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1d2088><tablealign=center><tablebgcolor=#1d2088> | }}} | |||
| | | |||
미도스지선 | 타니마치선 | 요츠바시선 | |||
| | | |||
츄오선 | 센니치마에선 | 사카이스지선 | |||
| | | |||
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 | 이마자토스지선 | 난코 포트타운선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ruby(長堀, ruby=ながほり)][ruby(鶴見, ruby=つるみ)][ruby(緑地, ruby=りょくち)][ruby(線, ruby=せん)] Nagahori Tsurumi-ryokuchi Line 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 | }}} | |
오사카메트로 70계 전동차 | ||||
노선도 | ||||
| ||||
노선 정보 | ||||
분류 | 지하철 | |||
기점 | 타이쇼역 | |||
종점 | 카도마미나미역 | |||
역 수 | 17 | |||
노선 기호 | N | |||
노선 번호 | 7호선 | |||
개통일 | 1990년 3월 20일([age(1990-03-20)]주년) | |||
소유자 | 오사카메트로 | |||
운영자 | ||||
사용차량 | 오사카메트로 70계 전동차 오사카메트로 80계 전동차 | |||
차량기지 | 츠루미 검차장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5.0km | |||
궤간 | 1435mm | |||
선로구성 | 전구간 복선 | |||
사용전류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선형 전동기식) | |||
폐색방식 | 차내신호폐색식 | |||
신호방식 | CS-ATC, ATO | |||
최고속도 | 70km/h | |||
개통 연혁 | 1990. 3. 20. 쿄바시 ↔ 츠루미료쿠치 1996. 12. 11. 신사이바시 ↔ 쿄바시 1997. 8. 29. 타이쇼 ↔ 신사이바시, 츠루미료쿠치 ↔ 카도마미나미 | |||
지상구간 | 없음[1] |
실측지도 상의 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 |
하행 전구간 주행영상 |
상행 전구간 주행영상 |
1. 개요
오사카메트로의 지하철 노선으로, 철도요람상의 명칭은 7호선 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 일본 최초의 리니어 모터카 방식 지하철이다. 노선 색상은 1990 오사카 원예 엑스포[2] 개최지였던 츠루미료쿠치(츠루미 녹지)의 잔디밭을 상징하는 '패럿 그린'이며 우이신설선의 초록색과 비슷하다.2. 상세
1990 오사카 엑스포 (국제 꽃과 초록의 박람회)를 대비해 개통된 노선으로 당시에는 박람회가 열리는 장소의 지명을 딴 츠루미료쿠치선이라는 노선명이 부여되었다. 경제호황 말기 시절에 지어진 노선인 만큼 각 역마다 테마를 가지고 밝고 화려한 디자인으로 지어져 있으며, 역 사인 등에 사용한 글자 폰트가 타 노선과 조금 다른 것 또한 이 노선의 특징이다.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 상하행 멜로디 및 안내 |
개통 당시는 쿄바시-츠루미료쿠치 구간만 우선 개통되었는데, 그 탓에 다른 오사카 지하철 노선과는 직접 환승을 할 수 없었다.[5] 이 상태는 버블 붕괴로 인해 노선의 연장이 매우 늦게되어 1996년까지 6년 9개월이나 계속된다.[6]
이후 1996년 신사이바시까지 노선이 연장되는 과정에서 드디어 다른 지하철 노선과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더불어 '나가호리도리'라는 도로 지하를 지나게 된 것을 계기로 지금의 나가호리 + 츠루미료쿠치라는 매우 긴 노선명을 얻게 된다. 너무 긴 이름 탓에 오사카 시민들은 약칭으로 나가호리선, 나가츠루선, 또는 과거 개통 초창기 노선명인 츠루미료쿠치선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비교적 근래에 지어진 노선인 탓에 역사의 깊이가 깊은 편, 그 탓에 기존 노선들과 막장환승을 이루는 경우가 많으며 노선의 모든 역이 섬식 승강장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2010년부터 전 역에 홈도어(스크린도어) 공사를 실시하여 2011년 10월에는 모든 역에서 가동이 이루어졌다.
3. 연장안
타이쇼구의 츠루마치욘초메(鶴町四丁目) 부근까지 6개 역을 연장하는 계획이 비용대비편익(B/C) 1.92로 이마자토스지선 연장이나 2020년대 이후 언급이 거의 안 되는 시키츠나가요시선 등 타 신규 노선 또는 구간 계획을 훨씬 압도했다. 대략적인 노선은 타이쇼역-이즈오(泉尾; 지하)-치시마공원(千島公園; 지상 또는 반지하,이후 역은 모두 지상)-히라오(平尾)-다이운바시(大運橋)-츠루마치2초메(鶴町二丁目)-(츠루하마 검차장)-츠루마치욘초메(鶴町四丁目)이며,고가로 지어지기에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개최지인 오사카항과 사쿠라지마 연장을 노리는 것으로 보인다. 연장되면 타이쇼구는 오사카 시영 전기철도가 있었던 시절의 편리한 교통을 되찾게 될 것이다. 그러나 유메시마 연장이 결정되면서 이 계획도 나중에서야 실현 될 가능성이 높다.4. 기타
오릭스 버팔로즈의 홈구장인 오사카 돔(교세라 돔)이 이 노선의 돔마에치요자키역 부근에 위치해 있다.[7] 또한 모리노미야역과 오사카 비즈니스파크역을 통해 오사카 성으로 가는 것도 가능하다.노선을 운행하는 70계 열차는 일본 최초로 도입된 영업용 리니어 모터 구동식 차량으로 전장 15.6미터에 폭 2.4미터, 3도어 구조로 일반적인 전동차보다 짧고 좁은 편. 4량 편성으로 운영중이며 자동열차운전장치(ATO)를 도입하여 1인 승무를 하고 있다.[8]대략 소형중전철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참고로 그 이하는 당연 경전철.
