운용을 전담하고 있다. 한신 본선에서도 주로 산요히메지역오사카우메다역을 잇는 직통특급 열차로 운용되고있다.

2. 사양 및 특징

1995년 1월 17일, 고베 대지진으로 인하여 한신전철 역시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는데, 차량 면에서는 흔히 적동차라고 불리는 급행용 차량에서 33량, 청동차라고 불리는 각역정차용 차량에서 8량이 지진으로 손상되어 폐차되었다.

당시까지 한신은 자회사로 무코가와 차량공업[1]이라는 철도차량 제작사를 갖고 있었지만 한신과 몇몇 소규모 사철[2] 차량만을 제조하는 소규모의 제작사로써 단기간에 이 정도의 차량을 생산할 정도의 능력은 없었다.

결국 한신은 짝이 안 맞는 적동차 3량(한신 8000계 전동차)와 지진 이전부터 생산이 계획되어있었던 청동차 8량(한신 5500계 전동차)만 무코가와 차량공업에서 생산하기로 결정하고 나머지 적동차 30량은 외부 제작사에 제조를 맡기기로 하였다.

최대한 빨리 제조할 수 있는 회사를 찾던 와중에 카와사키 중공업에 자사 제조라인에 여유가 있다는 연락을 받게 되면서 카와사키 중공업에서 생산하게 되었다. 카와사키는 스테인리스 차체와 알루미늄 차체 차량 전부 생산이 가능했지만 그 중에서도 당시 209계 전동차 등을 생산하던 스테인리스 차량 제조라인이 더 여유가 있었기에 스테인리스 차체 차량을 생산하기로 했다. 이 차량이 한신이 30여년 만에 최초로 도입한[3] 스테인리스 차량이었으며 한신이 이후 도입한 한신 1000계 전동차한신 5700계 전동차 역시 스테인리스 차체를 채용하게 된다.

이후 2009년 한신난바선 개업을 앞두고 신차인 1000계와 더불어 킨테츠 직통용 차량으로 선정되어 2007년부터 킨테츠 직통 대응 개조를 받았다. 도색을 1000계와 유사하게 바꾸고 킨테츠선 내에서의 8량, 10량 운행에 대비하여 차량 앞부분의 비상탈출용 문을 관통용 문으로 개조하고 연결기도 자동연결기로 개조했으며, 전두부 행선표시기를 LED로 바꾸고 킨테츠 대응 신호장비의 장착과 차량 운전대를 1000계에 준하게 개조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전 차량 롱시트를 채용해 중간 8석, 양 끝 3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내 자동방송을 지원하며, 안내표시장치는 문 위에 한 줄 짜리 LED를 배치하고 있다. 2023년부터 무코가와선용 5500계처럼 2단 표시 LED로 개조하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3. 운용

직결 포함 한신이 운행하는 모든 노선을 다닐 수 있는 유이한 차량이다. 지진 재해 임시 시간표에 투입되어 영업운전을 개시하였고, 1998년부터 산요 전기철도 본선의 산요히메지역까지 직통운전을 실시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난바 연장 전 니시오사카선 내로는 입선하지 않았다.

2009년 3월 20일, 한신난바선 개업에 맞추어 킨테츠나라역까지 운행 범위를 넓혔다. 비록 급행차량으로 만들어졌지만 한신난바선 계통에서는 고베산노미야역 간 쾌속급행 뿐만 아니라 준급행, 구간급행, 구간준급, 보통 등 모든 등급에 들어간다. 본선 계통에서는 히메지 행 직통특급이나 스마우라코엔역 행 특급 등에 종종 투입된다.

4. 여담

파일:Hanshin_9000_series_9201_Koshien_200507.jpg
구도색
킨테츠선 입선 대비 개조 이후 기존의 빨간 도색에서 비바오렌지 색을 채용한 현재의 도색으로 바뀌었는데, 이 색이 하필 한신 타이거스영원한 라이벌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팀 컬러랑 유사해 주주총회 시즌만 되면 열차 도색을 바꾸자는 말이 단골 안건으로 올라왔다. 결국 '적동차' 도색을 복각하기 시작한 한신 8000계 전동차에 이어 한신전차의 전통적인 급행용 차량 색인 빨간색으로 바꾸기로 하였다.# 한신 3000계 전동차의 도입에 맞추어 9000계 뿐만 아니라 모든 급행용 전동차의 도색을 버밀리온 색으로 바꾼다는 목표이다.

5. 편성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한신 9000계 전동차/현황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6. 관련 문서


[1] 2002년 한신 9300계 전동차의 생산을 끝으로 철도차량 생산을 중단하고 차량 개조/유지보수 부문만 '한신차량 메인테넌스'라는 회사에 이관된 후 사라졌다.[2] 케이후쿠 전기철도와 그 자회사였던 에이잔 전철. 이들은 무코가와 차량공업이 해산된 이후로는 자체 신차를 반입한 적이 없으며, 중고차량만을 들여오고 있다. 이는 과거 케이후쿠가 갖고 있다가 지금은 에치젠 철도가 된 후쿠이 지역의 노선들도 포함.[3] 1960년에 도입한 5200형 전동차 중에서 2량이 시범적으로 스테인리스 자체를 채택했으나, 당시에는 지나치게 비싼 도입비로 인해 정식 도입에는 이르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