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6 18:04:50

한신 5500계 전동차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a5cc3><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a5cc3>
파일:한신 전기철도 심볼.svg
}}}
{{{#!wiki style="color: #3a5cc3;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급행용 보통용
1000계 8000계 5500계 5550계
9000계 9300계 5700계
퇴역・도입 예정
3000계 7890형 5001형
}}}}}}}}} ||
파일:Hanshin_Wlogo.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한신 5500계 전동차
Hanshin 5500 series
阪神 5500系 電車
}}}
파일:Hanshin-Series5500R-5515.jpg
외부(리뉴얼차)
차량 정보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2량 1편성, 4량 1편성
운행노선 파일:Hanshin-HS.svg 본선, 고베고속선, 무코가와선
도입년도 1995년 ~ 2000년
제작회사 무코가와 차량공업
소유기관 한신 전기철도
운영기관
운행시기 1995년 11월 1일 ~ 현재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궤간 1,435㎜
전장 선두차 18,980㎜
중간차 18,880㎜
전폭 2,800㎜
전고 선두차 4,060㎜
중간차 4,160㎜
급전 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영업최고속도 한신 본선 90km/h
무코가와선 45km/h
설계최고속도 110㎞/h
기동 가속도 4.0㎞/h/s
감속도 4.5㎞/h/s
신호 방식 한신/산요/한큐형 ATS
제어 방식 미쓰비시VVVF-GTO
동력 장치 도요전기제 3상 농형 유도전동기
제동 장치 MBSA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전자직통제동
구동 장치 TD평행 카르단 구동 장치
MT 비 2M 0T, 4M 0T }}}}}}}}}

1. 개요2. 사양 및 특징3. 운용4. 여담5. 5550계6. 편성7. 관련 문서

1. 개요

한신 전기철도의 보통용 통근형 전동차로, 1995년 한신 아와지 대지진으로 인해 폐차된 차량의 대체분으로 만들어졌으며 이후로도 노후된 보통용 전동차를 대체하였다. 현재 4량 편성 14개, 2량 편성 4개 총 36량이 존재한다.

5700계와 함께 한신 본선한신 고베 고속선[1] 내의 보통열차로 운행하고 있으며, 노후된 7890형, 7861형을 대체해 2020년부터 무코가와선에서의 운용을 전담하고 있다.

2. 사양 및 특징

본선에서는 4량, 무코가와선에서는 2량으로 운행한다. 무코가와선 용 차량 4량은 한신 타이거스와 관련된 특별 도장을 적용했다. 각각 한신 타이거스의 노란색을 채용한 '타이거스호', 한신 코시엔 구장담쟁이덩굴과 좌석 색을 따온 '코시엔호', 타이거스의 마스코트에 하얀색과 핑크색이 조합된 '토라키호', 여성 타이거스 팬을 지칭하는 'TORACO'를 주제로 노랑+민트색을 입힌 'TORACO호'이다.

강철제 차량으로, 전면 디자인은 한신 8000계 전동차를 기반으로 전면 유리를 외판과 동일한 면으로 하고, 전조등과 방향판을 매립식으로 넣었다. 기존 보통형 전동차에 비해서는 가속도가 4.0/km/h/s로 떨어졌으나, 중간 속도 영역의 가속도는 높아져 전체의 운행시간에는 변함이 없다. 감속도는 4.5/km/h/s로 떨어졌다.

좌석은 롱시트로 한 좌석당 8명이 앉을 수 있다. 전면・측면 종별/행선 표시기는 방향막(롤지)에서 리노베이션을 거쳐 LED로 바뀌었다. 본선 차량에는 5700계에 채용된 32인치 LCD 역 안내기, 무코가와선 차량에는 2단 LED 역 안내기를 도입했으며 선행차 대피를 위해 장기 대기하는 경우가 많은 보통차의 특성상 냉난방의 효율성을 위해 문 개폐 버튼이 추가되었다. 다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환기를 위해 개폐버튼 사용을 중단했으며, 코로나 종식 이후에도 여전히 사용하지 않고 있다.

3. 운용

파일:hanshin5500_oldlivery.jpg 파일:hanshin5500_mukogawa.jpg
구도색 무코가와선 도색

1995년 11월 1일 운용을 개시했으며, 현재는 한신 본선한신 고베 고속선 내 보통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오사카난바역 연장 이전 니시오사카선아마가사키역-니시쿠죠역에도 투입되었으나 연장 및 킨테츠 난바선 직결 이후로는 투입되지 않고 있다.

또한 2020년 6월 3일, 한신 7890형 전동차의 퇴역에 맞춰 무코가와선에도 2량 열차가 투입되었다.

4. 여담

2023년 센트럴리그2023년 일본시리즈에서 한신 타이거스가 우승한 것을 기념해, 타이거스호+코시엔호, 토라키호+TORACO호를 각각 연결하여 본선의 보통열차에 투입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5. 5550계

파일:Hanshin_Wlogo.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한신 5550계 전동차
Hanshin 5550 series
阪神 5550系 電車
}}}
파일:Hanshin-Series5550-5551.jpg
외부
차량 정보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4량 1편성
운행노선 파일:Hanshin-HS.svg 본선, 고베고속선
도입년도 2010년
제작회사 차체 : 아루나 차량
장착 : 한신 차량 메인테넌스
소유기관 한신 전기철도
운영기관
운행시기 2010년 12월 29일 ~ 현재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궤간 1,435㎜
전장 선두차 18,980mm
중간차 18,880mm
전폭 2,800mm
전고 선두차 4,060mm
중간차 4,160mm
급전 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영업최고속도 90km/h
설계최고속도 110km/h
기동 가속도 4.0km/h/s
감속도 4.5km/h/s
신호 방식 한신/산요/한큐형 ATS
제어 방식 미쓰비시VVVF-IGBT
동력 장치 도요전기제 3상 농형 유도전동기
제동 장치 MBSA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전자직통제동
구동 장치 TD평행 카르단 구동 장치
MT 비 2M 0T, 4M 0T }}}}}}}}}

5500형의 마이너 체인지 사양으로, 5311형 5313·5314의 대차 목적으로 4량 1편성 도입되었다. 차체는 한큐의 자회사인 아루나 차량에서 제작되었고, 장비는 한신 차량 메인테넌스에서 제작되었다. 차체의 재질이나 디자인 등은 5500계과 동일하지만 대차나 주행기기 등은 한신 1000계 전동차에 준하는 장비를 채택, 미쓰비시의 IGBT 소자가 장착되었다.

한편 도장 역시 5500계와 동일하게 도색했지만, 5500계가 리뉴얼 이후 도색이 바뀌면서 기존의 도색은 5550계 한 편성 밖에 남지 않았다. 전면, 측면 종별/행선 표시기는 처음부터 LED를 사용했고 리뉴얼 후 5500계와는 달리 LCD가 아닌 1000계에서 사용되는 한 줄짜리 LED 역 안내기를 채택하였다. 또한 문 개폐 버튼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2010년 12월 29일 영업운전을 개시하여 오사카우메다역-고소쿠고베역 간 보통열차로 운행되고 있다.

6. 편성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한신 5500계 전동차/현황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7. 관련 문서


[1] 모토마치역-고소쿠고베역/신카이치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