여담으로 카도마미나미 방면 출발 멜로디는 음정과 후반부가 살짝 바뀌어 광주 도시철도 1호선 하행 진입음에 쓰인다고 한다. 듣기
오사카 비즈니스파크역이나 모리노미야역에 내리면 오사카 성에 갈 수 있고, 상점가로 유명한 신사이바시도 지나가기 때문에 관광객들도 종종 이용하는 노선이다.
영업계수는 161.1로, 그나마 이마자토스지선보다 적자 폭이 적긴 하지만 여전히 큰 적자를 내는 노선 중 하나다.[9]
사카이스지선과 뉴트램에 이어 2018년, 풀 컬러 LED 전광판을 도입했다. 효율적인 다국어 안내와 높은 시인성으로 츄오선, 센니치마에선, 이마자토스지선의 LCD보다 훨씬 호평을 받는다. 출발 시간표도 표시하기 시작했다. 다른 노선에도 시간표가 추가될 지는 미지수다.
5. 역 목록
- 전구간 오사카부내 소재.
- 역번호에 밑줄친 역은 시종착기능을 한다.
오사카메트로 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 | |||||
역번호 | 역명 | km | 환승노선 | 소재지 | |
<colbgcolor=#c0d843><colcolor=#000000> N11 | 타이쇼 大正 | 0.0 | ¶JR 서일본 | 오 사 카 시 | 타이쇼구 |
N12 | 돔마에치요자키 ( 교세라 돔 오사카 앞 )ドーム前千代崎 ( 京セラドーム大阪前 ) | 0.6 | ¶돔마에역 : 한신 전기철도 | 니시구 | |
N13 | 니시나가호리 西長堀 | 1.6 | ¶오사카메트로 | ||
N14 | 니시오하시 西大橋 | 2.3 | |||
N15 | 신사이바시 心斎橋 | 2.8 | ¶오사카메트로 ¶요츠바시역 : | 주오구 | |
N16 | 나가호리바시 長堀橋 | 3.5 | ¶오사카메트로 | ||
N17 | 마츠야마치 松屋町 | 4.1 | |||
N18 | 타니마치로쿠초메 谷町六丁目 | 4.5 | ¶오사카메트로 | ||
N19 | 타마츠쿠리 玉造 | 5.7 | ¶JR 서일본 | 텐노지구 | |
N20 | 모리노미야 森ノ宮 | 6.7 | ¶오사카메트로 ¶JR 서일본 | 주오구 | |
N21 | 오사카 비즈니스파크 (오사카 성 홀 앞) 大阪ビジネスパーク (大阪城ホール前) | 7.8 | |||
N22 | 쿄바시 京橋 | 8.5 | ¶JR 서일본 ¶케이한 전기철도 | 미야코지마구 | |
N23 | 가모욘초메 蒲生四丁目 | 10.2 | ¶오사카메트로 | 조토구 | |
N24 | 이마후쿠츠루미 今福鶴見 | 11.4 | |||
N25 | 요코즈츠미 横堤 | 12.5 | 츠루미구 | ||
N26 | 츠루미료쿠치 鶴見緑地 | 13.7 | |||
N27 | 카도마미나미 門真南 | 15.0 | 카도마시 |
[1] 반지하 구조인 차량기지의 검수시설 이외에 해당 노선의 사실상 모든 시설이 지하에 위치해있다[2] 스이타시에서 개최된 1970 오사카 엑스포, 통칭 만국박람회와는 다르다.[3] 훗날 츄오선의 새로운 멜로디 제작에도 관여한 바 있다. 츄오선 신 멜로디의 작곡가는 니시타니 요시히사(西谷喜久)이지만 멜로디 제작 프로젝트 팀의 위원으로서 후지모토가 참여하였다.[4] 관련 영상[5] 당시 쿄바시역에서 JR 등과만 환승이 가능했으며, 츠루미료쿠치선에서 다른 지하철 노선으로 갈아타려면 오사카 순환선 등을 통해야만 했다. 운영사가 달라 요금이 올라가는 건 덤. 참고로 현재 이마자토스지선과의 환승역인 가모욘초메역은, 당시 이마자토스지선 개통 전으로 환승역이 아니었다.[6] 원래는 2~3년은 일찍 개통했어야 했다고.[7] 따라서 야구경기 있는 날 이 노선을 타면 평소에 비해 사람이 매우 많다는 걸 체감할 수 있다.[8] 6량 증결은 가능하나 적자노선인만큼 가능성은 센니치마에선과 같이 적다.[9] 그래도 이마자토스지선보다 상황은 나은게 카도마시에서 오사카 시내로 가는 수요는 어느 정도 있다는 건 불행 중 다행이다.